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좀목(Zygentoma)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곤충강에 속하는 무시류 곤충의 한 분류군이다. 은색 비늘과 물고기 같은 움직임 때문에 영어로 silverfish 등으로 불리며, 한국에서는 좀벌레로 널리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종은 몸길이가 1~2cm이며, 습하거나 건조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유기물, 곡물, 종이 등을 섭취한다. 일부 종은 개미와 공생 관계를 맺기도 하며, 정교한 구애 의식을 통해 번식한다. 좀은 책이나 고문서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으며, 바이오 연료 생산 연구에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좀과 - 양좀
몸길이 약 1cm의 작은 곤충인 양좀은 은색 비늘로 덮여 금속성 광택을 띠고 3개의 꼬리를 가졌으며, 덱스트린, 녹말, 셀룰로스 등 다양한 유기물을 섭취하여 책, 종이, 의류 등을 갉아먹는 가정 해충으로 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불완전 변태를 한다. - 곤충 - 더듬이
더듬이는 절지동물, 유조동물, 엽족동물, 연체동물의 머리에 위치한 감각 기관으로, 접촉, 기류, 냄새, 미각 등을 감지하며, 분류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 곤충 - 매미나방
매미나방은 털매미나방이라고도 불리는 매미나방아과 나방으로 암수 외형이 뚜렷이 다르고 유충은 다양한 식물의 잎을 갉아먹는 해충이며 북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과거 '집시나방'으로 불렸으나 인종차별 논란으로 현재는 spongy moth로 명칭이 변경되어 대한민국에서는 매미나방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좀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생태 및 생활사 | |
서식지 | 주택 내부 (특히 습한 장소) 야외의 낙엽이나 나무껍질 아래 |
먹이 | 전분 종이 섬유 죽은 곤충 곰팡이 |
생활사 | 불완전 변태 여러 번의 탈피를 거쳐 성충이 됨 |
계통 분류 | |
자매군 | 유시아강 (Pterygota) |
연구 | |
두부 형태 연구 | Tricholepidion gertschi의 두부 형태 연구를 통해 좀목이 단일 계통군임을 시사한다. |
참고 문헌 | |
기타 정보 |
2. 명칭과 어원
좀목(Zygentoma)이라는 명칭은 그리스어 ζυγόν (zygón, 다리/멍에)과 ἔντομα (éntoma, 곤충)의 합성어이다.[43] 이 분류군이 유시류와 무시류 사이의 개념 연결고리를 형성한다는 아이디어에서 비롯되었으나,[7] 현재는 이 견해가 완전히 구식이 되었다.[43][6] 19세기 말엽에서 20세기 초 사이는 곤충의 분기도 연구가 막 시작된 단계였고, 좀목의 학술적 명칭은 보다 정교하게 바라볼 수 있는 시기에 이르러서야 제대로 확립되었다.
대부분의 현생종은 몸길이가 1~2 cm 정도이나, 석탄기 화석 중에는 6 cm에 달하는 것도 있다.[44] 몸은 등배쪽으로 납작하고 길쭉한 타원형이며, 가늘고 움직임이 좋은 더듬이를 가지고 있다. 겹눈은 작거나 Nicoletiidae 과와 Protrinemuridae 과, 그리고 일부 동굴성 생활을 하는 종들의 경우처럼 퇴화했거나 없는 경우도 있다. 좀과는 머리 양쪽에 낱눈 12개가 모여서 만들어진 겹눈이 있다.[45] 홑눈은 Lepidotrichidae 과의 유일 구성종인 ''Tricholepidion gertschi''를 제외하고는 모든 종에게서 나타나지 않는다.[46]
영어로는 'silverfish', 'fishmoth', 'firebrat' 등으로 불리는데, 'silverfish'와 'fishmoth'는 은색 비늘과 물고기 같은 움직임에서 유래했다.[43] 'firebrat'은 고온에서 번식하는 얼룩좀의 습성에서 왔다. 대한민국에서는 예로부터 '벽어(壁魚)', '의어(衣魚)' 등으로 불렸으며, 현대에는 '좀벌레'라는 이름으로 널리 불린다.
