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드문트 슈토이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문트 슈토이버는 독일 바이에른 출신의 정치인으로, 1993년부터 2007년까지 바이에른 주 총리를 역임했다. 그는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기독교사회연합(CSU) 사무총장과 바이에른 주 내무부 장관을 거쳐 1993년 주 총리에 선출되었다. 2002년 독일 연방 총선에서 기민련/기사련의 총리 후보로 나섰으나 게르하르트 슈뢰더에게 패배했다. 총리 퇴임 후에는 유럽 위원회 특별 고문, 기업 자문위원, 프로 스포츠 관련 활동을 했으며, 정치적 입장과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당원 - 만프레트 베버
    만프레트 베버는 독일의 정치인이자 유럽 인민당 소속으로, 뮌헨 응용 과학 대학교에서 엔지니어링 학위를 취득한 후 컨설팅 회사를 운영하고 바이에른 주의회 의원을 거쳐 2004년부터 유럽 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며 유럽 인민당 그룹 의장,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 후보를 역임, 2022년부터 유럽 인민당 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당원 - 프리츠 셰퍼
    프리츠 셰퍼는 독일의 정치인으로, 바이에른 인민당 의장과 주 의회 의원을 거쳐 서독 재무장관과 법무장관을 역임했으나, 나치 시기 투옥, 전후 바이에른 주 총리 해임, 반유대주의 발언 등으로 논란이 된 인물이다.
  • 바이에른주의 주총리 - 쿠르트 아이스너
    쿠르트 아이스너는 독일의 저널리스트, 정치인, 혁명가로서 제1차 세계 대전 반전 운동을 주도하고 바이에른 혁명을 통해 바이에른 인민 공화국을 선포했으나 암살당했으며, 독일 민주주의와 사회 개혁, 평화 운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바이에른주의 주총리 - 프리츠 셰퍼
    프리츠 셰퍼는 독일의 정치인으로, 바이에른 인민당 의장과 주 의회 의원을 거쳐 서독 재무장관과 법무장관을 역임했으나, 나치 시기 투옥, 전후 바이에른 주 총리 해임, 반유대주의 발언 등으로 논란이 된 인물이다.
  • 뮌헨 대학교 동문 - 로베르트 미헬스
    로베르트 미헬스는 사회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과두제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 이론을 제시했으며, 정당의 관료화와 소수 엘리트 지배의 관계를 연구했다.
  • 뮌헨 대학교 동문 - 펠릭스 호프만
    펠릭스 호프만은 바이엘사 연구원으로 아스피린과 헤로인을 합성한 독일 화학자이며, 특히 아스피린은 아르투어 아이헨그륀의 지휘 아래 합성되어 진통, 해열, 항염증제로 널리 쓰였으나, 아이헨그륀의 역할 축소 및 호프만의 공로 과장 논란이 존재한다.
에드문트 슈토이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3년의 에드문트 슈토이버
2013년의 슈토이버
이름에드문트 슈토이버
본명에드문트 뤼디거 슈토이버
출생일1941년 9월 28일
출생지바이에른주 오버아우도르프
거주지볼프라츠하우젠
국적독일
배우자카린 슈토이버 (1968년 결혼)
자녀콘스탄체, 베로니카, 도미니크
직업정치인, 변호사, 신디크
소속 정당기독교 사회 연합 (1971년–)
학력바이에른 공공 정책 학교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뮌헨 대학교
레겐스부르크 대학교 (법학 박사)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주요 경력
임기 시작1993년 5월 28일
임기 종료2007년 9월 30일
이전 수상막스 슈트라이블
다음 수상귄터 베크슈타인
부수상한스 체트마이어
바바라 슈탐
귄터 베크슈타인
임기 시작1995년 11월 1일
임기 종료1996년 10월 31일
이전 의장요하네스 라우
다음 의장에르빈 토이펠
제1 부의장요하네스 라우
임기 시작1999년 10월 9일
임기 종료2007년 9월 18일
이전 대표테오 바이겔
다음 대표에르빈 후버
사무총장토마스 고펠
마르쿠스 죄더
임기 시작1988년 10월 19일
임기 종료1993년 6월 17일
이전 장관아우구스트 리하르트 랑
다음 장관귄터 베크슈타인
임기 시작1982년 10월 27일
임기 종료1988년 10월 19일
이전 장관라이너 케슬러
다음 장관빌헬름 포른드란
선거구바트 퇼츠-볼프라츠하우젠,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바트 퇼츠-볼프라츠하우젠; 1994–2003)
(미스바흐; 1974–1994)
임기 시작1974년 11월 12일
임기 종료2008년 7월 17일
이전 의원안톤 슈타우다허
다음 의원마르틴 바흐후버

