뮬 정방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뮬 정방기는 1779년 사무엘 크롬프턴이 발명한 섬유 방적 기계로, 물레와 방적 제니의 장점을 결합하여 개발되었다. 이 기계는 면과 같은 섬유로 강하고 가는 실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산업 혁명 시기 면직물 생산의 획기적인 확장을 가능하게 했다. 뮬 정방기는 자동화 과정을 거쳐 생산성을 높였으며, 20세기 초에는 뮬 방적공의 음낭암 발병과 같은 사회적 문제도 야기했다. 현재는 울과 알파카와 같은 섬유를 방적하는 데 사용되며, 이탈리아 등지에서 생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적 - 제니 방적기
제임스 하그리브스가 1764년에 발명한 제니 방적기는 다수의 실을 동시에 생산하여 섬유 산업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켰으나, 후대 방적기에 대체되었고 슬러빙 빌리의 기초 기술로 남았다. - 방적 - 시폰
시폰은 가볍고 얇으며 드레이프성이 좋은 직물로, 섬세한 그물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약간의 투명성을 띠고, 과거에는 실크로 만들었지만 현재는 합성 섬유로도 만들어져 드레스, 블라우스, 스카프 등에 널리 사용된다. - 섬유기계 - 자카드 직기
자카드 직기는 복잡한 직물 무늬를 짜는 데 사용되는 직기로,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에 걸쳐 여러 저자들이 작동 원리, 카드 제작 방법, 다양한 모델 분석을 담은 서적을 출판하며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일부는 온라인 아카이브에서 열람 가능하다. - 섬유기계 - 제니 방적기
제임스 하그리브스가 1764년에 발명한 제니 방적기는 다수의 실을 동시에 생산하여 섬유 산업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켰으나, 후대 방적기에 대체되었고 슬러빙 빌리의 기초 기술로 남았다. - 잉글랜드의 발명품 - 기관총
기관총은 자동 사격이 가능하며, 19세기 개틀링 건에서 시작되어 맥심 기관총을 거쳐 발전했고,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참호전의 주요 무기가 되었으며, 냉각 방식, 사용 탄약, 작동 방식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 제압 사격, 지역 거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 잉글랜드의 발명품 - 진공관
진공관은 진공 상태 용기 내부에 전극을 갖춘 전자 장치로, 다이오드와 트라이오드 발명 후 20세기 중반까지 널리 쓰였으나 트랜지스터 등장으로 사용이 줄었지만, 고주파/고출력 분야나 오디오 앰프 등 특정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뮬 정방기 |
---|
2. 역사
18세기 이전에는 섬유 생산이 가내 수공업으로 이루어졌으며, 주로 아마와 양모를 사용했다. 존 케이의 플라잉 셔틀 발명으로 베틀의 생산성이 크게 증가하면서 면사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여, 기존의 방식으로는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웠다.[4]
물레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었는데, 하나는 간헐적 공정을 사용하는 물레였고, 다른 하나는 연속적 공정으로 헥이 있는 차동 방추와 플라이어를 구동하는 작센 물레였다. 리처드 아크라이트와 같은 사업가들은 방적되는 실의 양을 늘리기 위해 발명가들을 고용하고 특허를 획득했다.
방적 제니는 8개의 방추를 함께 작동시켜 로빙을 늘리고 얇게 만들었으며, 바퀴가 회전하면서 방추가 로빙을 실로 꼬아 모았다. 방적 제니는 효과적이었고 손으로 조작할 수 있었지만, 천의 씨실 부분에만 사용할 수 있는 약한 실을 생산했다.[4]
수력 방적기는 감쇠 롤러를 통해 로빙을 당겨 실을 꼬는 방식으로, 날실에 적합한 실을 생산했지만,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여 수차로 구동해야 했다. 초기 수력 방적기는 단일 방추만 가지고 있었다. 이 두 시스템의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방적기가 탄생했다.[4]
머슬린의 공급 증가는 에드먼드 카트라이트의 동력 직기와 같은 베틀 설계의 발전을 촉진했다. 일부 방적공과 수직기 직공들은 이에 반대하여 프레임 파괴 폭동을 일으켰고, 1811~13년에는 러다이트 폭동이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은 아동 노동 규제가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되었다.[4]
옛날부터 사람들은 식물 섬유나 동물의 털을 꼬아 실을 만들고 천을 짰다. 물레를 사용해왔지만, 18세기 영국의 산업 혁명으로 실의 대량 생산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1767년,[29] 제임스 하그리브스는 제니 방적기를 발명했다.[30] 제니 방적기는 효율이 좋고 가는 실을 만드는 데 적합했지만, 굵은 실을 만들기에는 어려웠고 수동이었다.[31]
18세기 중반, 리처드 아크라이트는 마력 방적기와 카드기를 발명했다. 이는 동력원을 인력에서 변경한 획기적인 발전이었지만,[32] 가는 실은 만들기 어려웠다. 당시 직기는 강한 세로 실과 가는 가로 실이 모두 필요했기에 제니 방적기와 아크라이트의 방적기는 모두 불완전했다.[33] 1769년[29] 아크라이트는 수차를 동력으로 하는 수력 방적기도 발명했다.
