맨위로가기

십자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자가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된 상징으로, 특히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과 부활을 의미하는 핵심적인 상징이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생명을 상징하는 앙크 십자가가 사용되었으며, 십자가형은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되어 로마 제국에서 노예나 반역자를 처벌하는 형벌로 사용되었다. 기독교가 공인된 후 십자가는 기독교의 핵심 상징으로 자리 잡았으며, 가톨릭, 정교회, 개신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숭배의 대상이나 신앙의 표현 수단으로 사용된다. 십자가는 형태에 따라 그리스 십자가, 라틴 십자가, 켈트 십자가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기독교 외에도 체스 기물, 묘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기독교 전래와 함께 십자가가 알려졌으며, 독립운동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고, 한국 사회에서 보편적인 문화적 요소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십자가 - 전몰자의 계곡
    전몰자의 계곡은 스페인 내전 전몰자를 기리기 위해 프랑코가 건설한 기념 시설로, 지하 바실리카와 거대한 십자가가 특징이며 양측 유해가 안장되어 있으나 프랑코 정권 상징으로 논란이 되어 민주화 이후 기념물 성격 변화 및 유해 이장이 논의 중이다.
  • 십자가 - 아누라다푸라 십자가
    아누라다푸라 십자가는 스리랑카 아누라다푸라에서 발견된 페르시아 십자가일 가능성이 있는 십자가로, 네스토리우스파 십자가와 유사한 상징을 가지며 프란치스코 교황의 스리랑카 방문 공식 로고에 사용되기도 했다.
  • 기독교의 상징 - 라바룸
    라바룸은 그리스도의 처음 두 글자를 본뜬 키 로 문양을 새긴 기독교 깃발의 일종으로, 콘스탄티누스 1세가 사용하기 시작하여 기독교 로마 황제와 비잔티움 제국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기호로 사용된다.
  • 기독교의 상징 - 예수 성심
    예수 성심은 기독교에서 예수의 사랑을 상징하며, 불타는 심장으로 표현되어 예수의 수난과 사랑을 나타내고, 성녀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를 통해 널리 알려져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전 세계가 봉헌되었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십자가
지도 정보
일반 정보
명칭십자가
종류기독교 상징
의미예수십자가형기독교의 구원 상징
기원고대 십자가형 도구에서 유래
기독교에서의 의미
상징적 의미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을 통한 구원과 사랑
기독교 신앙의 핵심
사용교회 건축물과 예배 의식에 사용
개인적인 신앙 표현으로 사용
장식품, 예술 작품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
십자가의 형태
주요 형태라틴 십자가 (Latin cross): 세로가 긴 형태
그리스 십자가 (Greek cross): 가로와 세로 길이가 같은 형태
성 안드레아 십자가 (Saint Andrew's cross): X자 형태
기타 다양한 변형 형태 존재
문화적 의미
기독교 문화서양 문화 전반에 걸쳐 널리 퍼져 있음
기타십자 형태는 다양한 문화에서 사용됨
기독교 외 다른 종교에서도 십자 형태가 나타남
기타
관련 주제십자가형
십자가의 길
십자가 숭배
십자군