2. 생애

슈토이버는 바이에른주 로젠하임군의 오베르아우도르프에서 태어났다. 1961년 로젠하임의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병역을 마친 뒤 정치학을 공부하고, 1962년 가을부터 뮌헨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1967년 국가 사법시험을 통과하고 레겐스부르크 대학교에서 형법과 동유럽 법에 대해 연구했다. 박사 학위를 받고 1971년 2차 사법시험을 우수한 성적으로 통과했다.[2]

그의 군 복무는 미텐발트와 바트 라이헨할의 제1 게비르크스사단 (산악 보병 사단)에서 수행되었으나, 무릎 부상으로 인해 중단되었다.[2] 1971년 바이에른 주 개발 및 환경부에서 일했다.[3] 1974년 정치에 입문하여 바이에른 주의회에서 활동하기 전, 그는 변호사였으며 레겐스부르크 대학교에서 근무했다.

종교는 천주교이다. 부인 카린 슈토이버와의 사이에 세 자녀 콘스탄체, 베로니카, 도미니크가 있으며, 3명의 손자도 두고 있다.

3. 정치 경력

1978년 기독교사회연합(CSU)의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어 1983년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 1982년부터 1993년까지는 바이에른 주정부의 장차관을 두루 지냈다. 1978년부터 1983년까지 바이에른 주 총리이자 CSU 당수인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아래에서 당 사무국장을 역임하며 뛰어난 수완을 발휘, 정적들에게 "금발의 단두대"라는 별명을 얻었다. 사무국장으로서 1980년 서독 총선에서 슈트라우스가 연방 총리 후보로 현직 헬무트 슈미트(독일 사회민주당)에 도전했지만 패배하는 과정을 관리했다.[3] 1982년, 바이에른 주 슈트라우스 내각에서 비서실장을 역임했고, 1988년 슈트라우스가 급서하며 막스 슈트라이블이 주 총리로 취임하자, 그 내각에서 내무부 장관에 취임했다. 1989년에는 CSU 부당수에 올랐다.

1993년 5월 바이에른 주 의회는 슈토이버를 막스 슈트라이블의 후임 주 총리로 선출했고, 1998년에는 테오 바이겔로부터 CSU 의장직을 물려받았다. 한편, 1998년 연방 의회 선거에서 CSU의 자매 정당인 기독교민주연합(CDU)이 대패하여 헬무트 콜 정권이 퇴진하고, 내각에서 재무부 장관을 지낸 테오도어 바이겔이 CSU 당수직을 사임하자, 이듬해 1월 슈토이버가 당수직을 승계하여 바이에른 주 총리와 겸임하게 되었다. 이로써 슈토이버는 스승인 슈트라우스가 이루지 못한, 바이에른 출신 첫 연방 총리 실현에 한 발짝 더 다가서게 되었다.

3. 1. 바이에른 주 총리 (1993-2007)

1993년 5월, 바이에른 주 의회는 막스 슈트라이블의 후임으로 슈토이버를 주 총리로 선출했다. 그는 주 총리 후보를 둘러싼 성 추문과 관련된 정치적 위기 속에 권력을 잡았다.[4] 취임 직후 슈트라우스의 딸 모니카 호흘마이어를 교육 및 문화부 장관으로 임명했다.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연방 상원 의장을 역임했으며, 1998년에는 테오 바이겔의 뒤를 이어 기독교사회연합(CSU)의 대표가 되었다.

