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교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양교통은 1970년 8월 25일에 설립된 밀양시의 시내버스 업체이다. 밀양시 유일의 시내버스 회사로, 시내버스, 순환버스, 농어촌버스 등 총 37대의 버스를 운행하며 밀양시 전역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노선을 제공한다. 자일대우버스, 현대자동차, KGM커머셜 등 다양한 제조사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친환경 전기 버스 도입을 통해 대기질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다. 본사는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일여객그룹 - 고려여객
고려여객은 1966년 천일여객자동차에서 분사하여 설립된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운송 기업으로, 부산을 기점으로 시외버스 사업을 시작해 1990년대 후반 고속버스 노선을 인가받아 현재의 노선망을 갖추었으며, 2019년 4월 모든 노선이 고속버스로 전환되었다. - 197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관악교통
관악교통은 1970년 성진상운으로 설립되어 1974년 사명을 변경한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며, 2004년 서울시내버스 개편 이후 지선버스를 운행하고, 2009년 흥안운수에 인수되었으며, 현재 간선, 지선, 심야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 197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일고속
한일고속은 1970년 고속버스 회사로 설립되어 고속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1979년 해운 사업에도 진출하여 현재 고속버스 회사 중 유일하게 여객해운업을 겸업하며 40개의 고속버스 노선과 3척의 여객선을 운영하고 있다. - 경상남도의 시내버스 기업 - 마창여객
마창여객은 1970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업체이며, 창원시 시내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2014년 폭우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 경상남도의 시내버스 기업 - 서흥여객
서흥여객은 1979년 설립되어 경상남도 거창군과 합천군을 중심으로 시내/농어촌버스를 운행하며, 거창읍과 합천읍을 기점으로 군내 주요 지역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차종의 버스를 보유한 회사이다.
밀양교통 - [회사]에 관한 문서 | |
---|---|
밀양교통 정보 | |
회사 이름 | 밀양교통주식회사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일 | 1970년 8월 25일 |
시장 정보 | 비상장 |
위치 | 경상남도 밀양시 중앙로 42 (가곡동) |
국가 | 대한민국 |
인물 | 황영성 (사장)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모기업 | 천일여객그룹 |
웹사이트 | 천일여객그룹 홈페이지 |
2. 역사 및 현황
1970년 8월 25일에 설립된 밀양시의 향토 업체로 밀양시 시내버스 업체 중 유일한 업체이다. 주요 운행 지역은 경상남도 밀양시 지역이며 현재 총 37대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밀양교통은 밀양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시내버스, 순환버스, 농어촌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노선 개편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 만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3. 운행 노선
밀양역을 중심으로 시내 곳곳과 외곽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이 운행 중이다. 시내버스는 밀양역과 교동, 긴늪 등을 연결하며, 순환버스는 밀양역을 기점으로 부북면사무소, 밀양시보건소 등을 경유한다. 농어촌버스는 밀양시 외곽 지역과 삼랑진, 하남 등 인근 지역을 연결한다.
