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 남태평양 지역 육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남태평양 지역 육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육군 병력을 통제하기 위해 조직된 부대이다. 1942년 7월 밀라드 F. 하몬 소장을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창설되었으며, 남태평양 지역 육군은 뉴칼레도니아에 주둔한 아메리칼 사단을 남서태평양 전구에 투입하고, 1944년 남태평양 기지사령부로 재편성되어 주둔지 관리 임무를 수행했다. 1945년에는 올림픽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육군근무사령부-O로 재편성되어 루손으로 이동했으며, 이후 제6군, 미국 중부태평양 육군으로 전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미국 극동 육군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극동 지역의 미국 군사력을 통합 지휘하기 위해 창설된 미국 극동 육군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초대 사령관을 맡아 태평양 전쟁 초기 필리핀 방어전을 수행하고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으나 1957년 주일 미국 육군으로 재편되면서 해체되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미국 태평양 전략 공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육군 항공대의 전략 공군 조직인 미국 태평양 전략 공군은 일본 본토 전략 폭격,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 폭탄 투하 작전에 관여했으며 해체 후 미국 태평양 공군으로 이관되었다.
  • 1946년 폐지 - 경성부
    경성부는 일제강점기 시대에 한성부에서 개칭된 행정구역으로, 1910년 10월 1일부터 1945년 해방 시점까지 존재했으며, 1943년 구제 실시와 1944년 마포구 신설을 통해 총 8개의 구 체제를 갖추었으며, 해방 후 서울로 개칭되어 대한민국의 수도가 되었다.
  • 1946년 폐지 -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왕국은 1861년 사르데냐 왕국의 주도로 통일되어 건국되었으며, 자유주의 시대를 거쳐 파시스트 정권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겪은 후 국민투표로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 1942년 설립 - 조선의용군
    조선의용군은 1937년 중국 우한에서 조선민족전선연맹 산하 항일 무장단체로 창설되어 중국 공산당과 협력하여 항일 활동을 전개했으며, 해방 후 일부는 북한 인민군에 편입되어 한국 전쟁에 참여했다.
  • 1942년 설립 - KBS목포방송국
    KBS목포방송국은 1942년 개국한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국으로,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목포 및 전남 서남부 지역에 뉴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미국 남태평양 지역 육군
개요
이름미국 남태평양 지역 육군
원어 이름United States Army Force, South Pacific Area
상세 정보
활동 기간1942년 7월 20일 ~ 1946년
국가미국
소속미국 육군
역할남태평양 주둔군
참전남태평양 지역
지휘관

2. 역사

일본 제국과의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면서 태평양 전구는 북태평양, 중부태평양, 남태평양 지역으로 나뉘어 관리되었다. 체스터 W. 니미츠 제독은 북태평양과 중부태평양 지역을 직접 지휘했으나, 남태평양 지역은 별도의 사령관으로 해군 중장 로버트 곰레이를 임명했다. 현장에 배치된 곰레이 제독은 육군 병력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육군 사령관의 필요성을 느꼈고, 1942년 7월 7일 밀라드 F. 하몬(Millard F. Harmon Jr.|밀라드 F. 하몬 주니어eng) 소장을 초대 미국 남태평양 지역 육군(United States Army Force in South Pacific Areaeng, USAFISPA) 사령관으로 임명하였다.

초기에는 뉴칼레도니아에 주둔하던 태스크포스 6814(TF 6814)가 주요 부대였으며, 이 부대는 1943년 5월 아메리칼 사단으로 재편성되어 남서태평양 전구에 투입되었다.

1944년 8월 1일, 남태평양 지역 육군은 남태평양 일대에 주둔하는 육군 부대들의 주둔지 관리를 위해 남태평양 기지사령부(South Pacific Base Commandeng, SPBC)로 재편성되었다.

