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랑구는 서울특별시의 동북부에 위치한 구로, 중랑천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지역으로, 백제 시대에는 한강 유역을 확보하기 위한 교두보 역할을 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양주군에 속했다. 1988년 동대문구에서 분리되어 중랑구로 신설되었으며, 현재 16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의중앙선, 경춘선, 6호선, 7호선 등 여러 철도 노선과 시내버스, 마을버스가 운행되며, 서울중랑경찰서와 중랑소방서가 치안 및 소방을 담당한다. 전라남도 해남군, 미국 시카고와 자매 결연을 맺고, 일본 메구로구와 우호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중랑구 - 망우 역사 문화공원
망우 역사 문화공원은 서울 중랑구 망우동에 위치한 공원묘지로, 독립운동가, 문화예술인 등 다양한 인물들의 묘역과 기념비가 있으며 민족정신을 기리고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을 추모하는 공간이다. - 서울 중랑구 - 녹색병원
녹색병원은 옛 서울기독병원 건물을 매입하여 2003년 9월 20일에 개원한 병원이다. - 서울 중랑구의 행정 구역 - 묵동
묵동은 서울특별시 중랑구 중앙에 위치한 동으로, 지하철 7호선 먹골역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며, 여러 교육 기관과 다양한 주거 시설이 혼재된 주거 지역이다. - 서울 중랑구의 행정 구역 - 면목동
면목동은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속한 동으로, 조선 시대 양주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로 편입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7호선이 지나가고 교육 시설과 공원, 시장 등이 위치해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구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구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중랑구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중랑구 (中浪區) |
유형 | 특별자치구 |
위치 | 서울 |
관할 행정동 수 | 20 |
면적 | 18.50 km² |
우편번호 | 02000~02399 |
지역 번호 | 02-400~ |
웹사이트 | 중랑구 공식 웹사이트 |
정치 | |
정부 형태 | 자치구 |
구청장 | 류경기 |
구청장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
의회 | 중랑구의회 |
인구 | |
총 인구 | 380,353명 |
인구 조사 시점 | 2024년 9월 |
세대수 | 187,418세대 |
세대수 조사 시점 | 2022년 |
상징 | |
구목 | 느티나무 |
구화 | 배꽃 |
구조 | 까치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Jungnang-gu |
한자 표기 | 中浪區 |
일본어 표기 | 평가나: ちゅうろうく 가타카나: チュンナング |
2. 지명 유래
동대문구에서 분구될 때 분구의 기준이 되었던 중랑천에서 이름을 따왔다. 다만 이 중랑천은 일제강점기 때 붙여진 이름이며, 원래 이름은 한천(漢川)이다.[4]
중랑구 지역은 기원전 3만 년 후기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망우산, 봉화산, 용마산 일대에서 구석기 및 청동기 시대 유물이 다수 발굴되었다.[11] 특히 상봉동 봉수대에서 면목동까지 1960년대까지 토성의 흔적이 남아 있어 중랑 지역이 청동기 후기와 초기 철기 시대에 소국이었음을 알 수 있다. 삼국 시대에는 백제가 한강 유역을 확보하기 위한 교두보 역할을 했으며, 통일신라 이후 고려 초기인 983년 전국에 12정목이 설치될 때 양주목이 되었다.[11]
중랑구는 동쪽으로 구릉산(검암산), 망우산, 용마산 등의 산줄기가 발달해 있으며, 북쪽은 봉화산 일대의 구릉지가 있다. 서쪽으로 묵동천과 면목천이 계곡 사이를 흘러 중랑천에 합류되었으며, 다시 한강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면목천과 중랑천이 만나는 지역은 상습 침수 지역이었으며, 거의 대부분 복개되어 있다.
1990년대 초반 44만 명을 넘었던 중랑구의 인구는 이후 감소하여 2015년에는 약 40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3. 역사
조선시대에 허목이 1663년에 저술한 한성부 남쪽 지도에는 진헌마정도(진헌마정도)가 보이는데, 한강을 배경으로 북쪽에 불암산, 아차산이 있고, 동쪽에는 중랑천과 청계천 일부, 신촌 일대가 명확하지는 않지만 현재 중랑구 지역임을 알 수 있다.[11] 1895년 5월 26일 칙령 제101호로 전국이 23부 336군으로 개편되었고, 이듬해 8월 6일 23부제가 폐지되면서 전국이 13도로 개편되면서 양주는 한성부에서 분리되어 경기도 양주군에 속하게 되었다.[11]
역사적으로 양주군 망우리면을 구성하였으나 면목동은 고양주면의 일부였다. 면목동은 갑오개혁 이후 성저십리에 편입되었다.[9]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망우리면이 구리면에 병합되었다. 면목동이 고양군 뚝도면에 편입되었다. 1949년 뚝도면이 폐지되어 면목동이 성동구로 편입되었다.[9] 1962년 12월 12일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 상봉리 등과 성동구 면목동이 동대문구에 편입되었다.[9] 이때 중하리가 중화동으로 변경되었다. 1963년 1월 1일 구리면에서 편입한 5개동 지역에 망우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68년 1월 1일 망우출장소가 폐지되면서 동대문구 직할로 바뀌었다.[10]
1988년 1월 1일 동대문구에서 면목동, 상봉동, 중화동, 묵동, 망우동, 신내동을 분리하여 중랑구가 설치되었다.[11]
2008년 1월 1일 행정 비효율 개선 및 주민 문화 복지 공간 확대를 위해 면목1동과 면목6동이 면목본동으로, 면목3동과 면목8동이 면목3동으로, 중화2동과 중화3동, 망우2동이 망우본동으로 통합되었다.[4]
4. 지리
5. 행정 구역
중랑구의 행정 구역은 16개 행정동으로 관리되며, 면적은 18.51km2이다. 중랑구의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 기준으로 174,313세대, 423,655명이다.[12]행정동 한자 면적 (km2) 세대 인구 (명) 면목본동 面牧本洞 1.01km2 16,197 37,090 면목제2동 面牧第2洞 0.73km2 12,019 28,404 면목제3.8동 面牧第3.8洞 1.67km2 12,759 29,569 면목제4동 面牧第4洞 1.11km2 9,803 22,634 면목제5동 面牧第5洞 0.64km2 6,105 14,407 면목제7동 面牧第7洞 0.87km2 10,673 25,877 상봉제1동 上鳳第1洞 0.85km2 9,276 25,826 상봉제2동 上鳳第2洞 0.68km2 9,225 18,758 중화제1동 中和第1洞 0.68km2 8,318 21,787 중화제2동 中和第2洞 0.98km2 14,498 31,005 묵제1동 墨第1洞 1.2km2 13,760 36,259 묵제2동 墨第2洞 0.7km2 8,476 20,267 망우본동 忘憂本洞 2.88km2 14,681 34,992 망우제3동 忘憂第3洞 0.99km2 8,298 19,400 신내1동 新內1洞 2.53km2 10,982 32,199 신내2동 新內2洞 0.99km2 9,243 25,181 중랑구 中浪區 18.51km2 174,313 423,655
몇 차례에 걸친 동 통합을 거쳐 현재는 16개의 행정동이 존재한다.
6. 인구
7. 문화
; 자연공원
; 하천
; 산
; 문화재
8. 교육
중랑구에는 대학교와 전문대학으로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서일대학교가 있다.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 중학교 | 초등학교 |
---|---|---|
9. 스포츠
K3리그 소속 서울중랑축구단이 중랑구를 연고로 활동하고 있다.
10. 교통
김정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