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에른주의 주총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에른주의 주총리는 바이에른 자유주의 정부의 수반으로, 1650년부터 현재까지 존재한다. 바이에른 선제후국 시대에는 추밀원 수상, 바이에른 왕국 시대에는 외무장관과 각료평의회 주석이 정부 수반 역할을 수행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는 자유주 총리가 선출되었으며, 나치 독일 시대에는 국가지사와 총리가 나치당의 통제를 받았다. 독일 연방 공화국 수립 이후 현재까지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소속의 주총리가 주로 집권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주총리 - 프로이센의 총리
프로이센의 총리는 프로이센 왕국과 프로이센 자유국 시기에 존재한 정부 수반 직책으로, 요한 카시미어 콜베 폰 바르텐베르크와 오토 폰 비스마르크 등의 인물들이 프로이센의 기틀을 다지고 독일 제국 건설에 기여했으며, 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 독일 시대에도 파울 히르쉬, 오토 브라운, 헤르만 괴링 등이 총리를 역임했다. - 바이에른주의 주총리 - 쿠르트 아이스너
쿠르트 아이스너는 독일의 저널리스트, 정치인, 혁명가로서 제1차 세계 대전 반전 운동을 주도하고 바이에른 혁명을 통해 바이에른 인민 공화국을 선포했으나 암살당했으며, 독일 민주주의와 사회 개혁, 평화 운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바이에른주의 주총리 - 에드문트 슈토이버
에드문트 슈토이버는 독일 바이에른 출신의 정치인으로, 1993년부터 2007년까지 바이에른 주 총리를 역임했으며, 2002년 독일 연방 총선에서 총리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바이에른주의 주총리 | |
---|---|
바이에른 주의 주총리 | |
![]() | |
관할 | 바이에른 주 |
임명 방식 | 바이에른 주의회에서 선출 |
임기 | 바이에른 주의회 임기에 따름 |
현직 | 마르쿠스 죄더 (CSU) |
취임일 | 2018년 3월 16일 |
역대 주총리 목록 | |
1대 | 쿠르트 아이스너 (USPD) (1918년 11월 8일 ~ 1919년 2월 21일) |
2대 | 요하네스 호프만 (SPD) (1919년 3월 17일 ~ 1920년 3월 16일) |
3대 | 구스타프 폰 카르 (무소속) (1920년 3월 16일 ~ 1921년 9월 21일) |
4대 | 후고 폰 로에르 (무소속) (1921년 9월 21일 ~ 1922년 11월 8일) |
5대 | 유겐 폰 크닐링 (BVP) (1922년 11월 8일 ~ 1924년 7월 8일) |
6대 | 하인리히 헬트 (BVP) (1924년 7월 8일 ~ 1933년 3월 10일) |
7대 | 루트비히 지프 (NSDAP) (1933년 3월 16일 ~ 1942년 4월 12일) |
8대 | 파울 기슬러 (NSDAP) (1942년 4월 12일 ~ 1945년 4월 28일) |
9대 | 프리츠 셰퍼 (CSU) (1945년 5월 28일 ~ 1946년 12월 21일) |
10대 | 한스 에하르트 (CSU) (1946년 12월 21일 ~ 1954년 10월 16일) |
11대 | 빌헬름 회그너 (SPD) (1954년 10월 16일 ~ 1957년 10월 8일) |
12대 | 한스 자이델 (CSU) (1957년 10월 8일 ~ 1960년 1월 25일) |
13대 | 한스 에하르트 (CSU) (1960년 1월 26일 ~ 1962년 12월 11일) |
14대 | 알폰스 고펠 (CSU) (1962년 12월 11일 ~ 1978년 11월 7일) |
15대 |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CSU) (1978년 11월 7일 ~ 1988년 10월 3일) |
16대 | 막시밀리안 슈트라이블 (CSU) (1988년 10월 3일 ~ 1993년 5월 27일) |
17대 | 에드문트 슈토이베어 (CSU) (1993년 5월 28일 ~ 2007년 9월 30일) |
18대 | 귄터 베크슈타인 (CSU) (2007년 10월 9일 ~ 2008년 10월 27일) |
19대 | 호르스트 제호퍼 (CSU) (2008년 10월 27일 ~ 2018년 3월 13일) |
20대 | 마르쿠스 죄더 (CSU) (2018년 3월 16일 ~ 현재) |
2. 바이에른 선제후국 추밀원 수상 (1650년-1790년)
Geheime Ratskanzlerde는 바이에른 선제후국의 최고위 관직으로, 행정을 총괄했다.
