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요트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요트족은 'soyyt'라는 내부 명칭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진 민족으로, 러시아 부랴티야 지역에 거주하며 순록 유목을 주된 생계 수단으로 삼았다. 기원전 3천년 말부터 2천년 초 사이에 사얀 산맥 지역으로 이주한 사모예드족에서 기원했으며, 튀르크족의 영향을 받아 언어를 공유했으나 독자적인 문화를 유지했다. 1700년대 초 러시아 제국에 편입된 후 부랴트족의 문화적 영향을 받아 언어와 생활 방식에 변화를 겪었다. 1930년대 소련의 집단화 정책으로 인해 정착 생활을 강요받고 민족 정체성을 잃었으나, 소련 붕괴 이후 소요트 민족 협회 설립과 언어 부활 노력을 통해 민족 정체성을 회복했다. 소요트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며, 샤머니즘과 라마교를 믿는 종교적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랴트인 - 우게치 카스하
우게치 카스하는 15세기 초 오이라트 부족 연맹의 지도자로, 부냐시리와의 전투 패배 후 부족 연맹을 이끌며 세력을 유지했지만 암살당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죽음 이후 오이라트 분열은 몽골 고원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켰고, 그의 정체와 가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부랴트인 - 함니간인
함니간인은 17세기 초 자바이칼 지방으로 이주한 몽골의 한 갈래로, 부랴트족과 융합되어 자바이칼 지역에 동화되었으며 몽골 문화의 영향을 받아 현재 러시아 부랴티야 공화국 등에 거주하며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세묜 노모코노프 같은 인물을 배출했다. - 투바 공화국 - 토주 투바인
토주 투바인은 투바 공화국 토진스키 구에 주로 거주하며 순록 유목 생활을 하는 독특한 문화를 지닌 투바인의 한 분파로, 투바어의 동투바 방언을 사용하고 사얀 튀르크어의 타이가 사얀 튀르크 분파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 투바 공화국 - 헴치크강
- 튀르크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튀르크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소요트족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민족 명칭 | 소요트족 |
러시아어 명칭 | сойоты |
언어 | 부랴트어, 소요트어(부분적으로 재활성화) |
종교 | 티베트 불교, 텡그리 신앙(샤머니즘) |
관련 민족 | 부랴트인, 두카족, 토파인, 토주 투바인, 코이발인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21년) | 4,368명 |
거주 지역 | 러시아 부랴티야 |
추가 정보 |
2. 어원
소요트라는 이름은 내부 명칭 'soyyt'에서 유래되었다.[3] 부랴트족은 소요트족을 'hoyod'라고 부르고, 토파족은 'hazut'라고 부르는데, 이는 가장 큰 소요트 씨족인 Khaazuut의 이름에서 파생되었다.[3][2]
소요트족(또는 소이오트족[20])은 부랴트 공화국에 거주하는 민족[21]으로, 시베리아 튀르크어군에 속하는 소요트어를 사용한다. 튀르크 민족의 일파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부랴트인의 일파(몽골계 민족)로 여겨지기도 하며, 그 조상은 사모예드족(우랄계 민족)으로 여겨진다.
