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스크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스크롱은 벨기에 에노주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정착지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중세 시대에는 플랑드르 백작의 지배를 받았으며, 14세기에는 투르네의 영주에게 매각되었다.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는 위그노 전쟁과 프랑스-네덜란드 전쟁의 영향을 받았으며, 섬유 산업의 발달로 경제적 성장을 이루었다. 19세기에는 면화 산업이 더해져 섬유 산업이 더욱 번성했으며, 20세기에는 제2차 세계 대전의 피해를 입고 프랑스어 사용 인구를 반영하여 에노주로 편입되었다. 현재 무스크롱은 7개의 지구로 나뉘며, 릴 광역 도시권과 연합을 이루고 있다. 매년 위를뤼 축제, 도티니의 손 축제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리며, 1960년대에는 지미 헨드릭스 등 유명 음악가들이 공연을 펼치기도 했다. 시청, 생 바르텔레미 교회, 샤토 데 콩트 등 주요 시설과 로열 엑셀 무스크롱 축구 클럽이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노주의 도시 - 샤를루아
샤를루아는 벨기에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산업 혁명 시기 중공업으로 번성했으나 쇠퇴를 겪고 경제 다변화를 위해 노력하며, 교통의 요지이자 문화 시설과 스포츠팀을 갖추고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에노주의 도시 - 투르네
투르네는 벨기에 왈롱 지역 에노 주에 위치한 스헬더 강변의 도시로, 로마 시대 군사 도시에서 프랑크 왕국의 수도를 거쳐 노트르담 대성당과 종탑 등 풍부한 문화유산을 가진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며, 직물 및 태피스트리 산업 중심지이자 현재 프랑스어권 문화 중심지이다. - 벨기에의 도시 - 안트베르펜
안트베르펜은 벨기에 플랑드르 지역의 스헬트 강 우안에 위치한 세계적인 항구 도시이자 다이아몬드 무역 중심지로, 오랜 역사 속에서 번영과 쇠퇴를 거듭하며 성장해 현재는 다양한 문화와 민족이 공존하는 국제적인 도시로서 풍부한 문화 유산과 활발한 경제 활동을 자랑한다. - 벨기에의 도시 - 디스트
디스트는 1499년부터 1795년까지 나사우 가문의 지배를 받은 벨기에 플랑드르 지역의 도시로, 필립 빌헬름의 묘소와 잘 보존된 성벽, 여러 역사적 건축물, 문화 시설로 활용되는 요새를 보유하고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다양한 유명 인물을 배출했다.
| 무스크롱 | |
|---|---|
| 지도 정보 | |
| 일반 정보 | |
![]() | |
| 네덜란드어 이름 | Moeskroen |
| 프랑스어 이름 | Mouscron |
| 지리 | |
| 지역 | 와롱 지역 |
| 공동체 | 프랑스어 공동체 |
| 주 | 에노 주 |
| 행정구 | 투르네-무스크롱 행정구 |
| 면적 | 40.08 제곱킬로미터 |
| 좌표 | 50°44′N 03°13′E |
| 인구 통계 | |
| 인구 | 54,651명 (2010년 1월 1일) |
| 인구 밀도 | 1,363.5 명/제곱킬로미터 |
| 정치 | |
| 시장 | 브리지트 오베르 (Les Engagés) |
| 다수당 | Les Engagés-MR |
| 기타 정보 | |
| 우편 번호 | 7700, 7711, 7712 |
| 전화 지역 번호 | 056 |
| NIS 코드 | 57096 |
| 웹사이트 | www.mouscron.be |
2. 역사
무스크롱의 역사는 고대 로마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지역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증거들은 당시 정착지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9세기에 도티니(Dottignies)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했고, 무스크롱이라는 이름은 1060년에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위그노 전쟁 중에는 성이 강화되었으나, 고이센에게 점령당했다가 탈환되기도 했다. 스페인 왕 펠리페 4세가 이 지역의 군주가 되기도 했으며, 루이 14세 시대에는 전쟁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이후 여러 조약을 거치며 프랑스와 남네덜란드 사이에서 영토가 바뀌었다. 18세기에 섬유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19세기에는 섬유 산업이 더욱 번성하며 면화가 주요 재료로 사용되었다. 프랑스 공화주의자 동조자 부대와 벨기에군 사이에 리스콩-투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도시가 크게 확장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영국군과 독일군 간의 전투가 벌어져 민간인 희생자도 발생했다.
