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형항공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형 항공기는 비행하지 않는 전시용과 비행하는 비행 모형으로 분류된다. 비행 모형은 발사, 합성 수지 등 가볍고 튼튼한 재료로 제작되며, 중공 구조를 사용하여 실기와 유사하게 만들어진다. 전시용 모형은 플라스틱, 나무, 금속 등 다양한 재료로 실제 항공기를 정밀하게 축소하여 제작되며, 풍동 연구, 항공사 홍보, 수집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모형 항공기는 국제 항공 연맹(FAI)의 규정에 따라 다양한 클래스로 분류되며, 국제 대회가 개최된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모형항공협회가 관련 활동을 주도하며, 항공법에 따라 비행 규제가 적용된다. 모형 항공기의 비행 특성은 레이놀즈 수에 영향을 받으며, 기동성과 안정성이 중요하게 고려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형항공기 - 고무동력기
    고무동력기는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고무줄의 탄성을 이용하며, 양력으로 하늘을 나는 모형 비행기이다.
  • 모형항공기 - 무선조종 항공기
    무선조종 항공기는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되어 취미, 군사,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기체 재료와 조립 방식, 그리고 국가별 비행 규제가 존재한다.
모형항공기

2. 종류

모형 항공기는 크게 비행하지 않는 전시용 모형 항공기와 비행하는 비행 모형 항공기로 분류된다. 전시용 모형 항공기는 스케일 모델을 중심으로 비행하지 않는 모형을 말하며, 비행하는 모형의 정식 명칭은 모형 항공기이지만, '''모형 비행기'''로 통칭되기도 한다.

Lufthansa Focke-Wulf Fw 200 Condor 모형 전시


자유 비행 손 발사 글라이더


모형 항공기는 크기가 제한된 비행기로, 실제 비행기를 완전한 형태로 축소하여 만들며, 날지 못하는 것과 날 수 있는 것으로 나뉜다. 글라이더고무동력기 등이 모형 비행기에 해당한다.

모형 항공은 모형 항공기의 제작 및 작동을 의미한다. 일부 모형 항공기는 실물 크기 항공기의 축소된 버전과 유사하게 만들어지지만, 다른 모형 항공기는 실제 항공기와 전혀 닮지 않게 제작되기도 한다. 새, 박쥐 및 익룡 모형(일반적으로 오르니톱터)도 있다. 모형의 크기가 작아지면 레이놀즈 수에 영향을 미쳐 공기가 모형을 지나갈 때 반응하는 방식이 달라진다. 실물 크기 항공기와 비교하면 필요한 제어 표면의 크기, 안정성 및 특정 에어포일 단면의 효율성이 상당히 달라질 수 있어 설계를 변경해야 할 수 있다.[1]

2. 1. 전시용 모형 항공기

실제 항공기의 모습을 정밀하게 축소한 모형으로, 주로 수집, 전시, 교육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플라스틱, 나무, 금속, 종이, 유리 섬유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며, 특정 축척으로 제작되어 원본 크기를 다른 항공기와 비교할 수 있다.[1] 정교한 디테일과 도색이 특징이며, 완성된 상태로 제공되거나 조립 및 도색이 필요한 키트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전 세계 많은 항공사들은 자사 항공기를 홍보용으로 모형 제작을 허용한다. 과거 항공사들은 여행사에 홍보 품목으로 제공하기 위해 자사 항공기의 대형 모형을 주문하곤 했다. 데스크탑 모형 항공기는 항공사를 홍보하거나 새로운 노선 또는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공항, 항공사 및 정부 관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1]

고정익 모형 항공기는 주로 축척에 따라 다양하게 상업적으로 판매되며, 1:18 축척과 같은 큰 크기부터 1:1250 축척과 같은 작은 크기까지 다양하다. 조립 및 도색이 필요한 플라스틱 모형 키트는 주로 1:144, 1:72, 1:48, 1:32, 1:24 축척으로 판매된다. 다이캐스트 금속 모형 (조립 및 도색 완료)은 1:48에서 1:600까지의 축척으로 제공된다.

