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가 (문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가(Saga)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말해지는 것, 이야기'를 의미하며, 고대 노르드 산문 서사시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사가는 내용에 따라 왕의 사가, 주교의 사가, 아이슬란드인의 사가, 전설 사가 등으로 분류되며, 스칸디나비아 왕들의 삶, 아이슬란드의 역사, 고대 게르만 민족의 전설 등을 다룬다. 아이슬란드 사가는 구전 전통을 바탕으로 하며, 12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기록되었고, 대부분 익명의 작가에 의해 쓰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가 - 페로 사람들의 사가
    페로 사람들의 사가는 파로 제도의 역사와 문화를 다루며 초기 정착, 노르웨이 영향, 기독교 도입, 주요 인물, 권력 투쟁, 종교 갈등 등 다양한 주제를 영웅주의, 복수, 종교적 갈등 관점에서 조명하고 한국 역사와의 유사성을 통해 그 의미를 되새긴다.
  • 사가 - 카를 대제의 사가
    카를 대제의 사가는 14세기 아이슬란드어로 쓰인 중세 문학 작품으로, 카롤루스 대제와 그의 기사들을 주인공으로 다양한 이야기를 10개의 장으로 엮어 기독교 전사들의 결속과 사라센과의 전투를 주요 주제로 다룬다.
  • 노르드 이교 - 베르세르크
    베르세르크는 북유럽 신화와 역사 속 광전사를 지칭하며, 곰 가죽 윗옷을 입은 전사, 갑옷을 입지 않은 전사, 또는 형태가 변하는 존재 등으로 해석되고, 오딘의 신통력을 받아 격렬한 전투 상태에서 엄청난 힘을 발휘했지만 전투 후 탈진에 시달렸으며, 용감한 전사이자 잔혹한 약탈자로 묘사되다 기독교화 이후 불법화되었고, 현대 대중문화에서 폭력적인 전사 이미지로 나타난다.
  • 노르드 이교 - 블로트
    블로트는 "숭배하다"라는 의미의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용어로, 게르만족의 종교 의례를 지칭하며 신에게 경의를 표하고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물 희생과 인신 공양을 포함하기도 했으나, 기독교화 이후 금지되었고 현대 게르만 이교주의에서 재해석되어 시행된다.
  • 아이슬란드 문학 - 스칼드
    스칼드는 고대 북유럽 궁정 시인으로서 왕과 귀족의 업적을 찬양하는 시를 복잡한 운율과 특수한 어휘로 표현하여 높은 시적 기교를 보여주었으며, 다양한 주제를 다루어 역사적 자료로 활용되지만 14세기 이후 쇠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현대까지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 아이슬란드 문학 - 아이슬란드 사가
    아이슬란드 사가는 12세기부터 14세기 아이슬란드에서 쓰인 산문 형식의 역사적, 전설적 이야기로, 가계, 가문, 개인의 삶을 다루며 역사적 사건과 신화적 요소를 혼합하여 서술하고, 대표적인 사가로는 『니알스 사가』, 『락스데일라 사가』, 『에길 스칼라그림손 사가』 등이 있다.
사가 (문학)
지도 정보
일반 정보
명칭사가
언어고대 노르드어
의미이야기
문학적 특징
유형고대 노르드어 산문 이야기와 역사
시대중세 시대
내용역사적 사건
전설
가족 이야기
특징현실적인 서술
영웅적 인물
운문과 산문 혼용
장르포르날다르 사가
아이슬란드 사가
사트르
역사적 배경
문화고대 노르드 문화
종교노르드 신화
사회바이킹 시대 사회
관련 인물
작가알려지지 않음 (대부분 익명)
영향
후대 문학판타지 문학
역사 소설
추가 정보
서적에다
제1문법논문
관련 주제고대 노르드어 시문학
스칼드
고대 노르드어 철자법
룬 문자
문법
음운론
형태론

