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기병은 일제강점기 경성부 출생으로, 일본군 관동군에서 복무하고 대한민국 육군 소장으로 예편한 인물이다. 경성제국대학 등을 중퇴하고 1946년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여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제2사단장, 제15사단장, 제5관구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5.16 군사정변 당시 쿠데타에 반대하다 강제 예편되었으며, 이후 정치 활동을 거쳐 1993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수·순천 사건 관련자 - 함병선
함병선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복무 후 대한민국 육군 소위로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이화령 전투 공로로 태극무공훈장을 수훈하고 제2군단장, 국가재건최고회의 기획위원장 등을 역임한 군인이자, 민주공화당, 한국국민당 등에서 정치 활동을 한 정치인, 그리고 여순·순천 사건과 제주 4·3 사건 진압 과정에서의 강경 진압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여수·순천 사건 관련자 - 강태봉 (군인)
강태봉은 한국 전쟁 백마고지 전투에서 공을 세워 충무무공훈장을 받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육군본부 감찰감, 제3사단장, 국방부 군수차관보 등을 역임하고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회장도 지냈다. - 제주 4·3 사건 관련자 - 이정재 (1917년)
이정재는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 이후까지 활동한 폭력배이자 정치 깡패로, 경찰 출신으로 동대문 상인 연합회 회장을 역임하며 자유당과의 유착을 통해 정치 테러에 가담했으나,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을 거치며 사형당해 권력과 배신의 삶을 마감했다. - 제주 4·3 사건 관련자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예하 지원군 - 김창룡
김창룡은 일제강점기 관동군 헌병으로 항일 조직 색출에 참여한 군인으로, 해방 후 대한민국 육군에서 정보 및 방첩 업무를 담당하며 숙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특무부대장으로서 인권 침해 및 사건 조작 의혹, 김구 암살 사건 연루 의혹 등 각종 논란 속에 암살당해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예하 지원군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 박기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씨명 | 박기병 |
| 한자 표기 | 朴基丙 |
| 로마자 표기 | Bak Gibyeong |
| 출생일 | 1917년 6월 12일 |
| 사망일 | 1993년 6월 17일 |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성부 |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 종로구 서울대 부속 병원 |
| 본관 | 밀양(密陽) |
| 배우자 | 김영원 |
| 별명 | 호(號)는 풍도(豊島) |
| 종교 | 개신교 |
| 자녀 | 2남 3녀 |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장군 제1묘역 246호 |
| 경력 | |
| 소속 | 일본 제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계급 | 준위(일본 육군) 소장(한국 육군) |
| 군 복무 | 1938년 ~ 1945년 8월 15일(일본 제국 육군) 1946년 1월 6일 ~ 1961년 8월 24일(대한민국 육군) |
| 참전 | 제주 4·3 사건 여순 사태 한국 전쟁 |
| 근무 | 육군 제15사단 육군 제2사단 육군 제5관구사령부 |
| 지휘 | 육군 제15사단장 육군 제2사단장 국방부 군사연구발전국 국장 국방부 교육총본부 총장 육군 제5관구사령관 |
| 공직 활동 | |
| 직책 | 국방부 군사연구발전국 국장 |
| 임기 | 1958년 1월 23일 ~ 1959년 2월 15일 |
| 대통령 | 이승만 대한민국 대통령 |
| 부통령 | 장면 대한민국 부통령 |
| 장관 | 김정렬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 |
| 차관 | 최세황 대한민국 국방부 차관 |
| 학력 | |
| 학력 |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
| 정당 활동 | |
| 정당 | 무소속 |
| 경력 | 민주공화당 당무위원 한국국민당 최고위원 겸 당무위원 대한민국 성우회 상무이사 겸 사무총장 신민주공화당 최고위원 겸 당무위원 |
| 강단 활동 | |
| 겸임교수 | 서울대학교 행정학과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 서훈 | |
| 훈장 | 충무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을지무공훈장 |
| 웹사이트 | |
| 웹사이트 | http://www.snmb.mil.kr/cop/tombSearch/selectTombSearchForm.do?id=snmb_070200000000 대한민국 국립 서울현충원 https://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Keyword.nhn#%7B%22mode%22%3A1%2C%22sort%22%3A0%2C%22trans%22%3A%221%22%2C%22pageSize%22%3A10%2C%22keyword%22%3A%22%EB%B0%95%EA%B8%B0%EB%B3%91%20%EB%B3%84%EC%84%B8%20%EC%9C%A1%EA%B5%B0%22%2C%22status%22%3A%22success%22%2C%22startIndex%22%3A1%2C%22page%22%3A1%2C%22startDate%22%3A%221920-04-01%22%2C%22endDate%22%3A%221999-12-31%22%7D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080624/1/BBSMSTR_000000010257/view.do 國軍 自敍傳 - 老兵이 걸어온 길 |
2. 생애
1917년 경성에서 태어났다. 일본군에 특별 지원하여 관동군에 근무했으며, 독립운동가와 내통했다는 혐의로 김창룡에게 심문을 받기도 했다. 종전 후에는 정일권 신경보안사령부 생도대 교관을 지냈다.
