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르톨로메오 플라티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톨로메오 플라티나는 1421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인문주의자이자 작가이다. 그는 콘도티에리 군대에서 복무하고, 가정교사로 일했으며, 비잔틴 학자에게 그리스어를 배우는 등 다양한 경험을 했다. 교황 비오 2세의 서기원으로 임명되었으나 교황 바오로 2세에 의해 해임된 후, 교황 식스토 4세의 제안으로 《교황 연대기》를 저술했다. 그는 바티칸 도서관장으로 임명되어 도서관을 관리했으며, 요리책 《정직한 즐거움과 건강에 관하여》를 저술하기도 했다. 플라티나는 핼리 혜성과 관련된 일화로도 유명하며, 그의 기록이 혜성 파문 전설의 근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레모나도 출신 - 아밀카레 폰키엘리
    아밀카레 폰키엘리는 19세기 후반 이탈리아 오페라 발전에 기여한 작곡가로, 대표작 《라 조콘다》를 작곡했으며, 밀라노 음악원 작곡 교수로 재직하며 푸치니, 마스카니 등을 제자로 양성했다.
  • 크레모나도 출신 - 리카르도 페리
    리카르도 페리는 이탈리아의 전직 축구 선수로, 인테르나치오날레에서 주전 중앙 수비수로 활약하며 세리에 A 우승, 코파 이탈리아 우승, UEFA컵 2회 우승을 달성했고 이탈리아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으며, 은퇴 후 지도자를 거쳐 현재 인테르나치오날레 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이탈리아의 전기 작가 - 프리모 레비
    이탈리아 유대계 화학자이자 작가인 프리모 레비는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경험을 기록한 《이것이 인간인가》, 《휴전》, 자전적 이야기 《주기율표》 등을 저술했으며, 아우슈비츠에서 해방된 후 귀환하여 1987년 사망했다.
  • 이탈리아의 전기 작가 - 조르조 바사리
    조르조 바사리는 16세기 이탈리아의 화가이자 건축가, 미술사가로서, 메디치 가문의 후원 아래 피렌체에서 활동하며 우피치 미술관과 바사리 복도를 설계했고, 르네상스 시대 미술가들의 생애를 다룬 《미술가 열전》을 저술하여 "미술사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음식 작가 - 고든 램지
    스코틀랜드 출신 영국 요리사 고든 램지는 미슐랭 3스타를 받은 유명 요리사이자 레스토랑 경영자, 방송인으로, 전 세계 레스토랑 운영과 다수 TV 프로그램 출연을 통해 대중적 인기를 얻었으며, 폭력적 성격 논란에도 불구하고 자선 활동으로도 알려져 있다.
  • 음식 작가 - 마이클 잭슨 (작가)
    마이클 잭슨은 맥주와 위스키 평론가로 명성이 높은 영국의 작가이자 저널리스트이며, 《맥주 세계 가이드》 출간과 TV 시리즈 "맥주 헌터"를 통해 맥주 감상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전 세계 맥주 문화를 소개했으며, 벨기에 맥주에 대한 공로로 벨기에 맥주 기사 작위를 받았다.
바르톨로메오 플라티나
기본 정보
바르톨로메오 플라티나
바르톨로메오 플라티나
본명바르톨로메오 사키
다른 이름플라티나
출생1421년
출생지피아데나
사망1481년 9월 21일
사망지로마
국적이탈리아
직업인문학자, 작가, 미식가
저서
주요 저서《모든 교황의 삶과 업적》(Vitae Pontificum)
《쾌락에 대하여》(De honesta voluptate et valetudine)

2. 생애

바르톨로메오 플라티나는 1421년 크레모나 근처 피에데나(Platinala)에서 태어났다.[5] 젊은 시절에는 4년 동안 콘도티에리에 고용된 사병으로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프란체스코 피치니노의 군대에서 복무했다.[5] 나중에 만토바에서 플라티나는 루도비코 3세 곤차가의 아들들의 가정교사로 임명되었으며, 이 자리는 이전에 야코포 다 산 카시아노와 오그니베네 보니솔리/Ognibene Bonisoliit가 맡았다.[5][4] 1457년 그는 비잔틴 인문주의 학자 아르기로풀로스에게서 그리스어를 배우기 위해 피렌체로 갔다. 그곳에서 루도비코의 소개장을 가지고 그는 코시모 데 메디치뿐만 아니라 저명한 인문주의자 베사리온과도 친분을 쌓았다.[5]

