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얄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얄레는 에티오피아와 케냐 국경에 위치한 도시이다. 초기에는 그리스인 필립 자피로에 의해 정착되었으며, 1909년 영국은 이 지역을 행정 중심지로 삼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에 점령되었다가 영국에 의해 탈환되었으며, 1999년과 2012년에는 에티오피아와 케냐 간의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다. 2009년에는 에티오피아가 철도를 모얄레까지 연장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모얄레는 오로모족과 소말리아인의 전통적인 영토 사이에 위치하여 민족 간 분쟁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2019년 케냐 측 모얄레의 인구는 108,949명으로 집계되었다. 2021년에는 원스톱 국경 통과소가 상업 운영을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냐의 도시 - 가리사
    케냐 동부 가리사 주의 주도인 가리사는 타나 강 유역의 사막 기후 지역으로, 소말리아계 주민이 다수이며 가축 사육과 국경 간 무역이 활발하고, 알샤바브 테러의 피해를 입었으나 가리사 태양광 발전소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행정 중심지이다.
  • 케냐의 도시 - 몸바사
    몸바사는 케냐의 인도양 연안에 위치한 주요 경제 중심지이자 동아프리카 최대 항구를 보유한 도시로, 12세기부터 무역 도시로 번성하여 현재는 관광, 해운, 제조업 등이 주요 산업이다.
  • 에티오피아의 도시 - 악숨
    악숨은 에티오피아 티그라이 주에 위치한 고대 악숨 왕국의 수도로, 독자적인 문자와 건축 양식을 발전시키고 기독교를 공식 종교로 채택하여 번성했으며, 웅장한 유적과 역사적인 종교적 장소들을 통해 그 흔적을 간직하고 있는 역사적인 지역이다.
  • 에티오피아의 도시 - 곤다르
    곤다르는 17세기 파시다스 황제에 의해 에티오피아의 수도로 건설되어 파질 게비 왕궁을 중심으로 발전, "아비시니아의 파리"로 불리며 한때 중심지였으나 쇠퇴 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관광 도시로, 현재는 에티오피아 정부의 통제하에 있다.
  • 분단된 지역 -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삼국시대를 계승하여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국호가 확정되었으며, 약 5천만 명의 인구와 약 10만 km²의 면적으로 대통령 중심의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 분단된 지역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모얄레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모얄레
소말리어Mooyaale
오로모어Moyyaale
위치케냐와 에티오피아 국경 사이의 시장 도시
고도1090m
행정 구역
국가에티오피아, 케냐 (양국에 걸쳐 위치)
에티오피아지역: 오로미아 주, 소말리 주
구역: 보레나 구역, 다와 구역
행정 구역: 모얄레, 모얄레
케냐카운티: 마르사비트 카운티
인구 통계
총 인구에티오피아 쪽: 약 25,000명
케냐 쪽: 약 9,000명
시간대
시간대동아프리카 시간 (EAT)
협정 세계시 (UTC)+3
이미지
모얄레의 [[마르사비트 카운티]] 본부
모얄레의 마르사비트 카운티 본부

2. 역사

모얄레는 그리스인 필립 자피로가 "포트 해링턴"이라는 기지를 가지면서 시작되었다.[1]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탈리아군에 점령되었다가 1941년 영국군에 의해 탈환되었다.[2]

1999년, 오로모 해방 전선 관련 사건으로 케냐 측 모얄레에서 긴장이 고조되었고, 주민 시위가 발생했다.[3] 2018년에는 에티오피아 국방군에 의해 민간인이 오인 사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4]

2009년, 멜레스 제나위 에티오피아 총리는 철도를 모얄레까지 연장할 계획을 발표했는데, 이는 케냐의 람 항구 개발 계획과 연계된 것이었다.[5]

모얄레는 오로모족과 소말리아인의 전통적 영토 경계에 위치하여 민족 분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6] 2012년에는 민족 충돌로 인해 많은 사상자와 피난민이 발생했다.[7][8]

