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스크바 공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스크바의 소리는 1990년 설립된 러시아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소련 붕괴 시도 당시 국가 비상 사태 위원회에 반대하며 언론의 자유를 옹호했다. 2001년 가스프롬 미디어에 인수되었으나, 편집장 알렉세이 베네딕토프는 편집권 독립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보도와 관련하여 러시아 검찰총장의 접근 제한 요청으로 폐쇄되었으며, 이후 직원들은 유튜브 채널과 인터넷 미디어를 통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라디오 방송국 - 러시아의 소리
    러시아의 소리는 1922년 모스크바에서 개국한 러시아의 대외 방송국으로, 냉전 시대에는 소련의 입장을 국제 사회에 알렸으나 2013년 해체되어 스푸트니크 뉴스로 대체되었다.
  • 러시아의 라디오 방송국 - 라디오 로시
    라디오 로시는 1990년 12월 10일 첫 방송을 시작한 러시아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러시아 전역과 일부 유럽에서 1100개 이상의 주파수로 방송되며, 국영 VGTRK의 일부로서 정보 및 가벼운 엔터테인먼트 방송을 제공한다.
  • 1990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한국교육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는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는 대한민국의 공영 교육 방송사로, 지상파 TV, 라디오, 케이블/위성/IPTV 채널을 운영하며 본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다.
  • 1990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가톨릭평화방송
    가톨릭평화방송은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설립하여 라디오와 TV 방송을 운영하며, 전국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cpbc+라는 OTT 서비스도 제공한다.
모스크바 공감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이름에호 모스크비
로마자 표기Ekho Moskvy
종류토크 라디오, 뉴스 방송, 정치 비평
언어러시아어
방송 시작1990년 8월 22일
방송 종료2022년 3월 1일
방송 구역러시아, 리가, 라트비아
웹사이트echo.moscow
오디오 스트림오디오 스트림
라이선스 기관로스콤나드조르
에호 모스크바 로고
에호 모스크바 로고
관련 인물
주요 인물알렉세이 베네딕토프(편집장)
기타 정보
대체 채널살아있는 카네이션

2. 역사

모스크바의 소리( Э́хо Москвы́|에호 모스크비ru )는 러시아의 대표적인 독립 언론 중 하나였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정부의 압력으로 폐쇄되었다.

1990년 설립되어 1991년 소련 쿠데타 시도 당시 국가 비상 사태 위원회에 반대하는 보도로 명성을 얻었다. 당시 KGB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방송을 이어갔으며,[7][24] 이후 "사건에 대한 모든 중요한 관점을 제시한다"는 편집 원칙[8][25] 아래 비판적인 보도를 이어갔다. 방송 외에도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분석 기사를 제공했고, 러시아 내에서 신뢰받는 정보 출처로 여겨졌다.

2000년대 들어 국영 에너지 기업 가스프롬의 자회사인 가스프롬 미디어가 대주주가 되었으나,[10][27] 편집권 독립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그러나 2014년 우크라이나 관련 보도로 로스콤나드조르(러시아 연방 통신·정보기술·매스컴 감독청)로부터 경고를 받았고,[11] 2017년에는 주요 진행자 타티야나 펠겐가우어가 방송국 내에서 피습당하는 등[12][28] 정부의 압박으로 의심되는 사건들이 발생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 정부는 모스크바의 소리가 전쟁에 대한 "허위 정보"를 유포한다며 방송 및 웹사이트 접속을 차단했다.[14][30] 결국 2022년 3월 3일, 이사회는 방송국 폐쇄를 결정했고,[2][31] 방송 주파수는 국영 라디오 스푸트니크가 인수했다.[19][32] 폐쇄 이후, 전 편집장 알렉세이 베네딕토프와 다수의 전 직원들은 유튜브 채널 'Живой Гвоздь|지보이 그보즈디ru'(Zhivoi Gvozd)[3][33]와 인터넷 미디어 'Эхо|에호ru'[4][20] 등을 통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 1. 설립 초기

방송 중 스튜디오 내부 모습 (2007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왼쪽)가 2008년 방송사 텔레비전 스튜디오에서 알렉세이 베네딕토프(오른쪽)와 인터뷰하는 모습


