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은 (137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은(1370년)은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박상충의 아들이자 이색의 외조카이며, 1388년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조선 개국 후 태종을 도와 제1, 2차 왕자의 난에 공을 세워 좌명공신이 되었고, 금천군에 봉해졌다. 우의정, 좌의정을 역임하고 세종 대 강상인의 옥사에 연루되기도 하였다. 사후 평도의 시호를 받았으며, 묘소는 파주시 문산읍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22년 사망 - 헨리 5세
    헨리 5세는 1413년부터 1422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랭커스터 왕조의 두 번째 왕으로, 왕권 강화, 프랑스와의 아쟁쿠르 전투 승리, 트루아 조약으로 프랑스 왕위 계승권 확보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셰익스피어 희곡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 1422년 사망 - 윤곤
    윤곤은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건국 후 완산부윤, 대장군 등을 지냈고, 제2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을 도와 공신이 되었으며, 명나라 사신, 의정부 참찬, 이조판서를 역임한 문신, 무신, 정치인, 외교관이다.
  • 1370년 출생 - 레오나르도 브루니
    레오나르도 브루니는 피렌체 공화국의 서기국장으로서 시민 인본주의를 발전시키고 《피렌체 인민의 역사》를 저술한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이자 역사가, 정치인이다.
  • 1370년 출생 - 조말생
    조말생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태종과 세종 시대에 걸쳐 국방력 강화와 문물 제도 정비에 기여한 핵심 관료였으며,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알려져 있으나 권력 남용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박은 (1370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박은
원어명朴訔
출생일1370년
사망일1422년5월9일 (53세)
정당무소속
별명자(字)는 앙지(仰止)
호(號)는 조은(釣隱), 반계(潘溪)
학력1388년 고려 문과 급제
경력문신
종교유교(성리학)
거주지조선 한성부
본관반남(潘南)
배우자주씨 부인
자녀슬하 3남 4녀
부모박상충(부), 한산 이씨 부인(모)
친인척박수(조부)
이색(외숙부)
주언방(장인)
이종학(외종형)
고려 관직
직책고려국 개경 소윤
재임 기간1386년 3월 1일 ~ 1390년 3월 31일
군주고려 우왕 왕우
고려 창왕 왕창
고려 공양왕 왕요
섭정반복해
이성계
왕대비 죽주 안씨
이색
이성계
조선 관직
직책조선국 지금주사
재임 기간1392년 10월 1일 ~ 1394년 11월 30일
군주조선 태조 이성계
직책조선국 좌의정
재임 기간1416년 11월 2일 ~ 1421년 12월 3일
군주조선 태종 이방원
조선 세종대왕 이도
섭정상왕 이방원

2. 생애

박수의 손자이자 박상충의 아들로, 어머니는 한산 이씨로 이곡의 딸이며, 이색은 그의 외삼촌이다.

문음으로 관직에 올라 판숭복도감사를 지냈다. 1388년(우왕 11) 문과에 급제하여 권지전교시교감, 후덕부승, 1391년(고려 공양왕 3년) 통례문부사, 1392년 개성부 소윤을 역임했다.

1392년 조선 건국 후 지금주사, 좌보궐, 지영주사, 사헌시사, 지춘주부사, 사헌중승, 판사수감사를 지냈다. 조선 태종과는 잠저 시절부터 친분이 두터웠으며,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1400년 제2차 왕자의 난에서 태종을 도와 공을 세웠다. 태종 즉위 후 좌명공신 3등으로 반남군에 봉해졌다.

강원도 도관찰척사, 한성부윤, 승추부제학, 계림윤, 전라도 관찰사를 지냈다. 1406년(태종 6) 전라도 관찰사 재직 중 제주도의 구리 불상(동불)을 구하러 온 명나라 사신을 잘 접대하여 칭찬받았다. 이후 좌군동지총제, 참지의정부사 겸 대사헌, 서북면 도순문찰리사, 지의정부사, 병조판서, 대사헌, 호조판서를 거쳐 1412년 금천군으로 개봉되었다.

1409년 서북면도순문찰리사 겸 평양부윤으로 평양성 축성을 감독했다. 판의금부사 시절 신장(訊杖)의 정수를 1차에 30으로 정하여 실시케 했고, 이조판서, 판우군도총제부사를 거쳐 1416년(태종 16) 우의정 겸 판이조사가 되었다. 이후 금천 부원군에 진봉되고, 좌의정으로 승진하여 판이조사를 겸했다. 세종 즉위 후 강상인의 옥사에 참여했으며, 1421년 병으로 좌의정에서 물러났다.

2. 1. 고려 말기

이곡의 딸인 한산 이씨와 판전교시사 박상충(朴尙衷)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이색은 그의 외삼촌이 된다. 문음(門蔭)으로 관직에 출사하여 판숭복도감사(判崇福都監事)를 받았다. 1388년(우왕 11) 문과에 2등으로 급제하여 권지전교시교감(權知典校寺校勘), 후덕부승(厚德府丞)을 지냈다. 1391년(고려 공양왕 3년) 통례문부사(通禮門副使), 1392년 개성부 소윤(開城府少尹)에 임명되었다.

2. 2. 조선 초기

1392년 조선 개국 후 지금주사(知錦州事)·좌보궐·지영주사(知永州事)·사헌시사·지춘주부사(知春州府事)·사헌중승·판사수감사(判事水監事)를 지냈다. 조선 태종의 잠저(潛邸) 시절에 서로 의기가 상통하여 1398년(제1차 왕자의 난)과 1400년(제2차 왕자의 난)에 태종을 도와 공을 세웠다. 태종이 즉위하자 좌명공신(佐命功臣) 3등으로 반남군(潘南君)에 봉해졌다.

