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보는 1959년 김용과 심보신이 창간한 홍콩의 일간 신문이다. 무협 소설 연재와 중국 공산당 비판으로 시작했으며, 1991년 위핀하이가 인수했다. 1993년 기자 시양 사건을 계기로 홍콩 언론의 자율 규제가 진행되었고, 1995년 장샤오칭이 경영권을 취득했다. 2007년 미디어 중화 국제 유한 회사로 통합되며 세계적인 중국어 미디어 기업으로 성장했다. 편집 성향은 중립적이지만, 중국 정부에 대한 보도와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으며, 2014년 편집주간 피습 사건, 편집장 교체, 톈안먼 사건 기사 삭제, 편집주간 해고 등 여러 사건을 겪었다.
1959년 5월 20일 일간신문 발행을 시작했다. 무협소설로 유명한 김용(金庸, Jinyong)이 그의 친구 심보신(沈寶新, Shen Pao Sing)과 함께 신문사를 설립했다.[29] 김용은 무협 소설을 연재하는 동시에 사설도 집필했으며, 중국 대륙에서의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중국 공산당에 반대하는 태도를 분명히 하여 좌파 논객 및 중국계 좌파 신문과 지상에서 격렬한 논전을 벌였다.
明報중국어의 논조는 중립적이라고 평가받으며, 大公報중국어나 文匯報중국어 등 중국 정부·공산당에 가까운 좌파 신문에 비해 진보적이며, 蘋果日報중국어 등과 비교하면 다소 보수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중국에 대한 비판적인 논조는 잘 보이지 않게 되었지만, 2017년 12월 26일 지면에서는 육사 천안문 사건을 다루는 등 일방적인 자세는 아니다.
1993년 5월, 캐나다 토론토 지사를 설립하여 명보 동부판/明報(加東版)중국어을 발행하였고, 같은 해 10월에는 밴쿠버 지사를 설립하여 명보 서부판/明報(加西版)중국어을 발행했다.[9] 1997년 4월에는 뉴욕 지사를 설립하고 명보 미국 동부 해안판/明報(美東版)중국어을 발행하기 시작했다.[9] 2004년 4월에는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에서 발행을 시작했다.[9]
2. 역사
김용의 사장 은퇴로 인해, 1991년 위핀하이가 루퍼트 머독과의 경쟁에서 승리하여 명보를 인수했다. 1993년에는 『명보』 기자 시양이 중국의 국가 기밀을 누설했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3년 이상 수감되었다. 이 시양 사건을 계기로 홍콩 언론의 중국 보도에 대한 자율 규제가 진행되었다. 1995년 말레이시아 화교 장샤오칭이 경영권을 취득했다. 「명보 기업」은 장샤오칭이 소유한 말레이시아의 『싱저우르바오』, 『난양상바오』 2개 신문의 경영 모체 2사를 2007년에 인수했고, 이듬해 3사를 통합하여 세계 화문 매체가 발족하면서 세계 유수의 중국어 미디어 기업이 되었다.
2015년 12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를 인수한 중국 최대의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이 홍콩의 유력매체 명보(明報) 인수 협상을 벌이고 있다는 소문이 있었다.[29]
2. 1. 창간과 초기
1959년 5월 20일, 무협소설로 유명한 김용(金庸, Jinyong)과 그의 친구 심보신(沈寶新, Shen Pao Sing)이 일간신문 ''명보''(Ming Pao)를 창간했다.[29] 김용은 자신의 무협소설을 연재하는 동시에 사설을 통해 중국 대륙의 문화 대혁명 시기 중국 공산당을 강하게 비판하며 좌파 논객 및 중국계 좌파 신문과 지상 논전을 벌였다. 1997년 영국이 중화인민공화국에 홍콩을 반환하기 전, ''명보''는 중국 정부에 적대적인 것으로 여겨졌다.[29]
2. 2. 소유권 변동
1991년 위핀하이가 루퍼트 머독과의 경쟁에서 승리하여 명보를 인수했다.[7] 1993년에는 『명보』 기자 시양이 중국의 국가 기밀을 누설했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3년 이상 수감되었다.[7] 이 사건을 계기로 홍콩 언론의 중국 보도에 대한 자율 규제가 진행되었다. 1995년 10월, 명보의 발행사인 명보 기업은 장샤오칭(Tiong Hiew King)에게 인수되었다.[7]
2007년 1월 29일, 장샤오칭은 싱 추 미디어 공사 유한 회사(말레이시아), 난양 언론 지주 회사(말레이시아), 명보 기업 유한 회사(홍콩) 등 3개 미디어 그룹을 합병하는 제안을 발표했다.[7] 합병된 그룹은 미디어 중화 국제 유한 회사(Media Chinese International Limited)로 명명되었으며,[7] 2008년 4월 홍콩 증권 거래소와 말레이시아 증권 거래소의 주요 게시판에 이중 상장되었다.[7]
2. 3. 중국 보도 관련 논란
1993년, 명보 기자 시양(席揚)이 중국의 국가 기밀을 누설했다는 혐의로 3년 이상 수감되었으며, 이 사건은 홍콩 언론의 중국 보도에 대한 자율 규제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6][12] 1997년 홍콩 반환 이전, 명보는 중국 정부에 적대적인 것으로 여겨졌으나, 반환 이후 중국 정부에 우호적인 태도로 바뀌었다는 비판을 받았다.[12]
2001년 제임스타운 재단 보고서는 명보를 중국 정부의 직간접적인 통제를 받는 미국 내 4대 중국 신문 중 하나로 언급했다.[11] 보고서에는 "명보 뉴욕 지사 직원들은 '진짜 상사'가 다름 아닌 중국 영사관이며, 영사관의 요구를 무엇이든 따라야 한다고 소식통에게 말했다"는 내용이 있었다. 2006년 명보 사설 연구에서는 베이징에 대한 비판에 있어 자기 검열 경향이 나타났다고 지적했다.[6]
