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묵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묵공은 기원전 370년 전국 시대를 배경으로 조나라의 침략에 맞서 양성을 지키기 위한 묵가 철학자 혁리의 활약을 그린 영화이다. 혁리는 뛰어난 지략과 묵가의 방어 기술로 조나라 군대에 맞서지만, 양나라 왕과 귀족들의 질투와 음모로 배신당한다. 영화는 혁리와 조나라 장군 항엄중의 갈등과 화해, 그리고 혁리가 사랑하는 여인 일열의 죽음을 통해 묵가 사상과 영화적 주제를 보여준다. 2006년에 개봉되었으며, 한국 배우 안성기와 최시원이 출연하여 한국과 중국 간 문화 교류의 사례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추 전국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킹덤4: 대장군의 귀환
    하라 야스히사의 만화 《킹덤》을 원작으로 사토 신스케 감독, 야마자키 켄토 주연의 일본 영화 《킹덤4: 대장군의 귀환》은 ONE OK ROCK이 주제가를 불렀고 도호와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재팬이 배급을 맡았다.
  • 춘추 전국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킹덤3: 운명의 불꽃
    《킹덤3: 운명의 불꽃》은 하라 야스히사의 만화 《킹덤》을 원작으로 사토 신스케가 감독하고 야마자키 켄토, 요시자와 료, 하시모토 칸나, 세이노 나나 등이 출연하며 쿠로이와 츠토무와 하라 야스히사가 각본을, 야마다 유타카가 음악을, 우타다 히카루가 주제가를 담당하고 도호와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재팬이 배급을 맡은 일본 영화이다.
  • 한중일 - 동아시아 정상회의
    동아시아 정상회의(EAS)는 아세안 10개국과 주변 국가들이 참여하는 연례 회의로, 경제 협력 및 지역 안보 현안을 논의하며 동아시아 공동체 구축을 목표로 하지만, 회원국 간 이해관계 및 협력 구도의 복잡성으로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 한중일 - 동아시아
    동아시아는 중국, 일본, 한국, 몽골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정의가 다양하며, 지리적으로 복잡한 지형과 다양한 기후대를 가지고 있고, 역사적으로 문화 교류가 활발했으나 근대에는 갈등을 겪었으며, 현재는 경제적 통합과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 중국의 역사 영화 - 붉은 수수밭
    《붉은 수수밭》은 중일 전쟁 시기 중국 산둥성의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일본군의 침략에 맞서 싸우는 여인의 삶을 그린 영화로, 붉은색의 강렬한 영상미와 민중의 저항 정신을 표현하여 국제적인 호평을 받았다.
  • 중국의 역사 영화 - 야연
    2006년 펑샤오강 감독이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각색하여 당나라 말기의 궁중 암투와 복수를 그린 영화 야연은 장쯔이, 거유, 오언조, 주신, 황효명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했으며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퓨처 필름 페스티벌 디지털 상을 수상했다.
묵공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공식 포스터
원어 제목묵공 (墨攻)
로마자 표기Mo Gong
감독장지량
제작장지량
서소명
황젠신
이세키 사토루
왕중레이
이주익
톰 청
요시츠루 요시미츠
각본장지량
당자준 (Neon Tang Tsz Chun)
진천남 (Chun Tin-nam)
리수싱 (Li Shuxing)
원작사케미 겐이치
모리 히데키
출연류더화
안성기
왕즈원
판빙빙
오기륭
최시원
음악가와이 겐지
촬영요시타카 사카모토
고바야시 겐
아디 람
편집광치량 (Kwong Chi-leung)
제작사선드림 모션 픽처스
화이브라더스 픽처스
Hark & Co.
포르티시모 필름스
보람 엔터테인먼트
큐비컬 엔터테인먼트
배급사에드코 필름스 (홍콩)
중국 영화 그룹 (중국)
쇼치쿠 (일본)
CJ 엔터테인먼트 (대한민국)
개봉일2006년 11월 23일
상영 시간133분
제작 국가홍콩
중국
일본
대한민국
언어표준 중국어
흥행 수익미화 1780만 달러
영화 정보 (한국)
감독장지량
출연류더화
안성기
판빙빙
최시원
왕즈원
오기륭
음악가와이 겐지
촬영사카모토 요시타카
개봉일2007년 1월 10일
원작묵공

