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족중심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족중심주의는 자신의 문화를 중심에 두고 다른 문화를 평가하는 경향을 의미하며, 19세기 사회학자 루트비히 굼플로비츠에 의해 처음 사용된 용어이다. 사회과학에서는 자신의 문화적 기준을 기준으로 다른 문화를 열등하게 여기는 현상을, 인류학에서는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민족중심주의는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집단 간 갈등을 유발하며, 미디어를 통해 강화될 수 있다. 하지만 긍정적인 측면도 있으며, 문화 상대주의적 관점과 교육, 미디어의 역할, 사회 구성원 간의 소통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민족중심주의 - 유럽중심주의
    유럽중심주의는 유럽의 문화, 역사, 가치관을 세계의 표준으로 간주하고 다른 문화권을 유럽 중심으로 해석하는 사상으로, 서구 우위와 식민지 확장을 배경으로 강화되었으나 탈식민화 이후 비판받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대안적 관점이 등장하였고 현대에도 여러 영역에서 영향력과 비판적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자민족중심주의 - 아시아 중심주의
    아시아 중심주의는 아시아의 가치, 문화, 관점을 강조하는 사상으로, 경제 성장과 위기 대응 능력에서 두각을 나타낸 아시아 국가들의 부상과 함께 주목받고 있으며,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는 유럽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아시아적 가치 확립과 국가 간 협력 증진을 목표로 한다.
  • 배외주의 - 성 차별
    성차별은 성별에 기반한 차별, 편견, 고정관념으로, 여성과 소녀에게 주로 나타나지만 모든 성적 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인권 문제이며, 여성주의는 이를 남성이 비남성을 억압하는 구조로 보고, 개인적, 제도적 수준에서 임금 격차, 정치적 불평등, 폭력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 법률 및 제도 개선, 교육 및 사회 의식 개선 등 다양한 노력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 배외주의 - 징고이즘
    맹목적인 애국주의와 호전성을 뜻하는 징고이즘은 1870년대 후반 영국에서 유행한 노래에서 유래되었으며, 정치적으로 이용되거나 민족주의, 포퓰리즘과 결합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 문화사회학 - 부르주아지
    부르주아지는 중세 도시의 상공업자에서 유래하여 자본을 축적한 자본가 계급을 의미하며, 봉건 사회 붕괴와 자본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나, 마르크스주의에서는 노동자 계급과 대립하며 문화적 헤게모니와 과시적 소비로 비판받고, 역사와 예술에서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 문화사회학 - 민족학
    민족학은 민족지학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를 비교, 대조하며, 여러 민족의 기원, 언어, 관습, 제도를 연구하여 인류 역사를 재구성하고 문화적 보편성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민족중심주의
민족 중심주의
정의자신의 문화적 가치와 기준을 기준으로 다른 문화를 판단하는 것
특징
자기 문화 중심적 사고자신의 문화가 다른 문화보다 우월하다고 믿는 경향
오만 및 멸시다른 문화에 대한 오만함이나 멸시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음
편견 및 고정관념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형성하고 강화하는 데 기여
발생 원인
사회적 정체성자신이 속한 집단에 대한 강한 애착과 소속감에서 비롯
사회화 과정어린 시절부터 특정 문화적 가치와 기준을 내면화하는 과정에서 형성
집단 간 경쟁 및 갈등집단 간 경쟁 및 갈등 상황에서 자신의 집단을 정당화하고 강화하기 위해 나타남
관련 개념
문화 상대주의특정 문화를 그 문화 자체의 맥락에서 이해하려는 태도
사회적 정체성 이론개인이 집단에 소속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과정
권위주의적 성격권위에 맹종하고 다른 집단에 대한 적대감을 보이는 성향
집단 내 편애자신이 속한 집단을 다른 집단보다 선호하는 경향
영향
문화 간 오해 및 갈등다른 문화에 대한 오해와 갈등을 초래하고,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
차별 및 불평등특정 집단에 대한 차별과 불평등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
전쟁 및 인종 청소극단적인 경우, 전쟁, 인종 청소와 같은 폭력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
극복 방법
문화 간 의사소통 및 교육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공감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자신의 문화적 편견을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이 필요
다문화주의적 관점다양한 문화적 가치와 기준을 존중하고 포용하는 자세를 갖춰야 함
다른 문화와의 접촉다른 문화 사람들과 직접 교류하면서 이해를 넓히는 것이 중요함
역사
기원루트비히 굼플로비치가 사회학적 개념으로 처음 사용
용어 사용윌리엄 그레이엄 섬너가 1906년 저서 "민속의 길"에서 사회 과학 용어로 공식화
연구 분야
연구 분야인류학, 사회학, 심리학, 정치학,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2. 기원과 발달

