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얀마의 교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얀마의 교육은 식민지 시대와 독립 이후, 그리고 군부 쿠데타를 거치면서 여러 변화를 겪었다. 식민지 시대에는 여성 교육이 발전했으나, 독립 후 국유화와 미얀마어 사용 등으로 교육 수준이 저하되었다. 1988년 이후 군사 정부의 통제하에 놓이면서 대학이 양곤과 만달레이에 집중되었고, 암기식 교육과 교사의 권위주의, 자재 부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된다. 현재 미얀마의 교육 제도는 유치원부터 고등 교육까지 단계별로 구분되며, 공립학교에서는 교복 착용이 의무화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미얀마의 교육
기본 정보
국가 명칭미얀마 연방 공화국
현황국가
공용어버마어 (미얀마어), 영어
설립1910년
지도 기관교육부
지도자 직함연방 장관
지도자 이름뉸트 페 박사
교육 예산
예산 규모약 11억 5200만 미국 달러
예산 연도2014-2015년
교육 통계
문해율 연도2014년
총 문해율89.5%
남성 문해율92.6%
여성 문해율86.9%
총 등록 학생 수17,606,223명
초등 교육 등록 학생 수4,766,806명
중등 교육 등록 학생 수6,194,851명
고등 교육 등록 학생 수4,831,624명
역사
사회주의 정부의 학교 국유화2020년
네윈 장군의 버마화 유산2024년
인권
인권 측정인권 측정 이니셔티브
인권 추적미얀마 인권 추적기

2. 역사

영국 식민지 시절 여성 교육이 눈에 띠게 향상됐다. 식민 시절 전에는 승원 학교를 중심으로 상가가 주요 교육 기관이었고, 교육은 불교 사제 교육으로 남성에게만 교육 혜택이 해당됐다.[23] 여학생 비율이 1911-21년에만 61% 성장했고 21-31년에는 다시 82% 성장했다. 이는 식민 시기 사립 학교가 여학교로 대거 등장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23] 이에 따라 여성 고용률이 33% 정도 증가하여 공적부문, 법, 의학계통(96%), 교육(64%), 언론 부문 등도 여성인력이 크게 늘었다.

1948년 독립하면서 정부는 교육수준이 높은 사람들을 찾게 됐고 당시만 해도 미얀마의 미래는 밝았다. 하지만 1962년 쿠데타로 쇠락의 길에 접어 들어 모든 학교가 국유화되고 교육 기준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1965년 대학교육 시 언어이던 영어는 64년 신대학법에 따라 미얀마어로 바뀌었다.[24] 이에 따라 미얀마인의 영어 실력 또한 매우 떨어지게 됐고 1982년이 돼서야 교습 언어로 영어가 다시 등장한다. 1977년 2년제 지방대가 도입되어 2년은 다른 지방의 학교에서 다니고 3-4학년 때에만 모교에서 수학하게 됐다. 이는 대학생들을 분산시키기 위한 방책으로 1981년에서야 철폐됐다.

대학생들의 계속된 시위로 모든 학교는 거의 2년간 폐교됐다. 1990년대까지 신규 도입된 교육체제는 활발히 추진되지 못했고 각급 학교 학생들의 반발로 인해 6개월이 1학기로 운영됐다. 국가평화발전위원회 시기 정부는 지나치게 차이가 심한 학교 졸업 시기를 일원화했지만 1996년과 1998년에도 반발 시위가 일어나 3년간 다시 대학들이 문을 닫아야 했다. 1999년 다시 대학교가 문을 열면서 정부는 대학들을 여러 지역으로 분산 이주시킨다. 각 부처와 협의하에 진행되었고 이때부터 3년만 다니면 대학 학위를 가질 수 있게 되어 학기 기준 또한 바뀌게 된다. 기준은 바뀌었지만 학습 향상은 초기 반발과 달리 진척 양상을 보여 2005년 교육부는 미얀마 교육이 국제 기준에 부합하고 있으며 156개의 대학을 완전 승인했다.