슈토이버가 바이에른 주를 이끌었던 14년 동안, 주는 독일에서 가장 부유한 주 중 하나로서의 지위를 굳혔다.[5] 1998년에 그의 지도 아래, 주는 30억 달러가 넘는 국영 기업을 민영화하고, 그 돈을 새로운 인프라에 투자하고 신생 기업에 벤처 자본을 제공했다.[6] 그는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지역 경제 중 하나를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인물로 여겨졌으며, 수천 개의 하이테크, 엔지니어링 및 미디어 회사를 유치하고 실업률을 전국 평균의 절반으로 줄였다.[7]

1993년, 슈트라이블이 스캔들로 사임하자, 슈토이버는 1993년 6월 17일에 바이에른 주 총리에 취임했다.[47] 1995년부터 1년간, 지방 대표가 모이는 연방참의원 의장을 겸임했다. 바이에른 주 총리로서 높은 지지율을 자랑하며, 1994년과 1998년의 주의회 선거에서 득표율 5할 이상의 절대 다수를 달성했다. 2003년 주의회 선거에서는 57.3%의 저투표율에도 불구하고 득표율 6할을 넘었으며, CSU가 주의회 의석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3. 2. 독일 연방수상 후보 (2002)

2002년 총선에서 기민련/기사련은 여론 조사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고, 슈토이버는 "이 선거는 후반전이고 우리 팀이 2:0으로 앞서고 있는 축구 경기와 같다"고 묘사했다.[8] 그러나 선거 당일 사민당은 엄청난 반전을 이루었고, 기민련/기사련은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다. 사민당과 기민련/기사련 모두 38.5%의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사민당이 6,000표 차이로 앞서며 251석을 얻어 기민련/기사련의 248석을 넘어섰다. 이 선거는 현대 독일에서 가장 치열한 접전 중 하나였다.[8]

게르하르트 슈뢰더녹색당과의 연립으로 의회에서 다시 총리로 선출되었으며, 녹색당은 득표율을 소폭 늘렸다. 많은 평론가들은 슈토이버가 독일 동부 홍수에 대응한 방식과 미국의 이라크 전쟁에 반대한 슈뢰더의 적극적인 입장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한다.[8]

3. 3. 2005년 연방 총선 이후

슈토이버는 다시 총리직에 출마하려는 야심을 품었지만, 앙겔라 메르켈이 지명을 확보했고 2005년 11월 총선에서 승리했다.[10] 그는 메르켈의 첫 번째 대연정 내각에 경제부 장관으로 합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2005년 11월 1일, 연정의 SPD 측 인적 변화 (프란츠 뮌테페링이 SPD 의장직에서 사임)와 자신과 지명된 과학부 장관 아네테 샤반 간의 불만족스러운 권한 분배를 이유로 바이에른에 남기로 결정했다.[10] 슈토이버는 10월 18일부터 11월 8일까지 16대 연방 하원 의원이었으며, 이후 의원직에서 사임했다.

이후 CSU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커졌는데, 다른 정치인들은 슈토이버가 바이에른에 남기로 결정한 후 야심을 축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07년 1월 18일, 슈토이버는 9월 30일까지 주지사 및 당 대표직에서 물러나기로 결정했다. 당시 바이에른 주 내무부 장관이었던 귄터 베크슈타인이 주지사로, 에르빈 후버가 당 대표로 그 뒤를 이었으며, 2007년 9월 18일 전당대회에서 호르스트 제호퍼를 58.1%의 득표율로 이겼다. 베크슈타인과 후버는 2008년 주 선거 이후 사임했는데, 당시 CSU 득표율은 43.4%로 떨어졌고, 1966년 이후 처음으로 다른 정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해야 했다.

