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안군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1914년 목포부에서 분리되어 무안군으로 개편되었다. 1969년에는 신안군이 분군되었고, 2005년에는 전라남도청이 삼향읍으로 이전하면서 남악신도시가 개발되었다. 현재 3읍 6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라남도청은 삼향읍에, 무안군청은 무안읍에 위치한다. 주요 산업으로는 양파 재배가 유명하며, 무안 갯벌은 람사르 협약 습지로 지정되어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백련축제가 열리는 회산백련지와 무안국제공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안군 - 남악신도시
남악신도시는 전라남도청 이전으로 무안군 삼향읍과 목포시 옥암동 일대에 조성되었으며, 목포시와 무안군이 개발을 담당하는 옥암, 남악, 오룡, 임성, 망월지구로 구성되어 전남 서남권의 중심 기능을 수행하고 전국 각지로 연결된다. - 무안군 - 무안군의 행정 구역
무안군의 행정 구역은 1895년 나주부 무안군으로 시작하여 전라남도 무안군이 되었고, 일제강점기 목포부 폐지와 지도군 통합을 거쳐 2005년 전라남도청 이전으로 삼향읍이 전라남도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 대한민국의 시도청 소재지 - 홍성군
홍성군은 충청남도 중서부에 위치하여 서산시, 태안군, 예산군, 청양군, 보령시와 접하고, 평야 지형에 삽교천 등 하천이 흐르며, 백제 시대부터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 지역으로 조선 시대 홍주목이 설치되었고, 1914년 홍주군과 결성군이 통합되었으며, 2012년 충남도청 이전 후 행정 및 경제 중심지로 농업, 축산업, 수산업, 문화유적,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청 소재지 - 전주시
전주시는 전라북도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부터 유서 깊은 역사를 지닌 도시로, 후백제의 도읍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전라도의 감영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완산구와 덕진구로 나뉘어 역사와 전통, 맛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 전라남도의 군 - 보성군
보성군은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하며, 쌀, 보리, 면화 등 다양한 작물을 생산하며, 녹차, 꼬막 등의 특산물과 벌교 홍교, 대원사 등의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다. - 전라남도의 군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무안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무안군 |
한글 표기 | 무안군 |
한자 표기 | 務安郡 |
로마자 표기 | Muan-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Muan-gun |
위치 | 대한민국 호남 전라남도 |
면적 | 436.4km² |
인구 | 92,009명 (2024년 9월 기준) |
인구 밀도 | 173.50명/km² |
방언 | 전라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2읍 7면 |
상징 | |
군의 상징 | Muan logo.png |
군기 | Flag of Muan.svg |
군목 | 느티나무 |
군화 | 국화 |
군조 | 백로 |
기타 정보 | |
전화 지역 번호 | +82-61-2xx, 450~459 |
웹사이트 | 무안군청 |
행정 | |
군수 | 김산(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서삼석(더불어민주당, 영암군·무안군·신안군) |
2. 역사
1957년 11월 6일 면성면을 무안면(務安面)으로 개칭하였다.[27]
1963년 1월 1일 이로면의 5개리가 목포시에, 이로면의 석현·옥암·대양리가 삼향면에 편입되어 이로면이 폐지되고, 진도군 마진도(馬津島)를 장산면에 편입하였다.[28] (19면)
1968년 12월 28일 무안군청을 목포시에서 현 위치(무안면)로 이전하였다.
1969년 1월 1일 무안군의 도서지역(지도면, 임자면, 자은면, 비금면, 도초면, 흑산면, 하의면, 장산면, 안좌면, 암태면, 압해면)이 신안군으로 분군하였다.[29] (8면)
1971년 5월 27일 망운면에 운남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79년 5월 1일 무안면이 무안읍으로 승격하였다.[30] (1읍 7면)
1980년 12월 1일 일로면이 일로읍으로 승격하였다.[31] (2읍 6면)
1983년 2월 15일 망운면 운남출장소가 운남면으로 승격하였다. (2읍 7면)
2005년 광주광역시에 있던 전라남도청이 무안군 삼향읍으로 이전하였다.