2. 1. 배경
18세기 이전에는 섬유 생산이 가내 수공업으로 이루어졌으며, 주로 아마와 양모를 사용했다. 직조는 가족 단위의 활동이었는데, 아이들과 여성들은 섬유를 연화하여 솜털을 묶음으로 만들고, 여성들은 이를 방적사로 만들어 방추에 감았다. 남성들은 베틀을 사용하여 천을 짰고, 햇볕에 견고화하여 표백했다. 존 케이의 플라잉 셔틀 발명으로 베틀의 생산성이 크게 증가하면서 면사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여, 기존의 방식으로는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웠다.[4]물레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었는데, 하나는 간헐적 공정을 사용하는 물레였고, 다른 하나는 연속적 공정으로 헥이 있는 차동 방추와 플라이어를 구동하는 작센 물레였다. 이러한 물레는 기술 개발의 출발점이 되었다. 리처드 아크라이트와 같은 사업가들은 방적되는 실의 양을 늘리기 위해 발명가들을 고용하고 특허를 획득했다.
방적 제니는 8개의 방추를 함께 작동시켜, 로빙을 늘리고 얇게 만들었다. 바퀴가 회전하면서 방추가 로빙을 실로 꼬아 모았다. 방적 제니는 효과적이었고 손으로 조작할 수 있었지만, 천의 씨실 부분에만 사용할 수 있는 약한 실을 생산했다.[4]
수력 방적기는 감쇠 롤러를 통해 로빙을 당겨 실을 꼬는 방식으로, 날실에 적합한 실을 생산했지만,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여 수차로 구동해야 했다. 초기 수력 방적기는 단일 방추만 가지고 있었다. 이 두 시스템의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방적기가 탄생했다.[4]
머슬린의 공급 증가는 에드먼드 카트라이트의 동력 직기와 같은 베틀 설계의 발전을 촉진했다. 일부 방적공과 수직기 직공들은 이에 반대하여 프레임 파괴 폭동을 일으켰고, 1811~13년에는 러다이트 폭동이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은 아동 노동 규제가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되었다.[4]
옛날부터 사람들은 식물 섬유나 동물의 털을 꼬아 실을 만들고 천을 짰다. 물레를 사용해왔지만, 18세기 영국의 산업 혁명으로 실의 대량 생산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1767년,[29] 제임스 하그리브스는 제니 방적기를 발명했다.[30] 제니 방적기는 효율이 좋고 가는 실을 만드는 데 적합했지만, 굵은 실을 만들기에는 어려웠고 수동이었다.[31]
18세기 중반, 리처드 아크라이트는 마력 방적기와 카드기를 발명했다. 이는 동력원을 인력에서 변경한 획기적인 발전이었지만,[32] 가는 실은 만들기 어려웠다. 당시 직기는 강한 세로 실과 가는 가로 실이 모두 필요했기에 제니 방적기와 아크라이트의 방적기는 모두 불완전했다.[33] 1769년[29] 아크라이트는 수차를 동력으로 하는 수력 방적기도 발명했다.
2. 2. 최초의 뮬 방적기
1779년 사무엘 크롬프턴은 '뮬 방적기'를 발명했다. 뮬 방적기는 물레방아와 제임스 하그리브스의 제니 방적기의 원리를 결합한 것이었기 때문에, 말과 당나귀의 잡종인 노새(Mule)와 같다는 의미로 이름 붙여졌다.[5]초기 뮬 방적기는 고정된 프레임에 로빙(실 꼬임)을 담는 원통형 보빈의 크릴이 있고, 스핀들이 있는 평행 캐리지가 헤드스톡을 통해 연결된 구조였다.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인출: 캐리지가 바깥쪽으로 움직일 때, 로빙은 감쇠 롤러를 통해 풀려나온다.