모스크바의 소리는 1991년 소련 쿠데타 시도 당시에 큰 주목을 받았다. 이 방송국은 당시 쿠데타를 주도한 국가 비상 사태 위원회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낸 소수의 언론 매체 중 하나였다. 위원회가 내린 방송 중단 명령 제3호[6][23]는 방송국 기자들 사이에서 권위 있는 국가적 상징처럼 여겨진다. 편집장 알렉세이 베네딕토프에 따르면, KGB 소속 특수 부대인 알파 부대가 방송국의 송신 장비 접근을 여러 차례 차단하려 했으나, 직원들은 스튜디오와 송신기를 전화선으로 직접 연결하여 방송을 이어갔다.[7][24]

모스크바의 소리는 설립 초기부터 "사건에 대한 모든 중요한 관점을 제시해야 한다"는 원칙을 지켜왔다.[8][25] 이러한 편집 방침 때문에 기자들은 농담 삼아 방송국을 "모스크바의 귀"라고 부르기도 했다.

2. 2. 가스프롬 미디어 인수 이후



2018년 기준으로 가스프롬 미디어가 지분 66%를 소유한 대주주였으며, 편집장 알렉세이 베네딕토프가 18%, 나머지 16%는 다른 소액 주주들이 소유하고 있었다.[10]

가스프롬 미디어 산하에서도 모스크바의 소리는 사회 및 정치 문제를 다루는 뉴스 및 토크쇼를 중심으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려 노력했다. 알렉세이 베네딕토프는 1998년부터 편집장을 맡았다. 주요 진행자로는 율리야 라티니나(2014년 4월 기준 가장 인기 있는 진행자[9]), 빅토르 쉔데로비치, 세르게이 파르호멘코, 알렉산더 네브조로프, 예브게니야 알바츠, 블라디미르 카라-무르자, 블라디미르 리즈코프, 예브게니 야신, 소피 셰바르드나제 등이 활동했다.

그러나 방송 운영 과정에서 정부의 압박으로 보이는 사건들이 발생했다. 2014년 11월 1일, 방송국은 우크라이나 관련 프로그램에서 '전쟁 범죄를 정당화하는 정보'를 방송했다는 이유로 로스콤나드조르(Roskomnadzor, 러시아 연방 통신·정보기술·매스컴 감독청)로부터 공식 경고를 받았다.[11] 당시 규정상 1년 안에 로스콤나드조르로부터 두 번의 경고를 받으면 방송국이 폐쇄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11]

2017년 10월에는 한 남성이 방송국에 침입하여 경비원에게 최루 스프레이를 뿌리고 주요 진행자 중 한 명인 타티야나 펠겐가우어의 목을 칼로 찌르는 사건이 발생했다. 펠겐가우어는 생명이 위독했으나 시기적절한 치료 덕분에 회복했다. 방송국은 정보 소식통을 인용해 공격자가 이스라엘인이라고 밝혔으며,[12] 이후 법의학적 감정 결과 공격자는 편집성 조현병 진단을 받고 법원으로부터 강제 치료 명령을 받았다.[13]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정부의 압박은 더욱 거세졌다. 2022년 3월 1일, 러시아 검찰총장은 모스크바의 소리와 TV Rain이 우크라이나 침공 관련 '러시아 군인의 행동에 대한 의도적으로 허위 정보를 유포'하고 '극단주의 활동'과 '폭력'을 선동했다는 이유로 로스콤나드조르에 이들 매체에 대한 접근 제한을 요청했다.[14] 같은 날 저녁, 모스크바의 소리는 1991년 쿠데타 시도 이후 처음으로 방송 송출을 중단했다.[15][16] 다음 날 아침에는 유튜브가스프롬과의 연관성을 이유로 유럽 내 방송 채널을 차단했으나,[17] 3월 3일 베네딕토프는 채널 차단이 해제되었다고 밝혔다.[18] 그러나 같은 날 3월 3일, 모스크바의 소리 이사회는 결국 방송국 폐쇄를 결정했다.[2] 방송국의 라디오 주파수는 국영 라디오 스푸트니크가 인수했다.[19]