1650년부터 1790년까지 존속한 추밀원 수상 목록은 다음과 같다. (각 인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초상화 | 이름 | 취임 | 퇴임 | 재임 기간 | 정당 |
---|---|---|---|---|---|
![]() | 요한 아들츠라이터 폰 테텐바이스 | 1650년 | 1662년 | 2년 | 무소속 |
요한 게오르크 왹슬레 | 1662년 | 1667년 | 5년 | 무소속 | |
-- | 카스파어 폰 슈미트 | 1667년 | 1693년 | 26년 | 무소속 |
-- | 요한 루돌프 폰 벰플 | 1695년 | 1704년 | 9년 | 무소속 |
(공석) | 1704년 | 1714년 | 10년 | ||
-- | 프란츠 크사버 요제프 폰 우너틀 남작 | 1726년 | 1749년 | 23년 | 무소속 |
-- | 프란츠 크사버 안드레아스 폰 프라이들론 남작 | 1749년 | 1758년 | 9년 | 무소속 |
![]() | 비굴레우스 폰 크라이트마이어 남작 | 1758년 9월 20일 | 1790년 10월 21일 | 32년 1개월 1일 | 무소속 |
2. 1. 주요 추밀원 수상
초상화 | 이름 | 취임 | 퇴임 | 재임 기간 | 정당 |
---|---|---|---|---|---|
요한 아들츠라이터 폰 테텐바이스 | 1650년 | 1662년 | 2년 | 무소속 | |
요한 게오르크 왹슬레 | 1662년 | 1667년 | 5년 | 무소속 | |
-- | 카스파어 폰 슈미트 | 1667년 | 1693년 | 26년 | 무소속 |
-- | 요한 루돌프 폰 벰플 | 1695년 | 1704년 | 9년 | 무소속 |
(공석) | 1704년 | 1714년 | 10년 | ||
-- | 프란츠 크사버 요제프 폰 우너틀 남작 | 1726년 | 1749년 | 23년 | 무소속 |
-- | 프란츠 크사버 안드레아스 폰 프라이들론 남작 | 1749년 | 1758년 | 9년 | 무소속 |
비굴레우스 폰 크라이트마이어 남작 | 1758년 9월 20일 | 1790년 10월 21일 | 32년 1개월 1일 | 무소속 |
1849년까지 바이에른 왕국에는 별도의 정부수반이 없었기에 외무장관은 사실상 최고위 관직이었다. 이들은 바이에른 왕국의 외교 정책을 담당했으며, 특히 나폴레옹 전쟁의 혼란 속에서 바이에른이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왕국으로 승격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3. 바이에른 왕국 외무장관 (1745년-1849년)
Minister des Äußeren|미니스터 데스 오이세렌de (1745년-1849년) 초상화 성명 취임일 퇴임일 재임 기간 정당 -- 프란츠 요제프 폰 베르헴 백작 1745년 1777년 11월 18일 32년 무소속 -- 마테우스 폰 피레크 백작 1777년 11월 18일 1799년 2월 21일 무소속 막시밀리안 폰 몬트겔라스 1799년 2월 21일 1817년 2월 2일 무소속 -- 하인리히 알로이스 폰 라이거스베르크 백작 1817년 2월 2일 1823년 6년 무소속 -- 알로이스 폰 레흐베르크 운트 로테늘뢰벤 백작 1817년 2월 1825년 10월 무소속 -- 프리드리히 카를 폰 튀어하임 백작 1827년 1월 1일 1828년 1년 무소속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폰 첸트너 남작 1827년 4월 22일 1828년 9월 1일 무소속 요제프 루트비히 폰 아르만스페르크 백작 1828년 9월 1일 1831년 3년 무소속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기제 남작 1831년 1846년 5월 26일 15년 무소속 오토 폰 브라이슈타인부르크 백작 1846년 5월 26일 1847년 2월 13일 무소속 게오르크 루트비히 폰 마우러 1847년 3월 1일 1847년 11월 29일 무소속 루트비히 추 외팅겐발러슈타인 후작 1847년 12월 1일 1848년 3월 12일 무소속 -- 클레멘스 폰 발트키르히 백작 1848년 3월 14일 1848년 4월 29일 무소속 오토 폰 브라이슈타인부르크 백작 1848년 4월 29일 1849년 4월 18일 무소속
3. 1. 주요 외무장관
Maximilian von Montgelas|막시밀리안 폰 몬트겔라스de (1759년-1838년)1799년 2월 21일 1817년 2월 2일 17년 11개월 12일 무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