2. 어원 및 의미

사가(Saga)는 '말해지는 것, 발언, 구전 계정, 통지' 또는 '(구조화된) 이야기, (누군가에 대한) 이야기'를 의미하는 고대 노르드어 단어 ''saga''(복수형 ''sǫgur'')에서 유래했다.[1] 이 단어는 영어 단어 ''say''와 ''saw''('오래된 속담'에서와 같이 '속담'이라는 의미), 그리고 독일어 ''Sage''와 어원적으로 관련된 단어이다. 현대 영어 용어 ''saga''는 18세기 학자들이 고대 노르드어 산문 서사시를 가리키기 위해 고대 노르드어에서 영어로 직접 차용한 것이다.[2][3]

사가(saga)는 고대 아이슬란드어의 segja(영어의 say, 독일어의 sagen에 해당하는 "말하다"를 의미하는 동사)에서 유래한 말이며, "말해진 것, 이야기, 이야기(物語)"를 의미한다.[27] 현대 스칸디나비아 언어에서도 이 단어는 이러한 의미로 계속 사용된다. 아이슬란드어 sagais (복수형 söguris), 페로어 ''søga'' (복수형 ''søgur''), 노르웨이어 ''soge'' (복수형 ''soger''), 덴마크어 ''saga'' (복수형 ''sagaer''), 스웨덴어 ''saga'' (복수형 ''sagor'')는 일반적으로 '역사', '이야기', '담화'와 같은 더 넓은 의미도 가지고 있다. 여러 세대에 걸친 이야기를 담은 소설 장르를 지칭하거나, 사가에서 영감을 받은 판타지 소설을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4] 스웨덴어 ''folksaga''는 민속 이야기 또는 동화를 의미하는 반면, ''konstsaga''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과 같이 알려진 작가의 동화를 가리키는 스웨덴어 용어이다. 스웨덴 역사학에서 ''sagokung''("사가 왕")이라는 용어는 신뢰할 수 없는 출처에서만 알려진 스웨덴의 반신화적인 왕들을 묘사하는 만큼 애매한 의미를 갖도록 의도되었다.[5]

3. 장르

사가는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내용에 따라 여러 장르로 분류된다. 주요 장르로는 왕의 사가, 아이슬란드인의 사가, 현대 사가, 전설 사가, 기사 사가, 성인 및 주교 사가 등이 있다.

사가는 역대 노르웨이 국왕의 전기, 아이슬란드의 식민과 기독교화 역사, 섬 주민들의 다툼과 재판, 고대 게르만 민족의 전설 등 다양한 내용을 다룬다.[28] 이 외에도 다양한 분류 방법이 존재하며, 여러 분야에 걸쳐 있거나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사가도 있다.

대부분의 사가는 산문으로만 쓰여 있지만, 스칼드 시인 등을 주인공으로 하는 사가에는 스칼드 시(운문)가 삽입되기도 한다. 작품의 길이는 니얄의 사가처럼 현대 간행본에서 수백 페이지에 달하는 것부터, 아이슬란드인의 서처럼 수십 페이지로 끝나는 것까지 다양하다. 비교적 짧은 작품은 싸틀(þáttr)이라고 불리며, 일본에서는 통상적으로 "이야기"로 번역된다.[29]

3. 1. 왕의 사가 (Konungasögur)

konungasöguris는 스칸디나비아 왕들의 생애와 업적을 다룬 사가이다. 12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편찬되었으며, 가장 뛰어난 예로는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편찬하고 집필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헤임스크링글라가 있다. 이 사가들은 종종 스칼드 시 형태의 찬사시를 인용한다.[28]

헤임스크링글라는 신화 시대부터 하랄드 파르헤어를 거쳐 마그누스 에를링손 왕에 이르기까지 역대 노르웨이 국왕의 생애를 기록한 16개의 사가를 담고 있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이 작품을 통해 노르웨이 왕권 강화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아이슬란드 공화국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아이슬란드의 독립성을 옹호하고 자치 전통을 중시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그 외에 발트해 연안의 욤스보르그를 거점으로 활약했다고 여겨지는 전설적인 바이킹 집단을 다룬 『욤의 바이킹의 사가』 등이 있다.