- 꼬임: 풀려나온 로빙은 꼬임을 받는다.
- 권취: 캐리지가 되돌아올 때, 로빙은 고정되고 스핀들은 역전되어 새로 방적된 실을 감는다.
크롬프턴은 자신의 방적기를 나무로 만들었으며, 하그리브스의 여러 실을 방적하는 아이디어와 롤러로 로빙을 감쇠시키는 아이디어를 사용했다.[5] 특히 스핀들을 캐리지에 놓고 로빙 보빈의 크릴을 프레임에 고정한 것이 핵심적인 특징이었다. 롤러와 캐리지의 바깥쪽 움직임은 스핀들에 감기기 전에 로빙의 불균형을 제거하는 역할을 했다. 아크라이트의 특허가 만료되자, 뮬 방적기는 여러 제조업체에 의해 개발되었다.[5]
크롬프턴의 첫 번째 방적기는 48개의 스핀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하루에 약 0.45kg의 60수 실을 생산할 수 있었다. 이는 1,700 rpm의 스핀들 속도와 1hp의 동력 입력을 필요로 했다.[6] 뮬 방적기는 강하고 얇은 실을 생산하여 모든 종류의 섬유에 적합했으며, 처음에는 면을 방적하는 데 사용되었고, 이후 다른 섬유에도 사용되었다.
하지만, 사무엘 크롬프턴은 자신의 발명품에 대한 특허를 낼 여유가 없었다. 그는 그 권리를 데이비드 데일에게 팔았고, 데일은 방적기에 대한 특허를 내고 이익을 얻었다.[5]
2. 3. 개선
사무엘 크롬프턴이 1779년에 발명한 뮬 정방기는 제임스 하그리브스의 방적 제니와 리처드 아크라이트의 수력 방적기의 장점을 결합한 혁신적인 기계였다. 그러나 초기 뮬 정방기는 몇 가지 기술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개선 노력들이 이어졌다.- 헨리 스톤스: 호리치 출신의 기계공인 헨리 스톤스는 톱니 기어와 금속 롤러를 사용하여 뮬을 제작하여 내구성과 효율성을 높였다.[5]
- 베이커: 드럼을 개선하여 실의 품질을 향상시켰다.[7]
- 제임스 하그리브스: 평행 스크롤링을 사용하여 더 부드러운 가속과 감속을 가능하게 하여 실 끊어짐을 줄였다.[8]
- 글래스고의 윌리엄 켈리: 1790년에 인장 스트로크를 돕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여, 처음에는 동물, 다음에는 수력을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생산성을 높였다.[8]
- 맨체스터의 라이트: 1791년에 헤드스톡을 기계 중앙으로 옮겨 스핀들을 두 배로 늘리고, 스핀들이 일직선으로 나오도록 정방향 밴드를 추가하여 생산량을 크게 증가시켰다.[9] 또한, 스핀들에 감기 가이드가 이동하는 방식을 개선했다.[34][39]
- 존 케네디: 1793년에 가는 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어와 클러치를 부착하여 왕복 운동 시 스핀들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11]
- 윌리엄 이튼: 1818년에 두 개의 폴러 와이어를 사용하여 실 감기를 개선하고, 외부 왕복 운동이 끝날 때 후진을 수행하여 실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켰다.[12]


이러한 개선 노력들은 뮬 정방기를 더욱 효율적이고 다재다능한 기계로 발전시켰으며, 산업 혁명 시기 섬유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2. 4. 자동 뮬 방적기
리처드 로버츠는 1825년과 1830년에 걸쳐 자동 뮬 방적기에 대한 특허를 획득했다.[13] 1820년대의 방적기는 실을 뽑는 과정에서 수동 지원이 필요했지만, 로버츠의 자동 뮬 방적기는 완전 자동화를 이루어냈다. 주요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역전 메커니즘: 각 스핀들 상단에서 실의 나선을 풀어 새로운 연신을 시작하기 전에 작동한다.[13]
- 폴러 와이어: 실이 코프와 같이 미리 정의된 형태로 감기도록 보장한다.[13]
- 스핀들 속도 조절 장치: 스핀들의 실 직경에 따라 회전 속도를 조절한다.[13]
실 아래에 설치된 카운터 폴러는 후퇴로 인한 슬랙을 흡수하고 상승했다. 상단 폴러 와이어와 함께 작동하여 실을 코프의 정확한 위치로 안내했다. 레버, 캠, 셰이퍼(경사면)로 제어되었으며, 스핀들 속도는 드럼과 가중 로프로 조절되었다. 헤드스톡이 움직이면서 로프가 드럼을 비틀고, 치차를 통해 스핀들을 회전시켰다.[13]