2007년 8월 24일 삼향면 남악리에 남악출장소를 설치하였다.
2011년 1월 1일 삼향면이 삼향읍으로 승격하였다. (3읍 6면)
2020년 6월 8일 일로읍 망월리 중 오룡지구 택지개발구역이 법정리 오룡리로 분리·신설하였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百濟일본어 때 몰아혜군(勿阿兮郡)이었다. 757년(경덕왕 16)에 무안군(務安郡)으로 고쳐 탐라군의 현(縣)이 되었다.[1] 고려 초에는 물량군(勿良郡)이라 불렀고, 991년(성종 10)에 다시 무안으로 고쳤으며, 1018년(현종 9) 나주목의 속군이 되었다.[2] 조선 태종 때 해남과 합하여 태안군(泰安郡)이라 부르기도 하였으나, 얼마 후 다시 나누어 무안현이 되었다.1439년(세종 21년) 목포 만호진(木浦 萬戶鎭)이 설치되었다.[3] 1885년(고종 22) 목포 만호진을 폐지하고 무안군에 편입하였다.[4] 1895년(고종 32) 나주부 무안군, 1896년 전라남도 무안군이 되었다. 1897년 칙령에 따라 무안부(務安府)가 설치되고 무안군(務安郡)은 무안부(務安府) 관할이 되었다.[5]
일제강점기인 1910년 10월 1일 무안부가 목포부로 개칭되었다.[6] 1914년 4월 1일 목포부를 분해하여 도시 지역인 부내면만 '''목포부'''로 남기고, 부내면을 제외한 목포부의 나머지 면과 지도군 대부분이 '''무안군'''으로 개편되었다.[23] 당시 무안군청은 목포부 내에 두었다.
1923년 9월부터 1924년 9월까지 암태도 소작쟁의가 있었다.[24] 이는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농민운동으로 꼽힌다. 지주 문재철이 소작료를 7~8할로 수탈하자 일제 경찰에 항거하면서 재판소 앞에서 단식투쟁을 이어갔다. 그 결과 소작료를 4할로 낮추는 성과를 이루었다.[24]
2. 2. 일제강점기
- 1910년 10월 1일: 무안부를 목포부로 이름을 바꾸었다.[23]
- 1914년 4월 1일: 목포부를 분해하여, 도시 지역인 부내면만 '''목포부'''로 남기고, 부내면을 제외한 목포부의 나머지 면과 지도군 대부분이 '''무안군'''으로 개편되었다.[23] 무안군청은 목포부 내에 두었다.
- 이로면, 일로면, 박곡면, 청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삼향면, 외읍면, 석진면, 지도면, 임자면, 사옥면, 자은면, 암태면, 장산면, 하의면, 비금면, 압해면, 선도면, 흑산면, 기좌면, 안창면, 팔금면, 도초면 (25면)
- 1917년: 외읍면(外邑面)을 면성면(綿城面)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선도면(蟬島面)과 사옥면(沙玉面)을 지도면에 편입하고, 기좌면(箕佐面)·안창면(安昌面)·팔금면(八禽面)을 안좌면으로 합면하였다. (21면)
- 1923년 9월 ~ 1924년 9월: 암태도 소작쟁의.[24]
-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농민운동으로 꼽힌다. 지주 문재철이 소작료를 7~8할로 수탈을 지속하자 일제 경찰에 항거하면서 재판소 앞에서 단식투쟁을 이어갔다. 그 결과 소작료를 4할로 낮추는 성과를 이루었다.
- 1931년 4월 1일: 외읍면(外邑面)을 면성면(綿城面)으로 이름을 바꾸었다.[25]
- 1932년 11월 4일: 석진면(石津面)과 박곡면(朴谷面)을 석곡면(石谷面)으로 합면하였다. (20면)
- 1939년 4월 1일: 석곡면을 몽탄면(夢灘面)으로 이름을 바꾸었다.[26]
2. 3. 대한민국
- 1910년 10월 1일 : 무안부를 목포부로 개칭하였다.