1462년 플라티나는 루도비코의 아들인 프란체스코 곤차가 추기경의 수행원으로 로마로 갔다.[5] 교황 비오 2세는 1463년에 서기원을 재편성하고 그 수를 70명으로 늘렸고, 플라티나는 세네큐어를 구매하여 1464년 5월에 회원이 될 수 있었다.[5] 교황 바오로 2세가 비오 2세의 뒤를 이어 그의 법령을 철회하자 플라티나와 다른 새로운 회원들은 그들의 직책을 박탈당했다. 플라티나는 이 문제에 대해 비오 2세에게 여러 통렬한 편지를 썼고, 결국 플라티나는 산탄젤로 성에 투옥되었다. 플라티나는 곤차가와 베사리온의 개입으로 4개월 후에 석방되었으며, 로마에 머물라는 조건이 붙었다.[5]

로마에 있는 동안 플라티나는 폼포니오가 이끄는 약 20명의 인문주의자 모임인 ''로마 아카데미아''와 연관되었다.[5] 1468년, 그 집단은 이단, 부도덕, 교황에 대한 음모 등 다양한 혐의로 체포되었다.[5] 후자의 혐의는 증거 부족으로 기각되었고, 전자의 혐의는 무죄로 판결되었다. 그러나 로마 아카데미 회원들은 부도덕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5]

1469년 7월 7일 석방된 후, 그는 다시 바오로 2세에게 고용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바오로 2세는 그의 서비스를 거절했다. 플라티나는 복수를 위협했고, 교황 식스토 4세의 제안에 따라 그의 ''교황 연대기/Vitæ Pontificum Platinæ historici liber de vita Christi ac omnium pontificum qui hactenus ducenti fuere et XXla''(1479)를 썼을 때 위협을 실행했다. 그는 그 안에서 그의 적을 잔인하고 과학의 원수라고 묘사했다. 수세기 동안 비판적 연구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증명할 때까지 역사적 견해에 영향을 미쳤다. 다른 곳에서는 특히 그가 가톨릭 교회의 상태를 다룰 때 당파 정신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교황의 생애''는 교황 역사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핸드북이다. 플라티나는 비판적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지만 세부 사항 검토는 회피했다. 1474년 말이나 1475년 초 플라티나는 그의 원고를 교황 식스토 4세에게 바쳤고, 그것은 여전히 바티칸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1475년 2월 18일, 교황은 플라티나를 연봉 120 두캇과 바티칸 시국의 공식 거처를 가진 최초의 바티칸 도서관장으로 임명했다.[5] 그는 또한 로마 교회의 주요 특권을 수집하도록 지시했다. 모든 연대기 학자들에게 그 가치를 인정받는 이 컬렉션은 여전히 바티칸 비밀 문서 보관소에 보존되어 있다. 서문에서 플라티나는 교회에 대한 반대 입장을 피했을 뿐만 아니라 이단자와 분열주의자를 교황이 처벌하는 것에 찬성하는 언급을 했으며, 이는 식스토 4세가 그의 호의의 표시로 플라티나를 교회의 이익을 위해 얻었다는 최고의 증거이다. 그의 주요 작품 외에도 플라티나는 ''Historia inclita urbis Mantuæ et serenissimæ familiæ Gonzagæla''를 비롯한 몇 권의 작은 작품을 썼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바르톨로메오 플라티나는 1421년 크레모나 근처 피에데나(Platinala)에서 태어났다.[5] 젊은 시절에는 4년 동안 콘도티에리에 고용된 사병으로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프란체스코 피치니노의 군대에서 복무했다.[5] 나중에 만토바에서 플라티나는 루도비코 3세 곤차가의 아들들의 가정교사로 임명되었으며, 이 자리는 이전에 야코포 다 산 카시아노와 오그니베네 보니솔리/Ognibene Bonisoliit가 맡았다.[5][4] 1457년 그는 비잔틴 인문주의 학자 아르기로풀로스에게서 그리스어를 배우기 위해 피렌체로 갔다. 그곳에서 루도비코의 소개장을 가지고 그는 코시모 데 메디치뿐만 아니라 저명한 인문주의자 베사리온과도 친분을 쌓았다.[5]

