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멸치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멸치속(Engraulis)은 멸치과에 속하는 물고기 속으로,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 주요 종으로는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본 멸치(Engraulis japonicus), 유럽 멸치(Engraulis encrasicolus), 페루 멸치(Engraulis ringens) 등이 있으며, 각 종은 서식지와 용도, 학명 명명자에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멸치과 - 웅어
    웅어는 멸치와 유사한 외형의 바닷물고기로, 발해, 황해, 동중국해 등에 분포하며 플랑크톤을 먹고, 산란을 위해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습성이 있으며,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개체 수 감소 추세에 있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멸치과 - 안초베타
    안초베타는 페루와 칠레 연안에서 발견되는 군집성 어류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어획되는 어종 중 하나이며, 어분 생산에 주로 사용되지만 인간의 소비를 위한 형태로도 활용된다.
  • 조르주 퀴비에가 명명한 분류군 - 망둑어과
    망둑어과는 전 세계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좌우 배지느러미가 합쳐진 흡반과 독특한 번식 전략이 특징인 농어목의 저서어류로, 식용이나 관상어로 이용되기도 하며 일부 종은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조르주 퀴비에가 명명한 분류군 - 놀래기과
    놀래기과는 베라과에 속하는 어류로,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돌출 가능한 입과 턱니, 두꺼운 입술이 특징이고 육식성이며, 한국에서는 식용, 낚시 대상, 청소 물고기로 이용되기도 한다.
멸치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캘리포니아 멸치, E. mordax의 무리
캘리포니아 멸치, E. mordax의 무리
학명Engraulis
명명자Cuvier, 1816
모식종Clupea encrasicolus
모식종 명명자(Linnaeus, 1758)
멸치속
멸치과
청어목
조기어류
척삭동물문
동물계
화석 범위마이오세 후기부터 현재까지
하위 분류
텍스트 참조

2. 종

멸치속(''Engraulis'')에는 다음과 같은 종들이 속한다:[3]

이름학명명명자비고
아르헨티나 멸치(안초이타)Engraulis anchoita헙스 & 마리니, 1935
호주 멸치Engraulis australis, 1790
유럽 멸치(안초비)Engraulis encrasicolus린네, 1758
은빛 멸치Engraulis eurystole스웨인 & 미크, 1885
일본 멸치Engraulis japonicus템민크 & 슐레겔, 1846대한민국에서 볼 수 있는 어종
캘리포니아 멸치Engraulis mordax지라르, 1854
페루 멸치(안초베타)Engraulis ringens제닌스, 1842어분, 사료, 비료로 많이 쓰임
흰멸치Engraulis albidus보르사, 콜레 & J. D. 뒤랑, 2004
남아프리카멸치Engraulis capensis길크리스트, 1913


2. 1. 주요 종

멸치속에는 다음 종들이 속한다:[3]

  • ''Engraulis albidus'' (보르사, 콜레 & J. D. 뒤랑, 2004) (흰멸치)
  • ''Engraulis capensis'' (길크리스트, 1913) (남아프리카멸치)
  • ''Engraulis eurystole'' (스웨인 & 미크, 1885) (은멸치)
  • Engraulis japonicus (템민크 & 슐레겔, 1846)
  • Engraulis encrasicolus (린네, 1758)
  • Engraulis ringens (제닌스, 1842)
  • Engraulis anchoita (C. L. 헙스 & 마리니, 1935)
  • Engraulis australis (, 1790)
  • Engraulis mordax (지라르, 1854)

2. 1. 1. 멸치 (''Engraulis japonicus'')

대한민국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종으로, 젓갈, 볶음, 국물 요리 등 다양한 한국 음식에 사용된다.[3]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3] 학명은 ''Engraulis japonicus'' (템민크 & 슐레겔, 1846)이다.

2. 1. 2. 유럽멸치 (''Engraulis encrasicolus'')

유럽 멸치(안초비)는 린네가 1758년에 명명하였다.[3] 유럽 멸치는 젓갈, 피자 토핑, 소스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2. 1. 3. 페루멸치 (''Engraulis ringens'')

페루 멸치(안초베타) ''Engraulis ringens'' (제닌스, 1842)는 주로 페루칠레 연안에 분포한다. 어분, 사료, 비료 생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어종이다.[3]

2. 1. 4. 아르헨티나멸치 (''Engraulis anchoita'')

아르헨티나멸치(''Engraulis anchoita'')는 '안초이타'라고도 불리며, C. L. 헙스와 마리니가 1935년에 처음 기재하였다.[3]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루과이 연안에 분포한다.

2. 1. 5. 호주멸치 (''Engraulis australis'')

조지 쇼가 1790년에 처음 기재한 호주멸치(''Engraulis australis'')는 오스트레일리아 남부 및 뉴질랜드 연안에 분포한다.[3]

2. 1. 6. 캘리포니아멸치 (''Engraulis mordax'')

지라르가 1854년에 처음 기재한 캘리포니아멸치(''Engraulis mordax'')는 주로 미국 캘리포니아 연안에 분포한다.[3]

2. 2. 기타 종


  • Engraulis anchoita (C. L. 헙스 & 마리니, 1935) (아르헨티나멸치)
  • Engraulis australis (, 1790) (호주멸치)
  • Engraulis encrasicolus (린네, 1758) (유럽멸치)
  • Engraulis japonicus (템민크 & 슐레겔, 1846) (멸치)
  • Engraulis mordax (지라르, 1854) (캘리포니아멸치)
  • Engraulis ringens (제닌스, 1842) (페루멸치)[3]

2. 2. 1. 흰멸치 (''Engraulis albidus'')

보르사, 콜레, J. D. 뒤랑이 2004년에 Engraulis albidus(흰멸치) 종을 명명했다.[4]

2. 2. 2. 남아프리카멸치 (''Engraulis capensis'')

길크리스트가 1913년에 명명하였다.[3]

2. 2. 3. 은멸치 (''Engraulis eurystole'')

스웨인과 미크가 1885년에 발견한 은멸치(''Engraulis eurystole'')이다.[3]

참조

[1] 논문 A compendium of fossil marine animal genera http://strata.ummp.l[...] 2008-01-08
[2] FishBase
[3] Cof 2024-11-18
[4] 논문 Nuclear-DNA markers confirm the presence of two anchovy species in the Mediterrane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