민족중심주의(ethnocentrism)라는 용어는 '민족'을 뜻하는 그리스어 'ethnos'와 '중심'을 뜻하는 'kentron'에서 유래했다. 19세기에 폴란드의 사회학자 굼플로비치가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59][60] 그가 이 개념을 단순히 대중화시켰을 뿐이라는 주장도 있다.[6][7] 굼플로비치는 민족중심주의를 지구중심주의나 인간중심주의와 유사한 현상으로 보았다.[48]

20세기에 미국의 사회과학자 윌리엄 G. 서머는 저서 『Folkways』(1906)에서 민족중심주의를 "자신의 집단이 모든 것의 중심이고, 다른 모든 것은 이를 기준으로 측정되고 등급이 매겨지는 것을 일컫는 기술적 명칭"이라고 정의했다.[61][8][50] 보리스 비주미치에 따르면, 서머가 민족중심주의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는 것은 널리 퍼진 오해이며, 그는 영어 출판물을 통해 민족중심주의를 인류학, 사회과학, 심리학의 주류로 가져왔다고 한다.[7][49]

T.W. 아도르노의 권위주의적 성격 이론(1950), 도널드 T. 캠벨(Donald T. Campbell)의 현실적 집단 갈등 이론(Realistic Group Conflict Theory)(1972), 앙리 타이펠(Henri Tajfel)의 사회적 정체성 이론(Social identity theory)(1986) 등 여러 이론들이 사회적, 심리적 이해를 통해 민족중심주의를 강화했다.[7]

2. 1. 사회과학에서의 민족중심주의

사회과학에서 민족중심주의는 자신의 문화적 기준을 바탕으로 다른 문화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63] 이는 종종 자신의 문화가 우월하고 다른 문화는 열등하거나 기이하다는 생각으로 이어진다. 민족중심주의는 집단 간 갈등의 결과로 나타나기도 하며, 개인의 성격 특성과 관련되기도 한다.[64] 예를 들어, 집단 내에서는 응집력을 강화하고 외부 집단에 대한 적대감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민족중심주의는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 정체성의 기반을 설명하고 다른 집단과 자신을 구별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65]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은 사회적 경계를 형성하며, 이는 어떤 사람이 연관되기를 원하거나 소속되기를 원하는 집단의 상징적 경계를 정의하고 만들어낸다.[65] 민족중심주의는 인류학뿐만 아니라 사회학, 심리학 등 다른 사회과학 분야에도 적용된다.

2. 2. 인류학에서의 민족중심주의

인류학에서 민족중심주의는 초기 연구에서 다른 문화를 평가하고 분류하는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19세기 서구 사회는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민족중심주의적 관점에서 다른 문화를 '원시적'이고 '미개'하다고 규정했다.[19][20] 예를 들어, 19세기 영국의 정치인 토마스 Macaulay는 "서양 도서관의 한 선반"이 동양 사회가 수년 동안 개발한 문서들보다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17]

프란츠 보아스


그러나 Boas와 같은 인류학자들은 이러한 민족중심주의적 접근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문화 상대주의 개념을 제시했다.[21] 보아스는 인종이 문화적 역량을 결정한다는 주장이 잘못되었음을 보이고자 했다.[21] 그는 1911년 저서 "The Mind of Primary Man"에서 "우리가 우리 자신의 문명에 귀속시키는 가치는 우리가 이 문명에 참여하기 때문이며, 그것이 우리가 태어날 때부터 우리의 모든 행동을 통제해왔기 때문"이라고 언급하며, 다른 문화도 나름의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강조했다.[22]

보아스와 Malinowski는 인류학자들이 민족중심주의를 극복하고 다른 문화를 편견 없이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1] 이를 위해 Malinowski는 기능주의 이론을 개발하여 다른 문화에 대한 비민족중심적 연구를 위한 지침으로 삼았다. 반민족중심주의적 인류학의 예로는 Margraet Mead의 Coming of Age in Samoa(1928), Malinowski의 The Sexual Life of Savages in North-Western Melaneisa(1929), Ruth Benedict의 Patterens of Culture(1934) 등이 있다.[21]