- 1914년 4월 1일 : 목포부를 분해하여, 도시 지역인 부내면만 '''목포부'''로 남기고, 부내면을 제외한 목포부의 나머지 면과 지도군 대부분이 '''무안군'''으로 개편되었다.[23] 무안군청은 목포부 내에 두었다.
- 25면 - 이로면, 일로면, 박곡면, 청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삼향면, 외읍면, 석진면, 지도면, 임자면, 사옥면, 자은면, 암태면, 장산면, 하의면, 비금면, 압해면, 선도면, 흑산면, 기좌면, 안창면, 팔금면, 도초면
- 1917년 : 외읍면(外邑面)을 면성면(綿城面)으로 개칭하였고, 선도면(蟬島面)과 사옥면(沙玉面)을 지도면에 편입하고, 기좌면(箕佐面)·안창면(安昌面)·팔금면(八禽面)을 안좌면으로 합면하였다. (21면)
- 1923년 9월 ~ 1924년 9월 : 암태도 소작쟁의.[24]
-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농민운동으로 꼽힌다. 지주 문재철이 소작료를 7~8할로 수탈을 지속하자 일제경찰에 항거하면서 재판소 앞에서 단식투쟁을 이어갔다. 그 결과 소작료를 4할로 낮추는 성과를 이루었다.
- 1931년 4월 1일 : 외읍면(外邑面)을 면성면(綿城面)으로 개칭하였다.[25]
- 1932년 11월 4일 : 석진면(石津面)과 박곡면(朴谷面)을 석곡면(石谷面)으로 합면하였다. (20면)
- 1939년 4월 1일 : 석곡면을 몽탄면(夢灘面)으로 개칭하였다.[26]
- 1957년 11월 6일 : 면성면을 무안면(務安面)으로 개칭하였다.[27]
- 1963년 1월 1일 : 이로면의 5개리가 목포시에, 이로면의 석현·옥암·대양리가 삼향면에 편입되어 이로면이 폐지되고, 진도군 마진도(馬津島)를 장산면에 편입하였다.[28] (19면)
- 1968년 12월 28일 : 무안군청을 목포시에서 현 위치(무안면)로 이전하였다.
- 1969년 1월 1일 : 무안군의 도서지역(지도면, 임자면, 자은면, 비금면, 도초면, 흑산면, 하의면, 장산면, 안좌면, 암태면, 압해면)이 신안군으로 분군하였다.[29] (8면)
- 1971년 5월 27일 : 망운면에 운남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79년 5월 1일 : 무안면이 무안읍으로 승격하였다.[30] (1읍 7면)
- 1980년 12월 1일 : 일로면이 일로읍으로 승격하였다.[31] (2읍 6면)
- 1983년 2월 15일 : 망운면 운남출장소가 운남면으로 승격하였다. (2읍 7면)
- 2005년 : 광주광역시에 있던 전라남도청이 무안군 삼향면으로 이전하였다.
- 2007년 8월 24일 : 삼향면 남악리에 남악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2011년 1월 1일 : 삼향면이 삼향읍으로 승격하였다. (3읍 6면)
- 2020년 6월 8일 : 일로읍 망월리 중 오룡지구 택지개발구역이 법정리 오룡리로 분리·신설하였다.
3. 지리
무안군은 전라남도 서남부 무안반도에 위치한 군으로 동쪽으로는 나주시, 서쪽으로는 황해와 목포시, 신안군의 직할섬과 인접하며 남쪽으로는 영산강하굿둑과 영암군이, 북쪽으로는 함평군과 마주하고 있다.
노령산맥이 감방산, 국사봉을 남북으로 이어 목포시의 유달산에 연결되어 있으며 국도1호선을 따라 청계, 삼향일대를 연결하는 넓은 평야가 전개되어 있고 동남을 횡류하는 영산강은 목포과 영암을 잇는 하굿둑의 완공으로 전천후 농토 조성등이 이루어졌다. 대체적으로 야산지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질 및 점토질 토양이 많아 양파, 마늘, 고구마, 참깨, 연초 등 고소득 작목 재배에 적합하다. 그로 인해 특산물이 대표적으로 양파이다. 무안군은 한반도 남서부 서쪽 끝에 위치해 있으며, 신안군과 한반도 본토를 연결하는 주요 통로 역할을 한다. 무안 해안에는 수많은 해변이 있다.