자동 뮬 방적기의 발명으로 수동 조작 방적기는 점차 방적 제니로 불리게 되었다.[14] 자동 뮬은 방적 공장의 대규모화와 노동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로버츠는 1830년에 로버츠 직기라는 동력 직기도 발명하여 방적 공장 대규모화에 더욱 기여했다.[31]
1834년에는 60개 이상의 공장에서 자동 뮬이 채택되었고, 1850년대에는 영국의 중·태사(中·太手糸) 대부분이 자동 뮬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가는 실은 여전히 수동 뮬 방적기로 생산되었다.[43] 수동 뮬 방적기는 한 명이 264~288추를 조작할 수 있었던 반면, 로버츠의 자동 뮬 방적기는 성인 1명과 보조 소년 2~3명으로 1600추를 운전할 수 있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31]
2. 5. 올덤 카운트와 볼턴 카운트
올덤 카운트는 일반적인 용도의 직물에 사용되었던 중간 굵기의 면사를 가리킨다. 리처드 로버츠의 자동 뮬 방적기는 처음에는 굵은 카운트(올덤 카운트)에 사용되었지만, 뮬 제니는 1890년대 이후까지도 가장 가는 카운트(볼턴 카운트)에 계속 사용되었다.[14]볼턴은 고급 방적사 생산에 특화되었으며, 방적기는 추가적인 꼬임을 주기 위해 더 느린 속도로 작동했다. 뮬 제니는 이러한 부드러운 작동을 가능하게 했지만, 20세기에는 이 움직임을 더욱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추가적인 기계 장치가 추가되었고, 그 결과 2개 또는 3개의 구동 속도를 사용하는 뮬이 등장했다. 고급 방적사는 감아올리는 과정에서 더 부드러운 작동이 필요했으며, 완벽한 코프(실 뭉치)의 체이스(경사면) 또는 상단을 감기 위해 수동 조절에 의존했다.[15]
2. 6. 모직 뮬
모직물 방적은 개별 섬유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아 롤러를 이용해 가늘게 만들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모직 섬유는 롤러 드래프팅 대신 콘덴서 카드를 사용하여 카딩한다. 콘덴서 카드는 카딩된 섬유를 서로 문질러 실의 형태를 만든다. 그런 다음 뮬형 기계에서 방적하는데, 이 기계는 롤러 드래프팅 없이 방출 롤러에서 나온 로빙(꼬임을 주기 전의 섬유 다발)의 짧은 길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스핀들이 방출 롤러에서 멀어지면서 드래프트를 생성한다. 뮬은 실의 최적 처리를 위해 여러 스핀들 속도, 후퇴 운동 등을 포함하여 복잡한 구조를 가진 경우가 많다.[1]2. 7. 콘덴서 방적
콘덴서 방적은 고급 면의 코밍 과정에서 폐기물로 생산된 짧은 섬유를 시트, 담요 등에 적합한 부드럽고 거친 실로 방적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랭커셔의 뮬 스핀들 중 약 2%만이 콘덴서 스핀들이었지만, 이들이 마지막으로 규칙적으로 작동했던 스핀들이었고 뮬이 유사했기 때문에 오늘날 더 많은 콘덴서 뮬이 남아 있다.[17] 헬름쇼어 밀스는 면 폐기물 뮬 방적 공장이었다.3. 작동 방식
뮬 정방기는 크릴에 있는 로빙을 가이드 와이어와 세 쌍의 드로잉 롤러를 통과시켜 작동한다. 이 롤러들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며 로빙을 점차 가늘게 만든다. 얇아진 로빙은 스핀들에 연결되어 꼬임을 받고 실이 된다. 스핀들은 약 152.40cm 거리를 이동하는 캐리지 위에 놓여 실을 뽑고 꼬는 역할을 한다. 캐리지가 원래 위치로 돌아올 때는 되감기 과정을 거치며, 새로 만들어진 실이 원뿔 모양으로 스핀들에 감긴다.[20]
1885년 마스덴의 설명을 바탕으로 뮬의 작동 과정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로빙은 가이드 와이어를 지나 세 쌍의 드로잉 롤러 사이를 통과하며 점차 가늘고 균일하게 된다.
