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할로우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할로우체는 슬로바키아 코시체 주에 위치한 도시이다. 구석기 시대부터 정착이 시작되었으며, 청동기 시대에는 카르파티아 분지 내 중요한 문화 및 무역 중심지였다. 19세기 산업 발전을 거쳤으며, 철도 건설로 지역 발전에 기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에 편입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대인 추방 등의 역사를 겪었다. 1993년 슬로바키아가 독립하면서 슬로바키아의 일부가 되었고, 1996년 미할로우체 구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라보레츠 강과 접해 있으며, 비호르라트 산맥과 젬플린스카 시라바 호수가 인접해 있다. 슬로바키아인 외에도 로마인, 체코인, 우크라이나인 등이 거주하며, 로마 가톨릭교, 그리스 가톨릭교, 동방 정교회 등이 주요 종교이다. 파볼 호로프 김나지움을 포함한 중등학교와 병원, 축구 및 아이스하키 프로 클럽이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의 도시 - 브라티슬라바
    브라티슬라바는 슬로바키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서 오스트리아, 헝가리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유럽의 유일한 수도이며, 도나우 강을 따라 발달하여 다양한 민족과 문화의 영향을 받아 슬로바키아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슬로바키아의 도시 - 질리나
    질리나는 슬로바키아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208년에 처음 언급되었고, 1321년 자유 왕립 도시가 되었으며, 기아 자동차 공장과 질리나 대학교가 있는 중요한 산업 중심지이자 2026년 유럽 문화 수도 후보 도시이다.
미할로우체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미할로우체
기타 이름헝가리어: Nagymihály (너지미하이)
독일어: Großmichel (그로스미헬)
우크라이나어: Михайлівці (미하이리우치)
어원미카엘
지역코시체
미할로우체
미할로우체 문장
문장
미할로우체 깃발
깃발
행정
시장빌리암 자호르차크 (Viliam Záhorčák) (Smer-SD)
역사
최초 언급1244년
지리
면적52.81 km²
해발 고도113 m
인구
2022년35,874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
시간대CET
협정 세계시 오프셋+1
여름 시간대CEST
협정 세계시 오프셋 (여름)+2
기타 정보
우편 번호071 01
지역 번호+421 56
차량 번호판MI
웹사이트미할로우체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미할로우체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어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와 민족의 영향을 받았다.

구석기 시대부터 호모 사피엔스가 정착한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신석기 시대에는 비호르라트 산맥 기슭에서 다수의 유물과 유적이 발견되었다.[5] 청동기 시대 말기에는 카르파티아 분지 내에서 중요한 문화 및 무역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티사 강 남부 유역과 함께 카르파티아 산맥 외부 지역과의 관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

전설에 따르면 라보레츠 왕자가 이곳에 묻혔다고 한다.[5] 16세기 오스만 제국이 헝가리 남중부를 정복한 후 헝가리는 분열되었고, 미할로우체는 동 헝가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가 이후 왕립 헝가리에 속했다. 18세기와 19세기에 크게 성장하여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아우스글라이히 이후 대규모 공동체 지위를 얻었으며, 곧 젬플렌 주의 한 구역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7]

19세기에는 산업 발전이 이루어졌다. 1874년 미할로우체와 메질라보르체를 연결하는 철도, 1871년 헝가리와 갈리치아(동유럽)를 연결하는 최초의 철도 건설은 지역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8년(1920년 트리아농 조약으로 확인) 미할로우체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가 되었다.[1] 1939년부터 1944년까지는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일부였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11월 26일 붉은 군대가 베르마흐트를 몰아내고 다시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가 되었다.[1] 1993년부터 체코슬로바키아가 해체되면서 슬로바키아의 일부가 되었고,[1] 1996년에는 미할로우체 구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1]

2. 1. 초기 역사

구석기 시대부터 호모 사피엔스가 정착하여 거주한 흔적이 발견되었다. 신석기 시대부터 비호르라트 산맥 기슭에서 다수의 유물과 유적이 발견되었다.[5] 청동기 시대 말기에는 카르파티아 분지 내에서 중요한 문화 및 무역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으며, 티사 강 남부 유역과 함께 카르파티아 산맥 외부 지역과의 관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기원전 4세기 갈리아 팽창으로 켈트족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후 고대 로마의 영향도 받았다.[6]

