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이에른주의 주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에른주의 주총리는 바이에른 자유주의 정부의 수반으로, 1650년부터 현재까지 존재한다. 바이에른 선제후국 시대에는 추밀원 수상, 바이에른 왕국 시대에는 외무장관과 각료평의회 주석이 정부 수반 역할을 수행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는 자유주 총리가 선출되었으며, 나치 독일 시대에는 국가지사와 총리가 나치당의 통제를 받았다. 독일 연방 공화국 수립 이후 현재까지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소속의 주총리가 주로 집권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주총리 - 프로이센의 총리
    프로이센의 총리는 프로이센 왕국과 프로이센 자유국 시기에 존재한 정부 수반 직책으로, 요한 카시미어 콜베 폰 바르텐베르크와 오토 폰 비스마르크 등의 인물들이 프로이센의 기틀을 다지고 독일 제국 건설에 기여했으며, 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 독일 시대에도 파울 히르쉬, 오토 브라운, 헤르만 괴링 등이 총리를 역임했다.
  • 바이에른주의 주총리 - 쿠르트 아이스너
    쿠르트 아이스너는 독일의 저널리스트, 정치인, 혁명가로서 제1차 세계 대전 반전 운동을 주도하고 바이에른 혁명을 통해 바이에른 인민 공화국을 선포했으나 암살당했으며, 독일 민주주의와 사회 개혁, 평화 운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바이에른주의 주총리 - 에드문트 슈토이버
    에드문트 슈토이버는 독일 바이에른 출신의 정치인으로, 1993년부터 2007년까지 바이에른 주 총리를 역임했으며, 2002년 독일 연방 총선에서 총리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바이에른주의 주총리
바이에른 주의 주총리
바이에른 주의 문장
바이에른 주의 문장
관할바이에른 주
임명 방식바이에른 주의회에서 선출
임기바이에른 주의회 임기에 따름
현직마르쿠스 죄더 (CSU)
취임일2018년 3월 16일
역대 주총리 목록
1대쿠르트 아이스너 (USPD) (1918년 11월 8일 ~ 1919년 2월 21일)
2대요하네스 호프만 (SPD) (1919년 3월 17일 ~ 1920년 3월 16일)
3대구스타프 폰 카르 (무소속) (1920년 3월 16일 ~ 1921년 9월 21일)
4대후고 폰 로에르 (무소속) (1921년 9월 21일 ~ 1922년 11월 8일)
5대유겐 폰 크닐링 (BVP) (1922년 11월 8일 ~ 1924년 7월 8일)
6대하인리히 헬트 (BVP) (1924년 7월 8일 ~ 1933년 3월 10일)
7대루트비히 지프 (NSDAP) (1933년 3월 16일 ~ 1942년 4월 12일)
8대파울 기슬러 (NSDAP) (1942년 4월 12일 ~ 1945년 4월 28일)
9대프리츠 셰퍼 (CSU) (1945년 5월 28일 ~ 1946년 12월 21일)
10대한스 에하르트 (CSU) (1946년 12월 21일 ~ 1954년 10월 16일)
11대빌헬름 회그너 (SPD) (1954년 10월 16일 ~ 1957년 10월 8일)
12대한스 자이델 (CSU) (1957년 10월 8일 ~ 1960년 1월 25일)
13대한스 에하르트 (CSU) (1960년 1월 26일 ~ 1962년 12월 11일)
14대알폰스 고펠 (CSU) (1962년 12월 11일 ~ 1978년 11월 7일)
15대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CSU) (1978년 11월 7일 ~ 1988년 10월 3일)
16대막시밀리안 슈트라이블 (CSU) (1988년 10월 3일 ~ 1993년 5월 27일)
17대에드문트 슈토이베어 (CSU) (1993년 5월 28일 ~ 2007년 9월 30일)
18대귄터 베크슈타인 (CSU) (2007년 10월 9일 ~ 2008년 10월 27일)
19대호르스트 제호퍼 (CSU) (2008년 10월 27일 ~ 2018년 3월 13일)
20대마르쿠스 죄더 (CSU) (2018년 3월 16일 ~ 현재)

2. 바이에른 선제후국 추밀원 수상 (1650년-1790년)

Geheime Ratskanzlerde는 바이에른 선제후국의 최고위 관직으로, 행정을 총괄했다.