폐쇄 이후 베네딕토프와 다수 직원들은 기존 방송 형식을 잇는 유튜브 채널 ''Zhivoi Gvozd''를 개설했다.[3] 또한 2022년 9월에는 전 부편집장 막심 쿠르니코프(Maxim Kurnikov)를 중심으로 다수의 전 직원들이 "에코(Echo)"라는 이름의 인터넷 미디어를 출범시켰다.[4][20]

2. 3. 2022년 폐국

2022년 3월 1일, 러시아 검찰총장은 로스콤나드조르(러시아 연방 통신, 정보 기술 및 대중 매체 감독청)에 모스크바의 소리 및 TV Rain에 대한 접근 제한을 요청했다. 이는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 보도와 관련하여 "러시아 군인의 행동에 대한 의도적으로 허위 정보를 유포"하고 "극단주의 활동"과 "폭력"을 선동하는 정보를 유포했다는 이유에서였다.[14][30] 이러한 조치는 언론의 자유를 제약하는 행위로 비판받을 소지가 있다.

같은 날 저녁, 모스크바의 소리는 1991년 8월 쿠데타 이후 처음으로 방송 송출을 중단했다.[15][16] 다음 날 아침, 편집장 알렉세이 베네딕토프는 유튜브가 방송국이 가스프롬과 제휴되어 있다는 이유로 유럽 내 유일한 방송 채널을 차단했다고 밝혔다.[17] 그러나 3월 3일, 베네딕토프는 유튜브 채널이 다시 복구되었다고 보고했다.[18]

하지만 같은 날인 3월 3일, 방송국 이사회는 결국 방송국 폐쇄를 결정했다.[2][31] 베네딕토프 편집장은 SNS를 통해 방송 중단 소식을 전하며 불법 행위 주장을 부인했으나[30], 폐쇄 결정을 막지는 못했다. 모스크바의 소리가 사용하던 라디오 주파수 91.2 FM은 이후 국영 라디오 스푸트니크가 인수했다.[19][32]

폐국 이후, 베네딕토프와 다수의 전 직원들은 기존 모스크바의 소리 프로그램 형식을 이어가는 유튜브 채널 'Живой Гвоздь|지보이 그보즈디ru'(Zhivoi Gvozd)를 개설하여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3][33] 또한, 2022년 9월에는 전 부편집장 막심 쿠르니코프(Максим Владимирович Курниковru)를 중심으로 일부 전 직원들이 '에코'(Эхоru)라는 새로운 인터넷 미디어를 출범시켰다.[4][20]

3. 주요 프로그램 및 진행자



모스크바의 소리는 주로 사회 및 정치 문제를 다루는 뉴스와 토크쇼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했으며,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8] 알렉세이 베네딕토프는 1998년부터 방송국 편집장을 맡았다.

주요 라디오 진행자로는 빅토르 쉔데로비치, 율리야 라티니나, 세르게이 파르호멘코, 알렉산더 네브조로프, 예브게니야 알바츠, 블라디미르 카라-무르자, 블라디미르 리즈코프, 예브게니 야신, 소피 셰바르드나제 등이 활동했다. 2014년 4월 기준으로 율리야 라티니나는 방송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진행자였다.[9]

4. 논란 및 비판

모스크바의 소리는 비교적 자유로운 보도 태도를 유지하려 노력했으나, 이로 인해 여러 차례 정부 당국 및 외부 세력과 갈등을 겪으며 다양한 논란과 비판에 직면했다. 특히 가스프롬 미디어와 같은 국영 기업의 영향력 아래 놓인 소유 구조는 편집권 독립성에 대한 지속적인 의문을 제기했으며[10][21][22], 우크라이나 관련 보도 등으로 인해 로스콤나드조르로부터 경고를 받기도 했다.[11][36] 또한, 방송국 직원에 대한 물리적 공격 사건[12][28]이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보도 이후 정부의 직접적인 제재로 인한 방송 중단 및 폐쇄[14][2] 등 언론 탄압으로 해석될 수 있는 사건들도 발생했다. 이러한 논란들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진다.