2. 1. 초기 역사

모얄레의 초기 정착민은 그리스인 필립 자피로였다. 그는 나중에 영국 부영사 겸 에티오피아 동양 비서가 되었으며, "포트 해링턴"이라는 기지를 가지고 있었다. 1908년 C.W. 그윈이 방문했을 때, 자피로의 기지는 보란 고원에서 뻗어 나온 둔덕에 위치한 집과 수 에이커에 달하는 정원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국경을 따라 이어진 절벽들을 통해 접근할 수 있었다. 그윈은 "이 경로는 언젠가 상당한 무역 동맥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따라서 포트 해링턴은 건강한 행정 기지이자 가능한 상업 중심지로서 적절한 위치에 있다"고 예측했다.[1]

19세기 말, 영국은 케냐를 식민지로 삼아 영국령 동아프리카를 만들었지만, 에티오피아와의 국경은 불분명했다. 1905년, 영국은 그리스계 에티오피아인 자피로에게 명령하여 모얄레에 통관소를 설치하고 에티오피아의 침입을 감시했으며, 에티오피아와의 국경을 1907년에 확정했다.[18] 이 통관소는 해링턴 요새로 명명되었다. 1908년에 방문한 C.W. 귄에 따르면, 자피로의 저택은 산맥의 틈새에 위치해 있었고, 수 에이커의 정원이 있었다. 귄은 "이곳을 통과하는 도로는 장래에 큰 교역에 사용될 것이다. 해링턴 요새는 그 관리에 적합한 위치에 놓여있다"라고 평가했다.[19] 자피로는 1909년까지 주재했다.[18]

1909년이 되자, 영국은 오늘날 케냐 북동부에 북부 변방 지구를 설치하고, 메루, 마르사비트와 모얄레를 행정 중심 도시로 삼았다.[18]

2.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0년, 모얄레는 이탈리아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1941년 7월 15일 영국군에 의해 탈환되었다.[2]

2. 3. 현대

모얄레의 초기 정착민은 그리스인 필립 자피로로, 그는 "포트 해링턴"이라는 기지를 가지고 있었다. 1908년 C.W. 그윈이 방문했을 때, 자피로의 기지는 보란 고원에서 뻗어 나온 둔덕에 있는 집과 수 에이커(1ha)의 정원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국경을 따라 이어진 절벽들을 통해 접근할 수 있었다. 그윈은 "이 경로는 언젠가 상당한 무역 동맥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따라서 포트 해링턴은 건강한 행정 기지이자 가능한 상업 중심지로서 적절한 위치에 있다"고 예측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도시의 양쪽 모두는 1940년 이탈리아군에 점령되었고, 1941년 7월 15일 영국군에 의해 탈환되었다.[2]

1999년 초, 이맘이 오로모 해방 전선(OLF) 반군을 추격하기 위해 에티오피아-케냐 국경을 넘어 에티오피아의 습격으로 사망한 후, 케냐 측 모얄레에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도시의 케냐 주민들은 에티오피아 보안 요원이 OLF 동조자라고 믿고 그들의 행동을 비난하는 시위를 벌였다.[3] 2018년 3월, 아홉 명의 민간인이 오로모 해방 전선 무장세력으로 오인되어 모얄레 인근에서 에티오피아 국방군에 의해 살해되었다.[4]

2009년 11월, 에티오피아 총리 멜레스 제나위는 에티오피아 철도를 모얄레까지 연장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당시 람 항구를 개발하여 케냐 측 모얄레까지 아스팔트 도로로 연결하려는 케냐의 계획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5]

모얄레 타운은 에티오피아 남서부에 거주하는 오로모족과 소말리아인의 전통적인 영토 사이의 국경에 위치해 있다.[6] 따라서 이 상업 도시는 오로모족과 소말리아인이라는 두 지배적인 민족 집단 간에 분쟁의 대상이 된다. 모얄레는 가뭄의 악화로 인해 보라나 오로모족과 가르 공동체 간의 오랜 토지 분쟁으로 인해 2012년 7월 4일간의 민족 충돌을 겪었다.[7][8] 이 싸움으로 최소 18명이 사망하고 2만 명 이상이 케냐로 국경을 넘어 피난했다.[7]

3. 지리

모얄레는 케냐와 에티오피아 국경에 위치하며, 지리적으로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하위 섹션인 '기후'에서 자세히 다루겠지만, 고도의 영향으로 열대 반건조 기후를 보인다.