3. 원인

민족중심주의는 개인이나 집단의 다양한 믿음과 가치에 내재된 학습된 행동으로 여겨진다.[16] 집단 내 개인들은 높은 충성심을 갖고 규범을 따르며 관련 구성원들과 관계를 발전시킬 가능성이 높다.[57]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정관념과 비슷한 관점이 강요되고 장려될 수 있기 때문에 민족중심주의는 과도기적 문제라고 한다.[57] 충성심이 강한 내부 집단은 동의를 높일 수 있지만, 다른 문화와의 제한된 상호작용은 개인이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갖는 것을 막아 민족중심주의를 더 크게 만들 수 있다.[57]

대안적이거나 상반되는 관점은 개인이 순진한 현실주의를 발전시키고 이해의 한계에 직면하게 한다.[75] 이러한 특성들은 또한 개인이 외부 집단과 함께할 때 민족중심주의의 대상이 되고, 개인의 관점이 동료 집단들의 관점과 모순되는 흑양 효과의 대상이 되게 할 수 있다.[75]

3. 1. 관련 이론

사회 정체성 이론은 민족중심적 신념이 자신의 문화에 대한 강한 동일시에서 비롯되어 해당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를 직접적으로 만들어낸다고 제안한다. 앙리 타이펠과 존 C. 터너는 그러한 긍정적인 견해를 유지하기 위해 사람들이 경쟁 문화 집단을 불리한 시각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비교를 한다고 이론화했다.[24]

현실적 갈등 이론은 집단 간의 "실제 또는 인지된 갈등"으로 인해 민족중심주의가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이는 또한 지배 집단이 새로운 구성원을 위협으로 인식할 때 발생한다.[3] 학자들은 최근 집단 간 경쟁, 갈등 또는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개인이 내집단 동일시를 발전시키고 외집단을 부정적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

4. 영향

민족중심주의는 역사적으로 긍정적,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미쳤다. 긍정적인 측면에서는 UN과 같은 국제기구 설립을 통해 국제 협력을 증진하고 문화 간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16]

반면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홀로코스트, 십자군 전쟁, 눈물의 길, 일본계 미국인 강제 수용 등과 같이 집단 학살, 인종 차별, 노예 제도 등으로 이어지기도 했다.[16] 이러한 사건들은 특정 집단이 자신들의 문화를 우월하다고 믿고 다른 문화를 비인간적으로 대한 결과였다.

민족중심주의는 소비자의 상품 구매 선호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국가 정체성, 소비자 세계주의, 소비자 민족 중심주의 등에 따라 수입품과 국내산 제품 중 선호하는 제품이 달라진다.[30]

민족중심주의는 자신의 문화 집단에 대한 강한 동일시에서 비롯되며, 이는 외부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과 고정관념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인종차별과 혼동되기도 한다.[3]

4. 1. 미디어와 민족중심주의

대중 매체는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우리는 매일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에 노출된다. 연구자들은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 간의 소통 장벽 때문에 민족중심주의가 의사소통과 같은 분야에서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을 발견했다.[83] 미디어 콘텐츠에 민족중심주의가 존재하면 내용 전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미디어 산업은 주로 글로벌 노스(북반구)가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서구 민족중심주의가 언론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는 TV 쇼, 영화 등에서 서구 콘텐츠가 우세한 것에서 볼 수 있다. 일부 서양 쇼는 외국 문화를 열등하거나 이상한 것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

서양영화의 민족중심주의


영화는 20세기 초부터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도구였으며, 시청자를 즐겁게 하거나 교육하는 역할을 한다. 서양 영화 기업들이 영화 산업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서양인의 시각에 따라 콘텐츠에 노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민족중심주의의 사례는 영화에서 의도적이든 아니든 자주 나타난다. 예를 들어, 1992년 디즈니의 미국 애니메이션 영화 알라딘의 오프닝 곡인 '아랍의 밤'에는 아랍 문화가 야만적이라는 인상을 주는 가사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예는 많은 할리우드 영화에서 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영화 속 민족중심주의를 극복하는 방법은 고정관념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라고 제안한다.[82] 따라서 영화 속 민족중심주의는 우리와 다른 문화에 대한 전형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민족중심주의의 예시인 디즈니 사의 알라딘


많은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데, 소셜 미디어는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장려한다.[84] 그러나 정보 교환은 다른 문화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흥미를 감소시켜 민족중심주의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84]

미국이 전 세계 영화 시장 수익을 주도하면서, 인물 유형과 주제를 통해 민족중심적인 견해가 전달될 수 있다.[33] 예를 들어, 2003년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는 강한 민족중심적 주제를 담고 있으며, 역사적 부정확성과 "백인 구원자 서사"를 영속화했다는 비판을 받았다.[34][35] 이는 미국 중심의 민족중심주의 경향을 보여준다.