1946년 1월 15일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군번 10021번). 1948년 제4연대 부연대장, 1949년 2월 1일 제21연대장, 같은 해 3월 31일 제20연대장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 발발 후 제20연대는 서울 방어에 투입되었다. 1950년 7월 제1사단과 합류하여 제12연대장을 맡았다. 같은 해 9월 3일 제6훈련소장을 거쳐 다시 제20연대장이 되었다. 1950년 가을 보병학교 교수부장 겸 참모, 1951년 3월 육군예비사관학교 부교장, 1952년 5월 태백산지구 전투사령관을 역임했다.
1953년 1월 준장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4월 21일 제22사단장에 임명되었다. 1955년 제15사단장과 동시에 소장으로 임명되었다. 1957년 제2사단장, 1958년 군사연구발전국장, 1959년 교육총본부 부총장, 1960년 제5관구사령관을 역임하였다.
1961년 7월, 예비역으로 편입되었으며, 성우구락부(성우회의 전신) 상임 이사 겸 사무총장을 지냈다.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경성부에서 출생하였으며, 도쿠시마 현 도쿠시마와 도쿄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1920년 일가족과 함께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로 귀국하였다. 경성제국대학 철학과, 만주국 젠궈 대학교 정치학과, 와세다 대학교 법학과를 중퇴하는 등 방황하는 학창 시절을 보냈다.[1]2. 2. 일본군 복무
1938년 일본군 예하 관동군 조선인 지원병 1세대로 입대하였고, 일본군 준사관 시절에 일제 패망을 목도하였다. 독립운동가와 내통했다는 혐의로 김창룡에게 심문을 받았다.2. 3. 대한민국 국군 복무
1946년 1월 15일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군번 10021번).[2] 군사영어학교 동기로는 함병선, 민병권, 이한림, 민기식 등이 있었다. 정일권 신경보안사령부 생도대 교관을 지냈다.1948년 제4연대 부연대장을 거쳐, 1949년 2월 1일 제21연대장[2], 같은 해 3월 31일 제20연대장에 임명되었다.[2]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제20연대장으로 서울 방어에 투입되었다. 1950년 7월 제1사단과 합류하여 제12연대장을 맡았다. 같은 해 9월 3일 제6훈련소장[2]을 거쳐 다시 제20연대장이 되었다. 1950년 가을, 보병학교 교수부장 겸 참모, 1951년 3월 육군예비사관학교 부교장[2], 1952년 5월 태백산지구 전투사령관[2]을 역임했다.
1953년 1월 준장으로 임명되었고[2], 같은 해 4월 21일 제22사단장에 임명되었다. 1955년 제15사단장과 동시에 소장으로 임명되었다. 1957년 제2사단장, 1958년 군사연구발전국장, 1959년 교육총본부 부총장, 1960년 제5관구사령관을 역임하였다. 제5관구사령관 재직 중 3·15와 4·19를 목도하였다.
2. 4. 5.16 군사정변과 강제 전역
1961년 5·16 군사정변 당시 육군 제5관구사령관으로 재직하고 있었다. 당시 그는 직속 상관이던 이한림 육군 제1군사령관 등과 함께 군의 정치 개입을 반대하여 박정희의 군사정변 주도 세력과 대척점에 섰다.[2] 그러나 쿠데타군 측으로부터 견제되어 육군 제5관구사령관 직위가 박탈되었고, 1961년 8월 24일을 기하여 이한림 장군 등과 함께 강제 전역되면서 육군 소장으로 예편되었다.[3]2. 5. 정계 활동
朴基丙|박기병중국어은 제3공화국 시절 민주공화당 당무위원을 지냈다. 제5공화국 때는 한국국민당 최고위원 겸 당무위원, 신민주공화당 최고위원 겸 당무위원을 역임했다. 성우회의 전신인 성우구락부 상임 이사 겸 사무총장을 지내기도 했다.3. 학력
- 경성재동보통학교 졸업 (1930년)
- 경성제1고등보통학교 졸업 (1936년)
- 경성제국대학교 법학과 중퇴 (1936년)
- 만주국 젠궈 대학교 정치경제학과 중퇴 (1937년)
- 일본 와세다 대학교 철학과 중퇴 (1938년)
- 일본 육군보병학교 졸업 (1939년)
- 군사영어학교 1기 (1946년)
-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 (1947년)
-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1948년)
-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1949년)
-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 (1956년)
참조
[1]
뉴스
(3667)金昌龍の入隊―第79話陸士卒業生(120)
https://news.joins.c[...]
中央日報
1983-03-22
[2]
뉴스
(3666) 제79화 육사졸업생들(119)-김창룡소위
http://news.joins.co[...]
中央日報
1983-03-21
[3]
뉴스
중국인들 무자비한 한인보복살인 교민 자유 위해 보안사 설치-김홍일장군 권고따라 천신만고 끝에 귀국
http://news.joins.co[...]
中央日報
1982-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