1650년부터 1790년까지 존속한 추밀원 수상 목록은 다음과 같다. (각 인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초상화이름취임퇴임재임 기간정당
요한 아들츠라이터 폰 테텐바이스1650년1662년2년무소속
요한 게오르크 왹슬레1662년1667년5년무소속
--카스파어 폰 슈미트1667년1693년26년무소속
--요한 루돌프 폰 벰플1695년1704년9년무소속
(공석)1704년1714년10년
--프란츠 크사버 요제프 폰 우너틀 남작1726년1749년23년무소속
--프란츠 크사버 안드레아스 폰 프라이들론 남작1749년1758년9년무소속
비굴레우스 폰 크라이트마이어 남작1758년 9월 20일1790년 10월 21일32년 1개월 1일무소속


2. 1. 주요 추밀원 수상

초상화이름취임퇴임재임 기간정당
요한 아들츠라이터 폰 테텐바이스1650년1662년2년무소속
요한 게오르크 왹슬레1662년1667년5년무소속
--카스파어 폰 슈미트1667년1693년26년무소속
--요한 루돌프 폰 벰플1695년1704년9년무소속
(공석)1704년1714년10년
--프란츠 크사버 요제프 폰 우너틀 남작1726년1749년23년무소속
--프란츠 크사버 안드레아스 폰 프라이들론 남작1749년1758년9년무소속
비굴레우스 폰 크라이트마이어 남작1758년 9월 20일1790년 10월 21일32년 1개월 1일무소속


3. 바이에른 왕국 외무장관 (1745년-1849년)

1849년까지 바이에른 왕국에는 별도의 정부수반이 없었기에 외무장관은 사실상 최고위 관직이었다. 이들은 바이에른 왕국의 외교 정책을 담당했으며, 특히 나폴레옹 전쟁의 혼란 속에서 바이에른이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왕국으로 승격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Minister des Äußeren|미니스터 데스 오이세렌de (1745년-1849년)
초상화성명취임일퇴임일재임 기간정당
--프란츠 요제프 폰 베르헴 백작1745년1777년 11월 18일32년무소속
--마테우스 폰 피레크 백작1777년 11월 18일1799년 2월 21일무소속
막시밀리안 폰 몬트겔라스1799년 2월 21일1817년 2월 2일무소속
--하인리히 알로이스 폰 라이거스베르크 백작1817년 2월 2일1823년6년무소속
--알로이스 폰 레흐베르크 운트 로테늘뢰벤 백작1817년 2월1825년 10월무소속
--프리드리히 카를 폰 튀어하임 백작1827년 1월 1일1828년1년무소속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폰 첸트너 남작1827년 4월 22일1828년 9월 1일무소속
요제프 루트비히 폰 아르만스페르크 백작1828년 9월 1일1831년3년무소속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기제 남작1831년1846년 5월 26일15년무소속
오토 폰 브라이슈타인부르크 백작1846년 5월 26일1847년 2월 13일무소속
게오르크 루트비히 폰 마우러1847년 3월 1일1847년 11월 29일무소속
루트비히 추 외팅겐발러슈타인 후작1847년 12월 1일1848년 3월 12일무소속
--클레멘스 폰 발트키르히 백작1848년 3월 14일1848년 4월 29일무소속
오토 폰 브라이슈타인부르크 백작1848년 4월 29일1849년 4월 18일무소속


3. 1. 주요 외무장관

Maximilian von Montgelas|막시밀리안 폰 몬트겔라스de (1759년-1838년)1799년 2월 21일1817년 2월 2일17년 11개월 12일무소속



막시밀리안 폰 몬트겔라스 백작은 나폴레옹 시대에 바이에른의 생존과 성장을 이끈 핵심 인물로, 근대 바이에른 왕국의 기틀을 다진 인물로 평가받는다.

4. 바이에른 왕국 각료평의회 주석 (1849년-1918년)

''Vorsitzende des Ministerrates''de

1849년부터 1918년까지 바이에른 왕국의 각료평의회 주석(''Vorsitzende des Ministerrates''de)은 바이에른 왕국의 정부수반 역할을 했다. 1880년에서 1890년을 제외하고는 외무장관을 겸임하였다. 1871년 바이에른 왕국은 독일 제국에 편입되었지만, 제한적인 자치권을 유지했다.