3. 1. 기후

모얄레는 고도의 영향으로 다소 완화된 열대 반건조 기후(쾨펜 ''BSh'')를 보인다. 동아프리카의 전형적인 기후로, 3월부터 5월까지의 "장마"와 10월과 11월의 약하고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마"와 같이 두 개의 우기가 있다.[24]

모얄레, 케냐 (1958-1994) 기후 데이터[13]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34.4°C35°C35°C32.8°C30°C27.8°C27.8°C28.9°C30.6°C31.7°C31.7°C32.2°C35°C
평균 최고 기온 (°C)30.6°C31.1°C30.6°C27.2°C25°C24.4°C23.9°C24.4°C26.1°C26.1°C27.2°C28.3°C27.1°C
평균 최저 기온 (°C)18.3°C18.9°C18.9°C18.3°C17.8°C16.1°C15.6°C15.6°C16.1°C18.3°C17.2°C17.8°C17.4°C
최저 기온 기록 (°C)13.9°C15°C14.4°C14.4°C13.3°C12.8°C12.2°C12.8°C13.9°C14.4°C13.9°C13.9°C12.2°C
강수량 (mm)10.9mm18.5mm53.3mm176.8mm119.6mm16.8mm16.5mm16.5mm27.4mm95.8mm80.8mm38.6mm


4. 인구

2005년 에티오피아 중앙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측 모얄레의 추정 총 인구는 25,038명, 1994년 인구 조사에서는 13,962명이었다.[9] 가장 큰 민족 집단은 보라나 오로모였고,[10] 오로모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국어였다.[10] 케냐 측 모얄레는 2019년 인구 조사에서 도시 인구가 108,949명이었다.[11]

4. 1. 에티오피아 측

에티오피아 중앙통계청의 2005년 자료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측 모얄레의 추정 총 인구는 25,038명으로, 남자는 13,665명, 여자는 11,373명이었다.[9] 1994년 에티오피아 인구 조사에서는 총 13,962명으로, 남자는 7,411명, 여자는 6,551명으로 보고되었다. 이 총 인구에는 인구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모얄레 마을 일부에 대한 추정치도 포함되어 있으며, 이 지역에는 3,419명의 주민이 있었고, 그 중 남자는 1,752명, 여자는 1,667명으로 추정되었다.[9]

모얄레에서 보고된 8개의 가장 큰 민족 집단은 보라나 오로모 (65.25%), 가르 소말리(20.30%), 부르지 (7.75%), 암하라 (2.42%), 데구디 소말리 (3.95%), 웰라이타 (1.82%), 실테 (1.28%)였다.[10] 오로모어는 55.30%가 모국어로 사용했으며, 25.70%는 소말리아어, 15.96%는 부르지어, 3.96%는 웰라이타어, 3.62%는 실테어를 사용했다.[10]

4. 2. 케냐 측

2019년 케냐 인구 조사에서 모얄레의 도시 인구는 108,949명이었다.[11] 케냐 측 모얄레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인구
1989년 8월 24일7,049명
1999년 8월 24일13,944명
2009년 8월 24일27,943명[15]


5. 민족

모얄레는 오로모족과 소말리아인의 전통적인 영토 사이의 국경에 위치해 있어, 이 두 민족 집단 간의 분쟁 대상이 되어 왔다.[6] 2012년 7월에는 가뭄 악화로 인한 보라나 오로모족과 가르 공동체 간의 오랜 토지 분쟁으로 4일간의 민족 충돌이 발생하여 최소 18명이 사망하고 2만 명 이상이 케냐로 피난했다.[7][8]

에티오피아 측 모얄레의 경우, 2005년 에티오피아 중앙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추정 총 인구는 25,038명(남자 13,665명, 여자 11,373명)이었다.[9] 1994년 에티오피아 인구 조사에서는 총 13,962명(남자 7,411명, 여자 6,551명)으로 보고되었다.[10]

모얄레에서 보고된 8개의 가장 큰 민족 집단과 사용 언어는 다음과 같다.[10]