전후, 1963년에는 프랑스어 사용 인구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서플란데른주에서 에노주로 행정 구역이 변경되었고, 1986년에는 도시로 승격되었다.
2. 1. 중세
이 지역에서는 몇몇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로마 시대에 정착지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무스크롱의 일부인 도티니 마을(Dottignies)의 이름은 9세기에 처음 등장했으며, 무스크롱의 이름은 1060년에 처음 등장했다. 1066년,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5세는 지역 건물과 영토를 릴의 생 피에르 교회 영지에 양도했다. 1149년, 무스크롱 지역의 십일조 징수 권한은 일부 투르네의 생 마르탱 수도원과 투르네 대성당에 양도되었다. 현재 무스크롱의 일부인 인근 마을인 에르소(Herseaux)와 뤼앵(Luingne)에 대한 권리 또한 1178년 투르네 대성당에 주어졌다. 14세기에는 무스크롱 영지가 결국 투르네의 영주에게 팔렸고, 1430년에는 백작의 성(Château des Comtes)이 영주의 저택이 되었으며, 현재에도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훗날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1516년 5월 27일 그곳에서 저녁 식사를 했다.
2. 2. 16세기 ~ 18세기
위그노 전쟁 중이던 1575년, 무스크롱에서는 성의 방어가 강화되었다. 1579년에 고이센에게 점령당했지만 3개월 만에 탈환했다. 1627년에는 스페인 왕 펠리페 4세가 군주가 되었다. 루이 14세가 일으킨 네덜란드 계승 전쟁은 이 곡창 지대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했다. 아헨 조약으로 주변 지역과 함께 프랑스령이 되었지만, 1678년 네이메헌 조약으로 일부 지역이, 1713년 위트레흐트 조약으로 전 지역이 남네덜란드에 편입되었다. 1760년대에 릴에서 아마와 양모의 합성 섬유인 몰턴 (Molleton) 생산이 금지되자, 규제를 피해 섬유 산업이 흥성했다. 1794년 플뢰뤼스 전투에서 프랑스령으로 돌아갔다.2. 3. 19세기 ~ 20세기
19세기 초, 섬유 산업이 번성하면서 면화를 주요 재료 중 하나로 추가했다. 1848년 3월 29일, 벨기에군은 벨기에 침공을 준비하던 프랑스 공화주의자 동조자 부대를 상대로 무스크롱 인근에서 개입했는데, 이는 리스콩-투 사건으로 알려졌다. 19세기 말까지 여러 면직 공장과 카펫 공장이 건설되면서,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이 마을은 훨씬 더 큰 도시 지역으로 확장되었다.제2차 세계 대전 중, 1940년 5월 22일부터 27일까지 리스콩-투 지역에서 영국군과 독일군이 포격전을 벌였다. 이 사건으로 영국군 15명, 독일군 10명, 민간인 5명이 사망했다.
1963년, 무스크롱은 주로 프랑스어 사용 인구(1846년 94%, 1947년 74%)를 반영하기 위해 서플란데른주에서 에노주로 이전되었다. 1986년에 공식적으로 도시로 인정받았다.
3. 지리
무스크롱은 시내(르 상트르), 기차역(라 가르), 몽-아-뢰, 투케, 리스콩-투, 누보-몽드, 코키니의 7개 지구로 나뉜다. 벨기에 지방 자치체 통합 이후 구 도티니, 뤼잉, 에르소 시를 포함한다. 무스크롱의 대도시권은 프랑스 릴 광역 도시권과 도시 연합을 형성하며, 왈롱, 프랑스, 플란데런 등 세 개의 서로 다른 행정 구역의 교차점에 위치해 있다. 무스크롱은 루베에서 9km, 코르트레이크에서 11km, 릴에서 23km, 투르네에서 25km 떨어져 있다. 이 도시는 1963년부터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에노 주에 속해 있으며, 그 결과 왈롱의 행정 구역에 속해 있다.