2. 2. 중세 및 근대

전설에 따르면 전설적인 왕자 라보레츠가 죽어 묻힌 곳이다.[5]

16세기 오스만 제국이 헝가리 남중부를 정복한 후 헝가리는 분열되었고, 현재의 미할로우체는 동 헝가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가 이후 왕립 헝가리에 속했다. 이 도시는 18세기와 19세기에 크게 성장했다.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아우스글라이히 이후 대규모 공동체 지위를 얻었으며, 곧 젬플렌 주의 한 구역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7]

2. 3. 현대

19세기에 산업 발전이 이루어졌다. 1828년에는 젬플린 지역의 22가지 종류의 수공예품 생산 면허를 대표하는 49개의 수공예 작업장이 있었다.[1] 1874년 미할로우체와 메질라보르체를 연결하는 철도 건설, 1871년 헝가리와 갈리치아(동유럽)를 연결하는 최초의 철도 건설은 지역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8년(1920년 트리아농 조약으로 확인) 미할로우체는 젬플린 군의 다른 지역과 함께 당시 형성된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가 되었다.[1] 1939년부터 1944년까지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일부였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늦여름과 초가을(8/9월)에 3,500명의 유대인 주민이 미할로우체에서 추방되었다.[1] 1944년 11월 26일 붉은 군대는 베르마흐트를 미할로우체에서 몰아냈고, 다시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가 되었다.[1] 1993년부터 체코슬로바키아가 해체되면서 미할로우체는 슬로바키아의 일부가 되었다.[1] 1996년에는 미할로우체 구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1]

3. 지리

이 도시는 역사적으로 젬플렌 현에 속하며, 코시체 주의 동 슬로바키아 저지대에 위치하며, 라보레츠 강과 접해 있다. 코시체에서 동쪽으로 약 48km, 우크라이나의 우즈호로드에서 서쪽으로 약 30km 떨어져 있다. 인근의 지형으로는 비호르라트 산맥과 젬플린스카 시라바 호수가 있다. 인근에는 비호르라트 산맥에서 가장 큰 호수인 모르스케 오코 호수, 비네 성, 비네 호수가 있다.

4. 인구

1910년에는 헝가리인이 다수였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네시 포고령으로 인해 대부분 추방되거나 동화되었다.[10]

연도인구
1970년20,655명
1980년29,765명
1991년38,823명
2001년39,948명
2011년40,027명
2021년36,704명

[8][9]

4. 1. 인구 구성 변화

연도인구민족 구성종교 구성
1910년6,120명헝가리인 3,792명, 슬로바키아인 1,586명, 독일인 542명로마 가톨릭 교회 38.6%, 유대교 32.3%, 그리스 가톨릭 교회 23.2%
2001년 인구 조사39,948명슬로바키아인 94.57%, 로마인 2.24%, 체코인 0.73%, 우크라이나인 0.47%로마 가톨릭 교회 53.92%, 그리스 가톨릭 교회 19.65%, 무교 9.73%, 동방 정교회 5.19%
2011년 인구 조사40,027명슬로바키아인 79.53%, 로마인 3.09%, 체코인 0.39%, 우크라이나인 0.36% (국적 미표기 15.47%)로마 가톨릭 교회 42.07%, 그리스 가톨릭 교회 16.50%, 동방 정교회 3.96%, 복음주의 3.97%, 무교 10.33%, 종교 미표기 18.3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통령 베네시 포고령으로 인해, 이 지역의 거의 모든 민족 헝가리인과 독일인(이 지역의 토착 카르파티아 독일인 포함)이 강제로 추방되었다. 남아있는 사람들은 동화되었고 슬로바키아화되었다.[10]