3. 특징 및 생태
''Tricholepidion 속'', Nicoletiidae 과 및 Protrinemuridae 과의 경우, 제2~9배마디에 첨지(stylus/styli)라고 하는 8쌍의 매우 짧고 퇴화한 부속지가 달려 있다. 하지만 Lepismatidae 과의 경우, 첨지는 제7~9 또는 제8~9배마디에서만 발견되며 때로는 제9배마디에서만 발견된다.[47][48][49] 첨지가 퇴화해서 아예 없는 경우도 있다.[50] 좀목에게서 드러나는 특징은 마지막 배마디 끝에서 방사 형태로 돋아나 있는 3개의 긴 꼬리 모양의 구조물들이다. 이 꼬리 구조물들은 보통 Nicoletiidae 과의 일부 종들을 제외한다면 각 꼬리들 간 길이의 길고 짧음의 구분이 어렵다. 꼬리 구조물 바깥의 1쌍은 꼬리털이고, 중앙의 구조물은 꼬리실이다.
좀은 습하거나 건조한 환경 모두에서 서식하며, 독립 생활 또는 군집 생활을 한다.[54] 주거 공간에서는 곡물, 종이, 풀, 옷감, 레이온 직물, 말린 고기 등을 먹고,[51] 자연에서는 유기물 파편을 섭취한다.[52] 발에 욕반처럼 매끄러운 표면에서도 잘 달라붙을 수 있는 기관이 없어 매끈한 표면에서 떨어지면 갇히게 되기 때문에, 밤에 욕조나 싱크대에서 가끔 발견되기도 한다.
야생종은 종종 동굴이나 바위 밑과 같이 어둡고 습한 서식 환경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일부 종은 개미와 편리 공생 관계를 맺기도 한다. (예: ''Trichatelura manni''[53] 및 브라질의 열마디개미속 개미 군락에서 서식하는 ''Allotrichotriura saevissima''[54]).
현재 공식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은 없으나, 일부 종들이 하나 이상의 동굴 또는 동굴계에 서식지가 국한된 동굴성 생물이며, 이런 경우 해당 종의 멸종 위험도가 매우 높아진다.
3. 1. 응집 행동
과거에는 접촉페로몬이 좀목 곤충의 응집 및 정지 행동을 유발한다고 알려졌다.[55][19]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응집 행동은 페로몬이 아닌 내생균인 ''Mycotypha microsporala'' (털곰팡이목)과 내생세균인 ''Enterobacter cloacaela'' (장내세균과)에 의해 일어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56][20] 이 두 생물 종은 모두 얼룩좀(''Thermobia Domesticala'')의 배설물에 존재한다.[56]
얼룩좀은 D-글루코스 성분을 기반으로 하는 다당류의 외부 글리코칼릭스를 통해 ''E. cloacae''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57] ''M. microspora''는 셀룰로스가 있을 때 얼룩좀에게서만 검출되는데, 이는 ''M. microspora''가 발산하는 셀룰로스 소화 효소에 분해된 대사산물(예: D-포도당)이 응집 및 정지 신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57][21] 회색 좀붙이(''Ctenolepisma longicaudatumla'')도 ''M. microspora''에 대해 반응하지만, 양좀(''Lepisma saccharinumla'')에게서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다.[58][22]
정적 전자기장을 갖춘 직류식 저단계 전자기 코일이 양좀 및 얼룩좀을 유인하거나 정지시키는 행동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59][23] 이러한 행동 특성은 좀목 방제에 활용될 수 있으며, 관련 특허가 출원되었다.[24]
4. 분류
- '''좀목(Zygentoma)''' Börner 1904[60]
- * '''구좀아목(Archizygentoma)''' Engel 2006
- ** 트리콜레피드과(Tricholepidiidae) Engel 2006
- * '''신좀아목(Neozygentoma)''' Engel 2006
- ** '''† 다좀하목(Parazygentoma)''' Engel 2006
† 레피도트리키드과(Lepidotrichidae) Silvestri 1913
- ** '''범좀하목(Euzygentoma)''' Grimaldi & Engel 2005
마인드로니드과(Maindroniidae) Escherich 1905
좀과(Lepismatidae) Latreille 1802
프로트리네무리드과(Protrinemuridae) Mendes 1988
니콜레티드과(Nicoletiidae) Escherich 1905
트리콜레피드과는 북부 캘리포니아 삼림에 서식하는 ''Tricholepidion gertschi''가 대표적인 종이다.