(1880년–1890년을 제외하면 모든 주석은 외무장관이 겸임했다)
사진이름취임일퇴임일정당
루트비히 폰 데어 포르텐 남작1849년 12월 22일1859년 5월 1일무소속
카를 폰 슈렌크 남작1859년 5월 1일1864년 10월 4일무소속
--막스 폰 노이마이어1864년 10월 4일1864년 12월 4일무소속
--루트비히 폰 데어 포르텐 남작1864년 12월 4일1866년 12월 29일무소속
흘로트비히 추 호헨로헤실링스퓌르스트 후작1866년 12월 31일1870년 3월 8일무소속 (민족자유주의자)
오토 폰 브라이슈타인부르크 백작1870년 3월 8일1871년 6월 25일무소속
--프리드리히 폰 헤크넨베르크둑스 백작1871년 8월 21일1872년 6월 2일무소속 (민족자유주의자)
아돌프 폰 프레츠슈너 남작1872년 10월 1일1880년 3월 4일무소속 (자유주의자)
--요한 폰 루츠 남작1880년 3월 4일1890년 6월 1일무소속 (민족자유주의자)
프리드리히 크라프트 폰 크라일샤임 백작1890년 6월 1일1903년 3월 1일무소속 (민족자유주의자)
클레멘스 폰 포데빌스뒤르니츠 백작1903년 3월 1일1912년 2월 9일무소속 (민족자유주의자)
게오르크 폰 헤르틀링 백작1912년 2월 9일1917년 11월 10일중앙당
--오토 폰 단들 기사1917년 11월 11일1918년 11월 7일무소속


4. 1. 주요 각료평의회 주석

(1811년-1880년)1849년 12월 22일 - 1859년 5월 1일
1864년 12월 4일 - 1866년 12월 29일무소속카를 폰 슈렌크 남작
(1806년-1884년)1859년 5월 1일 - 1864년 10월 4일무소속--막스 폰 노이마이어
(1808년-1881년)1864년 10월 4일 - 1864년 12월 4일무소속흘로트비히 추 호헨로헤실링스퓌르스트 후작
(1819년-1901년)1866년 12월 31일 - 1870년 3월 8일무소속 (민족자유주의자)오토 폰 브라이슈타인부르크 백작
(1807년-1899년)1870년 3월 8일 - 1871년 6월 25일무소속--프리드리히 폰 헤크넨베르크둑스 백작
(1810년-1872년)1871년 8월 21일 - 1871년 6월 2일무소속 (민족자유주의자)아돌프 폰 프레츠슈너 남작
(1820년-1901년)1872년 10월 1일 - 1880년 3월 4일무소속 (자유주의자)--요한 폰 루츠 남작
(1826년-1890년)1880년 3월 4일 - 1890년 6월 1일무소속 (민족자유주의자)프리드리히 크라프트 폰 크라일샤임 백작
(1841년-1926년)1890년 6월 1일 - 1903년 3월 1일무소속 (민족자유주의자)클레멘스 폰 포데빌스뒤르니츠 백작
(1850년-1922년)1903년 3월 1일 - 1912년 2월 9일무소속 (민족자유주의자)게오르크 폰 헤르틀링 백작
(년-년)1912년 2월 9일 - 1917년 11월 10일중앙당--오토 폰 단들 기사
(1868년-1942년)1917년 11월 11일 - 1918년 11월 7일무소속


5. 바이마르 공화국 바이에른 자유주 총리 (1918년-1933년)

(권한대행)1919년 3월 1일1919년 3월 17일독일 사회민주당style="background:#EB5160;" |--요하네스 호프만1919년 3월 17일1920년 3월 14일독일 사회민주당style="background:#dcdcdc;" |--구스타프 폰 카어 기사1920년 3월 16일1921년 9월 21일무소속style="background:#000000;" |--후고 폰 운트 추 레어헨펠트
아우프 쾨페링 운트 쇤베르크 백작
1921년 9월 21일1922년 11월 8일바이에른 인민당style="background:#000000;" |--오이겐 폰 크닐링 기사1922년 11월 8일1924년 7월 1일바이에른 인민당Generalstaatskommissar des Freistaats Bayerndestyle="background:#dcdcdc;" |--구스타프 폰 카어 기사1923년 9월 25일1924년 2월 17일무소속style="background:#000000;" |

하인리히 헬트1924년 7월 2일1933년 3월 9일바이에른 인민당



바이에른 혁명을 주도한 쿠르트 아이스너는 극우 세력에 의해 암살되었고, 맥주홀 폭동 진압에 관여한 구스타프 폰 카어 기사, 나치당에 저항했던 하인리히 헬트 등이 주총리를 역임했다.