축척은 임의적인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야드-파운드법 또는 미터법의 분할을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1:48 축척은 1/4인치가 1피트에 해당하며, 1:72 축척은 1인치가 6피트에 해당하며, 미터법 축척(예: 1:100)의 경우 1센티미터가 1미터에 해당한다. 1:72 축척은 1932년 스카이버드(Skybirds)의 나무와 금속 모형 항공기 키트로 처음 소개되었으며, 1936년부터 동일한 축척을 사용한 프로그)의 "프로그 펭귄" 브랜드가 그 뒤를 이었다. 1:72 축척은 미국 전쟁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발 엔진 항공기의 모형을 해당 축척으로, 다발 엔진 항공기는 1:144 축척으로 요청한 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에서 대중화되었다. 그들은 항공기 식별 기술을 향상시키기를 희망했으며, 이러한 축척은 크기와 세부 사항 사이에서 절충점을 찾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조업체들은 이러한 축척을 계속 사용했지만, 야드-파운드법의 다른 분할로 키트가 추가되기도 했다. 1:50과 1:100은 미터법을 사용하는 일본과 프랑스에서 흔히 사용된다. 항공사 홍보용 모형은 1:200에서 1:1200까지의 축척으로 제작된다.

일부 제조업체는 동일한 축척의 자동차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1:18 축척 항공기를 제작했다. 항공기 모형, 군용 차량, 피겨, 자동차, 기차는 모두 서로 다른 일반적인 축척을 가지고 있지만, 약간의 중복이 있다. 더 유명한 피규어의 경우 다른 축척으로 상당한 양의 중복이 있으며, 이는 강제 원근법 박스 디오라마에 유용할 수 있다.

오래된 모형은 상자에 맞게 크기가 조정되었기 때문에 확립된 축척에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를 "박스 축척"이라고 한다.

2. 2. 비행 모형 항공기

모형 항공기는 실제로 비행이 가능한 모형으로, 가벼운 재료와 튼튼한 구조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모형 항공기는 조종 방식과 항공기 형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조종 방식에 따른 분류

  • 자유 비행 (F/F): 조종사가 직접 조종하지 않고, 비행 전에 미리 설정한 제어면을 통해 비행한다. 자연적인 안정성이 높아야 하며, 대부분 무동력 글라이더나 고무동력기이다. 유인 비행보다 먼저 개발되었다.[3]
  • 통제선 (C/L): 끈이나 와이어를 사용하여 모형을 조종한다. 손으로 잡거나 막대에 고정된 중앙 피벗에 모형을 묶어 원을 그리며 비행한다. 케이블을 통해 피치를 제어하거나 스로틀을 조절할 수 있다. 엔진 배기량에 따라 다양한 경기 종목이 있으며, 'D'급 60 사이즈 속도 비행기는 150mph를 초과하는 속도에 도달할 수 있다.
  • 무선 조종 항공기: 송신기를 통해 수신기에 신호를 보내 서보를 작동시켜 모형을 조종한다. 현대에는 비행 제어 컴퓨터를 사용하여 안정성을 높이거나 자율 비행을 하기도 한다. 특히 쿼드콥터에서 많이 사용되며, 초보적인 비행 제어 장치는 모델 헬리콥터에 처음 도입되어 테일 로터 제어를 안정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항공기 형식에 따른 분류

  • 글라이더: 동력 장치가 없는 모형 항공기이다. 대형 야외 모형 글라이더는 무선 조종 글라이더가 일반적이며, 줄을 이용하거나 탄성 고무줄로 새총처럼 발사한다. "원반" 스타일의 날개 끝 손 발사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지상 기반 동력 윈치, 손으로 끌기, 공중 견인 등의 방법도 사용된다.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비행을 유지하며, 경사면 활공이나 을 이용한다.
  • 워크어롱 글라이더: 조종사가 가까이 따라가면서 생성되는 능선 양력을 이용하는 경량 모형 비행기이다.
  • 오르니톱터: 새, 박쥐, 익룡의 모형이다.

3. 동력

모형 항공기는 다양한 종류의 동력을 사용한다.