4. 문화
무스크롱에서는 매년 10월 첫 번째 주말에 열리는 위를뤼 축제, 9월 셋째 주말에 열리는 도티니의 손 축제, 매년 중앙 광장에서 열리는 크리스마스 마켓, 그리고 9월에 열리는 무스크롱 24시간 행사 등 다양한 축제와 행사가 열린다. 또한 1960년부터 1980년까지 무스크롱은 음악 산업이 활발했던 시기였다.
4. 1. 축제
- '''위를뤼 축제(Fête des Hurlus)'''는 매년 10월 첫 번째 주말에 열린다. 금요일 저녁, 도시 전역의 어린이들이 등불 행렬을 위해 중앙 광장에 모인다. 아이들은 팡파르, 음악가 및 기타 전통 단체와 함께 도시를 돌아다니며 전통 노래의 주요 구절을 부른다. 토요일에는 주민들이 시내를 돌아다니며 전통 단체, 마조레트, 행상, 음악가 및 장인을 보고 대규모 볼 경기 대회가 열린다. 그 후, 도시의 거리에서 역사적인 행렬이 시작된다. 이는 두 가지 주요 전설적인 사건, 즉 위를뤼에 의한 스페인 동맹 아딘스 신부의 납치와 스페인 지도자(돈 페란테 데 라 플란차 이 오트라스 바리오스)와 위를뤼 지도자 사이의 다섯 번의 재판에서의 싸움을 기반으로 한다. 위를뤼 지도자가 재연에서 승리하면 작은 위를뤼 인형이 군중에게 던져진다. 드럼과 트럼펫 소리에 맞춰 축제가 한창 진행되다가 일요일이 되면 중앙 광장의 높은 플랫폼에서 위를뤼 인형이 던져진다.
- 도티니의 '''손 축제(Fête de la Main)'''는 매년 9월 셋째 주말, 질로 구성된 단체가 마을 거리를 돌아다니며 통행인들에게 전통적인 오렌지를 나눠준다. 이 축제는 도티니 교회 첨탑 꼭대기에 있는 구리 손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이는 우정의 상징일 수 있다.
- 매년 '''"중앙 광장"'''에서 크리스마스 마켓이 열린다.
- 매년 9월에 '''무스크롱 24시간''' 행사가 열린다. 이 행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선 단체를 위한 기금 마련이다. 이 행사에는 24시간 동안 도시를 뛰어다니는 운동선수 그룹이 참여한다.
4. 2. 음악
1960년부터 1980년까지 무스크롱은 음악 산업이 활발했다.마르셀 드 쾨켈레르(Marcel De Keukeleire)와 장 반 로(Jean Van Loo)의 스튜디오는 쇼콜라(Chocolat's)(브라질리아 카니발(Brasilia Carnaval)), 패트릭 에르난데스(Born to Be Alive), 아메데오(Amadeo)(무빙 라이크 어 슈퍼스타(Moving Like A Superstar)), J. J. 라이오넬(치킨 댄스) 및 무스크롱 출신 사람들로 부분적으로 구성된 크레이지 호스(Crazy Horse) 밴드와 같은 유명한 유럽 아티스트들을 배출했다.
1967년, 지미 헨드릭스는 트웬티 클럽(Twenty club)에서 벨기에 유일의 콘서트를 열었다. 1960년대에 이 클럽에서 공연한 다른 아티스트로는 애니멀스, 스몰 페이시스, 더 킨크스, 야드버즈, 진 빈센트, 무디 블루스 등이 있다. 무디 블루스는 앨범 "Days of Future Passed"를 쓰기 위해 무스크롱에 머물렀다. 1978년, 그들의 노래 "탑 랭크 스위트(Top rank suite)"는 "그들은 무크론에서 축구를 잘했다(They played a good game of football in Mucron)"라는 문장으로 도시의 이름을 언급했다.
자크 브렐의 노래 "레 부르주아(Les Bourgeois)"는 도시의 카페 주인이었던 "아드리엔 뒤 몽-아-뢰(Adrienne du Mont-à-Leux)"의 이름을 언급한다.
5. 주요 시설 및 명소
- 시청과 메인 광장(Grand Place): 1890년에 개관했으며, 브뤼헤 출신의 건축가 르네 아임 부이크가 설계한 해양 플랑드르의 네오 고딕 양식 건물이다. 조화로운 비율과 조각의 섬세함이 돋보인다.