무안군은 북쪽으로 영산강을 경계로 나주시와 함평군과, 동쪽으로 영암군과, 남쪽으로 목포시와 접한다. 이러한 주변 환경은 무안군의 산업 및 문화 구조에 영향을 미쳤다.[5]
4. 행정 구역
무안군의 행정 구역은 3읍 6면으로, 총 104개의 법정리와 426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무안군의 면적은 448.95km2이며, 전라남도청은 삼향읍에, 무안군청은 무안읍에 있다.[32]
각 읍, 면별 관할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읍·면 | 법정리 |
---|---|
무안읍 | 교촌리, 성내리, 고절리, 성남리, 성암리, 성동리, 매곡리, 신학리, 용월리, 평룡리 |
일로읍 | 월암리, 청호리, 망월리, 죽산리, 구정리, 의산리, 지장리, 용산리, 산정리, 상신기리, 광암리, 복룡리, 감돈리, 오룡리 |
삼향읍 | 임성리, 남악리, 용포리, 맥포리, 유교리, 왕산리, 지산리 |
몽탄면 | 구산리, 귀학리, 내리, 다산리, 달산리, 당호리, 대치리, 명산리, 몽강리, 봉명리, 봉산리, 사창리, 사천리, 약곡리, 양장리, 이산리, 청룡리, 학산리 |
청계면 | 강정리, 구로리, 남성리, 남안리, 도대리, 도림리, 복길리, 복룡리, 사마리, 상마리, 서호리, 송현리, 월선리, 청계리, 청수리, 청천리, 대봉리 |
현경면 | 가입리, 동산리, 마산리, 송정리, 수양리, 양학리, 오류리, 외반리, 용정리, 평산리, 해운리, 현화리 |
망운면 | 목동리, 목서리, 송현리, 탄도리, 피서리 |
운남면 | 하묘리, 동암리, 연리, 내리, 성내리 |
해제면 | 광산리, 대사리, 덕산리, 만풍리, 산길리, 석룡리, 송석리, 신정리, 양매리, 양월리, 용학리, 유월리, 임수리, 창매리, 천장리, 학송리 |
4. 1. 행정구역 목록 (2021년 12월 기준)
2021년 12월을 기준으로 무안군의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32]읍·면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km²) |
---|---|---|---|---|
무안읍 | 務安邑 | 5,500 | 10,946 | 35.67 |
일로읍 | 一老邑 | 6,734 | 16,432 | 66.32 |
삼향읍 | 三鄕邑 | 16,725 | 40,219 | 44.54 |
몽탄면 | 夢灘面 | 1,872 | 3,088 | 63.08 |
청계면 | 淸溪面 | 3,601 | 6,291 | 65.49 |
현경면 | 玄慶面 | 2,733 | 4,512 | 55.34 |
망운면 | 望雲面 | 1,108 | 1,920 | 19.11 |
해제면 | 海際面 | 2,837 | 4,826 | 64.43 |
운남면 | 雲南面 | 1,629 | 2,873 | 34.93 |
무안군 | 務安郡 | 42,739 | 91,107 | 448.95 |
4. 2. 행정구역 통합 문제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을 거치며 하나의 행정 구역이었던 이 지역은 일제강점기 때 개항장이었던 목포가 부(시)로 분리되고, 1969년 신안군마저 분군되면서 현재 행정구역이 목포시, 무안군, 신안군으로 쪼개졌다. 1995년 지방자치제 시행으로 전국적으로 많은 지역들이 시·군 통합으로 도농복합시로 출범했지만, 이 지역은 통합되지 못했다.[33][34]지역별로는 삼향읍을 중심으로 한 일로읍, 청계면 등 남부지역은 통합 찬성, 무안읍을 중심으로 하는 북부지역은 통합 반대 의사를 나타내고 있다.