  • '''고무 동력''': 1871년 알퐁스 페노가 고안한 방식으로, 꼬인 고무줄의 탄성을 이용한다. 장난감부터 경기용 모형까지 널리 쓰이며, 단순하고 내구성이 좋지만 작동 시간이 짧고, 초기 토크가 급격히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4][5]
  • '''압축 가스''': 이산화 탄소(CO2)를 이용하며, 풍선을 부풀렸다 놓는 것과 비슷한 원리이다. 간단한 모형 항공기에 사용되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팽창 엔진에 동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Gasparin과 Modela는 최근의 CO2 엔진 제조사이다. CO2는 "냉"동력으로 알려져 있다.
  • '''증기''': 고무 동력보다 오래되었으며, 항공 역사에 기여했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1848년 존 스트링펠로우가 영국 서머싯 주, 차드에서 증기 동력 모형기를 비행했다.
  • '''화약''': 준남작 조지 케일리 경은 1807년, 1819년, 1850년에 내부 및 외부 연소 화약 연료 모형 항공기 엔진을 제작하고 비행했다. 프로펠러 대신 오르니톱터와 같은 플래퍼가 작동했다. 그는 연료가 유인 항공기에 사용하기에는 너무 위험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
  • '''글로우 플러그 엔진''': 메탄올, 니트로메탄, 윤활제(피마자유 또는 합성 오일) 혼합물(글로우 연료)을 사용하며, 외부 시동 장치가 필요하다. 왕복 엔진 실린더가 크랭크축에 토크를 가하며, 효율은 낮다. 엔진 배기량에 따라 등급이 매겨진다.
  • '''디젤 엔진''': 내구성이 좋고 토크가 높으며, 글로우 엔진보다 큰 프로펠러를 "스윙"할 수 있다.
  • '''제트 엔진''': 초기에는 덕티드 팬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소형 제트 터빈 엔진이 사용된다. 터빈은 특수 설계 및 정밀 제조가 필요하며, 일부는 자동차 엔진 터보차저 장치로 제작되었다.
  • '''펄스 제트''': V-1 비행 폭탄 유형으로, 소음이 커서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 '''로켓 엔진''': 글라이더와 세일플레인을 부스트하는 데 사용된다. 1950년대 제텍스(Jetex) 모터가 도입되었으며, 일회용 모형 로켓 엔진도 사용된다.
  • '''전동기''':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받는 전동기를 사용한다. 초기에는 브러시 직류 전동기와 니켈 카드뮴 (NiCad) 충전지를 사용했으나, 1990년대 이후 브러시리스 모터와 니켈 수소 (NiMh), 리튬 폴리머 배터리 (LiPoly 또는 LiPo), 리튬 인산철 배터리가 사용되면서 비행 시간이 늘어났다. 태양 에너지도 사용된다.


대부분의 동력 모형 항공기는 전동, 내연 기관, 고무줄 동력 모델을 포함하며, 에어스크루를 회전시켜 추력을 생성한다. '''프로펠러'''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프로펠러는 블레이드의 날개와 같은 단면에서 생성되는 양력으로 인해 추력을 생성하며, 이는 공기를 뒤로 밀어낸다.

프로펠러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세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직접 구동: 프로펠러가 엔진의 크랭크축 또는 구동축에 직접 부착된다.
  • 감속 구동: 기어를 사용하여 샤프트 RPM을 줄여 모터가 훨씬 더 빠르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 캠축 구동: 4행정 엔진의 크랭크축 대신 캠축에 프로펠러를 부착하여 내장된 2:1 기어 감속비를 얻을 수 있으며, 캠축은 크랭크축의 절반 속도로 회전한다.[8]


덕티드 팬은 제트 엔진과 모양이 비슷하고 동일한 공간에 장착될 수 있는 원통형 덕트 또는 튜브에 들어있는 다중 블레이드 프로펠러이다.

조류비행기는 날개 구조의 움직임이 살아있는 의 날갯짓을 모방하여 추력양력을 모두 생성한다.

4. 재료 및 구조

비행 모형 항공기는 가볍고 튼튼해야 하므로, 사용되는 재료와 구조에 제한이 있다.


  • 재료

모형 항공기에 사용되는 재료
구분내용설명
전통적인 재료발사, 키리, 히노키, 스프루스, 대나무, 합판
현대적인 재료수지, 발포 수지,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유리 섬유


  • 구조
  • 중공 구조: 가볍고 튼튼하게 만들기 위해, 가는 골조와 틀을 조합한 속이 빈 구조를 사용한다. 이는 실제 항공기의 구조와 유사하다.
  • 중실 구조: 매우 작고 간단한 모형 항공기의 경우, 경량 목재나 발포 플라스틱을 사용한 속이 꽉 찬 구조를 사용하기도 한다.
  • 표면 처리:
  • 전통적으로는 종이(한지), 비단, 얇은 발사판 등을 덮고, 래커나 도프 등으로 도색했다.
  • 최근에는 플라스틱 필름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
  • 대형 모형의 경우 열경화성 또는 열수축성 덮개 플라스틱 필름이나 열수축성 합성 직물을 사용한다.[2]
  • 가장 가벼운 모형에는 마이크로 필름 덮개가 사용된다.[2]

  • 스케일 모델과 성능

실제 항공기를 그대로 축소한 스케일 모델은 레이놀즈 수마하 수가 다르기 때문에 모형 항공기의 이상적인 형상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약간의 수정이 가해지기도 한다. 반면, 디테일을 중시하여 효율을 희생하는 경우도 있다.