4. 1. 편집권 독립성 논란

2018년 기준으로 가스프롬 미디어(Gazprom-Media)가 지분 66%를 소유한 대주주이며, 편집장 알렉세이 베네딕토프는 18%의 지분을 가진 가장 큰 소액 주주이고, 나머지 16%는 다른 소액 주주들이 소유하고 있다.[10]

여러 차례에 걸쳐 편집장 알렉세이 베네딕토프는 가스프롬의 지분 과반수 소유가 방송국의 편집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베네딕토프는 가스프롬을 포함한 주주들이 방송국의 정관을 준수하며, 정관에 따르면 편집장이 최종 결정권을 갖는다고 답했다. 그는 가스프롬 등이 자신들의 사업적 이익에 따라 특정 보도에 영향을 미치려 시도하지만, 편집 결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려 한 적은 없다고 언급했다.[21][22] 베네딕토프는 또한 재임 기간 동안 가스프롬의 보도 자료를 요청 시 방송하고, 회사에 대한 부정적인 기사를 내보내기 전에 항상 가스프롬의 입장을 묻는 것이 방송국 정책이 되었다고 언급했다.[22]

그러나 2014년 11월 1일, 방송국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프로그램에서 "전쟁 범죄를 정당화하는 정보"를 방송했다는 이유로 로스콤나드조르(통신 규제 당국)로부터 공식적인 경고를 받았다.[11][36] 라디오 방송국은 1년 안에 로스콤나드조르 경고를 두 번 받으면 폐쇄될 수 있어[11][36], 이러한 경고는 방송국 운영에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4. 2.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보도 관련 논란

2022년 3월 1일, 러시아 검찰총장은 로스콤나드조르(Roskomnadzor, 연방 통신·정보기술·매스컴 감독청)에 모스크바의 소리와 TV Rain의 인터넷 접속을 제한하도록 요청했다. 이는 이들 매체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 관련 보도에서 "러시아 군인의 행동에 대한 의도적으로 허위 정보를 유포"하고 "극단주의 활동"과 "폭력"을 선동하는 내용을 다루었다는 주장에 근거했다.[14][30] 특히, 방송국이 우크라이나에서의 군사 작전을 "침공" 또는 "전쟁"으로 표현했다는 이유로 통신정보기술감독청으로부터 관련 내용 삭제 지시를 받았다.[30]

같은 날 저녁, 모스크바의 소리는 1991년 소련 쿠데타 시도 이후 처음으로 방송 송출이 중단되었다.[15][16] 편집장 알렉세이 베네딕토프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방송 중단 소식을 전하며 당국의 조치가 불법적이라고 반박했다.[30] 그러나 3월 3일, 방송국 이사회는 결국 방송국 폐쇄 및 청산을 결정했다.[2][31] 모스크바의 소리가 사용하던 라디오 주파수(91.2 FM)는 이후 국영 라디오 스푸트니크에게 넘어갔다.[19][32]

한편, 방송 중단 직후 유튜브는 모스크바의 소리가 가스프롬과 연관되어 있다는 이유로 유럽 지역에서의 채널 접근을 일시적으로 차단했으나,[17] 3월 3일 차단이 해제되었다고 베네딕토프 편집장이 밝혔다.[18]

방송국 폐쇄 이후, 베네딕토프 편집장과 다수의 전 직원들은 기존 프로그램 형식을 이어가는 유튜브 채널 ''Живой Гвоздь|지보이 그보스트ru''(Zhivoi Gvozd)를 개설했다.[3] 또한 2022년 9월에는 전 부편집장 Максим Курников|막심 쿠르니코프ru(Maxim Kurnikov)가 이끄는 인터넷 미디어 "Эхо|에호ru"(Echoeng)가 출범하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4][20]

4. 3. 타티야나 펠겐가우어 피습 사건

2017년 10월, 한 괴한이 모스크바의 소리 방송국에 침입하여 경비원에게 최루 스프레이를 뿌린 후, 방송국의 주요 진행자 중 한 명인 타티야나 펠겐가우어의 목을 칼로 찌르는 사건이 발생했다.[12][28] 펠겐가우어는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부상을 입었지만, 신속한 의료 조치 덕분에 완전히 회복할 수 있었다. 방송국은 정보 소식통을 인용하여 공격자가 이스라엘인이라고 밝혔다.[12][28] 이후 법의학적 감정 결과, 공격자는 편집성 조현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법원은 강제적인 의료 치료를 선고했다.[13][29] 이 사건은 언론인에 대한 폭력적인 공격이 언론의 자유를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된다.

