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고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일고속은 1970년 한일고속버스로 설립되어 고속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1977년 사명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했다. 육상 운송 사업과 함께 해운업 면허를 취득하여 여객선 사업도 운영하며, 고속버스 회사 중 유일하게 해운업을 겸하고 있다. 현재 서울, 시흥, 광주, 포항, 완도 등 노선을 운행하며, 여수, 완도, 추자도, 제주도 간 여객선(카 페리)을 운항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고속버스 기업 - 중앙고속
중앙고속은 1971년 설립되어 경부선, 호남선, 영동선, 구마선 등 주요 노선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운송 기업이다. - 경기도의 고속버스 기업 - 경남여객
경남여객은 1959년 설립되어 경기도 용인시에서 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공항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업체로, 2017년부터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을 운영하며 친환경 전기 버스 도입에도 적극적이다. -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 충남고속
충남고속은 1966년 충남교통운수로 설립되어 1998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2016년 고속버스 업체로 전환하여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 인천, 부산 등지로 운행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운송 업체이다. -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 중앙고속
중앙고속은 1971년 설립되어 경부선, 호남선, 영동선, 구마선 등 주요 노선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운송 기업이다. - 상록구 - 도미니코회
도미니코회는 성 도미니코가 설립한 가톨릭 수도회로, 설교와 신학 연구를 통해 신앙을 전파하고 이단에 맞서는 것을 목표로 하며,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하고 교육 기관을 운영하며 선교 활동을 한다. - 상록구 - 사동 (안산시)
사동은 경기도 안산시에 속하는 행정 구역으로, 조선 시대에는 삼리와 사리였으며 안산시 승격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사동, 사이동, 해양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한일고속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한일고속 |
| 원어 | Hanil Express |
| 종류 | 주식회사 |
| 창립 | 1970년 |
|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94, 9층 (반포동,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 국가 | 대한민국 |
| 산업 | 운수업 |
| 종업원 수 | 390명 (2018.12) |
| 대표이사 | 최지환 |
| 재무 정보 (2018년) | |
| 자본금 | 1,638,440,000원 |
| 매출액 | 60,693,594,423원 |
| 영업이익 | -10,699,497,903원 |
| 순이익 | -5,185,023,962원 |
| 자산총액 | 153,069,866,653원 (2018.12) |
| 주주 정보 | |
| 주주 | 최석정: 76.26% |
| 주주 | 최지환: 19.11% |
| 주주 | 최준환: 4.63% |
| 웹사이트 | |
| 공식 웹사이트 | 한일고속 |
2. 연혁
- 1970년 4월: '''한일고속버스'''로 설립[7]
- 1970년 5월 27일: 고속버스 운송 면허 취득[7]
- 1970년 11월: 경부선 중심 노선 운행 개시[7]
- 1977년 7월: 선박운행 사업 면허 취득[7]
- 1977년 8월: 회사명을 '''한일고속버스'''에서 '''한일고속'''으로 변경[7]
- 1979년 12월: 제주항 - 완도항 간 여객선 운항 개시[7]
- 1980년 3월: 석탑산업훈장 수상[7]
- 1987년 12월: 동서울 기점(대전, 대구, 부산, 광양) 운행 개시[7]
- 1992년 10월: 우등고속버스 운행 개시[7]
- 2008년 1월: 제주항 - 추자도 - 완도항 간 카 페리 1척 운항 개시[7]
- 2012년 1월: 서울 ~ 서부산 간 고속버스 운행 개시[7]
- 2022년 1월 20일: 금호고속으로부터 서울 - 완도 고속버스 노선 인수, 서울호남 기점 노선 운행 개시[7]
2. 1. 해상 운송 사업
1977년 해운업 면허를 취득했으며, 고속버스 회사 중에서는 유일하게 여객해운업을 겸하고 있다. 여수, 완도항, 추자도, 제주항 간 여객선(카페리)을 운항하고 있다. 2014년 여수시로부터 여수 - 제주 여객선 정기운항 사업자로 선정됐다.[7]현재 운항 중인 여객선은 3척으로, 다음과 같다.
| 선명 | 규모 | 속도 | 정원 | 운항 구간 | 비고 |
|---|---|---|---|---|---|
| 한일골드스텔라호 | 15,195톤 | 26노트 | 1,220명 | 여수-제주 | |
| 한일레드펄호 | 2,862톤 | 21.8노트 | 365명 | 완도항-추자도-제주 | |
| 한일실버클라우드호 | 20,263톤 | 21노트 | 1,209명, 차량 343대 | 완도항-제주 |
2019년 4월 기준이다.[2] 한일고속은 고속버스 노선과 여객선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완도항 - 제주항 간 노선은 1일 2~3회 운항하며, 추자도 경유 여객선은 1일 1회 운항한다.