2015년 12월, 알리바바 그룹의 마윈 회장이 명보 인수 협상을 벌이고 있다는 소문이 있었다.[29]
3. 편집 성향 및 논조
선정적인 큰 제목을 사용하는 일은 적으며, 레이아웃·색채와 같은 디자인 면은 차분하다. 성인 관련 기사는 없으며, 중립적인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다. 홍콩의 초중등학교에서 구독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시장 경쟁의 영향으로 대중지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지금도 엄격한 이미지가 있다. 홍콩 시민들의 신뢰는 비교적 두터우며, 2010년 홍콩 중문 대학의 조사에 따르면, 현지 중국어 신문으로는 신뢰성 평가가 가장 높다(현지 신문 전체 1위는 영문 신문인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이다). 독자층에는 지식층이 많다고 여겨진다.
4. 해외 지사
2007년에는 《뉴욕 무료 신문》()을 발행했다.[9] 2009년 1월 31일 《명보 뉴욕》과 2월 14일 《명보 샌프란시스코》는 운영을 중단했다.[10] 이후 《명보 뉴욕》과 《뉴욕 무료 신문》을 통합하여 《명보 데일리 프리 뉴스 (뉴욕)》()을 창간했다.
4. 1. 케빈 라우 전 편집주간 피습 사건 (2014)
2014년 1월까지 명보의 주필이었던 케빈 라우(, Kevin Lau/劉進圖중국어)는 2014년 2월 26일 오전 홍콩 사이완호에서 표적 칼부림 공격을 받아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13][14] 이 공격은 정치적 동기에 의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가 중국 공산당 지도자들의 역외 자산에 대해 조사하는 과정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널리 추측되었다. 여기에는 중국 공산당 총서기 시진핑, 전 총리 원자바오 및 여러 전국인민대표대회 의원들의 친척이 포함되었다.[13][14] 전 세계 언론인들은 이 공격을 언론의 자유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했다. 주요 언론인들을 중심으로 수천 명의 사람들이 모여 언론에 대한 폭력과 협박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었다.[15]
두 용의자의 법정 심리 과정에서 한 명은 이 공격으로 10만 달러의 보상을 받으려 했다고 진술했다.[16]
4. 2. 편집장 교체 논란 (2014)
2014년, 중국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정천상(Chong Tien Siong)이 새로운 편집장으로 임명되면서 내부 반발과 편집 독립성 침해 논란이 발생했다.[17]
4. 3. 톈안먼 사건 기사 삭제 논란 (2015)
2015년, 편집장 쭝티엔시옹이 1989년 톈안먼 민주화 운동 및 학살 사건에 대한 기사를 중국 인터넷 대기업 알리바바를 "젊은 예비 사업가들의 롤모델"로 묘사한 기사로 교체하도록 지시한 후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18] 철회된 기사에는 시민 학살의 목격자 증언과 캐나다 외교 전보 내용을 포함한 학살 사건의 역사에 대한 세부 정보가 담겨 있었다.[18] 톈안먼 사건 기사 철회는 일부 비판을 받았으며, 시민당 의원 모소초는 쭝이 "대중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고 정보 접근 권한을 보호하는 대신 베이징을 난처한 상황에서 보호하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18]
홍콩 기자 협회 대변인 셤이런은 쭝에게 자신의 직원들과 "소통"할 것을 촉구했다.[18]
4. 4. 켕 궉위엔 편집주간 해고 (2016)
2016년 4월 20일, 파나마 페이퍼스 관련 보도가 나간 당일, 켕 궉위엔(강국원/姜國元중국어) 편집주간이 갑작스럽게 해고되었다.[20][19] 경영진은 신문 매출 감소와 어려운 운영 환경을 이유로 들었으나,[20][19] 해고 시점이 파나마 페이퍼스 보도와 일치하여 보복성 해고라는 의혹이 제기되었다.[20]
켕은 이전에 중국 본토에서 상영 금지된 홍콩 디스토피아 영화 ''10년''에 대해 기고한 적이 있었다.[20] 직원들과 노조는 편집장이자 총괄 책임자인 충 티엔 시옹의 결정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난하며, 비용 절감이라는 명분을 의심했다.[20] ''명보'' 기자들은 언론계 전반의 우려를 드러냈으며, 일부는 해고 다음 일요일 판에 백지 기사를 게재하여 항의했다.[21][22]
4. 5. 2019년 홍콩 시위 관련 사설 논란
2019년 6월 13일과 14일, 《명보》는 2019-2020년 홍콩 시위를 폭동(폭동/暴動중국어)으로 규정하고, 시위대의 폭력을 비난하는 사설을 게재했다.[23][24] 그러나 6월 14일, 발행사의 웹 포털인 mingpao.com의 즉시 뉴스 섹션은 해당 사설이 신문을 대표하지만, 발행사의 최전선 직원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라는 성명을 발표했다.[25] 사설 번역가는 이에 항의하여 해당 기사를 영어로 번역하는 것을 거부했으며, 앞으로의 모든 사설 번역도 거부했다.[26]
2019년 6월 17일, 《명보》는 일부 직원이 6월 13일 사설이 기득권에 편향되어 신문의 명성을 훼손한다고 비판하는 공개 서한을 게재했다.[27]
참조
[1]
웹사이트
Public Evaluation on Media Credibility
https://ccpos.com.cu[...]