3. 역사
소요트족의 기원은 기원전 3천년 말에서 2천년 초, 서부 시베리아에서 동부 사얀산맥 지역으로 이주한 원시 사모예드족 수렵 채집민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 1천년 초에는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유목민들이 이주해 와 영향을 주었으나, 소요트족은 산악 지대에 거주하며 완전한 튀르크화를 피했다.[4]
1600년대 중반, 러시아 제국이 동 사얀에 도달하여 1700년대 초까지 이 지역을 통제했다.[4][5] 1727년 캬흐타 조약 이후, 러시아는 부랴트족 100가구를 오킨스키 지역으로 이주시켰다.[4][5] 부랴트족은 소요트족에게 큰 영향을 미쳐, 1800년대 말에는 부랴트족이 행정을 지배하고 소요트어를 대체했으며, 가축 사육 문화가 소요트족의 전통적인 순록 사육을 지배하게 되었다.[4][5]
러시아 내전 중 폴란드 과학자 페르디난트 오센도프스키는 소요트족 지역을 방문하여 그들의 생활상을 기록했다.[6] 1926년, 베른하르트 에두아르도비치 페트리 교수는 소요트족 순록 사육에 대한 탐험을 이끌었으나, 1937년 처형되었다.[7][8][9]
1930년대 초, 소련은 소요트족에게 집단 농장화와 정착 생활을 강요했고,[4] 1963년에는 순록 사육을 중단시켰다.[4] 1940년, 소요트족은 공식적으로 부랴트족으로 인정되어 민족 정체성을 잃게 되었다.[4]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소요트족 문화가 부활했다. 1993년 소요트 민족 협회가 설립되었고,[4] 2000년에는 러시아 정부로부터 북부, 시베리아 및 극동의 소수 민족 중 하나로 공식 인정받았다.[11]
3. 1. 기원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민족학자 라리사 R. 파블린스카야에 따르면, 소요트족(및 밀접하게 관련된 토팔라르족, 투바 투반족, 두카족)의 조상은 기원전 3천년 말에서 2천년 초에 서부 시베리아에서 동부 사얀산맥 지역으로 이주한 원시 사모예드족 수렵 채집민이었다.[4]
서기 1천년 초,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소와 말을 기르는 사람들이 내륙 아시아 스텝에서 이주해 와 동부 사얀 산맥의 사모예드족, 케트족, 퉁구스족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4] 이들은 언어를 받아들였음에도 불구하고, 접근하기 어려운 산으로 후퇴하여 완전한 튀르크화를 피했고, 중세 시대 내내 새로운 스텝 민족들에게 모피를 제공하며 교역했다.[4]
3. 2. 러시아 제국과의 관계
1600년대 중반, 러시아 제국은 처음으로 동 사얀에 도달했으며 1700년대 초까지 이 지역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주장했다.[4][5] 1727년 캬흐타 조약 이후, 러시아 정부는 중국 국경을 경계하기 위해 프라이바이칼리아와 자바이칼리아 지역에서 100 가구의 부랴트족을 오킨스키 지역으로 재정착시켰다.[4][5] 새롭게 도착한 부랴트족은 야크 사육과 계절 이동과 같은 소요트족의 관습을 일부 채택했다.[4] 그들은 또한 사냥을 위해 순록을 사용하는 관행을 받아들였지만, 순록 사육은 하지 않고, 사냥철에 순록을 빌리거나 소요트족의 무리에 순록을 맡기는 것을 선호했다.[4]
부랴트족은 소요트족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800년대 말까지 부랴트족이 행정을 지배했고, 그들의 언어가 소요트어를 대체했으며, 심지어 그들의 가축 사육 문화가 소요트족의 전통적인 순록 사육을 지배하게 되었다.[4][5]
3. 3. 러시아 내전과 소비에트 연방 시기
1920년, 폴란드 과학자 페르디난트 오센도프스키는 러시아 내전 중 적군을 피해 시베리아를 여행하며 소요트족 지역을 방문했다. 그는 예니세이강 유역과 사얀 산맥을 지나며 소요트족의 생활상을 기록했다. 오센도프스키는 저서 "짐승, 인간, 신"에서 소요트족을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으로 묘사하며, 그들이 전쟁을 피해 북쪽으로 이동했다고 언급했다.[6]
1926년, 이르쿠츠크 대학교의 베른하르트 에두아르도비치 페트리 교수는 소요트족 순록 사육에 대한 인류학 탐험대를 이끌었다. 그는 소요트족 순록 사육이 "쇠퇴하는 경제 분야"라고 주장했다.[7][8] 페트리는 러시아 내전 이후 에벤크족, 소요트족, 토팔라르족 등 소수 민족의 경제 생활 변화를 계획했지만, 1937년 스파이 혐의로 처형되었다.[9]
1930년대 초, 소련은 소요트족에게 집단 농장화와 정착 생활을 강요했다.[4] 많은 소요트족이 소로크, 후르가, 복손, 오를리크 등으로 이주했으며, 소 사육 농장으로 전환했다.[10] 1963년, 소련 정부는 순록 사육을 중단시켰다.[4]
1940년, 오킨스키 지역이 아이마그로 지정되면서 소요트족은 공식적으로 부랴트족으로 인정되어 민족 정체성을 잃게 되었다.[4] 이 정책은 소요트족의 민족 정체성을 약화시켰다.