2. 역사

십자가 기호는 기독교 시대 이전부터 사용되었다. 십자가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σταυρός(stauros)는 원래 곧게 선 말뚝을 의미했다. 십자가 형태는 수직으로 끝이 뾰족한 말뚝, T자형, 길이가 같은 두 개의 교차하는 나무 3가지가 있었다. 십자가형은 페르시아인이 고안하고 처음 사용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처형된 자의 시체로 조로아스터교아후라 마즈다에게 봉헌된 땅을 더럽히지 않기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 후에 십자가형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나 그의 후계자 왕족들, 특히 카르타고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그리스에서는 십자가형은 노예에게만 국한되었고, 자유민을 십자가에 못 박는 것은 야만인으로 여겨졌다. 로마에서는 공화정 시대부터 이미 노예의 처형 방법이었으며, 제정 시대에는 로마 시민이 아닌 외국인에게도 행해졌다. 하지만 독재적인 통치자는 이 원칙을 지키지 않았는데, 마카베오 왕 알렉산드로스 1세는 반란을 일으킨 베트메를 점령했을 때 포로를 예루살렘으로 끌고 가 800명의 유대인을 십자가에 못 박았다. 로마에서 십자가 처형은 “반역죄”에 대한 형벌이었다. 십자가형은 사형수가 가로대가 될 나무를 지고 처형장으로 가서, 나무는 시체와 함께 들어 올려져 곧게 선 기둥에 고정되었다. 십자가 높이는 다양했지만, 사람 키보다 약간 높거나, 멀리서도 사형수가 보이도록 더 높아지는 경우도 있었다. 십자가에는 죄명이 적힌 팻말이 붙여졌다. 키케로는 십자가형을 최악의 사형이라고 부르며, 가장 고통스럽고, 무섭고, 추악한 것이라고 했다. 시체는 일반적으로 부패하도록 방치되었지만, 매장을 위해 인도되는 경우도 있었다. 십자가 위에서는 서서히 죽음이 찾아오기 때문에 상상을 초월하는 고통이 있었다.[60]

구약성서에서 십자가형에 처해진 자는 “저주받은 자”라고 되어 있다.[61] 바울은 갈라디아서 3장 13절에서 신명기를 인용하여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아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셨으니 기록된바 나무에 달린 자는 다 저주 아래에 있는 자라 하였음이라"라고 하였다. 예수가 인간을 대신하여 죽어 속죄함으로써 인간이 구원받는다는 속죄를 위한 대리 죽음이라는 생각은 헬레니즘 유대교에도 보이며, 갈라디아서 1장 4절과 로마서 5장 8절에 있는 것처럼 바울 이전 단계에서 기독교에서 예수의 죽음 해석으로 나타나 있다. 아오노 타시오는 십자가의 죽음을 하나님의 저주라고 생각하는 유대교의 이해에 대응하고 있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하면서도, 유대인이든 아니든 누구든지 감지할 수 있는 “저주”로서의 “십자가의 걸림돌 성격”에도 불구하고, 그 “십자가”를 역설적으로 구원론적으로 파악해 나가는 바울 고유의 시각이 강하게 드러나 있다고 한다. “십자가”에서는 “저주”라고밖에 말할 수 없는 “비참함”이 억제되어 있으며, 그것은 “걸림돌”이며 “어리석음” 이외의 어떤 것도 아니다. 이 “저주” 속에야말로 역설적으로 하나님의 구제 행위가 나타나 있었다. 예수의 죽음의 사실뿐만 아니라 그 죽음의 형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62]

십자가형은 콘스탄티누스 대제에 의해 폐지되었지만,[60] 십자가가 기독교 신앙 속에서 중시되기 시작한 것은 4세기 이후이다. 십자가는 그리스도의 수난의 상징이자 죽음에 대한 승리의 표시, 그리고 부활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이 때문에 “거룩한 나무”, “죽음을 멸한 창” 등의 아름다운 이름이 있다.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의 꿈에 십자가가 승리의 표시로 나타났다는 전승[64]이나, 콘스탄티누스의 어머니 헬레나예루살렘 순례 때 십자가 유물을 발견했다는 전승이 있다. 몇몇 그림이나 입체 십자가 밑에는 아담의 해골이 놓여 있기도 하다.

가톨릭, 정교회 등에서는 십자가에 대한 숭배를 공적인 장면이나 사적인 장면에서 행한다. 특별한 축일에 십자가를 숭배하고, 십자가에 입맞추거나 무릎을 꿇고 경배하며, 십자가를 주제로 한 기도를 올리거나, 일반적인 기도에서 손으로 십자가를 그리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십자가는 신앙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십자가를 그리는 방법에는 교파에 따라 몇 가지 종류가 있으며, 초기에는 한 손가락, 두 손가락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었다.