'''행정구역 통합 문제 변천사'''
- 1910년 무안부가 목포부로 개칭되었다.
- 1914년 목포부 부내면(도시 지역)만 목포부로 분리, 나머지 지역은 무안군으로 개편되었다.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 분군(섬 지역과 육지 지역 분리)되었다. 새로운 무안이라는 뜻에서 신안군의 이름이 지어졌다.
- 1994년, 1995년, 1998년, 1999년 총 3번(1차는 주민의견조사서 교부 문제로 주민투표 자체가 무산)에 걸친 무안반도 통합 주민투표에서 목포시와 신안군 주민은 압도적으로 찬성하였으나, 무안군 주민의 반대로 통합이 무산되었다.[35]
- 2009년 정부의 행정구역 자율통합으로 다시 한 번 무안반도 통합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11월 주민여론조사(표본 : 목포 1000명, 무안/신안 각 700명, 집전화 여론조사)에서 무안/신안군 지역 응답자들의 반대가 높게 나와 통합을 위한 후속 절차가 무산되었다.[36] 이번에는 과거와 달리 무안읍을 제외한 무안군 지역의 일방적인 반대가 많이 수그러들고, 신안군의회 의장이 마을 이장들에게 반대 호소문을 발송하는 등 신안군 지역의 반대 여론 조성 움직임이 있었고, 무안과 신안 지역에 터무니없는 허위사실 현수막이 많이 게시되었다.[37] 그리고, 무안군수가 공무원을 동원해 통합 반대 단체에 활동비를 지원한 사실이 드러났다.[38][39]
- 2011년 말, 목포시장/목포시의회가 전라남도지사를 거쳐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에 무안반도 통합 건의서를 제출하면서 또 다시 통합 문제가 대두되었다.[40] 2012년 4월,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에서 무안반도 통합은 여론조사를 거치도록 함에 따라,[41] 4월 27일부터 5월 중순까지 약 3주 간 최소 1000명 ~ 최대 1500명을 대상으로 RDD 방식의 CATI(전화 면접)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42] 각 지역을 방문해 단체장을 비롯한 지역 인사들이 참석한 간담회 개최, 지역 주민 의견 직접 청취 등을 거쳐 5월 말에서 6월에 통합 후보지가 결정되며, 통합 후보지로 결정되면 2013년 6월에 주민투표를 실시할 예정이었지만,[43] 2012년 6월 13일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 발표에서 무안반도가 통합 추진 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6번째 통합 도전도 물거품이 되었다.[44] 이에 대해, 정종득 목포시장은 "통합의 당초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형평성 마저 상실, 심히 유감스럽다"면서 "국회에 재심의를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또, 도청이전 예정지역이란 이유로 특별법상 특례를 적용해 충남의 홍성+예산과 경북의 안동+예천은 통합대상에 포함된 반면 도청이전이 완료된 무안반도가 제외된 것은 이치에 맞지 않고, 정부의 '신발전지역 육성을 위한 투자촉진특별법'의 동일한 경제권역인 새만금권과 광양만권은 통합대상에 포함하면서 무안반도를 제외한 것 또한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주장이다.[45] 시민단체들도 전국의 도청 소재지와 예정지는 통합 대상에 포함된 반면, 무안반도만 통합대상에서 제외한 것에 대해 재검토해줄 것을 건의하기도 했다.
- 무안군은 목포시와 통합하면 세금 인상 및 농촌지역 소외가 이루어진다고 반대 의사를 나타내면서[33] 자발적으로 시 승격을 이루려고 하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34]
5. 남악신도시
남악신도시는 전라남도청이 이전하면서 2005년부터 건설되기 시작한 계획도시다. 남악신도시는 목포시와 무안군의 경계 지역에 있다. 총 계획개발지구는 옥암(목포시), 남악, 오룡, 망월(이상 무안군), 임성지구(목포시와 무안군 일대)인 총 5개 구역이며, 도청은 그 중 무안군 구역인 남악지구에 있다. 이 중 옥암, 남악지구는 완공되었고 오룡지구와 임성지구는 건설 중이다.