오늘날에도 미얀마 교육은 국제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많다. 수준 높은 교원이 있더라도 자재가 낡고 교육을 위한 자재는 부족한 실정이다. 대학이 여러 지방으로 이전 배치되면서 정치참여도 더 어려워졌으며 출판, 발언의 자유도 없다.

승원 학교도 참고

식민지 이전의 버마에서는 상가가 주요 교육 기관이었다. 학교를 뜻하는 버마어 단어인 ''kyaung''은 이 연결에서 유래하여 사원과 동의어이다. 왕조 버마에서 왕의 주요 불교 의무 중 하나는 국민에게 복지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학교는 정부와 무관했으며, 종종 사원에 대한 지역 기부에 의해 지원되었다. 그러나 국가는 교육적 복지를 제공하는 승려의 존재가 중요한 정치적 정당성을 제공했기 때문에 그 발전 에 중요한 관심을 가졌다.[9] 소년들은 수도원 시스템 내에서 시간제 또는 전일제로 교육을 받았으며, 주로 종교 경전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로 인해 소녀들은 가정에서 교육을 받아 기본적인 문해 능력과 기타 가정 또는 시장 기술을 습득했다.[10]

영국이 버마를 정복했을 때, 그들은 이 광범위한 시스템과 마주했지만, 이를 부적절하고 현대 시대에 적합하지 않다고 일축했다.[11]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영국은 세속적인 교육을 만들고자 노력했으며, 여성의 교육 접근성을 엄청나게 증가시켰다. 학교에 등록한 여학생 수는 1911년부터 1921년까지 61%(45,000명 증가) 증가했고, 식민지 및 사립 교육 시스템의 확산으로 1921년부터 1931년까지 82%(100,000명 증가) 더 증가했으며, 주로 여자 학교의 형태였다.[12] 이는 여성 고용 증가와 일치했다. 1921년부터 1931년까지 공공 행정, 법률, 의학(96% 증가), 교육(64% 증가) 및 저널리즘 분야에서 여성 고용이 33% 증가했다.[12] 선교사들도 카렌어를 비롯한 다른 언어를 교육 수단으로 사용하는 학교를 시작했다.[13]

2. 1. 식민지 이전

식민지 이전 버마에서는 상가가 주요 교육 기관이었다. 학교를 뜻하는 버마어 단어인 'kyaung'은 사원과 동의어인데[9], 이는 학교가 사원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음을 보여준다. 왕조 버마에서 왕의 주요 불교 의무 중 하나는 국민에게 복지를 제공하는 것이었고, 학교는 정부와 무관했으며, 종종 사원에 대한 지역 기부에 의해 지원되었다. 국가는 교육적 복지를 제공하는 승려의 존재가 중요한 정치적 정당성을 제공했기 때문에 그 발전에 중요한 관심을 가졌다.[9] 소년들은 수도원 시스템 내에서 시간제 또는 전일제로 교육을 받았으며, 주로 종교 경전에 중점을 두었다. 이로 인해 소녀들은 가정에서 교육을 받아 기본적인 문해 능력과 기타 가정 또는 시장 기술을 습득했다.[10]

승원 학교도 참고할 수 있다.

2. 2. 영국 식민지 시대

영국 식민지 시절에는 여성 교육이 눈에 띄게 향상됐다. 식민지 이전에는 승원 학교를 중심으로 상가가 주요 교육 기관이었고, 교육은 불교 사제 교육을 받는 남성에게만 제공되었다.[23] 학교를 뜻하는 버마어 단어인 'kyaung'은 사원과 동의어일 정도였다.[9] 소녀들은 가정에서 기본적인 문해 능력과 기타 가정 또는 시장 기술을 습득했다.[10]

영국은 버마를 정복한 후, 기존의 교육 시스템을 부적절하고 현대 시대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다.[11]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영국은 세속적인 교육을 만들고자 노력했으며, 특히 여성의 교육 접근성을 크게 높였다. 1911년부터 1921년까지 여학생 수는 61% 증가했고, 1921년부터 1931년까지는 식민지 및 사립 교육 시스템, 특히 여자 학교의 확산으로 82%나 더 증가했다.[12][23] 이는 여성 고용 증가로 이어져, 1921년부터 1931년까지 공공 행정, 법률, 의학, 교육, 저널리즘 분야에서 여성 고용이 33% 증가했다.[12] 선교사들은 카렌어를 비롯한 다른 언어를 교육 수단으로 사용하는 학교를 시작하기도 했다.[13]