강원도 도관찰척사(江原道都觀察黜陟士), 한성부윤(漢城府尹)·승추부제학(承樞府提學) 등을 지냈다. 이후 계림윤(鷄林尹)·전라도 관찰사로 발령받았다. 1406년(태종 6) 전라도 관찰사 재직 중, 당시 제주도의 동불(銅佛, 구리 불상)을 구하러 온 명나라 사신을 잘 접대해 칭찬을 받았다. 이후 좌군동지총제(左軍同知摠制)·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 겸 대사헌, 서북면 도순문찰리사(都巡文察里使)·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병조판서·대사헌·호조판서를 역임한 뒤 1412년 금천군으로 개봉(改封)되었다.

1409년에는 서북면도순문찰리사 겸 평양부윤으로 재직하면서 평양성 축성을 감독하였다.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를 겸했을 때 신장(訊杖)의 정수(定數)를 1차에 30으로 정하여 실시케 했고, 이조판서·판우군도총제부사(判友軍都摠制府事)를 거쳐 1416년(태종 16) 우의정 겸 판이조사(判吏曹事)를 지낸 뒤 금천 부원군(錦川府院君)에 진봉(進封)되었다. 이후 좌의정으로 승진하고 겸 판이조사를 겸했다. 세종 즉위 후에 강상인의 옥사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1421년 병으로 좌의정직에서 물러났다.

2. 3. 세종 시대

1416년(태종 16) 우의정 겸 판이조사를 지낸 뒤 금천 부원군에 봉해졌다. 이후 좌의정으로 승진하고 판이조사를 겸했다. 세종 즉위 후 강상인의 옥사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1421년 병으로 좌의정직에서 물러났다.

2. 4. 사후

사후 바로 평도(平度)의 시호가 내려졌는데, 왕조실록의 졸기에 같이 실렸다. 포강치기왈평 심능제의왈도(布綱治紀曰平 心能制義曰度)라 하여 강기(綱紀)를 펴 다스려 나가는 것을 평(平)이라 하고, 마음이 능히 의(義)를 재량할 줄 아는 것을 도(度)라 했다 한다. 세종은 부의로 쌀과 콩 70석을 보냈으며, 바로 태종의 상중이라 그해 10월 12일 예관을 시켜 제문을 보냈다.

처음에 경기도 양주군 남중면(南中面) 양포리(良浦里) 중랑포(후일의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 233번지 ~ 240번지 일대)에 묻혔다가 뒤에 양주군 귀천면(龜川面) 고다기리(高多岐里, 현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계좌(癸坐)로 이장하였다. 뒤에 다시 이장하여 아들 박규의 묘 근처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당동(堂洞) 3리 산 57-1번지, 해좌(亥坐)로 이장하였다. 파주시 문산읍 인근 지역에는 이미 그의 아들 박규의 묘소가 있었다. 그의 가족 묘소는 파주시 향토유적 제25호로 지정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아버지박상충1332년 ~ 1375년
어머니한산 이씨이곡의 딸
부인장흥주씨(長興周氏)주언방(周彦邦)의 딸
자녀
장남박규[2]
차남박강(朴薑)
삼남박훤(朴萱)
장녀윤구(尹救)에게 출가
차녀김윤(金潤)에게 출가
삼녀이중(李重)에게 출가
사녀어효첨에게 출가
손자
박병문박규의 장남
박병균박규의 차남[3]
박병중박규의 삼남[4]
박치(朴䎩)박강(朴薑)의 아들
박숭질박훤(朴萱)의 아들


4. 묘소

처음에 경기도 양주군 남중면(南中面) 양포리(良浦里) 중랑포(후일의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 233번지 ~ 240번지 일대)에 묻혔다가 뒤에 양주군 귀천면(龜川面) 고다기리(高多岐里, 현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계좌(癸坐)로 이장하였다. 뒤에 다시 이장하여 아들 박규의 묘 근처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당동(堂洞) 3리 산 57-1번지, 해좌(亥坐)로 이장하였다. 파주시 문산읍 인근 지역에는 이미 그의 아들 박규의 묘소가 있었다. 그의 가족 묘소는 파주시 향토유적 제25호로 지정되었다.

5. 관련 작품

wikitext

드라마 제목방영 연도방송사배우
용의 눈물1996년 ~ 1998년KBS 1TV임병기
대왕 세종2008년KBS 2TV박영지
뿌리깊은 나무2011년SBS최정우
장영실2016년KBS 1TV박승규
태종 이방원2021년 ~ 2022년KBS 1TV이현균


5. 1. 드라마

드라마 제목방영 연도방송사배우
용의 눈물1996년 ~ 1998년KBS 1TV임병기
대왕 세종2008년KBS 2TV박영지
뿌리깊은 나무2011년SBS최정우
장영실2016년KBS 1TV박승규
태종 이방원2021년 ~ 2022년KBS 1TV이현균


참조

[1] 문서 공자가어구해
[2] 문서 시호는 참판(參判)으로 호장공(羅州潘南戶長) 朴應珠의 7世孫이다.
[3] 문서 시호는 판관(判官)으로 영남(경상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반남박씨 가문의 일족이 거의 판관공의 후손이다.
[4] 문서 시호는 호군으로 상호군을 지낸 무신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