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닝구무스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닝구무스메는 1997년 일본의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결성된 여성 아이돌 그룹이다. 층쿠♂가 프로듀싱을 맡아 팝, 댄스, 록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보였으며, 멤버의 가입과 졸업을 반복하는 독특한 시스템을 통해 아이돌 그룹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러브 머신", "해피 서머 웨딩" 등 다수의 히트곡을 발표하며 일본 내에서 높은 인기를 누렸고, 2000년대 이후에는 아시아, 특히 한국에서도 팬덤을 형성하여 해외 활동을 펼쳤다. 멤버 교체 시스템, 유닛 활동, 층쿠♂의 프로듀싱, 사회적 영향력 등을 통해 일본 아이돌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닝구무스메 - 피베리
피베리는 헬로! 프로젝트의 "SATOYAMA movement" 프로젝트로 결성된 와다 아야카와 사야시 리호의 2인조 유닛으로, '두 사람이 하나가 되어 완성된다'는 의미를 가진 피베리라는 커피콩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싱글 발매 후 멤버 졸업으로 활동이 중단되었다. - 모닝구무스메 - 요코야마 레이나
일본 여성 아이돌 가수이자 배우인 요코야마 레이나는 모닝구무스메 13기 멤버로, 2016년 오디션 합격 후 라디오 진행, 사진집 발매, 방송 및 무대 출연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팬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 일본의 댄스 음악 그룹 - SMAP
SMAP은 1988년 쟈니즈 사무소에서 결성되어 1991년 데뷔한 5인조 아이돌 그룹으로, 가수 활동은 물론 드라마와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며 일본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고 "세상에 하나뿐인 꽃" 등 다수의 밀리언 셀러 곡을 발표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2016년 해산했다. - 일본의 댄스 음악 그룹 - Kis-My-Ft2
Kis-My-Ft2는 2005년 7월 결성된 쟈니즈 사무소 소속 7인조 아이돌 그룹으로, 멤버 이니셜을 딴 그룹명과 멤버별 고유 컬러, 싱글 및 앨범 발매, 콘서트, 버라이어티 쇼 등으로 활동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멤버 졸업 및 탈퇴, 그룹 내부 불균형 대우 문제 등의 변화와 갈등을 겪었다. - 1997년 결성된 음악 그룹 - S.E.S.
S.E.S.는 SM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바다, 유진, 슈 세 멤버로 구성된 1997년 데뷔한 3인조 걸그룹으로, 뛰어난 가창력과 히트곡으로 1세대 아이돌로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해체 후 20주년 기념 재결합 앨범 발매 및 콘서트 개최, 후배 걸그룹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한국 걸그룹 역사에 중요한 획을 그은 그룹으로 평가받는다. - 1997년 결성된 음악 그룹 - 베이비복스
베이비복스는 1997년 데뷔하여 'Ya Ya Ya'의 히트와 윤은혜 합류 후 2000년대 초반까지 아시아에서 큰 인기를 누렸으나, 2006년 해체 후 멤버들은 각자 활동하며 섹시 콘셉트로 걸그룹 역사에 영향을 미쳤다.