2. 3. 독립 이후 (1948년 ~ 현재)

1948년 독립 당시 미얀마 정부는 문맹률을 낮추고 교육받은 인구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으며, 미얀마는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24] 그러나 1962년 쿠데타로 인해 모든 학교가 국유화되고 교육 기준이 떨어지면서 쇠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24][13]

독립 이전, 영국 식민지 시절에는 여성 교육이 눈에 띄게 향상되었다. 식민지 이전에는 불교 사제 교육을 통해 남성에게만 교육 혜택이 주어졌으나, 식민 시기 사립 학교가 여학교로 대거 등장하면서 여학생 비율이 1911~1921년에 61%, 1921~1931년에 82% 성장했다.[12] 이에 따라 여성 고용률도 증가하여 공공 행정, 법률, 의학, 교육, 언론 분야에서 여성 인력이 크게 늘었다.[12]

1965년에는 신대학법에 따라 대학교육에서 영어 대신 미얀마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미얀마인들의 영어 구사 능력이 급격히 저하되었다.[14] 영어는 1982년에 다시 교습 언어로 도입되었다.[14] 1977년에는 2년제 지방 대학 시스템이 도입되어 학생들이 분산되었으나, 1981년에 폐지되었다.[14]

8888 항쟁으로 인해 모든 대학교가 2년간 폐쇄되기도 했다. 1990년대에는 1학기가 6개월로 운영되는 등 교육 체제가 불안정했다. 국가평화발전위원회 시기에는 학교 졸업 시기를 일원화하려 했으나, 1996년과 1998년 학생 시위로 인해 3년간 대학들이 문을 닫아야 했다.

1999년 대학교가 다시 문을 열면서 정부는 대학들을 여러 지역으로 분산시켰고, 3년 만에 대학 학위를 받을 수 있도록 학기 기준을 변경했다. 2005년 교육부는 미얀마 교육이 국제 기준에 부합한다고 발표했으나, 오늘날에도 미얀마 교육은 국제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낡은 자재, 훈련받지 않은 교사, 뇌물 수수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며, 학생들은 정치 참여, 출판, 발언의 자유를 제약받고 있다.

식민지 이전의 버마에서는 상가가 주요 교육 기관이었으며, 학교를 뜻하는 버마어 단어인 ''kyaung''은 사원과 동의어였다.[9] 소년들은 수도원 시스템 내에서 교육을 받았고, 소녀들은 가정에서 교육을 받아 기본적인 문해 능력과 기타 가정 또는 시장 기술을 습득했다.[10] 영국이 버마를 정복했을 때, 그들은 이 광범위한 시스템과 마주했지만, 이를 부적절하고 현대 시대에 적합하지 않다고 일축했다.[11]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영국은 세속적인 교육을 만들고자 노력했다.[12]

3. 교육 제도

레벨/학년일반적인 나이
유치원
유치원 과정4–5
초등학교
유치원5–6
1학년6–7
2학년7–8
3학년8–9
4학년9–10
중학교
5학년10–11
6학년11–12
7학년12–13
8학년13–14
고등학교
9학년14–15
10학년15–16
11학년16–17
12학년17–18
고등 교육
대학교나이는 다양함
직업 교육나이는 다양함
성인 교육



미얀마에서 유치원은 2세 이상부터 다닐 수 있으며, 보육 시스템이나 공립 시스템에 속해 있다. 만 5세부터 유치원에 입학할 수 있지만, 학교 시작일 기준으로 만 4세 8개월 미만은 입학이 불가능하다. 미얀마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는 기초 교육부 소속이며, 공식적인 학교 시작일은 6월 1일이다. 고등교육을 제외한 초등교육은 초등교육청이 관할하며, 첫 입학일은 6월 1일이다.