2. 얇아진 로빙은 스핀들에 연결되어 6,000–9,000 rpm의 속도로 회전하며 꼬임을 받아 실이 된다.
3. 스핀들 캐리지는 롤러에서 멀어지면서 "캐리지의 이득"이라 불리는 현상을 통해 실의 굵기를 균일하게 만든다.
4. 되감기 과정에서 폴러 와이어와 카운터 폴러는 실을 안내하고 장력을 조절한다.
5. 캐리지가 롤러 빔 쪽으로 움직이며 스핀들에 실을 감고, 꼬임이 완성되면 도프(꼬임 제거) 후 재시작한다.
도프는 피어서가 꼬임을 스핀들 위로 들어 올리는 트러스팅을 통해 이루어진다. 마인더는 폴러를 내려 실을 맨 스핀들에 고정하고, 꼬임을 제거한다.[21][22] 피싱은 실 끊김을 수리하는 작업으로, 숙련된 피서는 짧은 시간 내에 이를 처리한다.[25] 크릴링은 뮬을 멈추지 않고 로빙 보빈을 교체하는 작업이다.[24] 청소는 뮬의 섬유 찌꺼기(플라이)를 제거하는 작업으로, 특히 캐리지 상단 청소는 정해진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26]
3. 1. 주요 부품
뮬 정방기의 주요 부품은 다음과 같다.- '''드로잉 롤러(Drawing Roller):''' 크릴에서 로빙을 뽑아내고 얇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세 쌍의 롤러이다. 각 쌍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여 로빙을 점차적으로 가늘게 만든다.
- 첫 번째 쌍: 로빙을 잡고 보빈에서 뽑아낸다.
- 가운데 쌍: 첫 번째 쌍보다 약간 빠르게 움직여 로빙을 팽팽하게 유지한다.
- 앞쪽 쌍: 훨씬 더 빠르게 작동하여 로빙을 얇게 만들고 균일하게 한다.
- '''폴러(Faller) 및 카운터 폴러(Counter Faller):''' 꼬임 과정과 되감기 과정에서 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 폴러 와이어: 꼬임 위에 놓여 실을 안내하고, 되감기 과정에서 아래로 내려와 실을 스핀들에 감는 것을 돕는다.
- 카운터 폴러 와이어: 스핀들에서 풀린 실의 여유를 조절하고 실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며, 되감기 과정에서 올라간다.
- '''쿼드런트(Quadrant):''' 되감기 시 스핀들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폴러가 꼬임의 굵기에 따라 실을 안내할 때, 쿼드런트는 스핀들의 회전 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실이 균일하게 감기도록 한다.


3. 2. 용어
Mule영어이라는 용어는 여러 방적 용어와 관련이 있다. 뮬 정방기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는 다음과 같다.용어 | 설명 |
---|---|
크릴(Creel) | 로빙이 들어 있는 보빈을 담는 틀. |
로빙(Roving) | 섬유 다발을 꼬아 만든 굵은 실로, 방적 전 단계의 중간 산물. |
드로잉 롤러(Drawing roller) | 로빙을 가늘게 뽑아내는 역할을 하는 여러 쌍의 롤러. |
스핀들(Spindle) | 실을 꼬고 감는 역할을 하는 회전하는 막대. |
캐리지(Carriage) | 스핀들을 싣고 트랙 위를 왕복 운동하며 실을 뽑고 감는 장치. |
이득(Gain) | 스핀들 캐리지가 로빙이 나오는 속도보다 약간 빠르게 움직이는 현상으로, 실의 굵기를 균일하게 만듬. |
되감기(Winding) | 방적된 실을 스핀들에 원뿔 모양으로 감는 과정. |
폴러 와이어(Faller wire) | 되감기 과정에서 실을 안내하는 철사. |
카운터 폴러(Counter faller) | 되감기 과정에서 실의 장력을 조절하고 엉킴을 방지하는 장치. |
꼬임(Cop) | 스핀들에 감긴 원뿔 모양의 실 뭉치. |
세트(Set) | 여러 개의 꼬임이 완성된 상태. |