3. 2. 아이슬란드인의 사가 (Íslendingasögur)

아이슬란드인의 사가(''Íslendingasögur'')는 영어로 때때로 "가족 사가"라고도 불리는데, 일반적으로 870년대 아이슬란드 정착 이후부터 1000년 아이슬란드의 기독교 개종 이후 1~2세대에 걸친 실제 사건을 다룬 이야기라고 여겨진다(그리고 실제로 그런 경우도 있다). 이 사가들은 자주 사실적인 스타일을 보이는 것으로 유명하다.[6] 이 시대의 이야기들은 구전으로 전해지다가 결국 `Íslendingasögur`로 기록되었는데, 그 형태는 구전 이야기와 고대 노르드어 및 다른 언어의 문학적 모델 모두의 영향을 받았다.[6] 중세 자료의 대부분 — 아마도 3분의 2 — 은 13세기에, 나머지는 14세기와 15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보인다.[6]

이 사가들은 보통 여러 세대에 걸쳐 있으며, 일상적인 사람들(예: Bandamanna saga)과 영웅적인 인물들(예: Egils saga)을 모두 등장시킨다.[6] 이 장르의 주요 작품들은 현대 학문에서 가장 질 높은 사가 저술로 여겨진다. 주로 아이슬란드를 배경으로 하지만, 사가들은 등장인물들의 해외 모험, 예를 들어 다른 북유럽 국가, 영국 제도, 북부 프랑스 및 북아메리카 등을 따라간다.[7][6] 잘 알려진 예로는 Njáls saga, Laxdæla saga, Grettis saga가 있다.

아이슬란드인의 단편 이야기(''þættir'' 또는 ''Íslendingaþættir'')의 내용은 `Íslendinga sögur`와 유사하지만, 더 짧은 형태이며, 종종 왕의 사가에 나오는 아이슬란드인들에 대한 에피소드로 보존되어 있다.

왕의 사가와 마찬가지로, 아이슬란드인의 사가가 종종 그렇듯이 운문을 인용할 때, 거의 예외 없이 스칼드 시가 사용된다.

  • 아이슬란드인의 서(Íslendingabók)
  • 건국 서기(Landnámabók) - 입식의 서라고도 함.
  • 에이길의 사가(Egils saga)
  • 니얄의 사가(Njáls Saga)
  • 락스달라 사가(Laxdœla Saga)
  • 에이르비기야 사가(Eyrbyggja Saga)
  • 그레티르의 사가(Grettis Saga)
  • 코르막의 사가(Kormáks Saga)
  • 붉은 에이리크의 사가(Eiríks saga rauða)
  • 그린란드인의 사가(Grœnlendinga saga) - 빈란드로의 5차례에 걸친 항해가 묘사되어 있다.
  • 기슬리의 사가(Gísla saga Súrssonar) - 기슬리의 사가, 수르의 아들 기슬리의 사가라고도 함.
  • 프레이 신 하프라켈의 사가(Hrafnkels saga Freysgoða)
  • 히타르 계곡의 용사 비요른의 사가(Bjarnar saga Hítdœlakappa) - 오드뉴라는 여성을 둘러싼 시인 솔르와 비요른의 다툼에 대한 이야기.
  • 뱀의 혀를 가진 군나우그의 사가(Gunnlaugs saga ormstungu)
  • 바트스달라 사가(Vatnsdæla saga) - 바톤 계곡의 사가라고도 함.
  • 수탉 토리스의 사가(Hænsna-Þóris Saga)
  • 할프레드의 사가(Hallfreðar saga vandræðaskálds)
  • 스투를룽가 사가(Sturlunga Saga)

3. 3. 현대 사가 (Samtíðarsögur)

현대 사가(samtíðarsögur 또는 samtímasögur)는 12세기와 13세기 아이슬란드를 배경으로 하며, 묘사된 사건 직후에 쓰여졌다. 대부분은 1270년에서 1280년경에 편찬된 ''스투를룽가 사가''에 보존되어 있지만, ''아론스 사가 혤르레이프손나르''와 같이 별도로 보존된 것도 있다.[8] 현대 사가에 인용된 운문은 스칼드 시이다.