4. 정치적 입장

슈토이버는 독일 정치권의 보수 진영을 대표하며, 기민련과 기사련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그의 지지 기반은 주로 고향인 바이에른에 সীমাবদ্ধ했으며, 독일 전체적으로는 앙겔라 메르켈보다 인기가 낮았다. 메르켈은 재정적 보수주의와 함께 자유주의적인 사회 정책을 옹호한 반면, 슈토이버는 재정과 사회 문제 모두에서 더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다. 이는 바이에른의 종교적인 표심을 얻는 데는 유리했지만, 전국적인 지지를 확보하는 데는 불리하게 작용했다.

블라디미르 푸틴을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모스크바의 트로이 목마"라고 불리기도 했으며,[20][21][22] 푸틴은 슈토이버에게 개인 만찬을 제공하는 등 각별한 관계를 맺었다.[23]

유로화 도입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1997년에는 유럽 통화 동맹을 5년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고,[24] 1998년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가 그리스의 유로존 가입을 권고하자, 그리스의 유로화 채택을 반대했다.[25] 또한 터키의 유럽 연합 가입에 강력히 반대하며, 비기독교 문화가 연합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슈토이버는 단일 유럽 군대를 포함한 EU 차원의 외교 정책 수립을 지지하는 등 "훌륭한 유럽인"이라고 스스로 칭하기도 했다.[26] 1993년에는 "단순한 연합"을 원하며, 국내 문제에서는 민족 국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27]

2002년에는 이라크에 대한 미국의 정책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며,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가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이 문제를 비공개로 논의하지 않아 독일-미국 동맹에 피해를 줬다고 비판했다.[18] 또한 미국의 입장에 비판적인 요슈카 피셔 외무장관을 공격하기도 했다.[19]

바이에른 주 총리로서 독일이 수용하는 망명 신청자 수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여 제노포비아, 반터키, 반이슬람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4. 1. 논란

슈토이버는 2002년 총선에서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다. 많은 평론가들은 그가 독일 동부 홍수에 대응한 방식과 이라크 전쟁에 대한 슈뢰더의 적극적인 반대 입장이 패배의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8]

2005년 총선 유세 중에는 "좌절된 사람들이 독일의 운명을 결정하도록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발언으로 동독 주민들을 불쾌하게 만들었고,[34] 이는 앙겔라 메르켈에 대한 미온적인 지지로 이어져 선거 패배에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크로아티아 국립 은행이 바이에른LB의 현지 법인 인수 제안을 거부하자, 슈토이버는 이 결정이 "수용할 수 없는"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고, 이는 바이에른과 크로아티아 관계에 "심각한 부담"을 준다고 말했다.[35] 당시 크로아티아는 유럽 연합 가입을 추진하고 있었으며, 중앙 은행 이사회는 이후 바이에른LB의 제안을 재검토하여 수락했다.

2015년에는 유럽 옴부즈맨으로부터 위원회 규칙을 위반했다는 비판을 받았다.[36]

볼프강 쇼이블레의 회고록에 따르면, 슈토이버는 2015년 2015년 유럽 난민 위기 당시 메르켈 총리를 몰아내고 자신이 총리가 되려 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슈토이버는 이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37]

슈토이버는 결혼, 여성, 동성애, 외국인 문제에 대한 강경한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49]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인 추방에 대해 체코폴란드에 사과와 보상을 요구했으며, 이민자들에게 독일어 지식과 민주주의 정신을 요구하는 등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또한 동성 결혼 제도 도입에 반대하며 연방 헌법 재판소에 제소하기도 했다.

5. 은퇴 이후

슈토이버는 2007년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 조제 마누엘 바호주에 의해 국가 전문가, NGO, 기업 및 산업 조직으로 구성된 "행정 부담에 관한 고위급 그룹" 특별 고문으로 임명되었다. "슈토이버 그룹"이라는 별명이 붙은 이 그룹은 2014년 7월 규제 절차 간소화에 대한 여러 제안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다.[11] 슈토이버는 2014년 12월 장클로드 융커에 의해 같은 역할로 재임명되었으나, 2015년 말 1년 만에 사임했다.