1462년 플라티나는 루도비코의 아들인 프란체스코 곤차가 추기경의 수행원으로 로마로 갔다.[5] 교황 비오 2세는 1463년에 서기원을 재편성하고 그 수를 70명으로 늘렸고, 플라티나는 세네큐어를 구매하여 1464년 5월에 회원이 될 수 있었다.[5]

2. 2. 로마에서의 활동과 투옥

바르톨로메오 플라티나는 1462년 프란체스코 곤차가 추기경의 수행원으로 로마에 갔다.[5] 교황 비오 2세는 1463년에 서기원을 재편성하고 그 수를 70명으로 늘렸고, 플라티나는 세네큐어를 구매하여 1464년 5월에 회원이 될 수 있었다.[5] 교황 바오로 2세가 비오 2세의 뒤를 이어 그의 법령을 철회하자 플라티나와 다른 새로운 회원들은 그들의 직책을 박탈당했다.[5] 플라티나는 이 문제에 대해 비오 2세에게 여러 통렬한 편지를 썼고, 결국 플라티나는 산탄젤로 성에 투옥되었다.[5] 플라티나는 곤차가와 베사리온의 개입으로 4개월 후에 석방되었으며, 로마에 머물라는 조건이 붙었다.[5]

로마에 있는 동안 플라티나는 폼포니오가 이끄는 약 20명의 인문주의자 모임인 ''로마 아카데미아''와 연관되었다.[5] 1468년, 그 집단은 이단, 부도덕, 교황에 대한 음모 등 다양한 혐의로 체포되었다.[5] 후자의 혐의는 증거 부족으로 기각되었고, 전자의 혐의는 무죄로 판결되었다. 그러나 로마 아카데미 회원들은 부도덕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5]

1469년 7월 7일 석방된 후, 그는 다시 바오로 2세에게 고용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바오로 2세는 그의 서비스를 거절했다. 플라티나는 복수를 위협했고, 교황 식스토 4세의 제안에 따라 그의 ''교황 연대기/Vitæ Pontificum Platinæ historici liber de vita Christi ac omnium pontificum qui hactenus ducenti fuere et XXla''(1479)를 썼을 때 위협을 실행했다. 그는 그 안에서 그의 적을 잔인하고 과학의 원수라고 묘사했다. 수세기 동안 비판적 연구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증명할 때까지 역사적 견해에 영향을 미쳤다. 다른 곳에서는 특히 그가 가톨릭 교회의 상태를 다룰 때 당파 정신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교황의 생애''는 교황 역사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핸드북이다. 플라티나는 비판적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지만 세부 사항 검토는 회피했다. 1474년 말이나 1475년 초 플라티나는 그의 원고를 교황 식스토 4세에게 바쳤고, 그것은 여전히 바티칸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2. 3. 교황청 도서관장 임명

바르톨로메오 플라티나는 1475년 2월 18일 교황 식스토 4세에 의해 연봉 120 두캇과 바티칸 시국의 공식 거처를 받는 조건으로 초대 바티칸 도서관장에 임명되었다.[5] 교황은 플라티나에게 로마 교회의 주요 특권을 수집하도록 지시했고, 이 자료들은 현재 바티칸 비밀 문서 보관소에 보존되어 있다.[5] 플라티나는 서문에서 교황이 이단자와 분열주의자를 처벌하는 것에 찬성하는 언급을 하여 교황의 신임을 얻었음을 보여주었다.[5] 바티칸 미술관에는 멜로초 다 포를리의 프레스코화 ''교황 식스토 4세가 바티칸 도서관장으로 플라티나를 임명함''이 있는데, 이 그림은 플라티나의 임명 과정을 묘사하고 있다.[5]

3. 주요 저술

wikitext

''쾌락과 건강에 관하여''

3. 1. 《교황 연대기》(Vitæ Pontificum)