- 생 바르텔레미 교회
- 샤토 데 콩트 (Château des Comtes): 중세 시대의 성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부분은 15세기에 지어졌다. 6세기 동안 4개의 영주 가문이 거주했으며, 16세기에서 17세기에 지어진 부속 건물과 해자를 갖춘 안뜰이 남아 있다.
- 무스크롱 시민 공원: 1932년 페르낭 코크에 의해 개장되었다. 1930년대에 조성되었으며, 연못과 잘 다듬어진 녹지 공간이 있고, 지역 기후에서 재배할 수 있는 모든 식물 품종이 있다. 면적은 7ha이다.
- 피카르디 하우스(Maison Picarde): 1922년경에 지어졌으며, 2층 메인 홀을 장식하는 채색된 도기는 역사적 유물로 분류되었다. 사회주의, 노동, 권한 부여, 지식 및 가족의 가치를 찬양하는 목가적인 장면을 묘사하며, 쥘 비에스브루크의 스튜디오에서 제작되었다.
- 도시 재개발(La Rénovation urbaine): 1980년대 초, 대규모 재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옛 그린 광장은 개조되어 엠마누엘 드 네케레 광장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포장은 도시의 모토인 "거지의 주머니를 들고 다닐 때까지 왕에게 충성한다"를 묘사하고 있으며, 중앙에는 1987년에 지역 예술가 베르나르 베르하에가 제작한 분수가 있다.
- 올림픽 규격 수영장(Les dauphins)
- 문화 센터(Marius Staquet): 레이몽 드보스 극장, 앙드레 드메예르 강당, 자크 브렐 전시 홀의 3개 주요 시설이 있다.
- 전시 홀(Centr’expo): 전시회, 박람회 및 이벤트를 개최한다.
- 미술관: 옛 수영장에 설치됨
- 경기장(Cannonier): 10,830명의 관람객을 수용할 수 있다.
- 공공 도서관
- El 바 카페: 콘서트를 개최한다.
- 스튜디오 RQC (Radio qui chifel): 이 도시의 독립 라디오 방송국
6. 스포츠
로열 엑셀 무스크롱은 무스크롱을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팀이다.
7. 자매 도시
무스크롱은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8. 저명한 출신 인물
- 필리프 아담스 (Philippe Adams): 포뮬러 원 드라이버 (20세기)
- 부르공 브루카르 (Bourgon Broucard): 미국 텔레비전 저널리스트이자 작가인 톰 브로코 (Tom Brokaw)의 이민자 조상 (17세기)
- 엘리즈 크롬베 (Élise Crombez): 슈퍼모델 (20세기)
- 마르셀 드 쾨켈레이레|Marcel De Keukelaerenl: 아코디언 연주자 및 음악 프로듀서
- 레이몽 드보스 (Raymond Devos): 유머 작가 및 스탠드업 코미디언 (20세기)
- 레오나르 피에르 조제프 뒤 뷔 드 지시니 백작 (Viscount Leonard Pierre Joseph du Bus de Gisignies): 정치인 (19세기)
- 알퐁스 조제프 글로리외 (Alphonse Joseph Glorieux): 선교사 로마 가톨릭 주교 (19세기)
- 팡틴 아르두앙 (Fantine Harduin) (2005년 출생): 벨기에 배우 (21세기)
- 이본 위베르 (Yvonne Hubert): 피아니스트 및 교사 (19세기)
- 막심 레스티엔 (Maxime Lestienne): 스탕다르 리에주 (Standard Liège) 소속 축구 선수 (21세기)
- 루이-필리프 롱케 (Louis-Philippe Loncke): 탐험가 (20세기, 탐험가 클럽 회원)
- 스테드 말브랑크 (Steed Malbranque): 축구 선수 (20세기)
- 마르셀 마를리에 (Marcel Marlier) (1930–2011): 마르틴 삽화가, 만화가
- 자크 메르시에 (Jacques Mercier) (1943년 출생): TV 및 라디오 쇼 진행자, 작가
- 샤를르 스케팡스 (Charles Schepens): 안과의 (20세기)
- 프랑크 반덴브루케 (Frank Vandenbroucke) (1974–2009): 사이클 선수
- 앙드레 와니앵 (André Waignein) (1942–2015): 트럼펫 연주자 및 작곡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