모닝구무스메 | |
---|---|
기본 정보 | |
그룹명 | 모닝구무스메 '24 |
원어명 | 모닝구무스메. |
로마자 표기 | Mōningu Musume. |
별칭 | 모무스 |
결성일 | 1997년 |
활동 장르 | 제이팝 |
소속 레이블 | 제티마 |
소속사 | 업프런트 프로모션 |
웹사이트 | 헬로! 프로젝트 공식 사이트 모닝구무스메 오피셜 팬클럽 페이지 |
스핀오프 그룹 | 탄포포 쁘띠모니 미니모니 모닝구무스메 사쿠라구미 모닝구무스메 오토메구미 모닝구무스메 탄죠 10넨 키넨타이 W 에코모니 드림 모닝구무스메 |
현재 멤버 | |
리더 | 이쿠타 에리나 |
서브리더 | 오다 사쿠라 |
멤버 | 노나카 미키 마키노 마리아 하가 아카네 요코야마 레이나 키타가와 리오 오카무라 호마레 야마자키 메이 사쿠라이 리오 이노우에 하루카 유미게타 아코 |
이전 멤버 | |
이전 멤버 | 후쿠다 아스카 이시구로 아야 이치이 사야카 나카자와 유코 고토 마키 야스다 케이 아베 나츠미 쯔지 노조미 카고 아이 이이다 카오리 야구치 마리 이시카와 리카 콘노 아사미 오가와 마코토 요시자와 히토미 후지모토 미키 쿠스미 코하루 후지와라 에리 쥰쥰 링링 다카하시 아이 니이가키 리사 미츠이 아이카 다나카 레이나 미치시게 사유미 사야시 리호 스즈키 카논 쿠도 하루카 오가타 하루나 이이쿠보 하루나 사토 마사키 모리토 치사키 카가 카에데 후쿠무라 미즈키 이시다 아유미 |
음반 정보 | |
레이블 | URANEBA RECORD (1997년) ONE UP MUSIC (1998년) zetima (1998년 4월 ~) UP-FRONT WORKS (2017년 11월 ~) |
음반 설명 | 회장 선행 발매반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및 DVD 매거진, 배급 한정 작품, 아날로그 레코드 한정. |
관련 정보 | |
관련 문서 | 모닝구무스메의 역사 작품・출연 목록 영상 작품 목록 추가 멤버 오디션 |
이미지 | |
![]() | |
![]() |
2. 결성 및 데뷔
1997년 9월, 텔레비 도쿄의 『ASAYAN』에서 진행한 “샤난큐 록 보컬리스트 오디션” 탈락자 5명으로 결성되었다. 사랑의 씨앗을 5일 만에 5만 장 판매하는 조건을 달성하여 이듬해인 1998년 1월에 메이저 데뷔를 했다[143].
약칭은 “'''모무스'''”(モー娘。)이다. 멤버나 OG들은 “'''모닝'''” 또는 “'''무스메'''”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정식 명칭은 2014년 1월 1일부터 “모닝구무스메.'○○”으로 하며, 매년 1월 1일에 명칭이 바뀐다(예: 2025년은 ‘모닝구무스메.'25’). 읽는 방법은 “모닝구무스메”에 이어 서기의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를 각각 영어 읽기로 한다(예: ‘모닝구무스메.'25’라면 “모닝구무스메 투 파이브”[144]).
츠쿠다 츠쿠루(샤난큐)가 거의 모든 곡의 작사·작곡을 담당했다. 1998년 1월 메이저 데뷔 이후 발매한 모든 싱글 작품이 오리콘 차트의 주간 CD 판매 순위 톱 10에 들었고, 3작품을 제외한 모든 작품이 톱 5에 진입했다. 과거 NHK 홍백가합전에 10년 연속 출연하는 등, 그룹 발족부터 현재까지 20년 이상 활동하고 있다[146]. 또한 일본 국외에도 팬이 존재하며, 해외 라이브 및 이벤트도 개최한다[147][148].
일본 최초로 신진대사·세대 교체 방식(기존 멤버 “졸업”·신규 멤버 가입·오디션을 실시한 각 회차를 “기”라고 부른다)을 도입하여 성공한 아이돌 그룹이다[149].
2. 1. ASAYAN 오디션과 그룹 결성