3. 2. 《De honesta voluptate et valetudine》

1463년 여름, 플라티나는 알바노에서 추기경 루도비코 트레비산의 손님으로 머물렀다.[5][6] 그곳에서 트레비산의 요리사이자 유명한 코모의 마에스트로 마르티노를 만나 서로 잘 알게 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플라티나는 이탈리아 요리에 관한 이론적 논문인 정직한 즐거움과 건강에 관하여/De honesta voluptate et valetudinela를 저술했다. 이 텍스트의 상당 부분은 마르티노 자신의 요리책인 Libro de arte coquinariait에서 직접 복사한 것으로, 플라티나가 출처를 밝혔다. 플라티나의 작품은 최초의 인쇄된 요리책으로 여겨지며, 1474년에 출판되어 수십 판을 거치며 서유럽 전역에 로마의 고급 식사에 대한 아이디어를 전파했다.[5][7][8][9]

3. 3. 기타 저술

바르톨로메오 플라티나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많은 저술을 남겼다. 1454년에서 1456년 사이에 쓰인 ''Divi Ludovici Marchionis Mantuae somnium''은 A. 포르티올리에 의해 편집되어 1887년 만토바에서 출판되었다. 1457년에서 1460년 사이에는 ''Oratio de laudibus illustris ac divi Ludovici Marchionis Mantuae''를 저술했으며, 이는 F. 아마데이의 ''Cronaca universale della città di Mantova''에 포함되어 1955년 출판되었다. 같은 시기에 네리 카포니의 생애를 다룬 ''Vita Nerii Capponi''를 썼으며, 이는 1731년 밀라노에서 출판된 ''Rerum Italicarum scriptores'' 20권에 수록되었다.

1460년에서 1461년 사이에는 ''Vocabula Bucolicorum''과 ''Vocabula Georgicorum''을 저술했는데, 이는 베를린 슈타츠비블리오테크 필사본으로 남아있다. 1462년에서 1465년 사이에는 비토리노 다 펠트레의 생애를 다룬 ''Commentariolus de vita Victorini Feltrensis''를 썼으며, 이는 1958년 E. 가린에 의해 편집되어 출판되었다. 1462년에서 1466년 사이에는 플리니우스의 ''자연사''를 요약한 ''Epitome ex primo'' [''-XXXVII''] ''C. Plinii Secundi libro De naturali historia''를 저술했다. 1463년에서 1464년 사이에는 ''Oratio de laudibus bonarum artium''을 썼으며, 이는 1778년 T. A. 바이라니의 저서에 포함되어 출판되었다.

1464년에서 1465년 사이에는 교황 비오 2세의 생애를 다룬 ''Vita Pii Pontificis Maximi''를 저술했고, 같은 시기에 교황 바오로 2세에게 헌정된 ''Dialogus de falso ac vero bono''를 썼다. 1465년에서 1466년 사이에는 ''Dialogus'' ''de flosculis quibusdam linguae Latinae''를, 1465년에서 1472년 사이에는 ''Dialogus contra amores (de amore)''를 저술했다. 1466년에서 1467년 사이에는 ''De honesta voluptate e valitudine''를 썼으며, 1466년에서 1469년 사이에는 ''Historia urbis Mantuae Gonziacaeque familiae''를 저술했다.

1468년에는 ''Tractatus de laudibus pacis''와 ''Oratio de pace Italiae confirmanda et bello Thurcis indicendo''를 썼다. 1470년에는 ''Panegyricus in laudem amplissimi patris Bessarionis''와 ''De principe''를 저술했다. 1471년에서 1472년 사이에는 교황 식스토 4세에게 헌정된 ''De falso et vero bono''를 썼다. 1471년에서 1475년 사이에는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Liber de vita Christi ac omnium pontificum''을 저술했다.

1472년에서 1477년 사이에는 ''De vera nobilitate''를, 1474년에는 ''De optimo cive''를 저술했다. 1477년에는 바티스타 데이 주디치에 반박하는 논쟁적인 논문을 썼다. 같은 해에 플루타르코스의 ''De ira sedanda''를 번역했다. 1478년경에는 조반니 멜리니의 생애를 다룬 ''Vita amplissimi patris Ioannis Melini''를 썼다. 1476년에서 1480년 사이에는 ''Liber privilegiorum''을 저술했다.

플라티나는 서한도 남겼는데, 1468년에서 1469년 사이에 쓴 ''Platinae custodia detenti epistulae''가 대표적이다. 또한 플라티나는 1475년 요세푸스의 ''Historiarum libri numero VII''를 편집하기도 했다.