6. 인구
2014년 3월 31일 기준, 무안군의 인구는 80,305명, 세대수는 33,881세대였다. 무안군은 인구 감소세를 이어오다 2005년부터 증가세로 돌아섰다. 인구 유입의 주원인은 삼향읍, 일로읍의 남악신도시 개발인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2013년 9월에는 해남군을 제치고 전남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군이 되었다.[46] 2014년 3월 3일에는 인구 8만 명을 돌파하면서 1992년 이후 22년 만에 인구 8만 명 선을 회복했다. 무안군 관계자에 따르면 남악신도시와 오룡지구 개발 등에 힘입어 인구 1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47] 무안군은 삼향읍의 인구 증가에 힘입어 시 승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삼향읍을 제외한 다른 읍면의 인구는 여전히 감소하고 있다.
전체 인구 중 전남도청이 있는 삼향읍의 거주 비율은 41.3%로 매우 높으며, 무안군청이 있는 무안읍이 14.2%, 일로읍이 9.3%로 뒤를 잇고 있다. 이는 목포시의 인구가 남악신도시로 이동했음을 보여주는 불균형적인 인구구조이다. 삼향읍과 남악신도시 간 거리가 멀어 남악리에 삼향읍출장소가 설치되기도 했다.
'''무안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48]
연도 | 총인구 | 비고 |
---|---|---|
1960년 | 293,468명 | |
1966년 | 317,742명 | |
1967년 | 316,398명 | |
1968년 | 314,861명 | |
1969년 | 314,701명 | |
1970년 | 133,615명 | 감소사유: 무안군 관할 도서지역이 신안군으로 분군 |
1975년 | 128,991명 | |
1980년 | 117,730명 | |
1985년 | 104,963명 | |
1990년 | 92,691명 | |
1995년 | 76,727명 | |
2000년 | 71,058명 | |
2005년 | 62,453명 | |
2010년 | 72,688명 | |
2015년 | 81,807명 | |
2020년 | 81,144명 |
7. 문화·관광
무안은 일로읍에 위치한 무안연꽃축제(무안연꽃축제한국어)로 널리 알려져 있다.[8] 이 축제는 8월 중순, 회산백련지에서 백련이 만개할 때 열린다.[9] 관광객들은 물 위에 놓인 많은 다리를 통해 거대한 연꽃밭으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오리배'를 탈 수도 있다.
8. 교통
무안군은 다양한 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곳이다.
코레일의 호남선이 무안군을 지나가며, 무안역, 몽탄역, 일로역에서 여객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대불선은 일로역에서 분기한다. 그러나 KTX나 SRT는 무안군 내에 정차하지 않아, 고속열차를 이용하려면 목포역으로 가야 한다.[1]
서해안고속도로와 무안-광주고속도로가 무안군을 지나간다. 서해안고속도로에는 목포 나들목, 일로 나들목, 무안 나들목이 있으며, 무안-광주고속도로에는 무안공항 나들목과 망운 나들목이 있다.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77호선도 무안군을 경유한다.
무안국제공항에서는 국내선(제주)과 국제선(오이타, 후쿠오카, 상하이, 베이징, 시엠레압)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8. 1. 도로
무안군은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이 지나가며 서해안고속도로, 무안광주고속도로의 시점이다. 서울과 목포를 연결하는 서해안고속도로의 시점이며, 국도 제2호선 무영로를 통해 바로 남해고속도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무안국제공항과 광주광역시를 연결하는 무안광주고속도로도 있다.고속도로 |
---|
남해고속도로 (죽림 분기점 ↔ 남악 분기점) ↔ 서영암 나들목 |
무안광주고속도로 (무안공항 나들목 ↔ 북무안 나들목 ↔ 함평 분기점) |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목포 나들목) ↔ 죽림 분기점 ↔ 일로 나들목 ↔ 무안 나들목 ↔ 함평 분기점) |
국도로는 목포시부터 시작하는 국도 제1호선과 신안군으로부터 시작하는 국도 제2호선이 있다. 또한 신안 지도읍에서 시작하는 국도 제24호선도 지나간다. 국도 제1호선에 해당하는 영산로는 목포시내와 무안읍을 연결하는 주요 간선도로이다. 목포시내버스도 이 도로를 중심으로 다니고 있다. 국도 제2호선 무영로를 통해 영암군과 연결되며, 남해고속도로와 직결된다.