민족인구 비율언어사용 비율
보라나 오로모65.25%오로모어55.30%
가르 소말리20.30%소말리아어25.70%
부르지7.75%부르지어15.96%
암하라2.42%암하라어해당없음
데구디 소말리3.95%웰라이타어3.96%
웰라이타1.82%실테어3.62%
실테1.28%



케냐 측 모얄레는 2019년 인구 조사에서 108,949명의 도시 인구를 기록했다.[11]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16]


  • 오로모족: 38%
  • 부르지족: 17%
  • 암하라족: 16%
  • Welayta people|웰라이타족영어: 5%
  • Silt'e people|실테족영어: 4%
  • 기타: 20% (Borana Oromo people|보라나 오로모족영어, 소말리족의 Garre|가르족영어 씨족 등)

6. 언어

에티오피아 측 모얄레의 경우, 2005년 에티오피아 중앙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추정 총 인구는 25,038명(남자 13,665명, 여자 11,373명)이었다.[9] 1994년 에티오피아 인구 조사에서는 모얄레의 에티오피아 측 인구가 총 13,962명(남자 7,411명, 여자 6,551명)으로 보고되었다. 이 총 인구에는 인구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모얄레 마을 일부에 대한 추정치(3,419명, 남자 1,752명, 여자 1,667명)도 포함되어 있었다.[9]

모얄레에서 보고된 8개의 가장 큰 민족 집단은 보라나 오로모 (65.25%), 가르 소말리(20.30%), 부르지 (7.75%), 암하라 (2.42%), 데구디 소말리 (3.95%), 웰라이타 (1.82%), 실테 (1.28%)였다.[10] 모국어는 오로모어 (55.30%), 소말리아어 (25.70%), 부르지어 (15.96%), 웰라이타어 (3.96%), 실테어 (3.62%) 순으로 사용되었다.[10]

케냐 측 모얄레는 2019년 인구 조사에서 도시 인구가 108,949명이었다.[11]

언어비율
오로모어50%
암하라어10%
부르지어4%
월라이타어4%
실테어4%


7. 교통

범아프리카 자동차 노선인 카이로-케이프타운 고속도로가 모얄레를 통과한다. 2021년 6월, 모얄레의 원스톱 국경 통과소(OSBP)가 상업 운영을 시작했다. 양국 관계자들이 한 사무실에 함께 앉아 출입국 관리, 세관, 세입 징수, 건강 검사 등을 통해 승객과 화물을 처리하여 시간을 절약한다. 이는 에티오피아 최초의 OSBP이며, 케냐는 우간다와 부시아 및 말라바, 탄자니아와 나망가와 타베타에 4개의 OSBP를 운영하고 있다.[12]

8. 경제 및 사회

모얄레는 경제 및 사회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특히 교통과 치안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점들이 있다.

카이로-케이프타운 고속도로가 모얄레를 통과하며, 2021년 6월에는 원스톱 국경 통과소(OSBP)가 상업 운영을 시작했다. 이 시설은 양국 관계자들이 한 사무실에서 출입국 관리, 세관, 세입 징수, 건강 검사 등을 처리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데 기여한다.[12]

모얄레는 역사적으로 치안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탈리아군에 점령되었다가 영국군에 의해 탈환되었고[2], 1999년에는 에티오피아군의 월경으로 케냐 주민들이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3] 2018년에는 에티오피아 국방군이 민간인을 오인 사살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4], 2012년에는 민족 간 충돌로 많은 사상자와 난민이 발생했다.[7][8] 2010년에는 가축 강도단이 횡행하여 모얄레와 이시오로 사이의 도로가 위험한 지역으로 간주되기도 했다.[17]

8. 1. 원스톱 국경 통과소 (OSBP)

카이로-케이프타운 고속도로가 모얄레를 통과한다. 2021년 6월, 모얄레의 원스톱 국경 통과소(OSBP)가 상업 운영을 시작했다. 양국 관계자들이 한 사무실에 함께 앉아 출입국 관리, 세관, 세입 징수, 건강 검사 등을 통해 승객과 화물을 처리하여 시간을 절약한다. 이는 에티오피아 최초의 OSBP이며, 케냐는 우간다와 부시아 및 말라바, 탄자니아와 남가와 타베타에 4개의 OSBP를 운영하고 있다.[12]