5. 국제 경기 (FAI 규정)

국제 항공 연맹(FAI)은 모형 항공기 국제 대회를 주최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클래스를 정의하고 있다.[9]


  • 클래스 F – 모형 항공기
  • * F1''x'' – 자유 비행
  • * F2''x'' – 통제선 비행
  • * F3''x'' – 무선 조종
  • * F4''x'' – 스케일 항공기 (실물 크기 항공기의 축소 복제)
  • * F5''x'' – 무선 조종 전기 동력 글라이더
  • * FAI – 드론 레이싱 (F3U)
  • 클래스 S – 우주 모형
  • 클래스 U – 무인 항공기


FAI 자유 비행 클래스는 다음과 같다.[9]

클래스설명
F1A글라이더
F1B신장 가능한 (고무 밴드) 모터를 사용하는 모형 항공기 – 웨이크필드 트로피
F1C동력 모형 항공기 (내연기관 2.5cc)
F1D실내 모형 항공기
F1E자동 조종 글라이더
F1N실내 핸드 런치 글라이더
F1P동력 모형 항공기 (내연기관 )
F1Q전기 동력 모형 항공기
F1G신장 가능한 (고무 밴드) 모터를 사용하는 모형 항공기 « 쿠페 디베르 » (임시)
F1H글라이더 (임시)
F1J동력 모형 항공기 (임시) (내연기관 )
F1KCO2영어 모터를 사용하는 모형 항공기 (임시)
F1L실내 존 EZB 모형 항공기 (임시)
F1M실내 모형 항공기 (임시)
F1R실내 모형 항공기 “마이크로 35” (임시)
F1S소형 전기 동력 모형 항공기 “E36”



F2C급 모형 항공기


CIAM (FAI 에어로 모델링 위원회)는 F2 콘트롤 라인 카테고리에 다음과 같은 클래스를 지정했다.

  • F2A: CL 스피드
  • F2B: CL 곡예 비행
  • F2C: CL 팀 레이싱


F2C (팀 레이싱)는 조종사와 정비사가 한 팀을 이루어 370g 65cm 날개폭을 가진 모형 항공기를 조종한다. 세 팀이 동시에 경쟁하며, 연료 탱크 용량은 7cc으로 제한되어 2~3번의 피트 스탑이 필요하다. 정비사는 피트 구역에서 대기하며, 엔진 시동 후 모형 항공기를 출발시킨다. 연료 보급 시 조종사는 모형 항공기를 정비사에게 접근시키고, 정비사는 날개를 잡고 연료를 보급한 후 엔진을 재시동한다. 피트 스탑은 보통 3초 미만이 소요된다. 코스는 10km (100랩)이며, 비행 속도는 약 200km/h이다.

F2D (컨트롤 라인 콤뱃)는 두 명의 조종사가 경쟁하며, 각 항공기에는 2.5m 크레이프 종이 깃발이 3m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조종사는 상대 깃발을 끊으려 시도하며, 깃발을 끊을 때마다 100점을 얻는다. 경기는 4분 동안 진행되며, 추락에 대비해 각 경기마다 두 대의 항공기가 허용된다.[11]

FAI 무선 조종 클래스는 다음과 같다.[12][13]

  • F3A: RC 곡예 비행기
  • F3B: RC 멀티태스크 글라이더
  • F3C: RC 곡예 비행 헬리콥터
  • F3D: RC 파이론 레이싱 비행기
  • F3F: RC 슬로프 소어링 글라이더
  • F3J: RC 열 지속 글라이더
  • F3K: RC 핸드 런치 글라이더
  • F3M: RC 대형 곡예 비행기
  • F3N: RC 프리스타일 곡예 비행 헬리콥터
  • F3P: RC 실내 곡예 비행기
  • F3H: RC 활공 크로스 컨트리 글라이더
  • F3Q: RC 에어로-토우 글라이더
  • F3R: RC 파이론 레이싱 제한 기술 비행기
  • F3S: RC 제트 곡예 비행기
  • F3T: RC 제어 기술 비행기를 이용한 세미 스케일 파이론 레이싱
  • F3U: RC 멀티 로터 FPV 레이싱 – FAI 드론 레이싱 월드컵은 F3U 클래스에서 진행된다.