5. 한국과의 관계 및 한국적 관점



모스크바의 소리는 1991년 소련 쿠데타 시도 당시 국가 비상 사태 위원회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낸 소수의 언론 중 하나로서 주목받았다. 당시 위원회는 방송 중단을 명령(제3호 결정)했으나[6][23], 편집장 알렉세이 베네딕토프에 따르면 KGB 산하 알파 부대의 송신기 접근 차단 시도에도 불구하고 직원들이 전화선을 통해 송신기와 직접 연결하여 방송을 지속했다고 한다.[7][24] 이러한 저항 정신은 권력에 맞선 언론의 역할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방송국은 설립 초기부터 "사건에 대한 모든 중요한 관점을 제시한다"는 원칙을 지켜왔다.[8][25]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보도 이후, 모스크바의 소리는 중대한 위기에 직면했다. 2022년 3월 1일, 러시아 검찰총장은 방송국이 "러시아 군인의 행동에 대한 의도적으로 허위 정보를 유포"하고 "극단주의 활동"과 "폭력"을 선동했다는 이유로 로스콤나드조르에 방송 접근 제한을 요청했다.[14][30] 결국 모스크바의 소리는 1991년 쿠데타 시도 이후 처음으로 방송 송출이 중단되었고,[15][16] 3월 3일 이사회는 방송국 폐쇄를 최종 결정했다.[2][31] 방송국이 사용하던 라디오 주파수는 국영 매체인 라디오 스푸트니크에 넘어갔다.[19][32]

모스크바의 소리가 보여준 권력에 대한 저항과 이후의 폐국 과정은 언론 자유의 중요성과 권력 감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국가 권력에 의해 독립적인 목소리가 억압되는 과정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 과정 및 언론 탄압의 역사적 경험과 맞물려 언론의 역할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이는 언론이 권력 감시와 비판이라는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위험을 경고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폐국 이후, 베네딕토프와 다수 직원들은 유사한 형식의 유튜브 채널 ''Zhivoi Gvozd''를 개설했으며,[3] 일부 전 직원들은 별도의 인터넷 미디어 Эхо|에호ru를 출범시켰다.[4][20]

6. 주파수

wikitext

도시주파수
아바칸71.06 FM, 104.2 FM
바르나울69.11 FM
블라고베셴스크101.5 FM
부줄루크95.8 FM
첼랴빈스크70.70 FM, 73.97 FM, 99.5 FM
시카고 (미국)1330 AM
예카테린부르크67.46 FM, 91.4 FM
이젭스크105.3 FM
이르쿠츠크69.5 FM
카잔105.8 FM
크라스노야르스크106.6 FM
마하치칼라105.2 FM
미르니102.4 FM
모스크바91.2 FM
니즈네바르톱스크107.0 FM
니즈니노브고로드107.4 FM
오렌부르크101.3 FM
옴스크70.55 FM, 105.0 FM
펜자107.5 FM
페름91.2 FM
로스토프나도누69.44 FM
사마라99.1 FM
상트페테르부르크91.5 FM
사라토프, 엥겔스105.8 FM
톨리야티107.9 FM
톰스크105.0 FM
튜멘72.44 FM
트베리107.2 FM
우파91.1 FM
우흐타105.0 FM
블라디캅카스, 베슬란102.8 FM
볼고그라드101.1 FM
보로그다105.7 FM
야로슬라블106.5 FM
젤레노고르스크71.06 FM