8. 2. 철도
대전조차장역부터 시작하여 목포역에서 끝나는 호남선이 무안군을 지나간다. 그렇지만 무안군에 있는 역은 이용객 수가 적어, 목포역으로 가서 기차를 타는 경우가 많다.[1]
무안역, 몽탄역, 일로역은 모두 여객 영업을 하는 역이지만, KTX나 SRT는 무안군 내에 정차하지 않는다.[1]
8. 3. 항공
무안군 망운면에는 광주광역시와 목포시의 항공 수요를 담당하는 무안국제공항이 있다.무안국제공항에서는 제주행 국내선과 일본 오이타행 직항편이 운항되고 있으며, 2019년 7월부터 후쿠오카 노선이 취항할 예정이다. 그 외에 상하이, 베이징행 국제선이 있으며, 기간 한정으로 캄보디아 시엠레압행 항공편도 운항된다.
9. 교육 기관
구분 | 기관명 | 소재지 |
---|---|---|
대학교 | 목포대학교 도림캠퍼스 | 청계면 |
초당대학교 | 무안읍 | |
한국폴리텍5대학 전남캠퍼스 | 청계면 | |
구분 | 기관명 | 소재지 |
고등학교 | 남악고등학교 | 삼향읍 |
무안고등학교 | 무안읍 | |
백제고등학교 | 무안읍 | |
전남예술고등학교 | 삼향읍 | |
전남체육고등학교 | 일로읍 | |
구분 | 기관명 | |
중학교 | 남악중학교 | |
망운중학교 | ||
무안몽탄중학교 | ||
무안북중학교 | ||
무안중학교 | ||
무안청계중학교 | ||
무안현경중학교 | ||
전남체육중학교 | ||
해제중학교 | ||
오룡중학교 | ||
무안행복중학교 | ||
구분 | 기관명 | |
초등학교 | 남악초등학교 | |
망운초등학교 | ||
몽탄초등학교 | ||
무안초등학교 | ||
오룡초등학교 | ||
무안행복초등학교 | ||
삼향동초등학교 | ||
삼향북초등학교 | ||
삼향초등학교 | ||
운남초등학교 | ||
일로동초등학교 | ||
일로초등학교 | ||
청계남초등학교 | ||
청계북초등학교 | ||
청계초등학교 | ||
해제남초등학교 | ||
해제초등학교 | ||
현경북초등학교 | ||
현경초등학교 |
10.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아카이브
Welcome to muan-gun
http://eng.muan.go.k[...]
2007-09-28
[3]
법률
Alteration of the districts of boundaries including cities and counties
1962-11-21
[4]
법률
Regulation concerning establishment of 35 eup(towns)
1980-10-21
[5]
웹사이트
Official page
[6]
뉴스
무안기업도시 한중국제산단 민간자본금 증액 ‘개발 탄력’
http://www.fnnews.co[...]
2008-01-11
[7]
웹사이트
꼼지락대는 생명을 잉태한 청정 갯벌, 무안갯벌
http://korean.visitk[...]
2018-06-06
[8]
웹사이트
Muan White Lotus Festival (무안연꽃축제) - Official Korea Tourism Organization
http://english.visit[...]
[9]
웹사이트
Hoesan White Lotus Pond in Muan (무안회산백련지) - Official Korea Tourism Organization
http://english.visit[...]
[10]
웹사이트
Official page of Muan
[11]
웹사이트
International Exchange
http://www.clair.or.[...]
Council of Local Authoritie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CLAIR)
2015-11-21
[12]
웹사이트
Denizli Metropolitan Municipality - Official Website
http://eng.denizli.b[...]