2023년 연구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는 사용자들이 다른 사람들에 대해 더 관용적으로 되도록 하여 문화적 차이를 해소하고 세계적 지식에 기여할 수 있다.[38] 그러나 케냐 십대들의 소셜 미디어 사용에 관한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가 특정 집단으로 제한될 때 민족중심적인 견해와 이데올로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39]

참조

[1] 서적 Choices and Connections: An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Bedford/St.Martin's
[2]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 Behavioral Sciences 2001
[3]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Macmillan Reference USA 2008
[4] 서적 Encyclopedia of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5] 서적 Encyclopedia of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Elsevier 2000
[6] 서적 A History of Classical Sociology Igor Kon
[7] 학술지 Who Coined the Concept of Ethnocentrism? A Brief Report
[8] 서적 Folkways: A Study of the Sociological Importance of Usages, Manners, Customs, Mores, and Morals https://archive.org/[...] Ginn and Company 2019-01-18
[9] 서적 War, and Other Essay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019-01-18
[10] 서적 Cultural Anthropology Pearson 2013
[11] 학술지 The Study Of Ethnocentrism, Stereotype And Prejudice: Psycho-Analytical And Psycho-Dynamic Theories 2008
[12] 학술지 Ethnocentrism, taste and symbolic boundaries 2007-08
[13] 학술지 Ethnocentrism and Xenophobia: A Cross-Cultural Study 2001-12
[14] 학술지 Cultural humility and low ethnocentrism as facilitators of expatriate performance 2016-03-14
[15] 서적 Western Dominance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 Internationalisation of IR in Brazil and India Routledge 2018
[16] 서적 Dictionary of Race, Ethnicity and Culture 2003
[17] 서적 Berkshir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Berkshire 2010
[18] 서적 New Dictionary of the History of Ideas Charles Scribner's Sons 2005
[19] 서적 Encyclopedia of Race and Racism Macmillan Reference USA 2013
[20] 서적 Encyclopedia of Western Colonialism since 1450 Macmillan Reference USA 2007
[21] 서적 Small Places, Large Issues: An Introduction to Social and Cultural Anthropology Pluto Press 2015
[22] 학술지 The Mind of Primitive Man 1901-02-22
[23] 학술지 Critical implications of Franz Boas' theory and methodology 1994-11
[24] 서적 An integrative theory of intergroup conflict https://web.archive.[...] Psychology Press 2001
[25] 학술지 The spiral of conflict: Naïve realism and the black sheep effect in attributions of knowledge and ignorance 2015
[26] 서적 The selfish gen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7] 학술지 The Evolution of Ethnocentrism
[28] 학술지 The Evolutionary Dominance of Ethnocentric Cooperation
[29] 학술지 Barriers to Multiculturalism: In-Group Favoritism and Out-Group Hostility A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Policy Opposition 2018-01
[30] 학술지 Consumer Ethnocentrism, National Identity, and Consumer Cosmopolitanism as Drivers of Consumer Behavior: A Social Identity Theory Perspective 2015-06
[31] 학술지 A meta-analysis of consumer ethnocentrism across 57 countries https://openaccess.c[...] 2022-09
[32] 학술지 Consumer Racism and Its Effects on Domestic Cross-Ethnic Product Purchase: An Empirical Test in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France 2007-01
[33] 웹사이트 Top 20 countries by filmed entertainment revenue https://www.statista[...] 2024-09-11
[34] 학술지 Ethnocentrism in Edward Zwick's The Last Samurai Movie: Postcolonial Perspective 2021-12-30
[35] 보고서 Themes of Western Superiority in The Last Samurai 2007
[36] 웹사이트 Digital Around the World https://datareportal[...] 2024-09-11
[37] 웹사이트 Internet and social media users in the world 2024 https://www.statista[...] 2024-09-11
[38] 논문 The Role Of Social Media In Strengthening Multicultural Tolerance Among Digital Citizenship https://conference.l[...] 2023-07-02
[39] 논문 We Are Therefore I Am: Social Media and Ethnocentrism 2017
[40] 서적 사회학소사전 有斐閣
[41] 논문 異文化を読み解くための批判的思考 https://hdl.handle.n[...] 大阪女学院短期大学 2022-12-07
