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송 유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송 유씨는 평산 유씨의 시조 유금필의 후손으로, 고려 시대 무송현을 본관으로 한다. 유금필은 고려의 삼한통일에 기여하여 공신으로 봉해졌으며, 5세손 유녹숭은 고려 숙종 때 벼슬을 지냈다. 무송은 현재 전라북도 고창군 일대의 지명으로, 조선 시대에는 무송 윤씨와 유씨가 있었다.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3명을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급제자를 배출했으며, 대전광역시 대덕구, 전라남도 장성군, 함평군, 무안군, 전라북도 고창군, 충청북도 옥천군, 황해도 평산군 등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2015년 인구 조사에서 무송 유씨와 무장 유씨를 합하여 12,912명으로 집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송 유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가문 이름 | 무송 유씨 |
| 한자 표기 | 茂松庾氏 |
| 국가 | 한국 |
| 관향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무송리 |
| 시조 | 유녹숭(庾祿崇) |
| 원시조 | 유금필(庾黔弼) |
| 인물 | |
| 주요 인물 | 유필 유응규 유자량 유경현 유자우 유순도 유구산 유찬홍 유창순 유민봉 유동룡 유용원 유동균 |
| 통계 정보 | |
| 2015년 인구 | 12,912명 |
| 기타 | |
2. 역사
평산 유씨(平山 庾氏) 시조 '''유금필'''(庾黔弼)은 왕건을 도와 고려의 삼한통일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통합삼한익찬공신(三重大匡統合三韓翊贊公臣)에 봉해졌다.[5]
무송(茂松)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무장면(茂長面)·성송면·대산면 일대의 고려 시대 지명이다. 본래 백제의 송미지현(松彌知縣)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무송현(茂松縣)으로 고쳤으며, 1417년(조선 태종 17)에 장사현(長沙縣)과 통합하여 무장현(茂長縣)으로 개편하였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무송(茂松)의 성으로 윤(尹)·유(庾) 2성이 기록되어 있다. 1895년 무장군으로 개편되었으나, 1914년 무장군이 폐지되고 고창군에 편입되었다.
유금필의 5세손 '''유녹숭'''(庾祿崇, 1035년 ~ 1114년)은 무송현(茂松縣) 출신으로 1099년(고려 숙종 4년)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로 임명되었고, 숙종 때 남경(南京)으로 수도를 옮기고자 할 때 좌산기상시로서 유신(柳伸)과 더불어 반대하였다. 1102년 지서북면병마사(知西北面兵馬使)를 거쳐 추밀원사 겸 태자빈객(樞密院使兼太子賓客)이 되었다. 1103년(숙종 8)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오르고, 예종 때 참지정사로 치사(致仕)하였다. 시호는 안정(安貞)이다.[6]
3. 본관
4. 과거 급제자
구분 이름 고려 문과 유경현, 유규, 유석, 유정, 유필 조선 문과 유득화, 유순도, 유지 무과 유경탁, 유급 생원시 유복렬, 유식, 유용, 유장원, 유지, 유진한 진사시 유성렬, 유장경, 유핵 역과 유응창 의과 유재희, 유태현
4. 1. 고려 문과
유경현(庾敬玄), 유규(庾珪), 유석(庾碩), 유정(庾靖), 유필(庾弼)[7]
4. 2. 조선 문과
wikitext
무송 유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명을 배출하였다.[7]
| 이름 |
|---|
| 유득화 |
| 유순도 |
| 유지 |
4. 3. 무과
- 유경탁[7]
- 유급[7]
4. 4. 생원시
무송 유씨 유복렬(庾馥烈), 유식(庾軾), 유용(庾容), 유장원(庾長源), 유지(庾智), 유진한(庾鎭韓)이 생원시에 합격하였다.[7]4. 5. 진사시
4. 6. 역과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명을 배출하였다.[7]| 역과 |
|---|
| 유응창 |
4. 7. 의과
조선시대 의과 급제자는 유재희(庾在喜), 유태현(庾台鉉) 2명이다.[7]5. 집성촌
| 지역 |
|---|
| 대전광역시 대덕구 평촌동 |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성산리 |
|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곡창리 |
|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현화리 |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인성리 |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건동리 |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
|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도농리 |
|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도덕리 |
|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지수리 |
| 황해도 평산군 문무면 양어리[4] |
6. 인구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무송 유씨는 2000년에는 12,464명이, 2015년에는 12,912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5년 인구는 무송 유씨 12,459명과 무장 유씨 453명을 합한 것이다.
| 연도 | 인구(명) |
|---|---|
| 2000 | 12,464 |
| 2015 | 12,912 |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무송유씨 茂松庾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4]
웹사이트
유씨(庾氏) 본관(本貫) 무송(茂松)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5]
문서
신라말 고려초 호족 연구
1996
[6]
간행물
『고려사』 권97, 열전10 유녹숭(庾祿崇)
http://db.history.go[...]
[7]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