참조

[1] 뉴스 Путин о финансируемой Газпромом радиостанции: Каждый второй имеет там иностранный паспорт https://vz.ru/news/2[...] Vzglyad 2021-10-13
[2] 뉴스 Echo of Moscow, a liberal Russian radio station, is shut dow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2-03-03
[3] 웹사이트 "Эхо Москвы" возродилось: теперь это "Живой гвоздь" https://moskvichmag.[...] 2022-03-11
[4] 웹사이트 Russia's liberal 'Echo of Moscow' radio returns, from Berlin https://news.yahoo.c[...] 2022-10-20
[5] 웹사이트 Эхо online - Apps on Google Play https://play.google.[...] 2022-10-20
[6]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N 3 https://www.kommersa[...] 1991-08-26
[7] Youtube Алексей Венедиктов о том, как отрубают от эфира. "Главная тема с Александром Жестковым" https://m.youtube.co[...] 2015-10-04
[8] 뉴스 "Эху Москвы" исполнилось 25 лет http://www.interfax.[...] Interfax.ru 2015-08-22
[9] 웹사이트 Топы http://www.echo.msk.[...] Echo of Moscow 2014-04-24
[10] 뉴스 Венедиктов покинул совет директоров "Эха Москвы". Оказалось, что Путин знал о радиостанции больше него https://www.bbc.co.u[...] BBC News Русская служба 2018-07-30
[11] 뉴스 Russia's Ekho Moskvy Hit With Official Warning http://www.rferl.org[...]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14-11-01
[12] 뉴스 Russia radio presenter stabbed in neck https://www.bbc.co.u[...] BBC News 2017-10-23
[13] 웹사이트 Напавшего на Фельгенгауэр отправили на принудительное лечение https://www.svoboda.[...] 2018-07-31
[14] 웹사이트 Russia Blocks 2 Independent Media Sites Over War Coverage https://www.themosco[...] 2022-03-01
[15] 웹사이트 Венедиктов сообщил, что "Эхо Москвы" отключено от эфира https://www.interfax[...] 2022-03-01
[16] 웹사이트 Генпрокуратура потребовала ограничить доступ к "Эху Москвы" и "Дождю" https://www.interfax[...] 2022-03-01
[17] 뉴스 Венедиктов: YouTube заблокировал "Эхо Москвы" в Европе https://www.newsru.c[...] NEWSru.co.il 2022-03-02
[18] 뉴스 YouTube-канал "Эхо Москвы" снова стал доступен в Европе https://echo.msk.ru/[...] Echo of Moscow 2022-03-03
[19] 웹사이트 Russia to Broadcast State-Run Sputnik Radio on Banned Liberal Station's Frequency https://www.themosco[...] 2022-03-09
[20] 웹사이트 ЭХО https://echofm.onlin[...] Radio Echo GmbH
[21] 팟캐스트 "" http://echo.msk.ru/a[...] Echo of Moscow 2008-03-03
[22] 뉴스 http://rg.ru/2008/02[...] Rossiyskaya Gazeta 2008-02-20
[23]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N 3 https://www.kommersa[...] 1991-08-26
[24] Youtube Алексей Венедиктов о том, как отрубают от эфира. "Главная тема с Александром Жестковым" https://m.youtube.co[...] 2015-10-04
[25] 뉴스 "Эху Москвы" исполнилось 25 лет http://www.interfax.[...] 2015-08-22
[26] 웹사이트 Топы https://web.archive.[...] Echo of Moscow 2023-04-26
[27] 뉴스 Венедиктов покинул совет директоров "Эха Москвы". Оказалось, что Путин знал о радиостанции больше него https://www.bbc.co.u[...] 2018-07-30
[28] 뉴스 Russia radio presenter stabbed in neck https://www.bbc.co.u[...] BBC News 2017-10-23
[29] 웹사이트 Напавшего на Фельгенгауэр отправили на принудительное лечение https://www.svoboda.[...] 2018-07-31
[30] 뉴스 ロシア、サイトへのアクセス遮断 「戦争」の表現を問題視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2-03-02
[31] 뉴스 独立報道のラジオ局解散 ウクライナ侵攻で政権が圧力―ロシア https://web.archive.[...] 2022-03-03
[32] 뉴스 "私が知っていたロシアはもうない」 変わるモスクワをBBCロシア編集長が紹介 https://www.bbc.com/[...] BBC News 2022-04-27
[33] 웹사이트 こだま https://www.youtube.[...] www.youtube.com 2023-04-26
[34] 뉴스 http://rg.ru/2008/02[...] Rossiyskaya Gazeta 2008-02-20
[35] 팟캐스트 http://echo.msk.ru/a[...] Echo of Moscow 2008-03-03
[36] 뉴스 Russia's Ekho Moskvy Hit With Official Warning http://www.rferl.org[...]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14-11-01
[37] 웹인용 Magazine Roundup http://print.signand[...] signandsight.com 2009-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