레피도트리키드과는 발트해 산지 호박에서 출토되는 화석종인 ''Lepidotrix pilifera''가 대표적이다.
좀과는 가장 많은 종을 가진 분류군이며 좀벌레 중에서 가장 큰 종들도 이 과에 포함된다. 좀과는 200종이 넘는 전지구적인 범위를 가진 과이다. 많은 종들이 사람의 거주 공간에서 서식하는 것을 선호하며 일부 종은 개미 군락에서 몰래 살아간다.
니콜레티드과는 더 작고 색깔이 옅은 경향이 있으며 종종 토양 깔짚, 부엽토, 돌이나 바위 밑, 동굴에서 사는데, 이 때 눈은 퇴화해 축소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는 개미나 흰개미의 군락에서 편리 공생을 하며 살아간다. 과는 5개의 하위 아과로 나누어진다.[61]
마인드로니드과는 중동과 칠레에서 발견된세 종으로 구성된다.
프로트리네무리드과는 4개 속으로 구성된다.[62] 동굴 서식성 니콜레티드과 종처럼 눈이 퇴화해 소실되었다.[63]
일부 분자학적 계통발생도에서는 트리콜레피드과가 다른 좀목 곤충들과 연관이 없는, 따로 떨어져 있고 보다 더 초기에 가까운 곤충 분기를 형성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64]
4. 1. 진화사
좀목의 화석 기록은 드물지만, 레베르훌미아(Leverhulmia) 화석 절지동물이 그 예시라면 석탄기 또는 데본기 동안 다른 곤충들과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65][66][30][31] 이 목에서 가장 오래된 화석은 약 1억 1,300만 년 전 백악기 초기 압트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브라질 산타나 층 출신의 좀과 화석은 불확실한 표본이며, 미얀마의 버마 호박에서 나온 좀과의 또 다른 표본은 약 1억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65][66][30][31] 니콜레티드과의 화석은 마이오세의 도미니카 호박으로 유명하다[66][31]5. 생식
수컷 좀은 정자 전달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정교한 구애 의식을 행한다. 수컷은 기질에서 수직으로 된 물체 사이에 실을 뽑아 그 아래에 정포를 놓는다. 이후 암컷이 실 아래로 지나가도록 유도하여 암컷의 꼬리털이 실에 닿으면 암컷이 생식공으로 정포를 집어 올리도록 한다.[67][68][14][32] 정포 속 정자는 암컷의 생식기 안으로 방출되며, 이후 암컷은 비어있는 정포를 떼어내어 먹는다.