개신교에서도 십자가는 그리스도의 수난을 상징하는 것으로 교회 장식에 사용되지만, 대부분의 교파에서는 손으로 십자가를 그리는 습관은 없어졌다. 과거 종교 개혁가들 중에는 십자가 사용이나 숭배 행위에 반대하는 사람도 있었다.

일본어에서는 입체적인 것을 「십자가(十字架)」, 2차원적인 것은 「십자(十字)」라고 부른다. 옛날에는 포르투갈어 「Cruz(クルス)」를 본떠 「쿠루스(久留子)」라고도 했다.[63] 사토 켄은 「십자가(十字架)」라는 번역어가 σταυρός(stauros)는 T자 모양이었을 것이라는 점과, 아름다운 어감이 형벌의 끔찍함을 전달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점을 지적하며, 「말뚝형(杭殺刑)」, 「말뚝형 주형(杭殺柱)」이라는 번역어를 제안한다.[64]

2. 1. 기독교 이전

고대 이집트에서는 생명을 상징하는 앙크 십자가가 사용되었다.[1]

2. 2. 기독교에서의 발전

알렉사메노스 낙서


시나이 반도의 판토크라토르 이콘 (6세기). 십자가 모양의 광륜을 지닌 그리스도가 보석으로 장식된 가 새겨진 책을 들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십자가를 예수가 죽은 교수대로 인정했지만, 4세기에 기독교가 공인되면서 십자가를 기독교의 상징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4] 초기에는 스타우로그람처럼 십자가와 비슷한 상징을 초기 신약 성서 사본(예: P66, P45, P75)에서 '십자가'를 뜻하는 그리스어를 줄여 쓰는 데 사용했다.[5]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는 τὸ κυριακὸν σημεῖονgrc(주님의 표시)라는 구절을 십자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했다. 그는 외경인 바나바 서한에서 이미 통용되던 창세기 14:14[9]의 숫자 318(그리스 숫자로 ΤΙΗ)이 십자가(T, 가로대가 있는 세로선으로 300을 나타냄)와 예수(ΙΗ, 그의 이름 ΙΗΣΟΥΣgrc의 처음 두 글자로 18을 나타냄)를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했다.[10]

터툴리아누스는 기독교인들이 "교수대 숭배자"(crucis religiosila)라는 비난을 거부했다.[11] 또한, 터툴리아누스는 기독교인들이 이마에 십자가 표시를 반복해서 그리는 것이 이미 전통이었다고 말한다.[12]

보편교회 시기 십자 성호를 이마에 반복적으로 긋는 행동(위→아래→오른쪽→왼쪽)은 이미 기독교의 전통이 되었다. 교회 대분열 이후 서방교회에서 십자 성호 행동에 약간의 변화(위→아래→왼쪽→오른쪽)가 나타났고, 현재는 동방교회 전통의 성호와 서방교회 전통의 성호로 구별된다.

종교개혁 당시 마틴 루터는 십자가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이로 인해 오늘날 루터교 예배와 개신교회의 중요한 특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루터는 "십자가 만이 우리의 신학입니다"라고 말했다.

가톨릭, 정교회, 동방 정교회 등에서는 십자가에 대한 경배를 행한다. 십자가에 입맞추거나 무릎을 꿇고 경배하며, 십자가를 주제로 한 기도를 올리거나, 일반적인 기도에서 손으로 십자가를 그리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십자가는 신앙생활의 일부가 된다.

프로테스탄트 교파에서도 십자가는 그리스도의 수난을 상징하는 것으로 교회 장식에 사용된다. 한편 대부분의 프로테스탄트 교파에서는 손으로 십자가를 그리는 습관은 없어졌다. 종교 개혁가들 중에는 십자가의 사용이나 경배 행위에 반대하는 사람도 있었다.