도프(Doff) | 완성된 꼬임을 스핀들에서 제거하는 작업. |
피싱(Piecing) | 방적 과정에서 끊어진 실을 잇는 작업. |
크릴링(Creeling) | 뮬 정방기를 멈추지 않고 로빙 보빈을 교체하는 작업. |
청소(Cleaning) | 뮬 정방기의 부품에 쌓인 섬유 찌꺼기(플라이)를 제거하는 작업. |
플라이(Fly) | 방적 과정에서 공기 중으로 날리는 짧은 섬유 찌꺼기. |
언더클리어러(Underclearer) | 드로잉 롤러 아래에 위치하여 끊어진 실을 잡아주는 장치. (볼턴 뮬에서는 플루커 로드(Fluker rod)라고 함) |
피커(Piecer) | 뮬 정방기에서 실을 잇는 작업을 하는 사람. |
마인더(Minder) | 뮬 정방기를 조작하고 관리하는 숙련된 작업자. |
개퍼(Gaffer) | 작업장을 관리하고 생산된 실의 양과 품질을 책임지는 감독관. |
드로우(Draw) 또는 스트레치(Stretch) | 캐리지가 밖으로 나가 있을 때 방적된 실의 길이를 나타냄. |
4. 사회경제적 영향
1770년대 이전에는 섬유 생산은 가내 수공업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족 구성원들이 아마와 양모를 이용하여 실을 만들고 천을 짰다. 존 케이의 플라잉 셔틀 발명으로 베틀의 생산성이 증가하면서 면사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리처드 아크라이트와 같은 사업가들은 방적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발명가들을 고용하고 특허를 획득했다.
방적 제니는 여러 개의 방추를 동시에 작동시켜 실 생산량을 늘렸지만, 약한 실을 생산하여 천의 씨실 부분에만 사용할 수 있었다. 수력 방적기는 롤러를 사용하여 날실에 적합한 강한 실을 생산했지만,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했다. 뮬 정방기는 이 두 시스템의 장점을 결합하여 더 효율적인 방적을 가능하게 했다.
뮬 정방기의 발명은 에드먼드 카트라이트의 동력 직기와 같은 베틀 기술의 발전을 이끌었다. 그러나 일부 방적공과 수직기 직공들은 이에 반대하여 폭동을 일으키기도 했다. 뮬 정방기는 아동 노동을 규제하기 전까지 많은 아동 노동을 유발하기도 했다.
이후 150년 동안 자동 방적기와 더 가늘고 강한 실을 생산하는 기술이 발전했다. 1820년대 뉴잉글랜드에서 개발된 링 방적기는 1890년대까지 랭커셔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았는데, 이는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가장 미세한 번수를 생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4]
4. 1. 산업 혁명과 섬유 산업

방적 발명은 면직물 생산을 크게 늘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면화와 철은 산업 혁명의 주요 부문이었다. 두 산업 모두 거의 동시에 크게 성장하여, 산업 혁명의 시작을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1790년 방적기는 억센 힘으로 작동되었다. 방적공은 각 스핀들을 처리하면서 틀을 당기고 밀었다. 가정 방적은 여성과 소녀들의 직업이었지만, 방적기를 작동하는 데 필요한 힘 때문에 남성들의 활동이 되었다. 그러나 손으로 하는 직조는 남성의 직업이었지만, 공장에서는 소녀와 여성들이 할 수 있었고 실제로 그렇게 했다. 방적공은 공장 시스템의 맨발 귀족이었다.[27] 이는 분산된 수공업을 중앙 집중식 공장 작업으로 대체하여 경제적 격변과 도시화를 유발했다.
방적기 방적공들은 면화 산업 내에서 노동조합주의의 선구자였다. 자동 방적기 또는 자동 방적기의 개발 압력은 부분적으로 여성에게 무역을 개방하기 위한 것이었다. 1870년에 최초의 전국 노동조합이 결성되었다.