좀은 무변태류 곤충으로, 유시아강 곤충들과는 달리 성체가 된 후에도 계속 탈피한다.[67][68] 성장 속도는 느리지만 수명은 4~8년 정도로 곤충 중에서는 긴 편이다.[67][68][14][32]
6. 인간과의 관계
6. 1. 피해
좀은 책이나 고문서 등을 갉아먹어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37] 특히 풀칠된 종이를 좋아하며, 책 표지나 족자 등의 표면을 핥듯이 갉아먹는다.[37] 하지만, 얼룩 등에 의한 피해는 표면을 얕게 갉아먹는 특징이 있으며, 구멍을 뚫고 먹지는 않는다.[37] 책이나 고문서, 족자 등의 표면에 지름 1mm 정도의 구멍을 뚫고 파고들어 피해를 주는 것은 시반무시류의 피해 특징이다.[37]6. 2. 바이오 연료 생산 연구
좀벌레는 나무에서 추출되는 리그노셀룰로스를 섭취한다는 특성 때문에 흰개미, 식식성 바퀴벌레, 잎벌 등과 함께 바이오 연료 생산에 사용하고자 연구하고 있는 곤충 유형 중 하나이다.[69] 이러한 곤충들의 내장은 화학 처리 공정이 셀룰로스를 분해하는 듯한 천연 생물반응로 역할을 한다.[69] 좀은 나무에 있는 리그노셀룰로스를 섭취하기 때문에, 현재 바이오연료 생산에 이용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는 곤충의 한 종류이다.[33] (흰개미, 나무를 먹는 바퀴벌레, 나무벌레 등과 함께). 이러한 곤충의 장은 셀룰로스를 분해하는 화학적 과정이 일어나는 자연적인 생물반응기 역할을 한다.[33] 이 때문에 상업적으로 비용 효율적인 바이오 연료 생산 공정을 개발하고자 하는 희망으로 연구된 것이다.[69]6. 3. 문화
좀은 여름을 상징하는 계절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책벌레를 빗대어 세상 물정 모르는 학자를 비웃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우월몽(雨月物語) 「빈복론」에는 "紙魚(시교)의 말에도 근거 없는 것은 아니다(책벌레들이 하는 말에도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다)"라는 표현이 있다.문학 작품에도 종종 등장한다. 코바야시 잇사의 하이쿠 『도망치는구나 좀 속에도 어미와 자식이』, 무라사키 시키부의 겐지 이야기 「다리 공주」, 데구네 타츠로의 「주인」(『御書物同心日記』 수록), 시부사와 료이치의 「글자를 먹는 벌레에 관하여」(『드라코니아 기담집』 수록) 등이 있다. 도쿄 소겐샤에서 발행하는 문예 잡지 좀의 수첩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ørstehaler Zygentoma
https://artsdatabank[...]
Naturhistorisk museum, University of Oslo
2020-01-07
[2]
서적
Contemporary Insect Diagnostics: The Art and Science of Practical Entom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4-10-27
[3]
서적
Imms' General Textbook of Entomology: Volume 1: Structure, Physiology and Development Volume 2: Classification and Biology
Springer
[4]
학술지
Head morphology of ''Tricholepidion gertschi'' indicates monophyletic Zygentoma
[5]
서적
The Insects: An Outline of Entomology
https://www.wiley.co[...]
John Wiley & Sons
2014-11-03
[6]
서적
An Intermediate Greek-English Lexicon: Based on the 7th Ed of Liddell & Scott's Lexicon.
https://books.google[...]
[7]
학술지
Zur Systematik der Hexapoden
https://archive.org/[...]
[8]
웹사이트
The first report of the family Protrinemuridae and Neoasterolepisma priesneri (Stach, 1946) (Insecta: Zygentoma) for Iran
https://dergipark.or[...]
[9]
서적
Entomology
https://books.google[...]
[10]
서적
Multicellular Animals: Volume II: The Phylogenetic System of the Metazoa
https://books.google[...]
[11]
서적
The Insects: Structure and Function
https://books.google[...]
[12]
웹사이트
The Australian silverfish fauna (Order Zygentoma) – abundant, diverse, ancient and largely ignored
https://www.entsocns[...]
[13]
웹사이트
The genus Mormisma Silvestri (Thysanura: Lepismatidae) in the Namib desert
http://the-eis.com/e[...]