2. 줄거리

기원전 370년, 전국 시대 중국. 조나라 대군이 연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진격하는 도중, 조나라와 연나라 국경에 위치한 양성이 위기에 처한다. 양나라 왕은 평화 회담을 추진하려 하지만, 묵가 철학자 혁리(革離)가 양성을 지키기 위해 파견된다. 혁리는 뛰어난 지략과 묵가 특유의 방어 기술을 활용하여 조나라 군대에 맞서 싸운다.[1]

하지만 혁리의 성공은 양나라 왕과 귀족들의 질투와 견제를 불러일으킨다. 혁리는 양나라 왕에게 전쟁을 일으키고 왕위를 찬탈하려 한다는 누명을 쓰고 쫓겨난다. 혁리가 떠난 후 조나라 군대가 다시 양성을 공격하고, 양나라는 함락 직전의 상황에 놓인다.[1]

결국 혁리는 양나라 백성을 구하기 위해 다시 양성으로 돌아온다. 양나라 백성들은 지원군이 도착한 것을 보고 조나라에 대항하여 봉기를 일으키고, 조나라 군대를 물리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혁리는 사랑하는 여인 의열(逸悅)을 잃는다.[1]

영화가 끝날 무렵, 혁리는 몇몇 고아들과 함께 여러 전쟁 국가들 사이의 평화를 증진하기 위해 떠난다. 양나라 왕은 5년 후, 백성들이 더 이상 그의 잔혹함을 견딜 수 없어 그를 몰아내고 처형하면서 몰락한다. 결국 진나라가 다른 모든 국가를 정복하고 진나라 아래 중국을 통일한다.

2. 1. 양성 방어전

조나라 군대가 연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진격하면서 양나라는 점령될 위기에 처한다. 묵가의 일원인 혁리(革離)는 양나라를 방어하기 위해 온다. 혁리는 항복의 결과를 경고하며 왕과 백성들을 설득하여 저항하게 하고, 성벽을 보강하고 함정을 설치하여 방어 태세를 갖춘다.

혁리의 방어 전술은 조나라의 첫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내지만, 양나라 군대 역시 도시 내부의 조나라 침입자들과의 교전으로 손실을 입는다. 혁리의 방식은 양나라 태자 양석(梁適) 및 다른 장군들과 갈등을 빚지만, 백성들의 지지를 얻어 영웅으로 칭송받는다. 한편, 혁리와 여성 기병 지휘관 의열(逸悅)은 조나라 진지를 정찰하다가 터널을 발견하고, 이를 역이용하여 조나라 군대를 막아낸다.

2. 2. 배신과 음모

전국 시대 중국에서 조나라가 연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진격하는 동안, 조나라와 연나라 국경에 위치한 양나라는 위기에 처한다. 이때 묵가묵가인 혁리(革離)가 양나라를 돕기 위해 온다. 양나라 왕은 혁리의 능력을 의심하면서도 그에게 군 지휘권을 맡긴다. 혁리는 뛰어난 방어 전략으로 조나라 군대를 막아내며 백성들의 지지를 얻지만, 그의 명성이 높아지자 왕은 그를 시기하여 제거하려 한다.[1]

왕은 혁리에게 왕위를 노린다는 누명을 씌워 그를 쫓아낸다. 혁리의 지지자들은 반역 혐의로 체포되어 고문을 당하고, 혁리를 따르던 지단(子團)은 그를 배신하지 않고 자신의 오른팔을 자른 뒤 양나라 군대를 떠난다. 혁리는 도망치지만, 조나라 군대가 다시 공격해오자 양나라 백성들을 구하기 위해 돌아온다.[1]

2. 3. 갈등과 화해

혁리는 조나라 장군 항엄중과 바둑 대결을 통해 서로의 신념을 확인한다. 바둑판 위에서 각자의 전략과 가치관을 드러내며, 전쟁의 의미와 평화의 중요성에 대해 간접적으로 논쟁한다.[1]

백성들은 혁리의 지도력과 조나라 군대의 잔혹함에 반발하여 봉기를 일으킨다. 이들은 혁명적인 힘을 발휘하여 조나라 군대를 물리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혁리는 사랑하는 여인 일열을 잃는다. 일열은 양나라 왕의 배신과 음모로 희생되며, 혁리에게 깊은 슬픔과 좌절감을 안겨준다.[1]

양나라 왕은 자신의 권력을 지키기 위해 혁리를 배신하고 제거하려 한다. 이는 권력의 속성과 배신의 비극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결국 양나라 왕은 백성들의 분노로 몰락하여 처형당한다.[1]