2007년 독일 정치에서 은퇴한 이후, 슈토이버는 변호사로 활동하며 다음과 같은 유료 및 무급 직책을 맡았다.[11]

직책기관
이사회 위원분데스리가 재단
중앙 자문위원회 위원코메르츠방크
자문위원회 의장[12]딜로이트 독일 (2009년 이후)
자문위원회 위원[13]도너 & 로이셸
감사위원회 위원 및 클럽 자문위원회 의장FC 바이에른 뮌헨 주식회사
회장단 위원독일-러시아 원자재 포럼
위원[14]한스 자이델 재단
명예 상원 위원[15]린더 노벨상 수상자 회의
이사회 위원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
자문위원회 위원뮌헨 안보 회의
감사위원회 위원뉘른베르거 베텔리궁스-악티엔게젤샤프트
자문위원회 위원 (2011년 이후)프로지벤자트.1 미디어



슈토이버는 2017년 독일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연방 의회의 기독교사회연합(CSU) 대표였다.[16]

6. 수상

연도수상 내역
1984년바이에른 공로 훈장
1996년카를 발렌틴 훈장, 드미타르 즈보니미르 대왕 훈장[41]
1999년루마니아의 별 훈장의 대십자 훈장
2000년동물적인 진지함에 반대하는 훈장
2002년레지옹 도뇌르 훈장 사령관
2003년퀘벡 국가 훈장 장교
2004년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의 대십자 훈장
2005년오스트리아 공화국 공로 금장 훈장[42]
2006년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의 대십자 훈장[43]
2007년오스트리아 상부 지방의 금장 대훈장, 서강대학교 명예 학위[44]
2008년슈타이거상
2009년바덴-뷔르템베르크 공로 훈장