3. 4.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소요트족 문화가 극적으로 부활했다. 1993년 소요트 민족 협회가 설립되었고,[4] 2000년 부랴트 공화국 인민 후랄이 오킨스키 지역 정부의 요청에 따라 소요트 민족 아이마크의 오킨스키 지역 이름을 변경했다.[4] 같은 해, 소요트족은 러시아 정부로부터 북부, 시베리아 및 극동의 소수 민족 중 하나로 공식 인정받아, 이름과 정체성을 되찾는 데 성공했다.[11]
4. 언어
소요트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며, 토파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부랴트어 및 중세 몽골어와 현대 몽골어에서 차용한 단어가 많다.[3] 1800년대부터 부랴트족의 영향과 두 집단 간의 혼인으로 인해 소요트어는 부랴트어에 밀려났고, 1996년경에는 언어가 거의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3]
러시아 언어학자 발렌틴 I. 라사딘은 수년간의 연구 끝에 2000년대 초반에 소요트어 문자를 개발했으며, 이후 최초의 소요트어 사전과 입문서를 만들었다.[12] 소로크 중등학교는 소요트족 아이들을 위한 국립 기숙 학교로, 이후 학생들에게 소요트어를 가르치기 시작했다.[12]
5. 문화
순록 유목을 주로 하지만, 야크, 말, 소, 양 등도 기르며, 수렵, 광산 노동, 피혁 가공, 목공 등에도 종사한다. 원추형 텐트에 거주하며 장로제 씨족 사회를 이루었고, 여성의 지위는 낮았다.[20] 종교는 샤머니즘과 라마교를 믿는다.
소요트족은 부랴트 공화국 오킨스키 지구에 거주하며, Soyot-Tsaatan language영어를 사용한다.[21] 튀르크 민족 언어를 사용하기에 튀르크계 민족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부랴트인(몽골계 민족)이나 사모예드족(우랄계 민족)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5. 1. 전통 생활 방식
전통적으로 순록 유목을 주로 하였으며, 야크, 말, 소, 양 등도 사육했다. 수렵, 광산 노동, 피혁 가공, 목공 등에도 종사했다. 원추형 텐트에 거주하면서 장로제의 씨족 사회를 이루었고, 여성의 지위는 낮았다.[20]5. 2. 순록 사육의 쇠퇴와 부활
순록 사육은 소요트족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이었다. 순록은 소요트족이 넓은 산악 타이가 지역을 이동하고 사냥을 하는 데 필수적이었으며, 옷, 쉼터, 우유, 고기 등 다양한 생활필수품을 제공했다.[4] 그러나 1963년 소련 정부가 소요트족의 집단 순록 떼를 해산하면서 소요트족의 순록 사육 전통은 끝났다.[4]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인류학 및 민족학 연구소의 러시아 민족지학자이자 교수인 세뱌안 바인슈테인은 소요트족을 포함한 순록 사육자들을 연구하기 위해 여러 차례 답사를 갔으며, 이 주제에 대한 여러 책을 출판했다.[13] 그는 사얀 순록 사육이 "가장 오래된 형태의 순록 사육"이며, 사모예드 타이가 사람들의 초기 순록 가축화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14]
다니엘 플럼리는 소요트족, 토파라르족, 토주 투반족, 두카족이 "사얀 전역에서 교역하고, 결혼하며, 관계를 맺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15]
소요트족 문화를 되살리기 위해 순록 사육을 다시 도입하려는 노력이 있었다.[4] 1992년, 지역 행정부는 미국에 기반을 둔 비정부 기구인 생태 지속 가능한 개발의 도움을 받아 이웃한 토파에서 순록 63마리를 구매하여 소요트족 소 사육 가족에게 주었다.[4] 이 가족은 토파족에게서 2년간 사육사 훈련을 받았고, 순록 떼를 100마리 이상으로 늘렸다.[4] 그러나 외국 지원이 끊기고 늑대 공격과 소요트족 사육사들의 경험 부족으로 순록 떼가 줄었다.[4] 1997년 남은 76마리의 순록은 다른 가족에게 주어졌지만, 괴사성 괴저 발생과 잦은 늑대 공격으로 1999년에는 60마리 미만, 1년 후에는 12마리만 남았다.[4] 2000년, 몽골과 러시아의 순록 사육 민족들은 순록 사육 재건을 위한 공동 노력을 기울였다.[16] 현재 약 20명의 소요트족이 순록 사육에 종사하고 있다.[17]
6. 종교