역사학자 요운 비다르 시구르손(Jón Viðar Sigurðsson)에 따르면,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사건 발생과 사가 기록 사이의 시간이 짧다는 점(보통 20년에서 70년)을 바탕으로 현대 사가가 상당히 신뢰할 수 있는 자료라고 동의합니다...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하는 주요 논거는 사가 저술가들이 과거를 사실대로 묘사하지 않고 중상모략을 했다면 청중이 알아챘을 것이라는 점입니다."[9]

동시대의 사가는 사가의 작성자와 동시대의 사건을 소재로 한 것이다.[35] ''스투를룽가 사가''등이 이에 해당한다.[35]

3. 4. 전설 사가 (Fornaldarsögur)

전설 사가(''fornaldarsögur'')는 아이슬란드 정착 이전 시대를 배경으로, 신화전설이 섞인 영웅담을 다룬다. 주로 오락을 목적으로 하며, 스칸디나비아의 이교도 과거를 자랑스럽고 영웅적인 역사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 일부 전설 사가는 에다 시에서 운문을 인용하기도 하는데, ''볼숭가 사가''와 ''헤이드렉 사가''가 대표적이다.[10]

전설 사가는 기사 사가와 장르가 겹치기도 한다.[10] 아이슬란드인의 사가보다 후대에 쓰였으며, 공상적인 내용을 많이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니벨룽겐 전설을 소재로 한 『볼숭가 사가』, 덴마크의 수장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와 그의 아들들의 이야기를 다룬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사가』 등이 있다.

3. 5. 기사 사가 (Riddarasögur)

기사 문학 사가(riddarasögur)는 라틴어 가짜 역사 작품과 프랑스어 기사 서사시는 물론, 같은 스타일의 아이슬란드 작품을 번역한 것이다. 대륙 로맨스의 노르드어 번역은 13세기 전반기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11] 아이슬란드 작가들은 13세기 후반에 자신의 로맨스를 제작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14세기에 절정에 달해 19세기까지 계속되었다.[10]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이벤 사가(Ívens saga[37]):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이반이 노르웨이어를 거쳐 아이슬란드어로 번역된 작품이다.
  • 에렉스 사가(Erex saga[38]):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에렉과 에니드가 노르웨이어를 거쳐 아이슬란드어로 번역된 작품이다.
  • 파르세발 사가(Parcevals saga[39]):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페르세발이 노르웨이어를 거쳐 아이슬란드어로 번역된 작품이다.
  • 발벤 이야기(Valvers þáttr[40]): 파르세발 사가의 후반부이다.

3. 6. 성인 및 주교 사가 (Heilagra manna sögur, Biskupa sögur)

성자전(`heilagra manna sögur`)과 주교전(`biskupa sögur`)은 사가 양식의 영향을 받은 아이슬란드어 성행전과 주교 전기 번역 및 작품들이다. 이 장르는 12세기 중반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14] 주교의 사가 (biskupasöguris)는 아이슬란드의 기독교화 역사와 성직자들의 생애를 다루며, 다른 사가보다 사실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기독교도의 사가』, 『주교 파알의 사가』, 『성 솔라르크의 사가』 등이 있다.

4. 역사

아이슬란드 사가는 구전 전통을 바탕으로 하며, 실제와 허구가 무엇인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사가의 정확성은 종종 논쟁의 대상이 된다.[6]

사가의 중세 사본 대부분은 17세기에 덴마크스웨덴으로 옮겨졌지만, 나중에 아이슬란드로 돌아왔다. 고전 사가는 13세기에 쓰여졌다. 학자들은 한때 이 사가들이 13세기에 필사가가 기록하기 전까지 여러 세대에 걸쳐 구전으로 전해졌다고 믿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현재 사가가 구전과 문자 전통을 모두 바탕으로 한 의식적인 예술적 창작이라고 믿고 있다. 사가에 언급된 의복 품목에 대한 묘사에 초점을 맞춘 연구에 따르면, 저자들은 당시 "구식 의복"이라고 생각되는 것으로 등장인물을 꾸밈으로써 이야기에 역사적인 "느낌"을 만들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이 의복은 12세기에 입었던 의복과 더 일치하기 때문에 사가의 사건과 동시대의 것이 아니다.[15] 북미(현재의 캐나다)로의 항해 이야기가 인증된 것은 20세기 초의 일이다.[16]