3. 1. 시내버스
3. 2. 순환버스
밀양역을 기점으로 부북면사무소, 밀양시보건소 등을 경유하는 다양한 노선을 제공하여 밀양시 내 순환 노선을 운행하며 주요 지역 접근성을 높인다.3. 3. 농어촌버스
밀양시 농어촌버스는 밀양시 외곽 지역과 삼랑진, 하남, 부북, 상동, 산외, 산내, 단장, 상남, 초동, 무안, 청도 등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이 버스는 농어촌 지역 주민들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지역 간 교류를 활발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노선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
삼랑진1 | 밀양역 | 평촌 | 삼랑진 |
삼랑진2 | 밀양 | 국도 제25호선 | 삼랑진 |
삼랑진3 | 밀양 | 용성 | |
삼랑진4 | 밀양 | 칠성 | |
삼랑진5 | 밀양역 | 밀양대학교 | |
하남1 | 밀양 | 수산 | |
하남2 | 밀양 | 수산 | |
하남3 | 밀양역 | 해양 | |
하남4 | 수산 | 오산 | |
하남5 | 수산 | 명례 | |
부북1 | 밀양 | 오례, 덕곡 | 밀양 |
부북2 | 밀양 | 가산, 대항 | 밀양 |
부북3 | 밀양 | 월산, 퇴로, 위양, 청운 | 밀양 |
부북4 | 밀양 | 가산, 대항, 퇴로, 위양, 청운 | 밀양 |
부북5 | 밀양 | 월산, 퇴로, 대항, 가산 | 밀양 |
부북6 | 밀양 | 용포, 화산, 퇴로, 지동 | 밀양 |
부북7 | 밀양 | 위양, 퇴로, 대항, 화산, 월산, 청운 | 밀양 |
부북8 | 밀양 | 가산, 대항, 퇴로, 위양, 무연, 화산, 용포, 지동 | 밀양 |
부북9 | 터미널 | 가산, 대항, 퇴로, 월산, 청운 | 밀양 |
부북10 | 터미널 | 위양, 퇴로, 대항, 가산 | 터미널 |
상동1 | 밀양 | 긴늪, 상동역, 고정 | 신곡 |
상동2 | 밀양 | 긴늪, 상동역, 고정 | 도곡 |
상동3 | 밀양역 | 밀양시외버스터미널, 긴늪, 상동역 | 유천 |
산외1 | 밀양 | 긴늪, 남기리, 양덕, 남계, 숲촌 | 엄광 |
산외2 | 밀양 | 긴늪, 다죽 | 활성 |
산외3 | 밀양 | 긴늪, 다죽 | 금곡 |
산내1 | 밀양 | 긴늪, 다죽, 금곡, 송백, 남명 | 얼음골 |
산내2 | 밀양 | 긴늪, 다죽, 금곡, 송백 | 발례 |
단장1 | 밀양 | 긴늪, 다죽, 금곡, 태룡, 범도 | 표충사 |
단장2 | 밀양 | 긴늪, 다죽, 금곡, 태룡, 범도 | 고례 |
단장3 | 밀양 | 긴늪, 다죽, 금곡, 태룡 | 국전 |
단장4 | 밀양 | 긴늪, 다죽, 금곡, 안법 | 감물리 |
상남1 | 밀양 | 국도 제25호선, 예림, 평촌, 평리 | 남산 |
상남2 | 밀양 | 국도 제25호선, 예림 | 대흥동 |
초동1 | 밀양 | 무안, 봉황, 범평, 초동공단 | 범평 |
초동2 | 밀양 | 무안, 봉황, 범평, 남전, 평촌, 초동공단, 밀양 | 범평 |
초동3 | 밀양 | 무안, 봉황, 범평, 인교, 무안, 밀양시외버스터미널 | 밀양역 |
무안1 | 밀양 | 무안, 덕암, 고나리, 웅동 | 서가정 |
무안2 | 신법 | 덕암, 중산, 무안 | 서가정 |
무안3 | 밀양 | 무안, 신법, 화봉 | 영신 |
청도1 | 밀양 | 부북 | 구기 |
청도2 | 밀양 | 조천 | |
청도3 | 밀양 | 소태 | |
청도4 | 밀양 | 두곡 | |
청도5 | 밀양 | 무안, 구기 | 근기 |
청도6 | 밀양 | 대촌 | |
가곡1 | 밀양역 | 멍애실 |
4. 보유 차량
밀양교통은 노선 효율성을 위해 여러 종류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특히 현대 일렉시티, E-화이버드와 같은 친환경 버스를 도입하여 지속 가능한 교통 시스템을 구축하고 대기질 개선에도 힘쓰고 있다.
4. 1. 자일대우버스
밀양교통은 자일대우 NEW BS106, 자일대우 NEW BS110 등 다양한 차종을 운행한다.4. 2. 현대자동차
현대 그린시티, 현대 일렉시티 등 친환경 버스를 도입하여 운행 중이다.4. 3. KGM커머셜 (구 에디슨모터스)
KGM커머셜 (구 에디슨모터스) E-화이버드 전기 버스를 운행하여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5. 차고지
경상남도 밀양시 중앙로 42 (가곡동)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노선의 시종착 지점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