4. 핼리 혜성과의 연관성 논란

칼릭스투스 3세가 핼리 혜성파문했다는 전설은 플라티나의 ''교황 연대기(Vitæ Pontificum)''에서 비롯되었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니콜라오 5세십자군을 요청했으나 실패했고, 칼릭스투스 3세는 1456년 6월 29일 교서를 반포하여 미사 중 ''이교도에 대항하는 기도'', 정오와 저녁 기도 사이 종이 울릴 때 주기도문성모송 세 번 바치기, 매달 첫 번째 일요일 행렬 및 설교를 명했다.

1456년 7월 4일, 로마에서 첫 번째 행렬이 열렸고, 같은 날 투르크인이 벨그라드를 포위했다. 7월 14일 기독교인들이 우위를 점했고, 21일과 22일 투르크인들은 도망쳤다. 같은 해 핼리 혜성이 나타났고, 이탈리아에서는 6월에 처음 관측되었다. 혜성은 점성술사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페라라의 아보가리오는 1467년 6월 17일에 ''천문학적 판단''을 작성했고, 파올로 토스카넬리도 필사본을 남겼다. 혜성은 7월 8일까지 보였고, 벨그라드 전투 며칠 전에 시야에서 사라졌다.

플라티나는 교서 공포와 혜성 출현을 연결하여, 점성술사들이 큰 재앙을 예언하자 칼릭스투스 3세가 신의 분노를 피하기 위해 며칠 동안 탄원 기도를 명령했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교황 교서에는 혜성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바티칸 기록 보관소의 칼릭스투스 3세의 ''레게스타''(약 백 개의 쪽수)에도 혜성에 대한 언급은 없다. 피렌체의 대주교 성 안토니누스도 칼릭스투스가 명령한 모든 기도를 열거했지만, 혜성에 대한 기도와 행렬은 언급하지 않았다. 에네아스 실비우스와 성 요한 카피스트라노는 혜성을 투르크인과의 전쟁에서 유리한 징조로 여겼다.

따라서 플라티나가 혜성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교황이 교서를 반포했다고 잘못 생각했음이 분명하다. 이후 역사가들은 플라티나의 기록을 인용하거나 (칼비시우스, 스폰다누스, 루비니에츠키) 변형하면서 (파브르, 브뤼스) 전설이 퍼져나갔다. 라플라스는 교황이 혜성과 투르크인을 축출하도록 명령했다고 표현했고, 아라고는 이를 파문으로 바꾸었다. 이후 혜성 파문 전설은 다양한 형태로 반복되었다.

4. 1. 칼릭스투스 3세의 교서와 핼리 혜성

칼릭스투스 3세가 핼리 혜성파문했다는 전설은 플라티나의 ''교황 연대기(Vitæ Pontificum)''에서 비롯되었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니콜라오 5세는 십자군을 요청했으나 실패했다. 칼릭스투스 3세는 1456년 6월 29일 교서를 반포하여, 미사 중 ''이교도에 대항하는 기도''를 하고, 정오와 저녁 기도 사이에 주기도문성모송을 바치며, 매달 첫 번째 일요일에 행렬을 하도록 명했다.

1456년 7월 4일, 로마에서 첫 번째 행렬이 열렸고, 같은 날 투르크인이 벨그라드를 포위했다. 7월 14일 기독교인들이 우위를 점했고, 21일과 22일 투르크인들은 도망쳤다. 같은 해 6월, 이탈리아에서 핼리 혜성이 관측되었고, 점성술사들의 관심을 끌었다. 페라라의 아보가리오는 1467년 6월 17일에 작성된 ''천문학적 판단''에서 혜성을 언급했고, 파올로 토스카넬리도 혜성을 관측했다. 혜성은 7월 8일까지 보였다.

플라티나는 혜성 출현과 교서 반포를 연결하여, 점성술사들이 재앙을 예측하자 칼릭스투스 3세가 신의 분노를 피하기 위해 기도하도록 명령했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교서 원본에는 혜성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바티칸 기록 보관소의 칼릭스투스 3세 ''레게스타''에도 혜성은 언급되지 않았다. 피렌체의 대주교 성 안토니누스는 혜성에 대해 언급했지만, 혜성에 대한 기도나 행렬은 언급하지 않았다. 에네아스 실비우스와 성 요한 카피스트라노는 혜성을 투르크인과의 전쟁에서 유리한 징조로 여겼다.