아이슬란드인의 사가 대부분은 아이슬란드 역사에서 ''사가 시대(söguöld)''라고 불리는 930년부터 1030년 사이의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왕, 주교, 현대 사가들은 각자의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은 1190년에서 1320년 사이에 기록되었으며, 일부는 그 이전에 구전 전통으로 존재했고, 다른 일부는 순수한 허구이며, 어떤 것들의 경우에는 그 출처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베리르 왕 사가의 저자는 왕을 만나 그를 정보원으로 삼았다.[17]

사가는 일반적으로 익명이지만, 14세기의 독특한 문학 운동은 주로 종교적 주제를 다루는 사가와 관련이 있으며, 저자를 식별할 수 있고 라틴어 스타일이 특징이다. 아이슬란드 북부의 호울라르 교구와 관련된 이 운동은 북아이슬란드 베네딕트 수도원(Norðlenski Benediktskólinn)으로 알려져 있다.[18]

오늘날 "사가"로 불리는 텍스트의 대다수는 아이슬란드에서 쓰여졌다. 예외적으로 노르웨이에서 번역/작성된 ''티드렉 사가(Þiðreks saga)''와 스웨덴에서 작성된 중세 이후의 위작인 ''할마르스 오크 라메르 사가(Hjalmars och Hramers saga)''가 있다. "사가"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중세 텍스트와 관련되어 있지만, 특히 전설적이고 기사도적인 사가 장르에서 사가는 19세기까지 중세 텍스트의 형식에 따라 아이슬란드에서 계속해서 작곡되었다.[19][10]

대부분의 사가는 저자가 알려지지 않았으며, 집필 시기는 아이슬란드 공화국 시대 후기인 12세기부터 13세기로 여겨진다. 그 이후에 쓰인 작품들은 대륙의 기사도 로망스나 동화의 모방("기사 사가", "거짓 사가")이 많아지며, 일반적으로 사가에 포함되지 않는다.[28] 사가가 다루는 내용은 역대 노르웨이 국왕의 전기, 아이슬란드의 식민과 기독교화의 역사, 섬 주민들의 다툼과 재판, 고대 게르만족의 전설 등 다양하다.

사가의 종류는 "왕의 사가(Kings' sagas)”, "주교의 사가(Bishops' saga)”, "아이슬란드인의 사가(Sagas of Icelanders)”, "고대의 사가(Ancient sagas)"의 네 가지로 분류되나, 이외에도 "동시대의 사가(Contemporary sagas)", "기사의 사가(Chivalric sagas)[32]", "성인의 사가(Saints' sagas)"와 같은 다양한 분류가 존재한다.

종류원어설명
왕의 사가konungasöguris스칸디나비아 여러 국가 왕족의 업적을 다룬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헤이름스크링글라』가 대표적이다.
주교의 사가biskupasöguris아이슬란드 기독교화 역사와 성직자의 생애를 다룬다. 사실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아이슬란드인의 사가Íslendingasöguris아이슬란드인들의 활동을 다룬 사가로, 문학적 관점에서 가장 중요하다. "피의 복수"와 알싱에서의 조정을 다룬 내용이 많다.
고대의 사가fornaldarsöguris아이슬란드 식민 이전 노르드인의 전승이나 게르만 민족의 전설을 다룬다.
동시대의 사가samtíðarsöguris사가 작성자와 동시대의 사건을 소재로 한다.
기사의 사가riddarasöguris아더왕 전설 등 외국 기사도 문학이 아이슬란드어 등으로 번역·각색된 것이다.
성인의 사가heilagra manna söguris성인전을 소재로 한다.


4. 1. 사가 성립 배경

아이슬란드는 인구 규모에 비해 방대한 양의 문학 작품을 생산했다. 역사가들은 이처럼 많은 사가(saga)가 쓰인 이유에 대해 여러 가지 이론을 제시해 왔다.