참조

[1] 뉴스 Bavarian premier Stoiber says to step down early https://www.washingt[...] 2007-01-18
[2] 웹사이트 Edmund Stoiber Ein mittelmäßiger Schüler http://www.wissen.de[...] wissen.de GmbH 2000-2008
[3] 뉴스 German Right Backs Bavarian to Run Against Schröder https://www.nytimes.[...] 2002-01-12
[4] 뉴스 Stoiber crisis threatens Merkel's coalition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07-01-17
[5] 뉴스 Leadership Crisis in Bavaria: Edmund Stoiber To Step Down http://www.spiegel.d[...] Spiegel Online 2007-01-18
[6] 뉴스 Conservatives Win Decisive Victory in Bavarian Electi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8-09-14
[7] 뉴스 Stoiber steps aside and ends era in Germany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07-10-01
[8] 뉴스 Stoiber quits after snooping row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7-01-17
[9] 뉴스 Again, Bavaria's Favorite Is Germany's Runner-Up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2-09-23
[10] 뉴스 Overture over for staunch Stoiber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04-06-10
[11] 뉴스 EU watchdog to probe appointment of Juncker adviser http://www.politico.[...] Politico Europe 2015-09-15
[12] 웹사이트 Advisory Board http://www2.deloitte[...] Deloitte
[13] 웹사이트 Advisory Board https://www.donner-r[...] Donner & Reuschel
[14] 간행물 Board and Members, 2019 https://www.hss.de/f[...] Hanns Seidel Foundation 2019-08-06
[15] 웹사이트 Honorary Senate https://www.lindau-n[...] Lindau Nobel Laureate Meetings
[16] 간행물 Mitglieder bzw. Ersatzmitglieder der 16. Bundesversammlung https://www.bayern.l[...] Landtag of Bavaria 2016-11-22
[17] 뉴스 Seehofer fehlt die Lust am Reisen http://www.sueddeuts[...] Süddeutsche Zeitung 2016-02-03
[18] 뉴스 Stance on Bush Policy Could Swing Election in German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2-09-09
[19] 뉴스 As Stoiber Looks Past Economy, His Campaign Hits Shaky Ground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02-02-26
[20] 간행물 From Schröder to Stoiber? http://www.jamestown[...] Eurasia Daily Monitor
[21] 웹사이트 Edmund Stoiber – Moscow's Trojan Horse in the Opposition Camp http://www.axisglobe[...]
[22] 웹사이트 The German Election Campaign Has Commenced http://www.thetrumpe[...] The Trumpet 2009
[23] 웹사이트 Russia, Germany and Europe's Future http://www.thetrumpe[...] The Trumpet 2008
[24] 뉴스 Another German Premier Seeks Delay on the Euro https://www.nytimes.[...]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1997-07-28
[25] 뉴스 Falling Euro, a Unity Currency, Instead Bolsters Dollar and Poun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0-05-08
[26] 뉴스 Edmund Stoiber, torch-bearer for Germany's right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00-08-03
[27] 뉴스 Kohl Defends European Unity to Doubter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3-11-12
[28] 뉴스 Sandoz to move HQ to Munich http://www.ft.com/in[...] Financial Times 2005-04-26
[29] 뉴스 Germany cancels magnetic-levitation train line https://www.nytimes.[...]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8-03-27
[30] 뉴스 Crucifix Ruling Angers Bavarian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5-08-23
[31] 뉴스 Edmund Stoiber: Bringing Bavaria to Berlin http://news.bbc.co.u[...] BBC News 2002-06-17
[32] 뉴스 Public and Private Television at the Crossroads https://www.nytimes.[...]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1995-04-03
[33] 뉴스 Poor reception for TV funding policy http://www.politico.[...] European Voice 1998-10-14
[34] 문서 Wenn es überall so wäre wie in Bayern, hätten wir überhaupt keine Probleme. Nur, meine Damen und Herren, wir haben leider nicht überall so kluge Bevölkerungsteile wie in Bayern.
[35] 뉴스 BLB gets nod from Croatia to take over Hypo unit https://www.reuters.[...] Reuters 2007-09-12
[36] 뉴스 Commissioners request outside help from big hitters http://www.politico.[...] Politico Europe 2016-03-30
[37] 뉴스 Wolfgang Schäuble: Edmund Stoiber soll Sturz von Angela Merkel geplant haben https://www.spiegel.[...] 2024-04-03
[38] 웹사이트 Die Musterlandesmutter https://www.merkur.d[...] Münchener Zeitungs-Verlag GmbH & Co. KG 2009-05-24
[39] 웹사이트 Das Logo zeigt den Ursprung http://www.bcf-wolfr[...] Ball Club Farchet Wolfratshausen e. V. 2021-12-19
[40] 웹사이트 FC Bayern München eV advisory board: First meeting of 2021/22 season https://fcbayern.com[...] FC Bayern München 2021-08-18
[41] 웹사이트 Odluka o odlikovanju dr. Edmunda Stoibera Veleredom Dmitra Zvonimira s lentom i Danicom https://narodne-novi[...] 2019-08-07
[42] 웹사이트 Reply to a parliamentary question about the Decoration of Honour http://www.parlament[...] 2012-11-30
[43] 웹사이트 Le onorificenze della Repubblica Italiana https://www.quirinal[...] 2019-08-07
[44] 웹사이트 Edmund Stoiber ist jetzt Ehrendoktor in Südkorea http://www.abendblat[...] 2007-03-27
[45] 웹사이트 Lebenslauf auf stoiber.de http://www.stoiber.d[...]
[46] 문서 Biografie https://www.hdg.de/l[...]
[47] 웹사이트 Chronologie – Wichtige Ereignisse in Stoibers Regierungszeit http://www.tagesspie[...] tagesspiegel.de 2007-09-14
[48] 웹사이트 Bundeswahlleiter http://www.bundeswah[...]
[49] 문서 ミュンヘンにおけるトランスラピッド(リニアモーターカー)の建設は、その象徴ともいえ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