[14]
서적
Introduction to Insect Biology and Diversity,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15]
학술지
New Nicoletiidae (Zygentoma: Insecta) from Brazil living in fire-ant (Hymenoptera: Insecta) nests
http://www.scielo.br[...]
[16]
웹사이트
Silverfish
http://www.ext.vt.ed[...]
[17]
웹사이트
Thysanura - Silverfishes, Firebrats, Common bristletails, Zygentoma, Silverfish
http://www.discoverl[...]
Discover Life
2022-08-03
[18]
학술지
Reproductive morphology and behavior of a thysanuran, ''Trichatelura manni'', associated with army ants
[19]
학술지
Pheromone-based arrestment behavior in the common silverfish, ''Lepisma saccharina'', and giant silverfish, ''Ctenolepisma longicaudata''
2007
[20]
학술지
Firebrats, ''Thermobia domestica'', aggregate in response to the microbes ''Enterobacter cloacae'' and ''Mycotypha microspora''
2013
[21]
학술지
How firebrats (Thysanura: Lepismatidae) detect and nutritionally benefit from their microbial symbionts ''Enterobacter cloacae'' and ''Mycotypha microspora''
2013
[22]
학술지
Fungal symbiont of firebrats (Thysanura) induces arrestment behaviour of firebrats and giant silverfish but not common silverfish
2013
[23]
학술지
Behavioural responses of diverse insect groups to electric stimuli
2013
[24]
보고서
US Patent Application for Application #20070107297: Use of electromagnetic fields to affect insect movement
https://patents.just[...]
2006-11-06
[25]
웹사이트
Order Zygentoma (silverfish)
https://paleobiodb.o[...]
The Paleobiology Database
2020-11-26
[26]
학술지
New Nicoletiidae (Zygentoma: Insecta) from Brazil living in fire-ant (Hymenoptera: Insecta) nests
2009
[27]
학술지
New species and new data on Protrinemuridae and Nicoletiidae (Zygentoma) from Eastern Asia and Pacific islands
2002
[28]
학술지
The first report of the family Protrinemuridae and ''Neoasterolepisma priesneri'' (Stach, 1946) (Insecta: Zygentoma) for Iran
2015
[29]
학술지
The mitogenome of the jumping bristletail Trigoniophthalmus alternatus (Insecta, Microcoryphia) and the phylogeny of insect early-divergent lineages
2019-07-03
[30]
학술지
A new fossil silverfish (Zygentoma: Insecta) in Mesozoic Burmese amber
http://dx.doi.org/10[...]
2008-09
[31]
간행물
New data on thysanurans preserved in Burmese amber (Microcoryphia and Zygentoma Insecta)
[32]
학술지
The biology of the silverfish, ''Ctenolepisma longicaudata'' Esch.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its feeding habits
https://www.biodiver[...]
1940
[33]
학술지
Exploring and integrating cellulolytic systems of insects to advance biofuel technology
2010
[34]
학술지
An Insect Molecular Clock Dates the Origin of the Insects and Accords with Palaeontological and Biogeographic Landmarks
[35]
학술지
A molecular phylogeny of Hexapoda
https://doi.org/10.3[...]
Senckenberg Gesellschaft für Naturforschung
[36]
웹사이트
昆虫の起源と進化を明らかにする
http://www.brh.co.jp[...]
[37]
저널
<昆虫学講座(後編)>文化財の材質からみた主要害虫
https://www.bunchuke[...]
[38]
서적
雨月物語 下 全訳注
講談社学術文庫
[39]
웹사이트
Børstehaler Zygentoma
https://artsdatabank[...]
Naturhistorisk museum, University of Oslo
2020-01-07
[40]
서적
Contemporary Insect Diagnostics: The Art and Science of Practical Entom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4-10-27
[41]
서적
Imms' General Textbook of Entomology: Volume 1: Structure, Physiology and Development Volume 2: Classification and Biology
Springer
[42]
저널
Head morphology of ''Tricholepidion gertschi'' indicates monophyletic Zygentoma
[43]
서적
An Intermediate Greek-English Lexicon: Based on the 7th Ed of Liddell & Scott's Lexicon.
https://books.google[...]