초기 국수주의적 역사가들은 아이슬란드인들의 민족적 특성이 문학 문화에 유리하게 작용했다고 주장했지만, 현대 학계에서는 더 이상 이러한 주장을 지지하지 않는다.[20] 아이슬란드 정착민들이 정착 초기 역사를 기록하기 위해 많은 글을 남겼다는 주장도 있지만, 군나르 카를손(Gunnar Karlsson) 역사가는 다른 정착민 사회에서는 이처럼 많은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20]

한때 실용적인 설명도 지지를 받았다. 광범위한 소 사육과 겨울철 전 도태의 필요성으로 인해 양피지가 풍부하게 확보되었고, 긴 겨울이 아이슬란드인들이 글쓰기에 몰두하도록 만들었다는 것이다.[20]

최근에는 아이슬란드 사가의 생산이 사회적, 정치적 요인에 의해 더 많이 좌우되었다는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아이슬란드 연방의 독특한 정치 체제는 귀족들이 문학을 생산하도록 유인하는 요소였다.[21][22] 수장들은 문학을 통해 자신들과 다른 주민들 사이의 사회적 차별화를 만들고 유지할 수 있었다.[22][23] 군나르 카를손과 제시 바이옥(Jesse Byock)은 아이슬란드인들이 과거의 싸움을 기록함으로써 분권화된 아이슬란드 연방에서 공통적으로 합의된 규범과 규칙을 확립하기 위해 사가를 썼고, 아이슬란드의 지리적 위치 때문에 유럽 대륙의 왕들이 개입할 수 없었기 때문에 반체제적인 문학 형태를 금지할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20] 새로운 영지들은 내부 결속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지도자는 종종 자신의 신하나 추종자들 사이에 공통의 역사와 전설을 강조함으로써 연대감과 공동체 의식을 만들거나 강화하기 위해 사가를 만들었다.[21] 반면, 이미 정치적으로 통합된 오래되고 확립된 영지의 지도자들은 사가를 만들지 않았다.[21]

13세기 후반과 14세기의 사가 서술은 아이슬란드 귀족들이 아이슬란드 귀족의 혈통을 당시 북유럽 국가들과도 같은 혈통을 가진 유명한 왕들과 영웅들에게 연결시킴으로써 북유럽 국가들과의 관계를 유지하거나 재회복하려는 욕구에 의해 좌우되었다.[22][23]

5. 대표적인 사가

사가는 전통적으로 주제에 따라 여러 장르로 분류되며, 각 장르별로 대표적인 작품들이 존재한다.


  • 왕의 사가 (konungasöguris)
  • 스노리 스투르루손의 『헤이름스크링글라』: 신화 시대부터 마그누스 에를링손 왕까지 역대 노르웨이 국왕들의 생애를 기록한 16개의 사가를 담고 있다.
  • 『요름의 바이킹의 사가』: 발트해 연안의 요름스보르그를 거점으로 활약한 전설적인 바이킹 집단의 이야기이다.
  • 『잉글링가 사가』: 헤임스크링글라에 수록된 사가 중 하나이다.
  • 『노르웨이 역사』(Historia Norwegiæ)
  • 『크뉘틀링가 사가』: 하랄 1세부터 12세기까지의 덴마크 지배자에 관한 사가이다.