소요트족의 종교는 샤머니즘과 라마교(티베트 불교)이다.[18] 소요트족의 종교와 샤머니즘은 할하 몽골과 알타이 튀르크족의 영향을 모두 보여준다.[19] 토파족과 많은 문화적, 종교적 유사점을 공유하며, 이는 인접한 튀르크족에게서 보이지 않는 것들이다.[18] 소요트족은 1700년대 중반부터 몽골 불교와 티베트 불교에 영향을 받았지만, 많은 수가 1800년대와 1900년대에 들어서야 불교를 믿기 시작했다.[2] 라싸딘에 따르면, 부랴트 불교 라마들이 소요트족의 샤머니즘을 종식시키려 시도했다.[2]
참조
[1]
웹사이트
https://view.officea[...]
[2]
서적
Mongolic Elements in Tuvan
Harrassowitz Verlag
[3]
웹사이트
The Soyot Language
https://lingsib.iea.[...]
UNESCO
2021-07-18
[4]
간행물
Reindeer Herding in the Eastern Sayan- A Story of the Soyot
http://www.culturals[...]
2014-12-30
[5]
학술지
The Care Work of Balance
https://brill.com/vi[...]
2020-11-04
[6]
서적
Beasts, Men and Gods
http://www.gutenberg[...]
2014-12-29
[7]
간행물
Reindeer Herding in the Eastern Sayan- A Story of the Soyot
http://www.culturals[...]
2014-12-30
[8]
간행물
Anthropological Research into the Small-Numbered Peoples of the Eastern [[Sayan Mountains]]
[9]
학술지
Bernard Eduardovich Petri: Forgotten pages in Siberian ethnography
Taylor & Francis
[10]
웹사이트
Ethnic groups
http://ansipra.npola[...]
2014-12-28
[11]
문서
Official is attached to: Decree of the Russian Government Nr 255 "On the Unified Register of Native Small-Numbered Peoples of the Russian Federation", 24 March 2000 (''Постановление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Ф от 24 марта 2000 г. N 255 "О Едином перечне коренных малочисленных народ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base.garant.r[...]
[12]
웹사이트
It seemed as though the language would vanish as well
https://nordgold.com[...]
2023-09-16
[13]
간행물
The Problem of the Origins of Reindeer Herding in Eurasia, Part II: The Role of the Sayan Center in the Diffusion of Reindeer Herding in Eurasia
[14]
웹사이트
Evenki Reindeer Herding: A History
http://www.culturals[...]
2014-12-30
[15]
웹사이트
Requiem, Repression, or Recovery for the South Siberian Border Peoples?
https://www.cultural[...]
2023-09-17
[16]
간행물
Requiem or Recovery: The 21st Century Fate of the Reindeer-Herding Peoples of Geographical Central Asia
http://totempeople.h[...]
2014-12-31
[17]
웹사이트
Soyot - International Centre for Reindeer Husbandry - ICR
https://reindeerherd[...]
2023-09-17
[18]
서적
Sámánok nyomában Szibéria földjén. Egy néprajzi kutatóút története
http://mek.oszk.hu/0[...]
Magvető Könyvkiadó
[19]
문서
Diószegi 1960:238
[20]
웹사이트
消滅しつつあるロシアの民族(写真特集)
https://jp.rbth.com/[...]
2022-10-30
[21]
웹사이트
ウラン・ウデからの手紙…おっと、それってどこだっけ:外国人が見たブリヤート共和国の姿
https://jp.rbth.com/[...]
2022-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