1997년, TV 도쿄의 오디션 프로그램 ASAYAN에서 “샤란Q 여성 록 보컬리스트 오디션” 낙선자 5명 (나카자와 유코, 이이다 카오리, 아베 나츠미, 후쿠다 아스카, 이시구로 아야)으로 결성되었다.[2] 프로듀서 쓰쿠다가 그룹명을 '모닝구무스메'로 제안했다. 그룹명은 '여러 가지가 함께 제공되어 만족감을 주는' 모닝 세트에서 유래했다. 이들은 인디즈 싱글 사랑의 씨앗 5만 장 판매 미션을 성공한 후,[2] 1998년 모닝커피로 메이저 데뷔하였다.[5]모닝구무스메。의 결성일에 대해서는 공식 자료와 매스미디어 보도 등에서 다른 날짜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모닝구무스메。의 결성일'로 해석할 수 있는 날이 여럿이기 때문이다. '모닝구무스메。의 결성일'로 해석될 수 있는 날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1997년 8월 20일 | 그룹 결성에 대해 실제로 멤버들에게 의사 확인을 한 날. 『모닝구무스메。5+3-1』(다카라지마사)에서는 이때를 "모닝구무스메。탄생의 순간"이라고 하였다. |
1997년 9월 7일 | 그룹 결성이 발표된 날 (8월 20일 녹화분의 ASAYAN 방송일). 공식 사이트와 공식 자료에서는 이날을 모닝구무스메。의 결성일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
1997년 9월 8일 | 프로듀서 층쿠♂가 모닝구무스메를 발안한 날 (。은 아직 붙지 않았다.). |
1997년 9월 14일 | 모닝구무스메。라는 그룹명이 결정되었다는 것이 공표된 날 (ASAYAN 방송일).[204] |
1997년 11월 3일 | 5만 장 직접 판매 첫 날 (인디즈 데뷔일). |
1997년 11월 30일 | 5만 장 직접 판매를 달성하여 메이저 데뷔가 결정된 날. 『모닝구무스메。×층쿠♂』(소니 매거진즈)에서는 결성시의 멤버 재적 기간을 이날부터 세고 있다. |
1998년 1월 28일 | 메이저 데뷔일. |
층쿠♂는 모닝구무스메。탄생 10년 기념대에 대한 코멘트에서 "모닝구무스메。는 1997년 9월 8일에 후지테레비의 어느 대기실에서 내가 명명할 때에 혼이 들어갔다"라는 부분과 "2007년 11월 3일이 10살 생일"(즉 결성일은 1997년 11월 3일)이라는 부분이 있다.[205]
이 외에도 CD 판매 관련 사이트와 자료, 매스미디어 등에서는 인디즈 데뷔일을 모닝구무스메。가 시작된 날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2. 2. 그룹명의 유래와 특징
"모닝구무스메。"라는 그룹명은 층쿠♂ 프로듀서가 "모닝 세트처럼 여러 가지가 곁들여져 풍성하고, 득이 되는 느낌을 주는 유닛"이라는 의미를 담아 지었다.[219]그룹명 후보로는 다음과 같은 이름들이 있었다.
후보명 | 의미 |
---|---|
87 | 5명 멤버 전원의 나이를 더한 숫자 |
도도부현(都道府県) | 멤버들의 출신지인 도쿄도(후쿠다), 홋카이도(이시구로, 이이다, 아베), 교토부(나카자와)의 도도부현을 딴 이름 |
타코야키 시스터즈 | 친근한 느낌을 주기 위한 이름 |
뷔페 | 가벼운 이미지를 주기 위한 이름 (뷔페의 영어식 표현) |
모닝 | 뷔페를 더 가볍게 표현한 것 |
모닝 서비스 | 층쿠♂의 톡톡 튀는 발상에서 나온 이름 |
2001년 4월, 초대 리더 나카자와 유코가 솔로 활동 전념 및 체력적 부담을 이유로 탈퇴했다.[19] 이에 따라 이이다 카오리와 야스다 케이가 공동 리더를 맡게 되었고, 이시카와 리카는 컨트리 무스메에 임대되어 활동했다.
처음 층쿠♂가 이름을 지을 때는 마침표(。)가 없었다. 그러나 1997년 9월 14일 텔레비 도쿄의 『ASAYAN』 방송에서 그룹명을 발표할 때, 무대 화면에 "모닝구무스메。"라고 표시되었다. 이는 프로그램에서 화면 자막 끝에 마침표(。)를 붙이는 관례 때문이었다. 이에 대해 진행자였던 나인티나인의 오카무라 타카시가 "'모닝구무스메' 뒤에 '。'는 필요한 건가요?"라고 묻자, 파트너인 야베 히로유키가 "제 의견으로 해도 될까요?"라고 스태프에게 확인한 후, "'。'는 필요합니다!"라고 결정하여 마침표(。)가 붙은 것이 공식 표기가 되었다.[220]
심볼 마크도 이중 소문자 'm'에 마침표(。)가 붙은 형태이며, 상표 등록된 영어 공식 명칭도 "Morning Musume。"로 마침표(。)가 붙어 있다.
모닝구무스메。와 헬로! 프로젝트 관련 그룹명, 유닛명, 프로그램명 등에도 '。'가 붙은 경우가 많다. (예: 컨트리무스메。, 코코넛무스메。, 미니모니。, 에코모니。, 헬로! 모닝。, '모。타이헨데시타', '에어모니。', '모닝구캅。', '에돗코。츄신구라' 등).