FAI의 스케일 모형 항공기 등급은 다음과 같다.[15]

  • F4B: 유선 조종 스케일 모형 비행기
  • F4C: 무선 조종 스케일 모형 비행기
  • F4H: 원거리 무선 조종 스케일 모형 비행기


FAI 등급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6]

  • F5B – 전동 글라이더 – 멀티 태스크 (격년 개최)
  • F5D – 전동 파이론 레이싱
  • F5J – 전동 글라이더 – 열 지속 시간


경기용 모형 항공기는 국제 항공 연맹(FAI)의 스포츠 코드에 정의되어 있으며, 세계 각국이 이를 따른다. FAI 스포츠 코드 내에서 모형기를 지칭하는 단어는 "모형 비행기" 대신 "해당 모형 (the model)" 등과 같이 모호한 표현을 사용한다.

FAI는 모형 항공기를 "제한된 크기의, 사람을 태울 수 없는, 경기,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업용, 공공 사업용, 과학·연구용, 군사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무인 항공기(UAV)가 아닌 것"으로 정의한다.

FAI의 모형 항공기 기록 신청은 다음 사양의 모형 항공기로 가능하다.

항목사양
최대 비행 중량 (연료 포함)25kg
최대 날개 면적500dm2
최대 날개 하중250g/dm2
피스톤 엔진의 최대 배기량250cc
전동 모터에 대한 최대 무부하 전압72 볼트
터빈 엔진의 최대 추력25kg (250N)


6. 대한민국의 모형 항공기

대한민국에서 모형 항공기는 오랜 역사를 통해 발전해 왔다. 한국모형항공협회는 대한민국의 모형 항공기 관련 대표 단체로, 모형 항공기 보급, 교육, 경기 개최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항공법에 따라 모형 항공기(무인항공기) 비행에 대한 규제가 적용된다. 인구 밀집 지역, 비행 금지 구역 등에서는 비행이 제한되거나 허가가 필요하며, 안전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관련 법규는 다음과 같다.


  • 항공법상 "무인항공기"에 해당하는 모형항공기는 국토교통부 장관의 허가 및 승인이 필요하다.
  • 항공법상 "무인항공기"에 해당하지 않는 모형항공기도 비행 금지 공역이 있으며,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신고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 소형 무인기 등 비행 금지법에 의해 국가 중요 시설 등과 주변 상공에서는 비행이 금지된다.


모형 항공기에 대한 더 자세한 법규는 멀티콥터#법규제 및 제한 표면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일본에서는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지령에 의해 비행기 연구가 중단되었고, 이로 인해 모형 비행기 제작도 금지된 기간이 있었다.[20]

6. 1. 더불어민주당의 입장

더불어민주당은 모형 항공기 산업 발전과 안전한 비행 문화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드론 산업 육성과 함께 모형 항공기 분야의 기술 개발 및 인재 양성을 위한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015년 9월 4일 가결되어 같은 해 12월 10일에 시행된 개정 항공법은 무인항공기에 대한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개정 항공법에서는 "무인항공기"를 "비행기, 회전익 항공기, 활공기, 비행선으로 구조상 사람이 탑승할 수 없는 것 중 원격 조작 또는 자동 조종으로 비행시킬 수 있는 것(200g 미만의 중량(기체 본체의 중량과 배터리 중량의 합계)의 것을 제외)"으로 정의하고 있다.[1]

이에 따라 대부분의 옥외 비행 가능한 모형 항공기는 무인항공기로 분류되어, 인구 밀집 지역에서의 비행이 국가 허가를 받아야 하는 등 새로운 규제가 적용되었다. 다만, 총 중량 200g 미만인 경우에는 항공법상 "모형 항공기"로 취급된다.[1]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규제 환경 속에서 불합리한 규제 개선을 통해 모형 항공기 애호가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7. 모형 항공기 공기역학