[42] 논문 「偏見につながる心理」の変容 : 集団間接触理論に基づいた異文化間協働学習を通して https://doi.org/10.3[...] 関西大学教育開発支援センター 2022
[43] 서적 Choices and Connections: An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Bedford/St.Martin's
[44]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 Behavioral Sciences: Second Edition ELSEVIER
[45] 서적 Ethnocentrism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46] 서적 Encyclopedia of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47] 서적 Encyclopedia of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Elsevier 2000
[48] 서적 A History of Classical Sociology Moscow
[49] 논문 Who Coined the Concept of Ethnocentrism? A Brief Report
[50] 서적 Folkways: A Study of the Sociological Importance of Usages, Manners, Customs, Mores, and Morals https://archive.org/[...] Ginn and Company 2019-01-18
[51] 서적 War, and Other Essay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019-01-18
[52] 서적 Cultural Anthropology Pearson
[53] 논문 The Study Of Ethnocentrism, Stereotype And Prejudice: Psycho-Analytical And Psycho-Dynamic Theories 2008
[54] 서적 Choices and Connections: An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Bedford/St.Martin's
[55]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 Behavioral Sciences: Second Edition ELSEVIER
[56] 서적 Ethnocentrism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57] 서적 Encyclopedia of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58] 서적 Encyclopedia of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Elsevier 2000
[59] 서적 A History of Classical Sociology Moscow
[60] 논문 Who Coined the Concept of Ethnocentrism? A Brief Report
[61] 서적 Folkways: A Study of the Sociological Importance of Usages, Manners, Customs, Mores, and Morals https://archive.org/[...] Ginn and Company 2019-01-18
[62] 서적 War, and Other Essay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019-01-18
[63] 서적 Cultural Anthropology Pearson
[64] 논문 The Study Of Ethnocentrism, Stereotype And Prejudice: Psycho-Analytical And Psycho-Dynamic Theories 2008
[65] 논문 Ethnocentrism, taste and symbolic boundaries 2007
[66] 서적 Dictionary of Race, Ethnicity and Culture http://sk.sagepub.co[...] SAGE Publications Ltd 2019-07-22
[67] 서적 Berkshir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Berkshire Publishing Group 2010
[68] 서적 New Dictionary of the History of Ideas Charles Scribner's Sons 2005
[69] 서적 Encyclopedia of Race and Racism Macmillan Reference USA 2013
[70] 서적 Encyclopedia of Western Colonialism since 1450 Macmillan Reference USA 2007
[71] 서적 Small Places, Large Issues: An Introduction to Social and Cultural Anthropology https://web.archive.[...]
[72] 저널 The Mind of Primitive Man https://books.google[...] The Macmillan Company 2019-01-19
[73] 저널 Critical Implications of Franz Boas' Theory and Methodology
[74] 서적 An integrative theory of intergroup conflict https://web.archive.[...] Psychology Press
[75] 저널 The spiral of conflict: Naïve realism and the black sheep effect in attributions of knowledge and ignorance 2015-01-01
[76] 서적 Ethnocentrism.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Macmillan Reference USA
[77] 서적 The selfish gen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8] 저널 The Evolution of Ethnocentrism
[79] 저널 The Evolutionary Dominance of Ethnocentric Cooperation
[80] 저널 Barriers to Multiculturalism: Ingroup Favoritism and Outgroup Hostility a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Policy Opposition http://osf.io/nk334/ 2017-03-27
[81] 저널 Consumer Ethnocentrism, National Identity, and Consumer Cosmopolitanism as Drivers of Consumer Behavior: A Social Identity Theory Perspective 2015-01-01
[82] 저널 Ethnocentrism 2008-01-01
[83] 웹인용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Film Exposure and Ethnocentrism https://engagedschol[...] 2020-05-14
[84] 저널 Social Media Contribution Towards Ethnocentrism 2012-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