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병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병선은 일제강점기 일본군에서 복무하고 대한민국 육군 장성으로 예편한 인물이다. 그는 제3공화국과 제5공화국에서 정치 활동을 했으며, 신한국당 고문을 지내다 탈당했다. 평양고보 중퇴 후 일본군에 지원하여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훈장을 받았으며, 대한민국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5·16 군사정변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기획위원장을 지냈으나 강제 예편되었으며, 2001년 사망하여 국립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수·순천 사건 관련자 - 박기병
박기병은 일본군 복무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대한민국 육군 장성으로 진급했으나 5·16 군사정변 이후 강제 전역당했고, 이후 여러 정당의 당무위원을 지내다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병으로 사망했다. - 여수·순천 사건 관련자 - 강태봉 (군인)
강태봉은 한국 전쟁 백마고지 전투에서 공을 세워 충무무공훈장을 받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육군본부 감찰감, 제3사단장, 국방부 군수차관보 등을 역임하고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회장도 지냈다. - 제주 4·3 사건 관련자 - 이정재 (1917년)
이정재는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 이후까지 활동한 폭력배이자 정치 깡패로, 경찰 출신으로 동대문 상인 연합회 회장을 역임하며 자유당과의 유착을 통해 정치 테러에 가담했으나,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을 거치며 사형당해 권력과 배신의 삶을 마감했다. - 제주 4·3 사건 관련자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 대동군 출신 - 김영주 (1920년)
김영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일성의 동생이자 김정일의 삼촌이며, 한때 후계자로 여겨졌으나 김정일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났고, 7·4 남북 공동 성명 당시 북측 대표, 국가부주석 등을 역임했다. - 대동군 출신 - 선우종원
선우종원은 일제강점기 평양고보와 경성제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검사, 국무총리 비서실장, 한국조폐공사 사장,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국회사무총장, 평화통일자문회의 부의장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자 행정가이다.
함병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명 | 함병선 |
한자 표기 | 咸炳善 |
로마자 표기 | Ham Byeongseon |
출생 | 1920년 5월 30일 |
사망 | 2001년 2월 5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평안남도 대동군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본관 | 강릉(江陵) |
종교 | 개신교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장군 제1묘역 8호 |
군 경력 | |
소속 | 일본 제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 |
최종 계급 | 준위(일본 육군) 중장(한국 육군) |
복무 기간 | 1938년 ~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 육군) 1946년 1월 15일 ~ 1961년 7월 4일 (대한민국 육군) |
참전 | 제주 4·3 사건 여순 사태 한국 전쟁 |
학력 | |
학력 |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
주요 보직 | |
주요 지휘 경력 | 육군 제6사단장 육군 제2훈련소장 육군 제2군단장 육군본부 기획참모부장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 국가재건최고회의 기획위원장 |
주요 근무 경력 | 육군 제6사단 육군 제2훈련소 육군 제2군단 육군본부 국가재건최고회의 |
국가재건최고회의 기획위원장 임기 | 1961년 5월 28일 ~ 1961년 7월 4일 |
정치 활동 | |
정당 | 무소속 |
주요 경력 | 민주공화당 당무위원 국민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한국국민당 최고위원 겸 당무위원 신민주공화당 최고위원 겸 당무위원 자유민주연합 고문 겸 최고위원 신한국당 고문 |
가족 관계 | |
자녀 | 함상균(막내아들) |
수상 | |
훈장 | 태극무공훈장 |
기타 정보 | |
별명 | 호는 대동(大同) |
외부 링크 | |
관련 웹사이트 | 대한민국 국립 대전현충원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회고록 - 노병이 걸어온 길 |
2. 생애
평안남도 대동에서 태어나 일본 오사카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후 1922년 가족들과 평양으로 귀국하였다. 1938년 평양고보를 중퇴하고 일본군 예하 조선인 지원병 1세대로 입대하였다. 1946년 1월 15일 군사영어학교 1기생으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동기로는 박기병, 이형근, 정일권, 백선엽, 유재흥, 민병권, 박병권, 이한림, 민기식 등이 있었다.
1947년 제2연대 군수참모, 1948년 제2여단 군수참모를 거쳐 1948년 12월 7일 제2연대장에 임명되었다. 여수·순천 사건과 제주 4·3 사건 진압에 참가하였으며, 특히 제주도에서는 강경 진압을 이어가 많은 민간인 희생자를 냈다. 1949년 3월 3일 제주도 지구 전투 사령부 참모장, 6월 1일 대령으로 임명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제6사단 제2연대장으로 참전, 홍천, 신녕 등지에서 전투를 벌였다. 특히 이화령에서 조선인민군 제1사단을 저지한 공로로 태극무공훈장을 받았다. 1950년 10월 말 중국인민지원군 참전 당시, 제2연대가 정면을 맡았고, 함병선은 퇴로 확보 중 폭발로 얼굴에 심한 화상을 입었으나 2주 후 제2사단장으로 복귀했다. 1951년 태백산맥에 침투한 북한군 유격대를 토벌했다.
1952년 5월 소장으로 진급, 같은 해 7월 교육총감 겸 전라남도 지구 위수사령관을 역임했다. 1953년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 유학 후, 1954년 7월 제2훈련소장을 지냈다. 1955년 1월 중장으로 진급, 같은 해 5월 제2군단장을 역임했다. 1957년 7월 육군본부 기획참모부차장, 1959년 1월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차장을 거쳐 1960년 8월 국방연구원 원장을 지냈다.
