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산읍 (파주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산읍은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에 속하는 읍으로, 1973년 7월 1일에 읍으로 승격되었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경과 인접해 있어 군사 주둔지가 많고, 한국 전쟁 당시 토마호크 작전이 벌어진 곳으로 알려져 있다. 2021년 2월 기준 21,658세대가 거주하며, 파주시 인구의 약 10%를 차지한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경의선, 평택파주고속도로 내포 나들목, 국도 제1호선 통일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주시의 행정 구역 - 법원읍
법원읍은 경기도 연천군에 위치한 읍으로, 본래 천현면이었으나 1989년 법원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율곡 이이의 장지가 있는 곳으로도 알려져 있고, 10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읍의 이름은 법원리에서 유래되었지만 사법기관인 법원과는 관련이 없다. - 파주시의 행정 구역 - 금촌동
금촌동은 대한민국 파주시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파주시의 주요 기관과 수도권 전철역, 다양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으며, 금촌1동, 금촌2동, 금촌3동으로 구성되어 교육 시설과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 경기도의 읍·면 - 화도읍
화도읍은 1914년 상도면과 하도면을 합쳐 명명된 남양주시의 읍으로, 1991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기관과 학교, 의료 시설, 주거 시설, 문화재, 명소 등이 위치하고, 경춘선, 서울양양고속도로 등 교통이 편리하다. - 경기도의 읍·면 - 팽성읍
팽성읍은 경기도 평택시 북부에 위치한 읍으로,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현재 주한미군 기지인 캠프 험프리스가 위치하며 25개의 법정리와 7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1973년 설치 - 성남시
성남시는 1973년 시로 승격되어 분당, 판교신도시 건설로 인구가 급증한 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로, 광주산맥에 둘러싸인 분지 지형에 위치하며 구시가지와 신도시 생활권으로 나뉘고 IT산업 중심의 판교테크노밸리를 통해 높은 재정자립도를 보인다. - 1973년 설치 - 분당동
분당동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분점리의 '분' 자와 당우리의 '당' 자를 따서 만들어진 지명에서 유래한 지역이다.
문산읍 (파주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유형 | 읍 |
이름 (한글) | 문산읍 |
이름 (한자) | 文山邑 |
이름 (로마자 표기) | Munsan-eup |
일반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도 | 경기도 |
시/군/구 | 파주시 |
면적 | 47.37km² |
인구 (2003년) | 28880명 |
행정 정보 | |
법정리 | 문산리 당동리 선유리 임진리 운천리 사목리 마정리 장산리 내포리 이천리 |
행정리 | 41개 |
반 | 434개 |
읍사무소 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통일로 1680 |
홈페이지 | 문산읍행정복지센터 |
인구 통계 (2021년 2월) | |
세대수 | 21,658 |
인구 통계 (2022년 2월) | |
인구 | 49,134 |
2. 역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
2. 1. 연혁
- 1914년 4월 1일: 파주군 칠정면(七井面, 향양리 제외), 마정면(馬井面), 운천면(雲泉面), 신속면(新屬面)을 임진면(臨津面)으로 합면하였다.[1] (8리)
- 1973년 7월 1일: 임진면 일원과 월롱면 내포리를 문산읍으로 승격하였다.[2] (9법정리)
- 1983년 2월 15일: 파평면 이천리를 문산읍으로 편입하였다.[3] (10법정리)
- 1996년 3월 1일: 파주군을 파주시로 승격하였다.[4]
- 2014년 6월 20일: 문산의 한자 지명을 '汶山'에서 '文山'으로 변경하였다.[5]
문산읍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경과 인접해 있어 많은 군사 시설이 주둔하고 있다. 한국 전쟁 당시에는 '문산안리'로 알려졌으며, 1951년 3월 23일 유엔군 공수부대가 후퇴하는 중국 인민지원군 및 조선인민군을 차단하기 위해 실시한 토마호크 작전의 현장이기도 하다.
2. 2. 한국 전쟁과 문산읍
문산읍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경과 인접해 있어 많은 군사 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한국 전쟁 당시에는 '문산안리'로 알려졌다. 문산읍은 1951년 3월 23일 유엔군 공수부대가 후퇴하는 중국 인민지원군 및 조선인민군을 차단하기 위한 작전인 토마호크 작전이 전개된 곳이기도 하다.3. 인구 통계
2021년 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문산읍의 총인구는 48,387명이며, 이 중 남자는 24,726명, 여자는 23,661명이다.
3. 1. 연령별 인구
2021년 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문산읍의 인구는 21,658세대이며 세대당 인구는 2.23명이다. 이는 파주시 전체 인구의 10.34%에 해당한다. 문산읍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이는 만 39세로 897명이다.2021년 2월 기준 문산읍의 연령대별 인구수는 다음과 같다.
연령대 | 인구수 (명) | 비율 (%) |
---|---|---|
0~9세 | 4,822 | 10.0 |
10~19세 | 4,736 | 9.8 |
20~29세 | 5,777 | 11.9 |
30~39세 | 7,551 | 15.6 |
40~49세 | 7,531 | 15.6 |
50~59세 | 6,977 | 14.4 |
60~69세 | 5,365 | 11.1 |
70~79세 | 3,520 | 7.3 |
80~89세 | 1,826 | 3.8 |
90~99세 | 250 | 0.5 |
또한, 주요 연령층별 인구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연령 기준 | 인구수 (명) | 비율 (%) |
---|---|---|---|
청년 | 만 18~34세 | 10,150 | 21.0 |
중장년 | 만 40~64세 | 17,728 | 36.6 |
고령 | 만 65세 이상 | 7,773 | 16.1 |
문산읍의 평균 연령은 41.8세이며, 성별 평균 연령은 남자 40.5세, 여자 43.1세이다.
4. 행정 구역
법정리 | 한자명 | 행정리 | 비고 |
---|---|---|---|
내포리 | 內浦里 | 내포1리, 내포2리, 내포3리, 내포4리 | |
당동리 | 堂洞里 | 당동1리, 당동2리, 당동3리, 당동4리, 당동5리 | |
마정리 | 馬井里 | 마정1리, 마정2리, 마정3리, 마정4리 | |
문산리 | 文山里 | 문산1리, 문산2리, 문산3리, 문산4리, 문산5리, 문산6리, 문산7리 | |
사목리 | 沙鶩里 | 사목1리, 사목2리, 사목3리 | |
선유리 | 仙遊里 | 선유1리, 선유2리, 선유3리, 선유4리, 선유5리, 선유6리, 선유7리, 선유8리 | 읍 행정복지센터 소재지 |
운천리 | 雲泉里 | 운천1리, 운천2리, 운천3리, 운천4리 | |
이천리 | 梨川里 | 이천1리, 이천2리, 이천3리 | |
임진리 | 臨津里 | 임진리 | |
장산리 | 長山里 | 장산1리, 장산2리 |
5. 교통
(내용 없음)
5. 1. 도로
5. 2. 철도
5. 3. 버스
문산읍의 버스 노선 및 터미널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파주시의 시내버스 문서와 문산시외버스터미널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참조
[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
법률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3]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4]
법률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12-06
[5]
고시
파주시 고시 제2014-87호
2014-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