  • 『오라브 트뤼그바손의 사가』: 노르웨이 왕 오라브 1세에 관한 사가이다.
  • 『오라브 트뤼그바손의 가장 큰 사가』
  • 『성 오라브의 가장 오래된 사가』: 오라브 2세 “성왕”에 관한 사가이다.
  • 『하콩 하코나르손의 사가』: 하콩 4세에 관한 사가로, 스투를라 토르달손의 작품이다.
  • 『파그르스킨나』
  • 『모르킨스킨나』
  • 주교의 사가 (biskupasöguris)
  • 아이슬란드의 기독교화 역사와 성직자들의 생애를 다룬다.
  • 『기독교인의 사가』, 『주교 파울의 사가』, 『성 쏘를라크의 사가』 등이 있다.
  • 아이슬란드인의 사가 (Íslendingasöguris)
  • "가족의 사가", "씨족의 사가"라고도 불리며, 아이슬란드인들의 활동을 다룬다. 문학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작품군이다.
  • 5대 사가: 『에이길의 사가』, 『냐르의 사가』, 『락스다라 사가』, 『에이리크의 사가』, 『그레틸의 사가』
  • 그 외: 『붉은 머리 에이리크의 사가』, 『코르막의 사가』, 『그린란드인의 사가』, 『기슬리의 사가』, 『프레이 신 하프라켈의 사가』, 『히타르 계곡의 용사 비요른의 사가』, 『뱀의 혀를 가진 군나우그의 사가』, 『바트스달라 사가』, 『수탉 토리스의 사가』, 『할프레드의 사가』,『아이슬란드인의 서』,『건국 서기』
  • 『스투를룽가 사가』: 공화국 시대 말기의 내란 상태를 그린 사가 총서로, "동시대의 사가"로 분류되기도 한다.
  • 고대의 사가 (fornaldarsöguris)
  • "전설적 사가"라고도 불리며, 아이슬란드 식민 이전 노르드인과 게르만 민족의 전설을 다룬다.
  • 『볼숭가 사가』: 니벨룽겐 전설을 소재로 한다.
  •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사가』: 덴마크의 수장 라그나르와 그의 아들들을 다룬다.
  • 『에이문드의 사가』
  • 『용사 살해자 아스문드의 사가』
  • 『헤르볼과 헤이드렉 왕의 사가』
  • 동시대의 사가 (samtíðarsöguris)
  • 사가 작성자와 동시대의 사건을 소재로 한 것이다.
  • 『스투를룽가 사가』
  • 기사의 사가 (riddarasöguris)
  • 아더왕 전설 등 외국 기사도 문학을 아이슬란드어로 번역하거나 각색한 것이다.
  • 『이븐 사가(Ívens saga)』[37]
  • 『에렉스 사가(Erex saga)』[38]
  • 『파르세발 사가(Parcevals saga)』[39]
  • 『발벤 이야기(Valvers þáttr)』[40]
  • 『브리타니아 이야기(Breta sögur)』[41]
  • 『멀리누스의 예언(Merlínússpá)』[42]
  • 『티드렉 사가』
  • 성인의 사가 (heilagra manna söguris)
  • 성인전을 소재로 한 것이다.
  • 기타
  • 『』
  • 『』
  • 『』