공식적으로 미얀마의 초등 교육은 의무 교육 기간이다. 5년 동안 진행되며, 중등 학교로 진학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과목에 대한 종합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미얀마의 중등 교육은 6-8학년이 중학교, 9-10학년이 고등학교이다. 기초교육 8학년 시험을 통과해야 고등학교로 진급할 수 있다.[26] 10학년 마지막에는 기초교육 10학년 시험을 통과해야만 증서를 받는다. 졸업 시험을 통과하면 학위A나 학위B를 받게 되는데, A학위를 받은 경우에는 대학 입학 자격이 주어진다.

중등교육은 보통 중-고등학교 교육을 합쳐놓은 형태인데, 군인의 자녀나 관련 자녀의 경우 양질의 학교에 진학한다. 교육 평등성은 대단히 낮은 편이다. 고등학교 학생은 입학 시 이공계 또는 인문계 중 하나를 선택한다. 모든 고등학생은 미얀마어, 영어, 수학을 필수로 공부하지만, 이공계를 선택한 학생은 화학, 물리학, 생물학이 추가되고 인문계를 고른 학생은 지리, 역사, 경제학을 공부해야 한다. 어떤 과정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학생이 지원할 수 있는 학교의 분야와 시험 과목이 달라진다.

10학년이 끝나면 대학 입학 시험(တ 껏따또우윈딴 싸메붸/တက္ကသိုလ်ဝင်တန်း စာမေးပွဲmy)을 보는데 시험 위원회가 주관하며 3월 중순에 치른다.[17] 과목별 고득점을 ''gondu'' (궁두/ဂုဏ်ထူးmy)라 하는데,[26] 4과목 이상(또는 총점 약 480/600점)에서 우수성을 달성한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미얀마에서 가장 선발 경쟁이 치열한 미얀마 의과대학 및 공과대학에 입학이 보장된다. 시험 결과는 6월 전국 시험장소에 공개된다.[18] 2007년 이후 몬 주에서 졸업시험 합격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19]

국제영어학교나 사립학교 재학생의 경우 졸업 시험을 볼 수 없고 미얀마 내 대학교에도 다닐 수 없다.[20] 대신에 보통 이런 학생들은 싱가포르, 영국, 말레이시아, 미국 등지에서 공부한다. 2010년 기준 미국 체류 미얀마 학생은 695명으로 나타났다.[21]

미얀마 중등 교육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저해하는 암기식 학습에 전적으로 중점을 둔다는 문제점이 있다. 교사들 스스로 권위적인 시스템 하에서 배우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현재의 교수법 변화에 저항한다.[22]

미얀마의 고등 교육은 1988년 이후 군사 정부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거의 모든 대학이 양곤과 만달레이 두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대학, 전문학교, 기술학교를 포함한 163개의 고등 교육 기관이 있으며, 학생 수는 약 550,000명이다.

2016년 기준, 과학기술부는 9개의 고등 교육 기관, 24개의 대학, 1개의 대학, 2개의 2년제 대학, 10개의 기술 고등학교, 15개의 정부 기술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교육부는 71개의 대학과 학위를 수여하는 단과대학, 20개의 2년제 대학, 9개의 교육 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사립 교육 기관은 종교 세미나 및 기타 전문 학교(예: IT 및 영어 학습 센터)를 포함하여 약 35개가 있다. 대부분은 양곤과 만달레이에 위치하며, 등록 학생 수는 제한적이다.

2014년 11월, 국회는 국가 교육법 초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대학들이 자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모든 대학의 운영을 조정하는 중앙 집중식 고등 교육 위원회를 신설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과 교수진은 이 법안이 대학의 자율성을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항의했다.

3. 1. 유치원 (Preschool and kindergarten)

미얀마에서 유치원은 2세 이상부터 다닐 수 있으며, 보육 시스템이나 공립 시스템에 속해 있다. 만 5세부터 유치원에 입학할 수 있지만, 학교 시작일 기준으로 만 4세 8개월 미만은 입학이 불가능하다. 미얀마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는 기초 교육부 소속이며, 공식적인 학교 시작일은 6월 1일이다. 고등교육을 제외한 초등교육은 초등교육청이 관할하며, 첫 입학일은 6월 1일이다.