전쟁 말기인 1945년 6월, 일본 본토 침공 작전인 몰락 작전 지원을 위해 육군 근무 사령부-O(Army Service Command-Oeng, ASCOM-O)로 재편성되어 필리핀 루손으로 이동했으며, 같은 달 뉴칼레도니아에서는 남태평양 기지사령부(SPBC)가 ISCOM(Island Commandeng)을 기반으로 다시 편성되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으로 전쟁이 끝나자, ASCOM-O는 당일 제6군에 배속되었고, 같은 해 10월에는 미국 중부태평양 육군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부대 명칭 변경 이력'''


  • 1942년 7월 7일: United States Army Force in South Pacific Areaeng (USAFISPA) - 미국 남태평양 지역 육군
  • 1944년 8월 1일: South Pacific Base Commandeng (SPBC) - 남태평양 기지사령부
  • 1945년 7월 6일: Army Service Command Oeng (ASCOM-O) - 육군근무사령부-O
  • 1946년 8월 1일: South Pacific Base Commandeng (SPBC) - 남태평양 기지사령부 (재편성)

2. 1. 초기 편성 및 지휘

일본 제국과의 전쟁이 시작되면서 태평양 지역은 북태평양, 중부태평양, 남태평양 지역으로 나뉘었다. 체스터 W. 니미츠 제독은 북태평양과 중부태평양 지역을 직접 지휘했지만, 남태평양 지역은 해군 중장(VADM) 로버트 곰레이를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지휘를 맡겼다. 현장에 배치된 로버트 곰레이 제독은 모든 육군 병력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육군 사령관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1942년 7월 7일 밀라드 F. 하몬(Millard F. Harmon Jr.|밀라드 F. 하몬 주니어eng) 소장을 남태평양 지역 육군(USAFISPA) 사령관으로 임명하였다.

2. 2. 부대 재편 및 전투 참여

뉴칼레도니아에 주둔하던 태스크포스 6814(TF 6814)는 1943년 5월, 아메리칼 사단으로 재편성되어 남서태평양 전구에 투입되었다.

1944년 8월 1일, 남태평양 일대에 주둔하는 육군 부대들의 주둔지를 관리하기 위해 남태평양 기지사령부로 재편성되었다.

1945년 6월 7일, 일본 본토 침공 작전인 몰락 작전 중 올림픽 작전에 따라 규슈를 침공할 예정이었던 제6군제8군을 지원하기 위해 ''ASCOM-O''로 재편성되었고, 필리핀루손으로 이동하였다. ASCOM-O는 미국 서태평양 육군의 지휘를 받으며, 델 카멘에 각각 Base Section영어 1, 2, 3을 조직하고 팜팡가루손섬의 육군 주둔군을 관리 및 통제하였다.

1945년 6월 15일에는 뉴칼레도니아 ISCOM을 기반으로 남태평양 기지사령부가 다시 재편성되었다. 같은 해 8월 15일 일본의 항복 이후, 남태평양 기지사령부는 당일 제6군 소속으로 변경되었고, 10월에는 미국 중부태평양 육군으로 전속되었다.

2. 3. 종전 및 해체

1945년 6월 7일, 이 부대는 몰락 작전 중 올림픽 작전에 따라 규슈 침공 예정인 제6군제8군을 지원하기 위해 육군 근무 사령부-O(Army Service Command-Oeng, ASCOM-O)로 재편성되었다. 재편성과 함께 부대는 필리핀루손으로 이동하였다. ASCOM-O는 미국 서태평양 육군의 지휘 아래 델 카멘에 기지를 두고, Base Sectioneng 1, 2, 3을 조직하여 팜팡가루손섬육군 주둔군을 관리 및 통제하였다.

같은 해 6월 15일에는 뉴칼레도니아의 ISCOM(Island Commandeng)을 기반으로 남태평양 기지사령부(South Pacific Base Commandeng, SPBC)가 다시 편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일본의 항복으로 종결된 1945년 8월 15일, ASCOM-O는 제6군에 배속되었고, 같은 해 10월에는 미국 중부태평양 육군으로 소속이 변경되었으며, 이후 해체되었다.

