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시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시류는 날개가 없는 원시적인 곤충을 지칭하는 분류군으로, 벼룩과 달리 날개가 진화 과정에서 사라진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없었다. 수컷은 정포를 배출하며, 미성숙 개체는 어른벌레와 유사하고, 탈피와 약충 단계를 거치지 않는 등 다른 곤충과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배 부분에 styli, 미엽, 꼬리마디를 가지고 있으며, 배아 발달 과정 중 양막의 개폐 여부는 종에 따라 다르다. 분류학적으로는 톡토기목, 낫발이목, 좀붙이목, 좀목을 포함했으나, 분지학적 연구를 통해 측계통군임이 밝혀져 현재는 돌좀목과 좀목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곤충 - 더듬이
더듬이는 절지동물, 유조동물, 엽족동물, 연체동물의 머리에 위치한 감각 기관으로, 접촉, 기류, 냄새, 미각 등을 감지하며, 분류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 곤충 - 좀목
좀목은 은색 광택과 물고기 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편평하고 길쭉한 형태의 곤충 목(目)으로, 곡물, 종이 등을 섭취하여 인간의 책이나 고문서를 훼손하기도 하지만 리그노셀룰로스 섭취 능력으로 바이오 연료 생산 연구에 활용되기도 한다. - 측계통군 - 맹금류
맹금류는 날카로운 발톱과 부리를 가진 사나운 새를 통칭하며,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로서 뛰어난 시력과 비행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수리, 매, 독수리, 올빼미 등이 대표적이고,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측계통군 - 돌고래
돌고래는 이빨고래류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의 총칭으로, 다양한 종이 존재하며 높은 지능과 사회성을 가지지만, 서식지 파괴, 환경 오염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무시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아문 | 육각아문 |
강 | 내악강, 곤충강 |
아강 | 무시아강 (Apterygota) |
아강 명명 | Brauer, 1885 |
하위 분류 | |
목 | 이시노미목 좀목 |
계통 분류 | |
육각아문 (Hexapoda) | 무시류 |
내악강 (Entognatha) | 측계통군일 가능성이 있음. |
결미아강 (Ellipura) | 톡토기목 (Collembola) 낫발이목 (Protura) |
쌍미아강 (Diplura) | 집게벌레붙이목 (Diplura) |
고악아강 (Archeognatha) | 이시노미목 |
결충하강 (Zygentoma) | 좀목 |
화석 기록 | |
화석 범위 | 데본기부터 현재까지 |
2. 특징
무시류는 날개가 없는 원시적인 곤충이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벼룩과 같이 날개가 없는 곤충들은 날개가 원래 있는 곤충에서 진화하면서 날개가 사라졌지만, 무시류는 날개가 생기기 전 고대의 곤충 목에서 갈라져 나왔다. 무시류는 높은 곳에서 활공할 수 있는데, 연구자들은 이를 날개 달린 곤충들이 동력을 가지고 나는 행동의 진화적 토대가 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4]
또한 무시류는 다른 곤충들과는 다른 원시적인 특징이 많다.
2. 1. 형태적 특징
벼룩과 같이 일부 곤충들은 날개가 있는 곤충에서 진화하면서 날개가 사라졌지만, 무시류는 날개가 아직 생기기 전 고대의 곤충 목에서 갈라져 나온 종들이다. 무시류는 배 부분에 작고 갈라지지 않은 부속기관인 'styli'가 달려있는데, 이 기관은 이동에는 아무 역할을 하지 않는다. 배 부분에는 한 쌍의 Cercus|미엽영어과 하나의 꼬리마디(telson) 혹은 'caudal filament'라 불리는 기관이 있다.[15] 높은 곳에서 활공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날개 달린 곤충들의 동력을 가지고 나는 행동의 진화적 토대가 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14]2. 2. 생식 및 발생 특징
수컷은 짝짓기 중 체내 수정이 아닌 정포(Spermatophore)를 배출한다. 알에서 부화한 미성숙 개체는 어른벌레와 유사하게 생겼고, 특별한 탈피 과정을 거치지 않으며, 님프 단계 또한 분명하지 않다. 무시류는 생식 능력을 얻을 때까지 탈피를 여러 번 하고, 여러 영(齡)을 거친다.[15][6]유시류(날개 달린 곤충)는 배아 발달 과정 중 양막이 닫혀있지만, 무시류는 곤충 종에 따라 다르다. 돌좀목 종들은 양막이 닫히지 않아있고, Trigoniophthalmus는 아예 양막이 없다. 좀목의 경우 Thermobia domestica와 Lepisma saccharina와 같은 종은 양막구멍(amnipore)라는 작은 관을 통해 양막이 열려있지만, Ctenolpisma lineata와 같은 다른 종은 양막이 닫혀있다.[16][7]
3. 분류 역사
무시류의 분류와 구성은 시간이 지나며 달라졌다. 20세기 중반에는 톡토기목, 낫발이목, 좀붙이목, 좀목과 같이 4개 목을 하위 분류하였다. 분지학 방법이 더욱 엄격해지고 이 하위 분류는 사실 측계통군이었음이 밝혀졌다. 앞에서 말한 첫 세 목은 단계통군인 내구강에 속하게 되었고 좀목은 유시류에 더 가깝다고 분류되기 시작했다. 이 좀목과 유시류가 측계통군임을 보여준 가장 주요한 공유파생형질은 내구강, 다지류, 갑각류 등 생물의 더듬이를 연결하는 더듬이 내재근이 없다는 사실이었다. 따라서 더듬이 근육이 없다는 뜻인 'Amyocerata'라는 분류가 사용되기도 했다.
하지만 오늘날 좀목은 돌좀목 보다는 유지류 곤충에 더욱 유사하다고 여겨진다.[13] 따라서 더듬이 근육이 없는 무시류는 더욱 더 측계통군으로 간주되고 좀류는 두 다른 단계통군으로 분류된다.
4. 하위 분류
참조
[1]
서적
Introduction to Insect Biology and Diversity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Apterygota
http://www.marinespe[...]
2019-01-22
[3]
웹사이트
Subclass Apterygota Brauer 1885 (insect)
https://paleobiodb.o[...]
2021-12-17
[4]
논문
Head morphology of ''Tricholepidion gertschi'' indicates monophyletic Zygentoma
[5]
저널
Gliding hexapods and the origins of insect aerial behaviour
[6]
서적
Introduction to Insect Biology and Diversity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Insect Metamorphosis: From Natural History to Regulation of Development and Evolution
https://books.google[...]
[8]
간행물
理科年表 平成28年
[9]
문서
側系統群の可能性あり。
[10]
웹인용
Subclass Apterygota Brauer 1885 (insect)
http://fossilworks.o[...]
2021-03-26
[11]
웹사이트
Apterygota
http://www.marinespe[...]
2019-01-22
[12]
서적
Introduction to Insect Biology and Diversit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3]
논문
Head morphology of ''Tricholepidion gertschi'' indicates monophyletic Zygentoma
[14]
저널
Gliding hexapods and the origins of insect aerial behaviour
[15]
서적
Introduction to Insect Biology and Diversity
https://archive.org/[...]
[16]
서적
Insect Metamorphosis: From Natural History to Regulation of Development and Evolution
https://books.google[...]
[17]
웹사이트
Apterygota
http://www.marinespe[...]
2019-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