모직 산업은 소모사와 방모사로 나뉘었다. 새로운 기술을 채택하는 데 면화보다 뒤쳐졌다. 방모사는 어린 소녀들이 조작할 수 있는 아크라이트식 수력 방적기를 채택하는 경향이 있었고, 소모사는 방적기를 채택했다.[27]
옛날부터 식물 섬유나 동물의 털로 실을 만들어 천을 만드는 작업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천연 섬유는 채취한 그대로 천을 짜기에는 길이와 굵기가 부족하다. 따라서 사람들은 천연 섬유를 꼬아(가늘고 길게 비틀어) 실로 만들었다. 이 작업이 방적이다. 이후 물레를 사용하게 되었다. 오랫동안 그 방법이 사용되어 왔지만, 18세기에 영국이 산업 혁명을 맞이하면서 모든 공업 제품이 부족하게 되었고, 실에 대해서도 쉽게 대량 생산하는 방법이 모색되었다.
1767년,[29] 제임스 하그리브스는 여러 개의 실을 동시에 꼬을 수 있는 장치인 제니 방적기를 발명했다.[30]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고, 가는 실을 만드는 데에도 적합한 장치였지만 굵은 실을 만드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제니 방적기는 수동이었으며, 구조도 수작업의 절차를 그대로 장치화한 것과 같았다.[31]
18세기 중반, 리처드 아크라이트는 마력을 이용한 마력 방적기를 발명했고, 이어서 마력 카드기를 사용하여 털의 방향을 정렬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는 동력원을 인력에서 변경한 획기적인 것이었고, 설치 비용도 저렴했다.[32] 카드기의 아이디어는 훌륭했지만, 방적 부분이 여러 개의 활차를 사용하여 실을 강하게 당기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굵은 실은 만들 수 있었지만 가는 실은 끊어져서 만들 수 없었다. 당시의 직기는 강한 세로 실과 가는 가로 실이 모두 필요했기에 제니 방적기, 아크라이트의 방적기 모두 불완전했다.[33] 또한, 아크라이트는 1769년[29]에는 수차를 동력으로 하는 수력 방적기를 만들었다.
4. 2. 뮬 방적공의 암
1900년경, 이전 뮬 방적공들에게서 음낭암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면 뮬 방적공에 국한되었으며, 모직 또는 콘덴서 뮬 방적공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26] 원인은 스핀들을 윤활하는 데 사용된 식물성 및 광물성 오일 혼합물로 여겨졌다. 스핀들은 작동할 때 사타구니 높이에서 오일 미스트를 뿜어냈고, 이는 실 끝을 잇는 작업자의 옷에 흡수되었다.[26] 1920년대에 이 문제에 많은 관심이 쏟아졌다. 뮬 방적기는 1880년대부터 이 혼합물을 사용해 왔으며, 면 뮬은 다른 뮬보다 더 빠르고 뜨겁게 작동했고, 더 자주 오일을 주입해야 했다.[26] 해결책은 식물성 오일 또는 백색 광유만을 사용하도록 법적으로 요구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발암 물질이 아닌 것으로 여겨졌다.[26] 당시에는 면 뮬이 링 방적기로 대체되었고 산업이 축소되면서, 이러한 조치가 효과적이었는지 여부는 결론이 나지 않았다.[26]5. 한국에서의 뮬 방적기
1879년(메이지 12년) 일본 메이지 정부는 부국강병을 추진하기 위해 영국에서 뮬 방적기 3대를 수입하여 1대를 미야기현에 양도했다. 당시 미야기현령을 맡고 있던 마쓰다이라 마사나오는 이를 이용한 방적소 건설을 계획했고, 동력으로 수력이 선정되어 1884년(메이지 17년) 5월 2일 센다이 미쓰이자와에서 미야기 방적 회사가 창업을 시작했다.[29] 이후 물레방아를 이용한 발전 사업이 계획되어, 1894년(메이지 27년)에는 일본 최초의 수력 발전소인 미쓰이자와 발전소가 송전을 시작했다.
1886년부터 링 정방기도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1889년에는 이미 방추 수에서 뮬 방적기가 링 정방기에 역전되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The Japanese Economy in Retrospect
World Scientific
2010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웹사이트
Bigagli
http://www.bigagli.n[...]
2012-12-13
[19]
웹사이트
Cormatex
http://www.cormatex.[...]
2012-12-13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간행물
British Textile Workers in the Lancashire Cotton and Yorkshire Wool Industries
2004-11-11
[28]
서적
[29]
서적
[30]
문서
イノベーション論
http://www.iwata.ssu[...]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繊維便覧 加工編
[35]
서적
機械工学辞典
[36]
서적
[37]
서적
Cotton Spinning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뉴스
世界史アップデート(写真)
2022-09-06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