[1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4]
웹사이트
Muan Tidal Flat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8-01-14
[15]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6]
법률
道令第7号
1931-03-09
[17]
법률
지방자치단체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57-11-06
[18]
법률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19]
법률
신안군설치에관한법률
1968-12-31
[20]
법률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21]
법률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2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3]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4]
서적
함께 보는 한국근현대사
역사학 연구소
[25]
법률
전라남도령 제7호
1931-03-09
[26]
법률
전라남도령 제9호
1939-03-15
[27]
법률
지방자치단체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57-11-06
[28]
법률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29]
법률
신안군설치에관한법률
1968-12-31
[30]
법률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31]
법률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32]
웹사이트
무안군청 통계연보
http://www.muan.go.k[...]
[33]
뉴스
무안반도 통합 찬반 과열 '잡음'
https://news.naver.c[...]
[34]
뉴스
무안시승격 추진위 발족, "무안반도 통합 안돼"
https://news.naver.c[...]
[35]
뉴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newslibrary.n[...]
1998-03-04
[36]
뉴스
정치논리에 통합 물 건너간 ´광양만권-무안반도´
http://media.daum.ne[...]
[37]
뉴스
무안반도 통합 찬반 과열 '잡음'
http://media.daum.ne[...]
[38]
뉴스
무안군, 통합반대 단체 금품지원 의혹
http://www.siminsori[...]
[39]
뉴스
일부 단체장 공무원 동원, 행정구역 통합반대 운동
http://media.daum.ne[...]
[40]
뉴스
무안반도(목포·무안·신안) 통합 재점화
http://media.daum.ne[...]
[41]
뉴스
전남 동부권-무안반도 통합 '재점화'
http://media.daum.ne[...]
[42]
웹사이트
「시군구 통합관련 주민 여론조사」 실시계획
http://www.mokpo.go.[...]
[43]
뉴스
무안반도 통합대상 이르면 5월말 결정
http://www.muannews.[...]
[44]
뉴스
6번째 도전 '무안반도 통합' 또 좌절
http://media.daum.ne[...]
[45]
뉴스
정종득 시장 "무안반도 통합 재심의 요청" 반발
http://media.daum.ne[...]
[46]
뉴스
무안군 인구 전남 군단위 1위 등극
http://www.kwangju.c[...]
[47]
뉴스
무안군 인구 8만 명 돌파
http://news.newsway.[...]
[48]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49]
웹사이트
무안군 일본 기타나고야시 자매도시 결연
http://www.muan.go.k[...]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전남도청 인근 저수지서 30대 공무원 숨진 채 발견
테팔, 수해 피해 아동 가정에 4000만원 상당 생활가전 지원
[단독] 소비쿠폰 신청률 96%인데 남해는 83%, 왜?
부처별로 관리하던 국유지 묶어서…도심 공공주택 3.5만호 조기공급 추진
1조 5천억 규모 '에너지 저장 시설'…전남 7곳에 설치
‘전기 저축 은행’ 민간 에너지저장장치(ESS) 전남 7개 설치 사업 추진
3일 극한호우 때 함평에 1시간 147.5mm 쏟아져…역대 최강 폭우
보험개발원 “연이은 폭우, 중고차 매매 시 침수차량조회 필수”
일제 식민통치 증거 ‘무안 일본군 충혼비’ 행방 찾는다
'극한 호우' 남부 집중…1명 사망·3천여 명 대피
1시간에 142.1mm 쏟아져…전남 피해 신고 416건
밤새 '극한 호우'…1명 사망·3천여 명 대피
또 ‘200년에 한 번 올 폭우’ 왜…폭염에 불어난 수증기 영향
물길 트려다…무안서 60대 사망
온통 잠기자 "차 지금 못 가, 어떡해"…물길 돼버린 도로
'시간당 142.1mm' 폭우 휩쓸린 무안…무너진 삶의 터전
[8뉴스 예고] 남부에 '극한 호우'…전남 무안서 1명 사망
전국 곳곳에 밤사이 극한 호우…1명 사망·3천여 명 대피
같은 무안인데 최고 234mm, 최저 18.5mm…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