십자가 축일은 중요한 기독교 축일이다. 정교회의 12개 대축일 중 하나는 9월 14일의 십자가의 승영으로, 326년에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인 헬레나가 예수의 원래 십자가를 발견했다고 알려진 장소에 있는 바실리카봉헌을 기념한다.

감리교회와 같은 많은 기독교 전통에서, 제단 십자가는 제단 위에 놓이거나 매달려 있으며 성가대석의 초점이 된다.[26]

많은 침례교 교회에서, 큰 십자가가 세례당 위에 걸려 있다.[27]

3. 종류

십자가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림이름설명
그리스 십자가기독교 십자가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로,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같다.
라틴 십자가기독교 십자가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로, 세로 길이가 더 길다. 예수십자가형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7]
정교회 십자가
종주교 십자가
로렌 십자
구형 십자
교황 십자가
살렘 십자가
스타우로그람
카이 로/크리스몬/라바룸초창기 상징 중 하나로, 희랍어 ΧΡΙΣΤΟΣ (흐리스또스)에서 그리스 문자 Χ, Ρ에서 따왔다고 한다.
고형 십자가
예루살렘 십자가십자군의 십자가로도 알려져 있으며, 예루살렘 왕국의 상징으로 쓰이기도 했다.
링형 십자가십자가에다 원을 넣은 변형의 일부로, 켈트 십자가도 이에 속한다.
마라의 십자가발트 신화에 속한 라트비아의 최고신 중 한 명인 마라를 상징하는 십자가.
화살표 모양의 십자가나치즘의 일부인 화살표 십자가
유럽에서 쓰였던 십자가
구호기사단의 십자가현재는 몰타 기사단의 상징
템플 기사단의 십자가 (기사수도회가 사용했던 십자가)현재 유럽에서도 성전기사단의 십자가랑 별도로 언급되는 십자가
성전기사단과 근대 세기 나치가 사용했던 십자가그 외 유럽에서 언급되는 십자가
적십자(적십자회, 적십자지사)와 병원에서 쓰이는 십자가
십자링형 십자가십자가 화살표처럼 튀어나왔다. 링형 십자가와 많이 유사하다.
막대형 십자가이 십자가는 현재 잘 쓰이지 않으나 무덤이나 인묘지에서 가끔 가다 볼 수 있다.
황금여명회의 십자가오각별에서 비롯된 무지개 색을 띤 십자가로 알려져 있다.
긋은선 평행 십자가문자표아이콘에서 볼 수 있는 십자가이다. 이 십자가는 다른 십자가 들보다 인연이 많지는 않다.



X자 형태의 성 안드레아 십자가, T자 형태의 성 안토니우스 십자가(또는 완성형 십자가), 앵크 십자가 등이 있다.[66]

십자가 기호의 한 형태는 기독교 시대 이전부터 고대 이집트의 앙크(ankh) 형태로 사용되었다.[1]

4. 기독교에서의 사용과 의미

기독교에서 십자가는 예수가 죽은 교수대로 여겨졌지만, 4세기에 기독교가 공인되면서 상징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보편교회 시기에는 십자 성호를 긋는 행동(위→아래→오른쪽→왼쪽)이 전통이 되었다. 교회 대분열 이후 서방교회에서는 성호 긋는 순서가 약간 바뀌어(위→아래→왼쪽→오른쪽) 현재는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전통으로 구별된다.

종교 개혁 당시 마틴 루터는 "십자가 만이 우리의 신학이다"라고 말하며 십자가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오늘날 루터교 예배와 개신교의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 천주교에서는 근래에 예수의 고상 대신 부활하는 예수상을 십자가에 넣기도 한다.