단어에 구두점을 포함하는 것이 모닝구무스메。가 처음은 아니지만, 언론에 자주 보도되면서 일본어의 틀어짐, 혹은 그것을 확산시킨 계기로 언급되기도 한다. 실제로는 쿠사노 신페이가 『가마우지와 개구리』(교육출판 교과서에도 실린 시)에서 문장 끝이 아닌 곳에 마침표(。)를 사용한 사례가 있으며, 연예인 중에는 후지오카 히로시,, 호시얀。, 킨타로。 등이 있다.
결성 초기부터 멤버들은 그룹 이름을 "모닝구" 또는 "무스메"라고 줄여 불렀다. 1998년경부터 라디오 협찬 광고 등 글자 수 제한이 있는 곳에서 "모무스。(モー娘。)"라는 약칭이 사용되기 시작했고, 2000년 영화 "핀치러너"의 캐치프레이즈 "모무스。, 달린다!"[221]처럼 공식적으로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2001년 업프런트 그룹이 "모무스。(モー娘。)"를 일본에서 상표등록(제4555530호[222])했으나, 2012년 3월 권리가 소멸되었다. 참고로 등록 명칭은 "모무스메"이다. 2003년경에는 멤버들 사이에서 "모무스。(モー娘。)"라고 줄여 부르는 것을 자제하라는 지도가 있었다.[223] 팬들 사이에서도 잘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있다.[224]
3. 멤버 변천사
같은 해 7월 발매된 싱글 평화!(The Peace!)는 콜 앤드 레스폰스가 특징적인 곡이다.[19] ''가디언''지는 이 곡의 홍보 영상이 공중화장실을 배경으로 촬영된 점을 언급하며, 이는 멤버들의 몰래카메라 영상 유출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20]
2001년 1월에는 베스트 앨범 ''베스트! 모닝구무스메 1(Best! Morning Musume 1)''이 발매되어 22.5억엔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했다.[21]
같은 해 말, "러브 오디션 21"을 통해 다카하시 아이, 콘노 아사미, 오가와 마코토, 니이가키 리사가 5기 멤버로 합류하며 총 13인 체제가 되었다. 이들의 데뷔 싱글 미스터 문라이트: 아이노 빅 밴드(Mr. Moonlight: Ai no Big Band)는 빅 밴드 스타일의 곡으로, 요시자와 히토미가 메인 보컬을 맡았다.[22]
3. 1. 멤버 구성의 특징
모닝구무스메。의 가장 큰 특징은 멤버들이 가입과 졸업(탈퇴)을 반복한다는 점이다. 이는 결성 당시 다른 여성 음악 그룹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었다.[193][194] 이러한 멤버 교체 시스템은 메누도를 참고한 것이다.[212][213][214][215]
모닝구무스메。는 멤버 구성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징을 보인다.
멤버의 가입과 졸업(탈퇴)은 여러가지 해석이 가능한 날들이 존재한다.
해석 가능한 날 | 설명 |
---|---|
실제로 결정된 날 | 멤버 가입 및 졸업이 실제로 결정된 날 |
본인에게 전달된 날 | 멤버 가입 및 졸업이 본인에게 전달된 날 |
공표된 날 | 멤버 가입 및 졸업이 외부에 공표된 날(합격이 발표된 방송의 방영일) |
처음으로 합류한 콘서트 등의 날 | 멤버 가입의 경우 처음으로 합류한 콘서트 등의 날 |
처음으로 참가한 CD 발매일 | 멤버 가입의 경우 처음으로 참가한 CD 발매일 |
3. 2. 역대 리더 및 서브리더
역대 | 이름 | 기간 |
---|---|---|
초대 | 나카자와 유코 | 1998년 1월 28일 ~ 2001년 4월 15일 |
2대 | 이이다 카오리 | 2001년 4월 16일 ~ 2005년 1월 30일 |
3대 | 야구치 마리 | 2005년 1월 31일 ~ 2005년 4월 14일 |
4대 | 요시자와 히토미 | 2005년 4월 15일 ~ 2007년 5월 6일 |
5대 | 후지모토 미키 | 2007년 5월 7일 ~ 2007년 6월 1일 |
6대 | 다카하시 아이 | 2007년 6월 2일 ~ 2011년 9월 30일 |
7대 | 니이가키 리사 | 2011년 10월 1일 ~ 2012년 5월 18일 |
8대 | 미치시게 사유미 | 2012년 5월 19일 ~ 2014년 11월 26일 |
9대 | 후쿠무라 미즈키 | 2014년 11월 27일 ~ 2023년 11월 29일 |
10대 | 이쿠타 에리나 | 2023년 11월 30일 ~ |
2001년 4월 16일 이이다 카오리가 제2대 리더로 임명되면서 서브리더 제도가 만들어졌다. 초대 서브리더는 야스다 케이였다. 야스다 케이부터 니이가키 리사까지는 서브리더가 한 명이었지만, 7대, 8대, 9대, 10대 리더 체제에서는 서브리더가 두 명이 되었다.