3. 2. 초등 교육 (Primary education)

공식적으로 미얀마의 초등 교육은 의무 교육 기간이다. 5년 동안 진행되며, 중등 학교로 진학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과목에 대한 종합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3. 3. 중등 교육 (Secondary education)

미얀마의 중등 교육은 6-8학년이 중학교, 9-10학년이 고등학교이다. 기초교육 8학년 시험을 통과해야 고등학교로 진급할 수 있다.[26] 10학년 마지막에는 기초교육 10학년 시험을 통과해야만 증서를 받는다. 졸업 시험을 통과하면 학위A나 학위B를 받게 되는데, A학위를 받은 경우에는 대학 입학 자격이 주어진다.

중등교육은 보통 중-고등학교 교육을 합쳐놓은 형태인데, 군인의 자녀나 관련 자녀의 경우 양질의 학교에 진학한다. 교육 평등성은 대단히 낮은 편이다. 고등학교 학생은 입학 시 이공계 또는 인문계 중 하나를 선택한다. 모든 고등학생은 미얀마어, 영어, 수학을 필수로 공부하지만, 이공계를 선택한 학생은 화학, 물리학, 생물학이 추가되고 인문계를 고른 학생은 지리, 역사, 경제학을 공부해야 한다. 어떤 과정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학생이 지원할 수 있는 학교의 분야와 시험 과목이 달라진다.

10학년이 끝나면 대학 입학 시험()을 보는데 시험 위원회가 주관하며 3월 중순에 치른다.[17] 과목별 고득점을 ''gondu'' ()라 하는데,[26] 4과목 이상(또는 총점 약 480/600점)에서 우수성을 달성한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미얀마에서 가장 선발 경쟁이 치열한 미얀마 의과대학 및 공과대학에 입학이 보장된다. 시험 결과는 6월 전국 시험장소에 공개된다.[18] 2007년 이후 몬 주에서 졸업시험 합격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19]

국제영어학교나 사립학교 재학생의 경우 졸업 시험을 볼 수 없고 미얀마 내 대학교에도 다닐 수 없다.[20] 대신에 보통 이런 학생들은 싱가포르, 영국, 말레이시아, 미국 등지에서 공부한다. 2010년 기준 미국 체류 미얀마 학생은 695명으로 나타났다.[21]

미얀마 중등 교육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저해하는 암기식 학습에 전적으로 중점을 둔다는 문제점이 있다. 교사들 스스로 권위적인 시스템 하에서 배우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현재의 교수법 변화에 저항한다.[22]

3. 4. 고등 교육 (Tertiary education)

미얀마의 고등 교육은 1988년 이후 군사 정부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거의 모든 대학이 양곤과 만달레이 두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대학, 전문학교, 기술학교를 포함한 163개의 고등 교육 기관이 있으며, 학생 수는 약 550,000명이다.

2016년 기준, 과학기술부는 9개의 고등 교육 기관, 24개의 대학, 1개의 대학, 2개의 2년제 대학, 10개의 기술 고등학교, 15개의 정부 기술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교육부는 71개의 대학과 학위를 수여하는 단과대학, 20개의 2년제 대학, 9개의 교육 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사립 교육 기관은 종교 세미나 및 기타 전문 학교(예: IT 및 영어 학습 센터)를 포함하여 약 35개가 있다. 대부분은 양곤과 만달레이에 위치하며, 등록 학생 수는 제한적이다.

2014년 11월, 국회는 국가 교육법 초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대학들이 자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모든 대학의 운영을 조정하는 중앙 집중식 고등 교육 위원회를 신설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과 교수진은 이 법안이 대학의 자율성을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항의했다.