2. 1. 초기 생애 및 일본군 복무
함병선은 1920년 5월 평안남도 대동군에서 철도 공무원 가정의 7남 1녀 중 4남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의협심이 강하고 효성이 지극했으며, 검도 3단의 실력을 갖춘 운동 애호가였다. 학교 성적도 우수하여 고향 근처에서 신동으로 불렸다.[1] 1936년 4월, 북울 제1공립심상소학교를 거쳐 희천고등보통학교에 진학했다.1938년 평양고보를 중퇴하고, 같은 해 일본군 예하 조선인 지원병 1세대로 입대하였다.[2] 그해 12월, 육군병 지원자 훈련소를 수료하고 이등병으로 조선군 제20사단 보병 제77연대에 배속되었다. 초병 교육을 마치고 일등병으로 진급, 중일 전쟁에 참전하여 산시성 일대의 토벌 작전과 점령지 경비 임무를 수행했다. 1939년 8월 1일, 상등병으로 진급했다. 옌시산 군대를 섬멸하는 부대의 선봉으로 활약하며, 적진을 단독으로 돌파하는 용맹함을 보였다.
1940년 4월, 중일 전쟁의 전공으로 공7급 금치훈장을 받았다. 이는 육군 특별 지원병 출신 생존자 중 첫 번째 수여자였다. 12월 1일, 병장으로 진급했다.
1941년 7월, 정진연대 창설 요원으로 선발되어 하마마츠 육군 비행학교와 백성자 육군 비행학교에서 훈련을 받고 정식 부대원이 되었다. 11월, 제1정진단 소속의 정진 제1연대에 배속되었다.
12월, 태평양 전쟁 발발과 함께 제1정진단에 동원령이 내려졌고, 정진 제1연대는 남방군 소속으로 모지항을 출발했다. 팔렘방 강습 작전에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수송선 화재로 정진 제2연대가 대신 참가하게 되었다. 이후 정진 제1연대는 1942년 4월 라시오 강습 작전을 시작으로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다양한 기동 작전에 투입되었다. 1943년 6월부터 1944년 8월까지는 동부 뉴기니를 담당하는 제18군과 협동하여 베나베나 하겐 강습 작전에 동원되었다.
태평양 전쟁 중 함병선은 1942년 1월 1일 하사, 1944년 3월 1일 특무상사로 진급했다. 같은 해 3월, 정진연대 창설과 특수 임무 수행 공로로 훈7등 서보장을 받았다.
1945년 8월 15일, 지바현 주둔지에서 종전을 맞이하고, 8월 26일 준위 계급으로 제대했다.
2. 2. 대한민국 국군 복무
1946년 1월 15일 군사영어학교 1기생으로 입교하여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그의 군사영어학교 동기로는 박기병 예비역 육군 소장을 비롯하여 훗날 모두 그의 직속 상관이 된 이형근, 정일권, 백선엽, 유재흥, 민병권, 박병권, 이한림, 민기식 등의 예비역 육군 장성 출신이 있었다.[1]현역 육군 장성 시절, 이창선 예비역 중령과 이건영 예비역 중장 등의 현역 군 직속 상관이었던 그는 1954년 7월 18일 육군 소장 계급으로 대한민국 육군 제2훈련소장 직책에 보임되었으며,[1] 1955년 1월 23일 육군 중장으로 진급, 1955년 5월 11일 대한민국 육군 제2군단장에 전보되었다.[1] 이후 대한민국 육군본부 기획참모부장, 대한민국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 직책을 지냈으며,[1] 국방연구원 부원장 및 육군 중장 시절 3·15와 4·19를 목도하였다. 1년 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총장(육군 중장 계급)으로 재직 중 1961년 5·16 군사정변을 목도하였는데,[1]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기획위원장 직위로 전보되었지만 1961년 7월 4일 육군 중장으로 강제 예편되었다.[1]
2. 3. 5.16 군사정변과 강제 예편
1960년 4·19 혁명 직후 국방대학교 총장으로 재직 중, 1961년 5·16 군사정변이 발발하자 국가재건최고회의 기획위원장으로 전보되었으나, 1961년 7월 4일 육군 중장으로 강제 예편되었다.2. 4. 정계 활동
1961년 5·16 군사정변 직후 국가재건최고회의 기획위원장으로 전보되었지만, 같은 해 7월 4일 육군 중장으로 강제 예편되었다.[1] 그 후 제3공화국 정권에서 잠시 민주공화당 당무위원을 지냈다.[1] 제5공화국 시절에는 한국국민당 최고위원 겸 당무위원을 지냈고,[1] 신민주공화당, 자유민주연합, 신한국당에서 각각 고문 등을 잠시 지냈다.[1] 1996년 2월 29일 신한국당을 탈당했는데, 이는 입당 1개월 만이었다.[1]2. 5. 사망
2001년 2월 5일에 별세했으며, 그의 유해는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1]3. 학력
- 평안남도 평양종로보통학교 졸업 (1933년)
- 평안남도 평양고등보통학교 중퇴 (1938년)
- 일본 육군보병학교 졸업 (1939년)
- 군사영어학교 1기 (1946년)
-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 (1947년)
-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1948년)
-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1949년)
-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 졸업 (1953년)
-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 (1956년)
4. 상훈
참조
[1]
뉴스
(203) 제4야전군의 출현(상) 중공군 개입(2) 3천 여의 증인, 내외 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전쟁 3년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1971-07-20
[2]
웹사이트
Ham Byong Sun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2016-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