8. 2. 치안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모얄레는 1940년 이탈리아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1941년 7월 15일 영국군에 의해 탈환되었다.[2]

1999년 초, 이맘이 오로모 해방 전선(OLF) 반군을 추격하기 위해 에티오피아-케냐 국경을 넘어 에티오피아의 습격으로 사망한 후, 케냐 측 모얄레에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도시의 케냐 주민들은 에티오피아 보안 요원이 OLF 동조자라고 믿고 그들의 행동을 비난하는 시위를 벌였다.[3] 2018년 3월, 모얄레 인근에서 에티오피아 국방군이 민간인 아홉 명을 오로모 해방 전선 무장세력으로 오인하여 살해했다.[4]

모얄레는 가뭄의 악화로 인해 보라나 오로모족과 가르 공동체 간의 오랜 토지 분쟁으로 2012년 7월 민족 충돌을 겪었다.[7][8] 이 싸움으로 최소 18명이 사망하고 2만 명 이상이 케냐로 국경을 넘어 피난했다.[7] 2010년 당시, 모얄레 부근에는 가축 강도단이 많았으며,[17] 특히 모얄레와 이시오로 사이의 도로는 위험하다.

참조

[1] 간행물 A Journey in Southern Abyssinia https://www.jstor.or[...] Geographical Journal 1911-08
[2] 웹사이트 Forgotten Fights: The Battle of Amba Alagi 1941 https://www.national[...] National World War II Museum New Orleans 2022-02-14
[3] 문서 Horn of Africa, Monthly Review, December '98-January '99 https://wayback.arch[...] UN-OCHA Archive 2009-02-23
[4] 뉴스 Ethiopian soldiers kill nine civilians mistaken for militants https://www.reuters.[...] Reuters 2018-03-11
[5] 웹사이트 Kenya, Ethiopia for joint infrastructure (November 24, 2009) http://www.mfa.gov.e[...] Ethiop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9-12-28
[6] 웹사이트 Somali-Oromo border referendum of December 2004 http://www.internal-[...] Internal Displacement Monitoring Centre website 2009-02-11
[7] 웹사이트 Ethiopia: 20,000 flee Moyale clashes - Red Cross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7-28
[8] 웹사이트 Many killed in Ethiopia ethnic clashes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2-07-28
[9] 문서 CSA 2005 National Statistics http://www.csa.gov.e[...] CSA
[10] 문서 "1994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Ethiopia: Results for Oromia Region" http://www.csa.gov.e[...] CSA 2009-04-06
[11] 웹사이트 Urban Poverty All Kenya Province Through Location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Kenya, Ethiopia one-stop border post at Moyale opens https://www.theeasta[...] 2021-06-08
[13] 웹사이트 KENYA - MOYALE http://www.ucm.es/in[...] Centro de Investigaciones Fitosociológicas 2011-10-05
[14]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www.citypopul[...] 2016-08-22
[15]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www.citypopul[...] 2016-08-22
[16] 문서 "1994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Ethiopia: Results for Oromia Region" http://www.csa.gov.e[...] CSA 2009-04-06
[17] 웹사이트 ケニアに対する渡航情報(危険情報)の発出 http://www2.anzen.mo[...] 外務省 2010-10-06
[18] 서적 現代アフリカの民族関係 2001
[19] 간행물 A Journey in Southern Abyssinia http://www.jstor.org[...] Geographical Journal 1911-08
[20] 문서 Horn of Africa, Monthly Review, December '98-January '99 http://www.ocha-eth.[...] UN-OCHA Archive 2009-02-23
[21] 웹사이트 Kenya, Ethiopia for joint infrastructure (November 24, 2009) http://www.mfa.gov.e[...] Ethiop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9-12-28
[22] 웹사이트 CSA 2005 National Statistics http://www.csa.gov.e[...] CSA
[2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ilri.cgia[...] 2007-11-27
[24] 웹인용 KENYA - MOYALE http://www.ucm.es/in[...] Centro de Investigaciones Fitosociológicas 2011-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