동방 교회 전통을 따르는 많은 기독교인들은 집에, 종종 동쪽 벽에 기독교 십자가를 걸어두는 관습을 이어간다.[21][22][23] 십자가나 십자가상은 종종 기독교 가정의 가정 제단의 중심이 되기도 한다.[24]

가톨릭, 정교회, 동방 정교회, 루터교, 앵글리칸교 등은 종종 자신에게 십자가의 표징을 한다. 이것은 이미 터툴리아누스 시대에 일반적인 기독교 관행이었다.[12]

십자가 축일은 중요한 기독교 축일이다. 정교회의 12개 대축일 중 하나는 9월 14일의 십자가의 승영으로, 326년에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인 헬레나가 예수의 원래 십자가를 발견했다고 알려진 장소에 있는 바실리카봉헌을 기념한다. 가톨릭은 같은 날 같은 이름으로 축일을 기념한다 (In Exaltatione Sanctae Crucisla).

로마 가톨릭, 동방 정교회, 루터교, 앵글리칸 주교들은 문서에 서명할 때 이름 앞에 십자가(+)를 붙인다. 사망한 사람의 이름 뒤에 붙인 단검 기호(†)는 때때로 기독교 십자가로 여겨진다.[25]

감리교회와 같은 많은 기독교 전통에서, 제단 십자가는 제단 위에 놓이거나 매달려 있으며 성가대석의 초점이 된다.[26] 많은 침례교 교회에서, 큰 십자가가 세례당 위에 걸려 있다.[27]

기독교인들은 예수가 죽은 나무가 갈보리 언덕의 십자가라는 것을 받아들였고,[28] 2세기부터 이미 그것을 기독교 상징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29] 기독교 시대의 처음 3세기 동안 십자가는 나중에 주어진 중요성에 비해 "사소한 중요성의 상징"이었지만,[30] 2세기에는 기독교인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기독교인들이 "교수대 숭배자"( crucis religiosila)로 조롱받았고, 이에 대해 터툴리아누스가 반박했다.

가톨릭교회와 정교회 등에서는 “십자가 발견”을 비롯하여 몇 가지 십자가 관련 축일이 있다. 정교회에서는 1년에 세 번, 십자가를 위한 특별한 축일이 있다. 대사 중의 “십자가 경배 주일”, 8월의 “십자가 행렬 축일”, 9월의 “십자가 승영 축일”이 그것이다. 십자가 승영 축일은 십자가 발견을 기념하는 축일이며, 십이대축일 중 하나이다. 또 그 외의 때에도 부활 대축일 등 특별한 경우에 십자가를 앞세운 행렬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십자가 행렬'''이라고 한다. 십자가 행렬은 성가를 수반하는 봉헌 예배의 일종이다. 신자는 십자가를 몸에 지니는 것 외에 손가락을 사용하여 십자가를 그리는 것을 늘 한다. 또한 정교회에서는 주일 외 축일의 조경 중과 성체성사 후에 주교 또는 사제가 가지고 있는 '''휴대용 십자가'''에 입맞추고 사제의 축복을 받는 관습이 있다.

4. 1. 상징

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과 희생, 구원을 상징한다. 개신교에서는 부활 신앙을 강조하며 예수의 형상이 없는 빈 십자가를 선호하기도 한다. 십자가는 기독교 신앙의 핵심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교회, 예배당, 묘지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된다. 가톨릭, 정교회 등에서는 십자가를 그리는 행위(십자성호)를 통해 신앙을 표현한다.[12]

터툴리아누스는 De Coronala에서 기독교인들이 이마에 십자가 표시를 반복해서 그리는 것이 이미 전통이었다고 말한다.[12]

4. 2. 논쟁

종교 개혁 시기에 마르틴 루터는 십자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나, 일부 개신교 분파는 십자가 사용을 우상숭배로 여겼다. 16세기 칼뱅주의 급진파는 교회 내 신성한 형상을 거부하는 성상 파괴 운동을 벌였다. 영국 일부 지방에서는 십자가 앞에서 예배드리는 것에 대한 논쟁이 있었고, 성공회와 소수의 신학자들은 십자가 숭배를 우상 숭배의 한 형태로 여겨 거부했다.[39]

여호와의 증인은 십자가를 우상 숭배로 여겨 예배에 사용하지 않으며,[47] 예수가 십자가가 아닌 하나의 곧은 기둥에서 죽었다고 믿는다.[48]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십자가 대신 모로나이 천사, 성전 등 다른 상징을 사용한다.[54]

5. 기타 용도

체스 기물에서 킹(King)의 꼭대기에는 십자가가 붙어 있으며, 이 십자가는 킹과 퀸(Queen)을 구별하는 요소이다.