3. 등장인물

류더화는 묵가의 革離|혁리중국어 역을, 안성기는 조나라 군대 총사령관 巷淹中|항엄중중국어 역을, 판빙빙은 량나라 기병 지휘관 逸悅|일열중국어 역을, 최시원은 량나라 왕자 양적 역을, 왕즈웬은 양왕 역을, 우치룽은 량나라 궁수 대장 子團|자단중국어 역을, 홍천조는 조나라 장군 고하용 역을 맡았고, 그 외에 우마, 전소호, 유승휘, 쉬샹동 등이 출연하였다.[1]

3. 1. 주요 인물


  • 류더화 - 혁리 역: 량나라 방어를 이끄는 묵가.
  • 안성기 - 항엄중 역: 조나라 군대 총사령관.
  • 판빙빙 - 일열 역: 량나라 기병 지휘관.
  • 최시원 - 양적 역: 량나라 왕자.
  • 왕즈웬 - 양왕 역.
  • 우치룽 - 자단 역: 량나라 궁수 대장.
  • 홍천조 - 고하용 역: 조나라 장군.
  • 우마 - 량나라 태사 역.
  • 전소호 - 우 장군 역.
  • 유승휘 - 동백 역: 량나라 장군.
  • 쉬샹동 - 위상 역: 조나라 장군.

3. 2. 조연

배우역할설명
류더화혁리량나라 방어를 이끄는 묵가[1]
안성기항엄중조나라 군대 총사령관[1]
판빙빙일열량나라 기병 지휘관[1]
최시원양적량나라 왕자[1]
왕즈웬양왕[1]
우치룽자단량나라 궁수 대장[1]
홍천조고하용조나라 장군[1]
우마량나라 태사[1]
전소호우 장군[1]
유승휘동백량나라 장군[1]
쉬샹동위상조나라 장군[1]


4. 묵가 사상과 영화적 주제

영화는 묵가 사상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주인공 혁리는 묵가의 겸애와 비공 사상을 실천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혁리는 양나라 백성을 차별 없이 보호하고, 전쟁을 반대하며 평화를 추구한다.

혁리의 이러한 모습은 전국 시대의 혼란 속에서 전쟁의 무의미함과 평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혁리는 조나라의 침략에 맞서 양성을 방어하지만, 불필요한 살상을 피하려 노력한다.

4. 1. 겸애(兼愛) 사상

혁리는 양성 백성을 차별 없이 사랑하고 보호하는데, 이는 묵가의 핵심 사상인 겸애(兼愛)를 잘 보여준다.

4. 2. 비공(非攻) 사상

혁리는 조나라의 침략에 맞서 양성을 방어하기 위해 뛰어난 지략과 헌신을 보여주었다. 그는 백성들을 설득하여 저항하게 만들고, 성벽과 함정을 설치하여 적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냈다. 하지만 혁리는 불필요한 살상을 피하고 평화를 추구하는 모습을 보였다. 조나라 장군 우자장이 무기를 버린 포로들을 학살하려 하자 이를 막아서고, 포로들의 목숨을 살려준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전쟁을 반대하고 평화를 옹호하는 묵가의 비공(非攻) 사상과 일맥상통한다.

5. 제작 및 평가

영화는 중국, 홍콩, 대한민국, 일본의 합작으로 제작되었으며, 2006년에 개봉하였다.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하였다.

5. 1. 수상 내역

연도부문
2007금자형장최우수 작품상
2007홍콩 영화 금상장최우수 편집상
2007골든 루스터 상최우수 미술감독상


6. 한국과의 관계

안성기는 조나라 군대의 총사령관 상연충(항엄중) 역을 맡아 묵직한 존재감을 드러냈으며, 최시원은 량나라 왕자 량석(양적) 역을 맡아 국제적인 인지도를 높였다.[1] 이 영화는 한국과 중국 간 문화 교류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참조

[1] 웹사이트 A Battle of Wits https://boxofficemoj[...] 2012-06-04
[2] 웹사이트 Variety Reviews - A Battle of Wits - Film Reviews - New Int'l. Release - Review by Derek Elley https://www.variety.[...] Variety.com 2007-01-05
[3] 간행물 김수경, 《씨네21》
[4] 뉴스 촬영현장 한ㆍ중ㆍ일 합작영화 '묵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11-27
[5] 뉴스 영화 '묵공', 칸 프로모션 행사서 호평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6-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