이후 역사가들은 플라티나의 기록을 인용하며 혜성 파문 전설을 확대했다. 칼비시우스(1605), 스폰다누스(1641), 루비니에츠키(1666)는 플라티나를 인용했고, 파브르(1726)는 플뢰리의 ''교회사''를 의역했다. 브뤼스(1733)는 교황이 미신을 이용했다고 덧붙였다. 라플라스는 교황이 혜성과 투르크인을 ''축출''하도록 명령했다고 표현했고, 아라고는 이를 파문으로 바꾸었다. 이후 스미스, 그랜트, 바비네, 챔버스, 플라마리옹, 드레이퍼, 자민, 딕슨 화이트 등이 전설을 반복했다.

4. 2. 역사적 사실과 플라티나의 오류

교황 칼릭스투스 3세가 핼리 혜성파문했다는 전설은 플라티나의 ''교황 연대기(Vitæ Pontificum)''에서 비롯되었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교황 니콜라오 5세십자군을 요청했으나 실패했고, 칼릭스투스 3세는 1456년 6월 29일 교서를 반포하여 미사 중 ''이교도에 대항하는 기도'', 정오와 저녁 기도 사이 종이 울릴 때 주기도문성모송 세 번 바치기, 매달 첫 번째 일요일 행렬 및 설교를 명했다.

1456년 7월 4일, 로마에서 첫 번째 행렬이 열렸고, 같은 날 투르크인이 벨그라드를 포위했다. 7월 14일 기독교인들이 우위를 점했고, 21일과 22일 투르크인들은 도망쳤다. 같은 해 핼리 혜성이 나타났고, 이탈리아에서는 6월에 처음 관측되었다. 혜성은 점성술사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페라라의 아보가리오는 1467년 6월 17일에 ''천문학적 판단''을 작성했고, 파올로 토스카넬리도 필사본을 남겼다. 혜성은 7월 8일까지 보였고, 벨그라드 전투 며칠 전에 시야에서 사라졌다.

플라티나는 교서 공포와 혜성 출현을 연결하여, 점성술사들이 큰 재앙을 예언하자 칼릭스투스 3세가 신의 분노를 피하기 위해 며칠 동안 탄원 기도를 명령했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교황 교서에는 혜성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바티칸 기록 보관소의 칼릭스투스 3세의 ''레게스타''(약 백 개의 쪽수)에도 혜성에 대한 언급은 없다. 피렌체의 대주교 성 안토니누스도 칼릭스투스가 명령한 모든 기도를 열거했지만, 혜성에 대한 기도와 행렬은 언급하지 않았다. 에네아스 실비우스와 성 요한 카피스트라노는 혜성을 투르크인과의 전쟁에서 유리한 징조로 여겼다.

따라서 플라티나가 혜성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교황이 교서를 반포했다고 잘못 생각했음이 분명하다. 이후 역사가들은 플라티나의 기록을 인용하거나 (칼비시우스, 스폰다누스, 루비니에츠키) 변형하면서 (파브르, 브뤼스) 전설이 퍼져나갔다. 라플라스는 교황이 혜성과 투르크인을 축출하도록 명령했다고 표현했고, 아라고는 이를 파문으로 바꾸었다. 이후 혜성 파문 전설은 다양한 형태로 반복되었다.

5. 평가

5. 1. 한국의 관점에서의 평가

참조

[1] 백과사전 Plàtina, Il http://www.treccani.[...] 2013-11-06
[2] 웹사이트 Bartolomeo Sacchi (Platina) http://www.repertori[...] Roma nel Rinascimento 2013-11-22
[3] 문서 Platina
[4] 서적 Archimede Latino. Iacopo da San Cassiano e il corpus archimedeo alla metà del Quattrocento Les Belles Lettres 2012
[5] 서적 Two "loaf-givers" or, a tour through the gastronomic libraries of Katherine Golden Bitting and Elizabeth Robins Pennell https://archive.org/[...] Washington : Library of Congress 2023-10-16
[6] 간행물 Charlemagne's Tablecloth: a piquant history of feasting 2004
[7] 문서
[8] 백과사전 Platina, Bartolomeo Sacchi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