6. 한국 사회와 십자가

기독교의 상징물 외에도 기독교인이었던 고인을 추모하는 묘비로 쓰이기도 한다.

7. 유니코드

라틴 십자가는 유니코드(U+271D ~ U+271F) 기호로 입력할 수 있다.

유니코드기호
U+271D
U+271E
U+271F



유니코드에 채택된 십자가 기호(문자)는 다음과 같다.


  • ✝ 유니코드 문자 '라틴 십자가'(U+271D)
  • ✞ 유니코드 문자 '그림자 라틴 십자가'(U+271E)
  • ✟ 유니코드 문자 '윤곽 라틴 십자가'(U+271F)

참조

[1] 웹사이트 Cross | Definition, Symbolism, Types, & Histo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20
[2] 서적 An exposition of the [Apostles' Creed] https://books.google[...] 1715-01-05
[3] 서적 The Evil Eye Julian Press, Inc.
[4] 서적 Christianity: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5] 서적 New Testament Manuscripts Brill
[6] 서적 Jewish Believers in Jesus The Early Centuries Baker Academic
[7] 웹사이트 Octavius http://www.ccel.org/[...] Ccel.org 2005-06-01
[8] 웹사이트 Octavius of Minucius Felix, chapter XXIX http://www.ccel.org/[...]
[9] 성경 Genesis 14:14
[10] 웹사이트 Stromata, book VI, chapter XI http://www.earlychri[...] Earlychristianwritings.com 2006-02-02
[11] 웹사이트 CHURCH FATHERS: Apology (Tertullian) https://www.newadven[...]
[12] 서적 De Corona http://www.ccel.org/[...]
[13] 서적 The Cross of Christ InterVarsity Press
[14] 저널 The Magic 'Crucifixion Gem' in the British Museum https://www.academia[...] 2017-01-01
[15] 서적 Picturing the Bible: The Earliest Christian Art Yale University Press 2007
[16] 웹사이트 Earliest crucifixes: First depiction of Jesus on cross - the Bloodstone amulet http://crucifixbg.bl[...] 2014-09-10
[17] 웹사이트 British Museum Collection online: magical gem / intaglio http://www.britishmu[...]
[18] 백과사전 Cross http://jewishencyclo[...]
[19] 웹사이트 Who wears the Cross and when? https://www.lacopts.[...] Coptic Orthodox Diocese of Los Angeles, Southern California, and Hawaii 2010-08-25
[20] 웹사이트 All Orthodox Christians are Given a Cross Following Their Baptism to Wear for Life http://saintandrewgo[...] St. Andrew Greek Orthodox Church 2017-09-18
[21] 웹사이트 Sign of the Cross https://www.assyrian[...]
[22] 서적 Origen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6
[23] 웹사이트 Among the Living Maya https://www.wabash.e[...] Wabash College 2002-03-24
[24] 웹사이트 Home Altars http://www.immanuel.[...] Immanuel Lutheran Church
[25] 서적 Shady Characters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6] 서적 The History of the First United Methodist Church of Cuyahoga Falls, Ohio, 1830-1969 https://books.google[...] F. W. Orth Company
[27] 서적 Deep Roots, Living Branches: A History of Baptists in the English Western Midlands Troubador Publishing Ltd 2010-08-01
[28] 위키소스 Epistle of Barnabas (Lightfoot translation), Chapter 9, 7 wikisource:Epistle o[...]
[29] 웹사이트 CROSS - JewishEncyclopedia.com https://jewishencycl[...]
[30] 서적 Helena Augusta: The mother of Constantine the Great and the legend of her finding of the True Cross Brill
[31] 서적 Disciplines of Faith: Studies in Religion, Politics and Patriarchy Routledge 2013-11-05
[32] 서적 A Magnificent Faith: Art and Identity in Lutheran Germany Oxfo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The Lutheran Witness, Volume 81 Concordia Publishing House.