6. 한국어 번역

번역자제목출판사발행년도비고
山室静일본어붉은 머리 에이리크 이야기 고대 북유럽 사가집동수사(冬樹社)1974
谷口幸男일본어아이슬란드 사가신초사(新潮社)1979 (신판 2024, 松本 료일본어 감수)「에이길의 사가」, 「그레틸의 사가」, 「랙사르 계곡 사람들의 사가」, 「에일 사람들의 사가」, 「볼숭가 사가」, 「냐를의 사가」 수록. 제18회 후지무라 기념 역정상, 제16회 일본번역문화상 수상 (1980). 978-4103137047
菅原邦城일본어게르만 북유럽의 영웅 전설 볼숭가 사가도카이대학 출판회(東海大学出版会)1979
松谷健二일본어에다 그레틸의 사가 중세 문학집 3치쿠마문고(ちくま文庫)1986
大塚光子일본어슬의 아들 기슬리의 사가아소 출판(麻生出版)2011초판은 산세이도(三省堂)에서 『슬의 아들 기슬리의 이야기』로 1987년 발행. 978-4-905383-01-7
日本アイスランド学会일본어사가 선집도카이대학 출판회(東海大学出版会)1991「아이슬란드 사람들의 책」, 「암탉 소릴의 사가」, 「뱀 혀의 군라우그의 사가」, 「그린란드 사람들의 사가」, 「몽둥이 맞은 솔스타인의 이야기」, 「베스트피오르드 사람 아우즌의 이야기」, 「하콩 선왕의 사가」, 「용사 살해자 아스문드의 사가」, 「주교 파알의 사가」 수록. 권말 용어집 포함.
菅原邦城일본어아이슬란드의 사가 중편집도카이대학 출판회(東海大学出版会)2001「프레이르 신 고지 플라벤켈의 사가」, 「바르프나피오르드의 사가」, 「드로플라우그의 아들들의 사가」, 「반다만나 사가-속임수를 쓴 지도자들의 이야기」, 「붉은 머리 에이리클의 사가」 수록.
森信嘉일본어스칼드 시인의 사가도카이대학 출판회(東海大学出版会)2005「콜막의 사가」, 「할프레즈의 사가」 수록. 978-4486016960
渡辺洋美일본어기슬리의 사가 (1000점 세계 문학 대계 북유럽 편 2)북유럽 문화 통신사(北欧文化通信社)2008
谷口幸男일본어헤임스크링글라 북유럽 왕조사 (1000점 세계 문학 대계 북유럽 편 3) 전 4권북유럽 문화 통신사(北欧文化通信社)2008-2011
林邦彦일본어북유럽의 아서왕 이야기 이벤의 사가/엘렉스의 사가아소 출판(麻生出版)2013
Mats G. Larsson|:sv:Mats_G._Larssonsv비극의 바이킹 원정 동방 탐험가 잉그바르의 발자취 1036-1041신주쿠 서점(新宿書房)2004「동방 탐험가 잉그바르의 사가」 초역 수록.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Old Norse Prose/Ordbog over det norrøne prosasprog https://onp.ku.dk/on[...] Arnamagnæan Commission/Arnamagnæanske kommission 1983
[2] 웹사이트 saw, n.2.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9-12
[3] 웹사이트 saga, n.1.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9-12
[4] 서적 The Saga of the Ring / Ringarnas herre / Hringadróttins saga 2004
[5]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s://www.fotevike[...] 2022-09-12
[6] 서적 Family Sagas Blackwell 2005
[7] 웹사이트 heimskringla.no http://www.heimskrin[...] 2015-01-11
[8] 웹사이트 Sagas of Contemporary History http://www.blackwell[...] 2015-01-11
[9] 서적 Viking Friendship: The Social Bond in Iceland and Norway, C. 900–1300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7
[10] 서적 Late Prose Fiction (Lygisögur) Blackwell 2005
[11] 서적 Romance (Translated Riddarasögur) Blackwell 2005
[12] 간행물 How Icelandic Legends Reflect the Prohibition on Dancing 2006
[13] 간행물 Þjalar-Jóns saga https://archive.org/[...] 2015
[14] 서적 Christian Biography Blackwell 2005
[15] 웹사이트 Clothing In Norse Literature https://web.archive.[...] 2013-11-15
[16] 서적 Strange Footprints on the Land Harper & Row 1980
[17] 웹사이트 Skaldic Poetry of the Scandinavian Middle Ages https://www.abdn.ac.[...] 2015-01-11
[18] 웹사이트 AM 657 a-b 4to | Handrit.is https://handrit.is/m[...] 2022-09-12
[19] 서적 The Unwashed Children of Eve: The Production, Dissemination and Reception of Popular Literature in Post-Reformation Iceland Hisarlik Press 1997
[20] 웹사이트 Sagnfræðingafélag Íslands » Archive » Hlaðvarp: Gunnar Karlsson: Ísland sem jaðarsvæði evrópskrar miðaldamenningar http://www.sagnfraed[...] 2017-03-15
[21] 논문 Lords and Literature: The Icelandic Sagas as Political and Social Instruments 2003-06-01
[22] 서적 Negotiating Pasts in the Nordic Countries: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History and Memory https://books.google[...] Nordic Academic Press 2010
[23] 서적 The Matter of the North https://www.academia[...] Odense University Press 2002
[24] 서적 Late Medieval Icelandic Romances Munksgaard 1962
[25] 웹사이트 Database of medieval Icelandic saga literary adaptations https://cwecrocker.c[...] 2019-02-23
[26] 웹사이트 サガ【Saga】の意味 - 国語辞書 - goo辞書 http://dictionary.go[...] 2013-01-15
[27] 서적 エッダとサガ
[28] 서적 サガ選集
[29] 서적 サガ選集
[30] 백과사전 Kotobank
[31] 백과사전 Encyclopedia Americana
[32] 서적 (Unspecified) 2019
[33] 서적 エッダとサガ
[34] 서적 エッダとサガ
[35] 백과사전 角川世界史辞典
[36] 서적 同時代サガ
[37] 서적 イーヴェンのサガ
[38] 서적 エレクスのサガ
[39] 서적 パルセヴァルのサガ
[40] 서적 ヴァルヴェンの話
[41] 서적 ブリトン人のサガ
[42] 서적 メルリーヌースの予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