3. 편성

미국 남태평양 지역 육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남태평양 전역에서의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예하 부대 및 사령부를 편성하여 운영하였다. 이들 부대는 병력 보충, 훈련, 보급, 항공 작전 지원 및 특정 지역 방어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 부대 편성은 전쟁 상황과 전략 변화에 따라 유동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임무 완료 후 해체되거나 다른 사령부로 전속되기도 하였다. 주요 예하 부대 및 제도/열도 사령부(Islands Commands|ISCOMS영어)의 구체적인 목록과 활동 내역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주요 예하 부대


  • 하위기지: 에파테섬/Force 9156/제3(III) ISCOM 하위기지 (1943년 3월 23일 ~ 1944년 8월 20일)
    * 부건빌섬 (1943년 12월 15일 ~ 1945년 1월 15일)제4(IV) ISCOM에스피리투산토섬 / 기지사령부1942년 5월 28일, 1943년 2월 17일 ~ 1944년 8월 20일제5(V) ISCOM과달카날 / 과달카날 근무사령부1943년 2월 15일 ~ 10월 8일(임시); 1944년 8월 20일제6(VI) ISCOM뉴조지아 제도1943년 9월 1일 ~ 1945년 1월 1일제7(VII) ISCOM러셀 제도 / ISCOM RI / 과달카날 하위기지1943년 6월 25일 ~ 1945년 1월 10일본부-월리스-Upalo-투투일라섬-누쿠페타우 환초1944년 11월 7일 ~ ?

3. 2. 제도/열도 사령부 (ISCOMS)

부건빌섬 담당 (1943년 12월 15일 ~ 1945년 1월 15일)제4(IV) ISCOM에스피리투산토섬 / 기지사령부1942년 5월 28일, 1943년 2월 17일 ~ 1944년 8월 20일제5(V) ISCOM과달카날 / 과달카날 근무사령부1943년 2월 15일 ~ 10월 8일(임시); 1944년 8월 20일제6(VI) ISCOM뉴조지아 제도1943년 9월 1일 ~ 1945년 1월 1일제7(VII) ISCOM러셀 제도 / ISCOM RI / 과달카날 하위기지 본부1943년 6월 25일 ~ 1945년 1월 10일기타월리스정보 없음기타Upalo정보 없음기타투투일라섬정보 없음기타누쿠페타우 환초1944년 11월 7일 ~ ?


4. 역대 사령관

남태평양 지역 미국 육군의 지휘는 남태평양 지역 미국 육군 사령관(CG USAFISPA)과 남태평양 기지사령관(CG SPBC)을 거쳐 이루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4. 1. 남태평양 지역 미국 육군 사령관 (CG USAFISPA)

Commanding General, United States Army Force in South Pacific Area (CG USAFISPA)
#사진군종/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비고
1.
밀라드 F. 하몬
항공대
소장
Millard F. Harmon Jr.영어
밀라드 F. 하몬
1942년 7월 26일
2.
러시 B. 링컨
소장Rush B. Lincoln영어
러시 B. 링컨
1942년 10월 20일
3.소장Charles F. Thompson영어
찰스 F. 톰프슨
1943년 3월 6일
4.항공대
소장
Millard F. Harmon Jr.영어
밀라드 F. 하몬
1943년 4월 8일
5.
맥스웰 뮤레이
지상군
소장
Maxwell Murray영어
맥스웰 뮤레이
1944년 7월 8일1944년 8월 1일


4. 2. 남태평양 기지사령관 (CG SPBC)

소장Maxwell Murray영어
맥스웰 뮤레이1944년 8월 1일1944년 8월 10일2.
지상군
소장Frederick Gilbreath영어
프레데릭 길브레스1944년 8월 10일3.지상군
소장Maxwell Murray영어
맥스웰 머레이1945년 5월 16일1946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