역대 | 이름 | 기간 |
---|---|---|
초대 | 야스다 케이 | 2001년 4월 16일 ~ 2003년 5월 5일 |
2대 | 야구치 마리 | 2003년 5월 6일 ~ 2005년 1월 30일 |
3대 | 요시자와 히토미 | 2005년 1월 31일 ~ 2005년 4월 14일 |
4대 | 후지모토 미키 | 2005년 4월 15일 ~ 2007년 5월 6일 |
5대 | 다카하시 아이 | 2007년 5월 7일 ~ 2007년 6월 1일 |
6대 | 니이가키 리사 | 2007년 6월 2일 ~ 2011년 9월 30일 |
7대 | 후쿠무라 미즈키, 이이쿠보 하루나 | 2013년 5월 21일 ~ 2014년 11월 26일 |
8대 | 이쿠타 에리나, 이이쿠보 하루나 | 2014년 11월 27일 ~ 2018년 12월 16일 |
9대 | 이쿠타 에리나, 이시다 아유미 | 2018년 12월 31일 ~ 2023년 11월 29일 |
10대 | 이시다 아유미, 오다 사쿠라 | 2023년 11월 30일 ~ 2024년 12월 6일 |
11대 | 오다 사쿠라 | 2024년 12월 7일 ~ |
야구치 마리와 후지모토 미키의 서브리더 취임일은 전임자가 퇴임한 다음 날로 되어 있지만, 야스다 케이, 요시자와 히토미, 다카하시 아이와 달리 취임 시점에서 발표되지 않고 시간이 흐른 뒤 텔레비전 방송에서 알려졌다. 야구치 마리는 "하로모니."(2003년 8월 3일 방송분), 후지모토 미키는 "음악전사 MUSIC FIGHTER"(2005년 7월 15일 방송분)에서 서브리더임을 밝혔다. 따라서 정확한 취임일은 알 수 없으며, 공석 기간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서브리더 제도가 왜 만들어졌는지는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다. 처음에는 나카자와 유코의 졸업으로 이이다 카오리의 리더십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만들어졌다고 추측되었다. 그러나 2001년 3월 7일 나카자와 유코 졸업 발표 당시에는 이이다 카오리, 아베 나츠미, 야스다 케이, 야구치 마리의 집단 지도 체제가 될 것이라는 발표도 있었다. 이이다 카오리의 리더 취임이 나카자와 유코 졸업 직후인 4월 16일 기자 회견에서 발표되었고, 초기 멤버인 아베 나츠미가 서브리더가 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멤버 중 최연장자인 야스다 케이를 위한 '명예직'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있다. 야구치 마리 이후로는 사실상 '서브리더 = 차기 리더(후보)'가 되었다.
야스다 케이 취임 이전 (나카자와 유코 리더 시절)에는 서브리더라는 직책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다. 이시구로 아야가 나카자와 유코 다음으로 연장자였지만, 서브리더라는 발표는 없었다.
니이가키 리사 리더 취임 이후에는 서브리더가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고, 니이가키 리사 졸업 때까지 서브리더 없이 니이가키 리사 단독 리더 체제로 운영되었다. 니이가키 리사 졸업 후 미치시게 사유미가 리더를 계승했지만, 미치시게 사유미 리더 체제에서도 서브리더는 공석이었다. 2013년 5월 21일, 서브리더 제도가 다시 부활하여 후쿠무라 미즈키와 이이쿠보 하루나가 역사상 처음으로 두 명의 서브리더가 되었다. 8대와 9대 리더 체제에서도 서브리더가 두 명이었다.
3. 3. 현 멤버 (2024년)
(가입기)에리
이쿠타
(9기)
사쿠라
오다사쿠
사쿠라쿄
(11기)
전 해로프로 연구생
노나짱
노나에몬
(12기)
하가짱
네친
친
요코얀
(13기)
(15기)
호마탄
판다씨
리짱
(16기)
(17기)
아코짱[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