과거에는 한일블루나래호가 완도항~제주항을 오가는 쾌속선으로 운항했다. 이 선박은 기존 선박보다 20분 더 단축한 1시간 20분 만에 운항했다. 2007년 호주에서 건조된 선박으로 오만에서 여객선으로 운항했으며, 55노트 이상의 속도로 운항해 당시 가장 빠른 내연기관 쾌속선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기도 했다. 2018년 12월에 취항했으나, 남해안의 거친 파도를 버티지 못하고 결항이 잦아 2년을 채우지 못하고 2020년 1월 14일에 운항이 중단되었다.
3. 운행 노선
=== 고속버스 ===
한일고속은 호남선, 경인선, 광주대구선을 운행한다.
=== 여객선 ===
1977년에 해운업 면허를 취득했으며, 고속버스 회사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여객해운업을 겸하고 있다. 여수, 완도항, 추자도, 제주항 간 여객선(카 페리)을 운행하고 있다. 2014년에는 여수시로부터 여수 - 제주 여객선 정기운항 사업자로 선정됐다.[7]
현재 운항 중인 여객선은 3척으로, 완도항-제주 간 노선에 한일실버클라우드호와 한일레드펄호, 여수-제주 간 노선에 한일골드스텔라호가 있다.선명 규모 속도 정원 운항 구간 한일실버클라우드호 20,263톤 21노트 1,209명, 차량 343대 완도항 - 제주 한일레드펄호 2,862톤 21.8노트 365명 완도항 - 추자도 - 제주 한일골드스텔라호 15,195톤 26노트 1,220명 여수 - 제주
완도항 - 제주항 간 노선은 1일 2 ~ 3회 운항하며, 추자도 경유 여객선은 1일 1회 운항한다.
한일블루나래는 완도항~제주항을 오가는 한일고속의 쾌속선이었다. 기존 선박보다 20분 더 단축한 1시간 20분 만에 운항했다. 2007년 호주에서 건조된 선박으로 오만에서 월경지와 본토를 잇는 여객선으로 운항했으며, 55노트 이상의 속도로 운항해 당시 가장 빠른 내연기관 쾌속선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기도 했다. 2018년 12월 말에 취항했으나, 남해안의 거친 파도에 버티지 못하고 결항이 잦아 2년을 채우지 못하고 2020년 1월 14일에 운항이 중단되었다.
3. 1. 고속버스
한일고속은 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호남선, 경인선, 광주대구선을 운행한다. 각 노선의 세부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 노선 | 운행 구간 | 공동 운행사 | 비고 |
|---|---|---|---|
| 호남선 | 서울호남 ↔ 완도 시흥 ↔ 광주 | 완도 (단독 운행) 금호고속, 중앙고속 | 정안 경유 |
| 경인선 | 인천 ↔ 광주 인천 ↔ 속초 인천 ↔ 순천 | 금호고속, 삼화고속, 대원고속, 동부고속, 천일고속 | 정안휴게소 경유 (일부 노선) |
| 광주대구선 | 광주 ↔ 포항 | 동양고속 | 포항시청 경유 |
3. 1. 1. 호남선
3. 1. 2. 구마선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구마선'에 대한 정보가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다.3. 1. 3. 경인선
|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 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일반) | 운행 대수 (우등) | 운행 대수 (고급) | 비고 |
|---|---|---|---|---|---|---|---|
| 인천 ↔ 광주 | 금호고속, 삼화고속 | 인천 ↔ 광주 | 정안휴게소, 비아 | - | 6 | 2 | |
| 인천 ↔ 속초 | 대원고속, 동부고속 | 인천 ↔ 속초 | - | 2 | - | 2016년 3월 2일 경로변경[5] | |
| 인천 ↔ 순천 | 금호고속, 삼화고속, 천일고속 | 인천 ↔ 순천 | 정안휴게소, 순천대학교 | 1 | 1 | - | 2015년 3월 23일 중간경유지 추가 |
3. 1. 4. 광주대구선
3. 2. 여객선
1977년에 해운업 면허를 취득했으며, 고속버스 회사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여객해운업을 겸하고 있다. 여수, 완도항, 추자도, 제주항 간 여객선(카 페리)을 운행하고 있다. 2014년에는 여수시로부터 여수 - 제주 여객선 정기운항 사업자로 선정됐다.[7]현재 운항 중인 여객선은 3척으로, 완도항-제주 간 노선에 한일실버클라우드호와 한일레드펄호, 여수-제주 간 노선에 한일골드스텔라호가 있다.