4. 2. 종교

1910년 미할로우체의 종교 분포는 로마 가톨릭교 38.6%, 유대교 32.3%, 그리스 가톨릭교 23.2%였다.[10] 2001년 인구 조사에서는 로마 가톨릭 교회 53.92%, 그리스 가톨릭 교회 19.65%, 무교 9.73%, 동방 정교회 5.19% 순으로 나타났다.[11]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로마 가톨릭교 42.07%, 그리스 가톨릭교 16.50%, 정교회 3.96%, 복음주의 3.97%, 무교 10.33%, 종교를 밝히지 않음 18.30%였다.[12]

연도로마 가톨릭교유대교그리스 가톨릭교동방 정교회복음주의무교기타/무응답
1910년[10]38.6%32.3%23.2%----
2001년[11]53.92%-19.65%5.19%-9.73%-
2011년[12]42.07%-16.50%3.96%3.97%10.33%18.30%


5. 교육

파볼 호로프 김나지움을 비롯한 7개의 중등학교와 일부 대학이 미할로우체에 있다. 그중 가장 잘 알려지고 명성이 있는 곳은 파볼 호로프 김나지움이다. 다른 김나지움은 Ľudovita Štúra 26번가에 있다.[1]

6. 의료

미할로우체 슈테판 쿠쿠라 병원은 병상 712개를 갖춘 미할로우체 시 최대 의료 서비스 제공 기관이다.

7. 스포츠

이 도시에는 MFK 젬플린 미할로우체(축구 클럽)와 HK 듀클라 미할로우체(아이스하키 클럽) 두 개의 프로 1부 리그 클럽이 있다.

8. 자매 도시

미할로우체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13]

국가도시
--코냑
--야로스와프
--카바르나
--립토프스키 미쿨라시
--판체보
--사토럴야우이헤이
--우즈호로드
--비야레알
--비슈코프


9. 저명한 출신 인물


  • 프레시안 (약 996년~약 1060년): 불가리아 제국 이반 블라디슬라프의 아들이다. 미할로우체에서 "프린스 프레시안"의 묘비가 발견되었다.
  • 아우렐 데세피 (1808년 대미하이 출생 – 1842년): 헝가리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다.[14]
  • 볼로디미르 시친스키 (1894년 카미아네츠-포돌스키 출생 – 1962년): 우크라이나 망명 건축가, 그래픽 아티스트 및 미술 사학자이다.
  • 에밀리아 시차코바-베블라바 (1975년 스니나 출생): 브라티슬라바 코메니우스 대학교 공공 정책 교수이다.
  • 마투시 슈타이 에슈토크 (1987년 출생): 정치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Hustota obyvateľstva - obce https://datacube.sta[...] 2024-02-08
[2] 웹사이트 Základná charakteristika http://datacube.stat[...] Statistical Office of the Slovak Republic 2022-03-31
[3] 웹사이트 Počet obyvateľov podľa pohlavia - obce (ročne) https://datacube.sta[...] 2024-02-08
[4] 뉴스 Michalovce celebrates its namesakes http://spectator.sme[...] 2013-08-20
[5] 논문 Early graves from 'Neolithic period' in Carpathian Basin are in fact 6000 years younger 2012-06-07
[6] 웹사이트 The Celts and Indigenous Populations from the Southern Carpathian Basin. Intercommunity Communication Strategies https://www.academia[...] www.Academia.edu 2013-07-30
[7] 웹사이트 Town history http://www.michalovc[...] Municipality of Michalovce 2009-06-18
[8] 웹사이트 Statistical lexikon of municipalities 1970-2011 https://slovak.stati[...]
[9] 웹사이트 Census 2021 - Population - Basic results https://www.scitanie[...] Statistical Office of the Slovak Republic 2021-01-01
[10] 웹사이트 Ethnic cleansing in post world war II Czechoslovakia: The presidential decrees of Edward Benes, 1945-1948 http://migrationeduc[...] Migration citizenship education 2013-07-30
[11] 웹사이트 Municipal Statistics http://www.statistic[...] Statistical Office of the Slovak republic 2007-12-09
[12] 웹사이트 Nationality http://portal.statis[...] Statisticky Urad SR 2013-07-12
[13] 웹사이트 Družobné mestá http://www.michalovc[...] Michalovce 2019-09-02
[1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