[3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artin Luther's Th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4-24
[35] 서적 The Reform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9-10-22
[36] 서적 A Treatise on the Worship of Images http://anglicanhisto[...]
[37] 서적 An aunsvvere to the Treatise of the crosse https://archive.org/[...] 1565
[38] 서적 The Christian Tradition: A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Doctrin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5
[39] 서적 Macht und Ohnmacht der Bilder.: Reformatorischer Bildersturm im Kontext der europäischen Geschichte Oldenbourg Verlag 2002
[40] 서적 Religious Politics in Post-Reformation England: Essays in Honour of Nicholas Tyacke Boydell & Brewer 2006
[41] 서적 History of the cross, the pagan origin, and idolatrous adoption and worship of the image https://archive.org/[...] 1871
[42] 서적 The cross, heathen and Christian: A fragmentary notice of its early pagan existence and subsequent Christian adoption https://archive.org/[...] 1879
[43] 서적 The non-Christian cross; an enquiry into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symbol eventually adopted as that of our religion https://archive.org/[...] 1896
[44] 서적 Deformed Discourse: The function of the Monster in Mediaeval thought and literature McGill-Queen's Press 1999
[45] 서적 Gods, Heroes & Kings: The battle for mythic Britain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46] 서적 New International Encyclopedia Dodd, Mead And Company 1914
[47] 서적 What Does the Bible Really Teach? http://wol.jw.org/en[...] Watch Tower Society
[48] 서적 New World Translation of the Holy Scriptures
[49] 논문 2007
[50] 웹사이트 Riches http://www.strictlyg[...] Watch Tower Bible & Tract Society 2013-10-15
[51] 웹사이트 The Symbol of Christ https://www.churchof[...] 1975-05
[52] 웹사이트 The Symbol of Our Faith https://www.churchof[...] 2005-04
[53] 웹사이트 Exceeding Great and Precious Promises https://www.churchof[...] 1994-11
[54] 웹사이트 Why No Crosses? http://www.mrm.org/n[...] Mormonism Research Ministry 2013-04-01
[55] 웹사이트 The Church's New Symbol Emphasizes the Centrality of the Savior https://newsroom.chu[...] Church of Jesus Christ Newsroom 2020-04-04
[56] 뉴스 China Lifts High the Cross (Right Off Dozens of Churches) https://www.christia[...] christianitytoday.com 2014-05-30
[57] 뉴스 China's crusade to remove crosses from churches 'is for safety concerns' https://www.theguard[...] theguardian.com 2015-07-29
[58] 뉴스 Pastor of China's Largest Church Jailed for Protesting Removal of 1,500 Crosses https://www.christia[...] christianitytoday.com 2016-02-02
[59] 뉴스 Chinese officials remove crosses from churches amid coronavirus for being 'higher than the national flag' https://www.foxnews.[...] foxnews.com 2020-04-15
[60]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77
[61] 서적 ガラテア人への手紙 新教出版社 1974
[62] 서적 「十字架の神学」の成立 新教出版社 2011
[63] 서적 家紋の事典 東京堂出版 2008
[64] 서적 聖書を読む 新約篇 岩波書店 2005
[65] 서적 Christianity: an introduction http://books.google.[...] 2006
[66] 서적 키워드로 읽는 라틴아메리카 문명 이펍코리아 2013-08-23
[67] 서적 행동하는 예수 메디치미디어 2014-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