모형 항공기의 비행 특성은 레이놀즈 수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1] 레이놀즈 수는 유체의 점성과 관성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모형 항공기처럼 크기가 작고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레이놀즈 수가 낮아져 실제 항공기와는 다른 공기역학적 특성을 보인다.[1] 예를 들어, 낮은 레이놀즈 수에서 비행하는 축척 모형은 일반적으로 실제 크기보다 큰 프로펠러가 필요하다.[1]

모형 항공기는 기동성이 축척에 따라 달라지므로 안정성이 더 중요해진다.[1] 제어 토크는 지레의 길이에 비례하는 반면, 각운동 관성은 지레 길이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축척이 작을수록 항공기가 제어 입력이나 외부 힘에 더 빨리 회전한다.[1]

모형은 종적 정적 안정성 및 방향 안정성을 추가로 요구하여 피치 및 요의 갑작스러운 변화에 저항한다.[1] 자유 비행 모형은 정적 및 동적 안정성을 모두 갖춰야 한다.[1] 정적 안정성은 피치 및 요의 갑작스러운 변화에 대한 저항이며, 수평 및 수직 꼬리 날개와 전방 무게 중심에 의해 제공된다.[1] 동적 안정성은 제어 입력 없이도 직선 및 수평 비행으로 돌아갈 수 있는 능력이다.[1] 세 가지 동적 불안정 모드는 피치(푸고이드) 진동, 스파이럴 및 더치 롤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Airline world's tiny secret: infatuation with model planes https://www.usatoday[...] 2015-03-18
[2] 웹사이트 Building a 1948 Model Airplane Kit http://www.jitterbuz[...]
[3] 웹사이트 Model Flying Machines http://www.geocities[...]
[4] 간행물 Testing Commercial Rubber Model Aircraft magazine 1961-02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7-10-23
[6] 웹사이트 AMA Documents – Turbines http://www.modelairc[...] AMA 2012-10-05
[7] 웹사이트 MAS.865 2018 How to Make Something that Makes (almost) Anything https://fab.cba.mit.[...] 2022-01-21
[8] 웹사이트 The Rotating Cylinder Valve 4-stroke Engine (SAE Paper 2002-32-1828) https://web.archive.[...] 2012-01-03
[9] 웹사이트 FAI Sporting Code - Free Flight Model Aircraft 2024 Edition https://www.fai.org/[...] Fédération Aéronautique Internationale 2024-11-30
[10] 웹사이트 FAI Sporting Code - Radio Control Aerobatics 2023 Edition https://www.fai.org/[...] Fédération Aéronautique Internationale 2024-11-30
[11] 웹사이트 F2 - Control Line https://www.fai.org/[...] FAI Aeromodelling Commission (CIAM)
[12] 웹사이트 FAI Sporting Code - Radio Control Aerobatics 2023 Edition https://www.fai.org/[...] Fédération Aéronautique Internationale 2024-11-30
[13] 웹사이트 FAI Sporting Code - Radio Control Soaring Model Aircraft 2021 Edition https://www.fai.org/[...] Fédération Aéronautique Internationale 2024-11-30
[14] 웹사이트 National Miniature Pylon Racing http://www.nmpra.net[...] NMPRA 2015-07-06
[15] 웹사이트 FAI Sporting Code - Flying Scale Model Aircraft 2024 Edition https://www.fai.org/[...] Fédération Aéronautique Internationale 2024-11-30
[16] 웹사이트 FAI Sporting Code - Radio Control Electric Powered Motor Gliders https://www.fai.org/[...] Fédération Aéronautique Internationale 2024-11-30
[17] 문서 狭義の模型飛行機とは、狭義の飛行機(動力で推進され、固定翼面に揚力を発生させて飛行する航空機)の模型を言う。[[航空法]]、[[保険]]の契約書、公式の競技規定の中では、対象を明確にする必要から、広義の「模型飛行機」は用いられない。狭義の飛行機の定義は、'''航空法施行規則 付属書:耐空審査要領 01 定義 第2章'''に示されているが、航空法施行規則は航空法の下部例規であるため、航空法施行規則もまた「人が乗るもの」のみを対象としている。
[18] 웹사이트 日本模型航空連盟 模型飛行士登録国内規定改定について http://www.jmaf.jp/j[...]
[19] 웹사이트 日本模型航空連盟 模型飛行士登録制度改定のお知らせ http://www.jmaf.jp/h[...]
[20] 뉴스 民間航空の全面的禁止を指令 朝日新聞 1945-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