4. 교복

미얀마의 공립학교에서는 유치원부터 10학년까지 교복 착용이 의무화되어 있다.[15] 현재의 교복 규정은 "백색과 녹색"으로 알려져 있으며, 1966년 2월 14일에 시행되었다.[16] 4학년까지 남학생의 의무 교복은 흰색 셔츠와 녹색 바지(길이 무관)이며, 신발이나 미얀마 샌들을 착용할 수 있다. 여학생의 교복은 흰색 블라우스와 치마 또는 바지로 구성된다.[25]

5학년부터 졸업까지는 전통적인 미얀마 의상이 학교 교복으로 간주된다. 남학생의 교복은 흰색 셔츠(차이나 칼라 또는 잉글리시 칼라)와 파소(pahso)라고 불리는 녹색 롱이를 입고 미얀마 샌들을 착용한다. 여학생은 앞이 트인 ''yinzi'' 또는 옆이 트인 ''yin hpon''과 같은 전통적인 미얀마 블라우스와 htamein이라고 불리는 녹색 롱이를 입고 미얀마 샌들을 착용한다. 학교 교사들도 학생들과 같은 전통 의상을 입어야 한다.

5. 문제점 및 과제

참조

[1] 웹사이트 Military spending still dwarfs education and health http://www.mmtimes.c[...] 2014-03-30
[2] 서적 The Union Report: Census Report Volume 2 Ministry of Immigration and Population 2015
[3] 웹사이트 Myanmar https://uis.unesco.o[...] 2016-11-27
[4]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5] 뉴스 The Day Myanmar's Socialist Govt Nationalized Missionary and Private Schools https://www.irrawadd[...] 2020
[6] 서적 General Ne Win's Legacy of Burmanization in Myanmar https://link.springe[...] 2024
[7] 웹사이트 Human Rights Measurement Initiative – The first global initiative to track the human rights performance of countries https://humanrightsm[...] 2022-03-26
[8] 웹사이트 Myanmar - HRMI Rights Tracker https://rightstracke[...] 2022-03-26
[9] 간행물 School, State and Sangha in Burma 2003
[10] 웹사이트 The Effects of the Colonial Period on Education in Burma https://commons.trin[...] 2014-05-02
[11] 서적 Myanmar's Education Reforms: A pathway to social justice? University College London 2020
[12] 간행물 The Modern Burmese Woman and the Politics of Fashion in Colonial Burma http://journals.camb[...]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간행물 Schooling, Identity, and Nationhood: Karen Mother-Tongue-Based Education in the Thai–Burmese Border Region 2023
[14] 서적 Economic development of Myanmar https://archive.org/[...]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5] 웹사이트 Myanmar Times & Business Reviews http://www.myanmar.g[...] 2010-09-03
[16] 서적 စံပြဗဟုသုတဘဏ် စံပြစာတည်းအဖွဲ့ 1970
[17] 뉴스 Announcement for submitting matriculation exam applications http://myanmargeneva[...] 2007-09-14
[18] 뉴스 Parents feel the stress of matriculation http://www.mmtimes.c[...] 2008-03-17
[19] 뉴스 Outstanding students given seats of honour in Mon State http://www.myanmar.c[...] 2011-08-02
[20] 뉴스 Burma Considers Private Education http://www.irrawaddy[...] 2009-11-18
[21] 뉴스 Liberal arts colleges attract Burmese students https://www.usatoday[...] 2011-07-25
[22] 웹사이트 Learning to think http://frontiermyanm[...] 2015-10-07
[23] 웹사이트 The Modern Burmese Woman and the Politics of Fashion in Colonial Burma http://journals.camb[...]
[24] 문서 Economic development of Myanmar 2004
[2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myanmar.g[...] 2010-09-03
[26] 뉴스 Announcement for submitting matriculation exam applications http://myanmargeneva[...] 2007-09-14
[27] 뉴스 Parents feel the stress of matriculation http://www.mmtimes.c[...] 2010-09-03
[28] 뉴스 Outstanding students given seats of honour in Mon State http://www.myanmar.c[...]
[29] 뉴스 Burma Considers Private Education http://www.irrawaddy[...] 2009-11-18
[30] 뉴스 Liberal arts colleges attract Burmese students http://www.usatoday.[...] 2011-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