5. 1. 주요 총리

쿠르트 아이스너

쿠르트 아이스너(1867년-1919년)는 바이에른 혁명을 주도하고 공화정을 수립한 독일 독립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이다. 1918년 11월 8일부터 1919년 2월 21일까지 바이에른 주총리를 역임했으나, 극우 세력에 의해 암살당했다.
구스타프 폰 카어 기사(1862년-1934년)는 무소속의 보수적인 정치인으로, 1920년 3월 16일부터 1921년 9월 21일까지, 그리고 1923년 9월 25일부터 1924년 2월 17일까지 두 차례 바이에른 주총리를 역임했다. 히틀러의 맥주홀 폭동 진압에 관여했다.
하인리히 헬트(1868년-1938년)는 바이에른 인민당 소속으로, 1924년 7월 2일부터 1933년 3월 9일까지 바이에른 주총리를 역임했다. 나치당에 저항했으나 결국 권좌에서 축출되었다.

6. 나치 독일 바이에른 국가지사 및 총리 (1933년-1945년)

''Reichsstatthalter des Bayern''|바이에른 국가지사de는 1933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 독일 바이에른의 주총리 직함이었다. 나치당이 집권하면서 바이에른의 자치권은 사실상 없어졌고, 국가지사와 총리는 나치당의 통제를 받았다. 이 시기 바이에른은 나치즘의 주요 거점 중 하나가 되었으며, 강제 수용소 설치 등 반인륜적 범죄가 자행되었다.

1933년 3월, 프란츠 폰 에프 기사가 바이에른의 국가지사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4월에는 루트비히 지베르트가 바이에른의 총리로 임명되었다. 이후 파울 기슬러가 총리직을 수행했다. 이들은 모두 1945년 4월까지 재임했다.

6. 1. 주요 국가지사 및 총리

(1933년 4월 10일 이전까지는 국가판무관 직함)1933년 3월 10일1945년 4월 29일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Ministerpräsidenten des Freistaats Bayern|바이에른 자유주 주총리de
루트비히 지베르트1933년 4월 12일1942년 11월 1일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파울 기슬러1942년 11월 2일1945년 4월 29일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7. 독일 연방 공화국 바이에른 자유주 총리 (1945년-현재)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바이에른은 미군정의 통치를 받다가, 1949년 독일 연방 공화국(서독)이 수립되면서 자유주로 재편되었다.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CSU)은 1946년 이후 대부분의 기간 동안 집권하며 바이에른의 정치, 경제, 사회 발전을 주도해 왔다.

독일 연방 공화국 바이에른 자유주 총리 (1945년-현재)
사진이름취임일퇴임일정당
프리츠 셰퍼1945년 5월 28일1945년 9월 28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빌헬름 회크너1945년 9월 28일1946년 12월 16일독일 사회민주당
한스 에하르트1946년 12월 21일1954년 12월 14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빌헬름 회크너1954년 12월 14일1957년 10월 8일독일 사회민주당
한스 자이델1957년 10월 16일1960년 1월 22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한스 에하르트1960년 1월 26일1962년 12월 11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알폰스 고펠1962년 12월 11일1978년 11월 6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1978년 11월 6일1988년 10월 3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막스 슈트라이블1988년 10월 19일1993년 5월 27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에드문트 슈토이버1993년 5월 28일2007년 9월 30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귄터 베크슈타인2007년 10월 9일2008년 10월 27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호르스트 제호퍼2008년 10월 27일2018년 3월 13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마르쿠스 죄더2018년 3월 14일현임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주요 총리로는 독일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전후 바이에른 재건에 기여한 빌헬름 회크너,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소속으로 장기간 집권하며 바이에른의 경제 성장을 이끈 한스 에하르트,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의 대표적인 정치인으로, 강력한 리더십과 보수적인 정책으로 유명한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소속으로 장기간 집권하며 바이에른의 경제 성장과 유럽 통합에 기여한 에드문트 슈토이버, 현 바이에른 총리로,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소속의 마르쿠스 죄더 등이 있다.

7. 1. 주요 총리

사진이름취임일퇴임일정당
빌헬름 회크너1945년 9월 28일1946년 12월 16일독일 사회민주당
한스 에하르트1946년 12월 21일1954년 12월 14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빌헬름 회크너1954년 12월 14일1957년 10월 8일독일 사회민주당
한스 에하르트1960년 1월 26일1962년 12월 11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1978년 11월 6일1988년 10월 3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에드문트 슈토이버1993년 5월 28일2007년 9월 30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마르쿠스 죄더2018년 3월 14일현임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