2023-01-21
[2]
웹사이트
Citizens' Evaluation of Media Credibility in Recent Years
https://web.archive.[...]
2023-04-30
[3]
웹사이트
Journalists Receive 1996 Press Freedom Awards
https://web.archive.[...]
Committee to Protect Journalists
[4]
뉴스
Ming Pao Has Already Pushed The Dissidents Off Page One
https://www.wsj.com/[...]
1997-04-21
[5]
웹사이트
Hong Kong Newspaper Softens Its Voice
https://cpj.org/repo[...]
1997-04-22
[6]
논문
Newspaper editorial discourse and the politics of self-censorship in Hong Kong
2006-01-01
[7]
웹사이트
Ten websites honoured for providing healthy contents
http://www.info.gov.[...]
[8]
웹사이트
Ming Pao Canada Website
http://www.mingpaoca[...]
[9]
웹사이트
SAN FRANCISCO / Newspaper war in the Bay Area / Ming Pao becomes 6th Chinese-language daily
http://sfgate.com/cg[...]
2004-08-03
[10]
웹사이트
Plan to Close Chinese-Language Paper Deepens a Shadow Over the Ethnic Press
https://www.nytimes.[...]
2009-01-22
[11]
웹사이트
How China's Government is Attempting to Control Chinese Media in America
http://www.jamestown[...]
Jamestown Foundation
2001-01-01
[12]
웹사이트
The Long Shadow of Chinese Censorship: How the Communist Party's Media Restrictions Affect News Outlets Around the World
http://cima.ned.org/[...]
Center for International Media Assistancee
2013-10-22
[13]
뉴스
Hong Kong: Former editor Kevin Lau Chun-to stabbed in triad-style hit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4-02-28
[14]
뉴스
Hong Kong Editor Whose Ouster Stirred Protests Is Slashed
http://sinosphere.bl[...]
The New York Times
2014-02-25
[15]
뉴스
Pressing the point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14-03-03
[16]
웹사이트
Knifemen offered HK$100,000 each to attack former Ming Pao chief editor Kevin Lau, court hears
https://www.scmp.com[...]
2015-07-23
[17]
웹사이트
Controversial new boss Chong Tien Siong may join Ming Pao in 2 weeks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4-01-21
[18]
웹사이트
Removal of Tiananmen Crackdown Story Prompts Questions in Hong Kong
http://www.rfa.org/e[...]
[19]
뉴스
Hong Kong journalists' shock at Ming Pao editor's sacking
https://www.bbc.com/[...]
2016-04-21
[20]
웹사이트
HK freedoms under spotlight as Ming Pao sacks editor
http://asia.nikkei.c[...]
2016-04-21
[21]
웹사이트
Columnists continue Ming Pao protest
http://www.thestanda[...]
2016-04-25
[22]
웹사이트
Hong Kong daily Ming Pao runs blank columns in protest at sacking of top editor
http://www.scmp.com/[...]
2016-04-24
[23]
editorial
https://news.mingpao[...]
Media Chinese International
2019-06-13
[24]
editorial
https://news.mingpao[...]
Media Chinese International
2019-06-14
[25]
뉴스
https://news.mingpao[...]
Media Chinese International
2019-06-14
[26]
뉴스
https://thestandnews[...]
2019-06-13
[27]
editorial
https://news.mingpao[...]
Media Chinese International
2019-06-17
[28]
서적
岩波現代中国事典
[29]
뉴스
'미디어 거물' 꿈꾸는 마윈, 홍콩SCMP 인수이어 명보 인수설
연합뉴스
2015-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