| 선명 | 규모 | 속도 | 정원 | 운항 구간 |
|---|---|---|---|---|
| 한일실버클라우드호 | 20,263톤 | 21노트 | 1,209명, 차량 343대 | 완도항 - 제주 |
| 한일레드펄호 | 2,862톤 | 21.8노트 | 365명 | 완도항 - 추자도 - 제주 |
| 한일골드스텔라호 | 15,195톤 | 26노트 | 1,220명 | 여수 - 제주 |
완도항 - 제주항 간 노선은 1일 2 ~ 3회 운항하며, 추자도 경유 여객선은 1일 1회 운항한다.
한일블루나래는 완도항~제주항을 오가는 한일고속의 쾌속선이었다. 기존 선박보다 20분 더 단축한 1시간 20분 만에 운항했다. 2007년 호주에서 건조된 선박으로 오만에서 월경지와 본토를 잇는 여객선으로 운항했으며, 55노트 이상의 속도로 운항해 당시 가장 빠른 내연기관 쾌속선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기도 했다. 2018년 12월 말에 취항했으나, 남해안의 거친 파도에 버티지 못하고 결항이 잦아 2년을 채우지 못하고 2020년 1월 14일에 운항이 중단되었다.
4. 운행 차량
한일고속은 고속버스 노선과 여객선(카 페리)을 운행하고 있다. 고속버스는 기아와 현대자동차의 버스를 사용하며[6], 여객선은 여수, 완도항, 추자도, 제주항 간을 운항한다.[7]
4. 1. 고속버스
한일고속은 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기아와 현대자동차의 버스를 사용한다.[6]4. 1. 1. 기아
| 차종 | 구분 |
|---|---|
|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선샤인 | 일반, 우등 |
|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실크로드 | 프리미엄 |
| 뉴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선샤인 | 프리미엄 |
4. 1. 2. 현대자동차
4. 2. 여객선
1977년에 해운업 면허를 취득했으며, 고속버스 회사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여객해운업을 겸하고 있다. 여수, 완도항, 추자도, 제주항 간 여객선(카 페리)을 운행하고 있다. 2014년에는 여수시로부터 여수 - 제주 여객선 정기운항 사업자로 선정됐다.[7]현재 운항 중인 여객선은 3척으로, 한일골드스텔라호, 한일레드펄호, 한일실버클라우드호가 있다.
| 선명 | 규모 | 속도 | 정원 | 운항 구간 |
|---|---|---|---|---|
| 한일실버클라우드호 | 20,263 TON급 | 21노트 | 1,209명, 차량 343대 | 완도항-제주항 |
| 한일레드펄호 | 2,862 TON급 | 21.8노트 | 365명 | 완도항-추자도-제주항 |
| 한일골드스텔라호 | 15,195 TON급 | 26노트 | 1,220명 | 여수-제주항 |
완도항 - 제주항 간 노선은 1일 2 ~ 3회 운항하며, 추자도 경유 여객선은 1일 1회 운항한다.
과거에는 한일블루나래호가 완도항~제주항을 오가는 쾌속선으로 운항했었다. 이 선박은 기존 선박보다 20분 더 단축한 1시간 20분만에 운항할 수 있었다. 2007년 호주에서 건조된 선박으로 오만에서 월경지와 본토를 잇는 여객선으로 운항했으며, 55노트 이상의 속도로 운항해 당시 가장 빠른 내연기관 쾌속선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기도 했다. 2018년 7월께 취항할 예정이었으나 기관 고장의 수리가 늦어져 12월 말이 되어서야 취항했다. 하지만 선박이 남해안의 거친 파도에 버티지 못하고 결항이 잦아서, 2년을 못 채우고 2020년 1월 14일에 운항이 중단되었다.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19-03-12
[2]
간행물
고속버스 운행계통표
국토교통부
2019-04-12
[3]
문서
당진-부산(노포동)을 충남고속에 매각하면서 철수
[4]
문서
서울방향 하차만 가능하다.
[5]
문서
횡성휴게소 미경유.
[6]
문서
금호고속 출신 차량.
[7]
뉴스
여수-제주 정기운송 항로, 한일고속 선정
https://news.naver.c[...]
뉴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