[44]
서적
The Insects: An Outline of Entomology
https://www.wiley.co[...]
John Wiley & Sons
2014-11-03
[45]
웹사이트
The first report of the family Protrinemuridae and Neoasterolepisma priesneri (Stach, 1946) (Insecta: Zygentoma) for Iran
https://dergipark.or[...]
[46]
서적
Entomology
https://books.google[...]
[47]
서적
Multicellular Animals: Volume II: The Phylogenetic System of the Metazoa
https://books.google[...]
[48]
서적
The Insects: Structure and Function
https://books.google[...]
[49]
웹사이트
The Australian silverfish fauna (Order Zygentoma) – abundant, diverse, ancient and largely ignored
https://www.entsocns[...]
[50]
웹사이트
The genus Mormisma Silvestri (Thysanura: Lepismatidae) in the Namib desert
http://the-eis.com/e[...]
[51]
웹인용
Silverfish
http://www.ext.vt.ed[...]
2024-02-28
[52]
웹인용
Thysanura - Silverfishes, Firebrats, Common bristletails, Zygentoma, Silverfish
http://www.discoverl[...]
Discover Life
2022-08-03
[53]
저널
Reproductive morphology and behavior of a thysanuran, ''Trichatelura manni'', associated with army ants
[54]
저널
New Nicoletiidae (Zygentoma: Insecta) from Brazil living in fire-ant (Hymenoptera: Insecta) nests
http://www.scielo.br[...]
[55]
저널
Pheromone-based arrestment behavior in the common silverfish, ''Lepisma saccharina'', and giant silverfish, ''Ctenolepisma longicaudata''
2007
[56]
저널
Firebrats, ''Thermobia domestica'', aggregate in response to the microbes ''Enterobacter cloacae'' and ''Mycotypha microspora''
2013a
[57]
저널
How firebrats (Thysanura: Lepismatidae) detect and nutritionally benefit from their microbial symbionts ''Enterobacter cloacae'' and ''Mycotypha microspora''
2013c
[58]
저널
Fungal symbiont of firebrats (Thysanura) induces arrestment behaviour of firebrats and giant silverfish but not common silverfish
2013b
[59]
저널
Behavioural responses of diverse insect groups to electric stimuli
2013
[60]
웹인용
Order Zygentoma (silverfish)
https://paleobiodb.o[...]
The Paleobiology Database
2020-11-26
[61]
저널
New Nicoletiidae (Zygentoma: Insecta) from Brazil living in fire-ant (Hymenoptera: Insecta) nests
2009
[62]
저널
New species and new data on Protrinemuridae and Nicoletiidae (Zygentoma) from Eastern Asia and Pacific islands
2002
[63]
저널
The first report of the family Protrinemuridae and ''Neoasterolepisma priesneri'' (Stach, 1946) (Insecta: Zygentoma) for Iran
2015
[64]
저널
The mitogenome of the jumping bristletail Trigoniophthalmus alternatus (Insecta, Microcoryphia) and the phylogeny of insect early-divergent lineages
2019-07-03
[65]
저널
A new fossil silverfish (Zygentoma: Insecta) in Mesozoic Burmese amber
http://dx.doi.org/10[...]
2008-09
[66]
저널
New data on thysanurans preserved in Burmese amber (Microcoryphia and Zygentoma Insecta)
[67]
서적
Introduction to Insect Biology and Diversity, 2nd e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8]
저널
The biology of the silverfish, ''Ctenolepisma longicaudata'' Esch.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its feeding habits
https://www.biodiver[...]
1940
[69]
저널
Exploring and integrating cellulolytic systems of insects to advance biofuel technology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