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이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이문은 대한민국의 철학자, 시인, 문학 평론가이다. 서울대학교, 소르본 대학교,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렌슬레어 공과대학, 시몬스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실존주의 문학을 평론하고, 프랑스 문학 작품을 번역했으며, 다수의 시집과 철학 저서를 출간했다. 2006년 인천문화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백성기
    백성기는 코넬 대학교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소와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부총장, 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 포스텍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재료공학자이다.
  •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여명숙
    여명숙은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IT 융합 전문가이자 전 공무원으로, 게임물관리위원회 위원장과 미래창조과학부 문화창조융합본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유튜브 채널 운영 및 국민의힘에서 정치 활동을 하고 있다.
  • 함양 박씨 - 박동균 (1919년)
    박동균(1919년)은 일제강점기 만주군 군의관으로 복무하고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참여하여 육군의무감, 육군군의학교 초대 교장을 역임했으며, 간호장교 제도 창설에 기여했으나 2008년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 함양 박씨 - 박열
    박열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무정부주의자이자 독립운동가로, 일본에서 가네코 후미코와 함께 천황 암살을 기도하다 체포되어 '박열 사건'으로 알려졌으며, 해방 후 재일 조선인 단체 활동과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북한에서 생을 마감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 대한민국의 철학자 - 황석영
    황석영은 만주 출생으로 한국 전쟁을 겪고 성장하여 사회 현실과 시대상을 반영하는 소설을 쓴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대한민국의 철학자 - 정원식
    정원식은 대한민국의 교육학자, 대학교수, 정무직공무원,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서리 및 국무총리를 역임하며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관련 논란과 대학생 계란 투척 사건을 겪었고 서울특별시장 후보로 낙선하기도 했다.
박이문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박인희
다른 이름박이문
로마자 표기Bak In-hui
본관밀양 박(密陽 朴)
출생일1930년 2월 26일
사망일2017년 3월 26일 (향년 87세)
국적대한민국
직업작가
필명박예문
모교서강대학교

2. 생애

박이문은 1930년 2월 26일 충청남도 아산의 유학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불문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소르본 대학에서 불문학 박사학위를, 미국 남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57년부터 1961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불문과 조교수를 지냈고, 1968년부터 1970년까지 미국 렌슬레어 공과대학 철학과 전임강사, 1970년부터 1993년까지 시몬스 대학 철학과 조교수, 부교수, 정교수를 역임했다. 1980년부터 1982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및 서울대학교 철학/미학과에서 풀브라이트 초청교수를, 1983년부터 1991년까지 미국 하버드 대학교 교육대학원 철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을, 1985년부터 1986년까지 독일 마인츠 대학 초청교수를, 1989년부터 1990년까지 일본 인터내셔널 크리스천 대학 초청교수를 역임했다. 1993년 은퇴할 때까지 보스턴 시몬스 칼리지에서 가르쳤으며,[2] 은퇴 후 한국으로 돌아와 포항공과대학교연세대학교에서 강의했다.[3] 2000년 포항공과대학교 교양학부 교수직을 정년퇴임하였다. 2017년 3월 26일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6]

3. 학문

박이문은 프랑스어와 영어로 주로 철학적 주제에 관한 많은 책과 논문을 출판했다. 한국 시집으로는 『찰스 강가의 눈』(1979), 『나비의 꿈』(1981), 『보이지 않는 그림자』(1987), 『공허의 울림』(1989)을 출판했고, 1999년에는 영어 시집 『부서진 단어』를 출판했다.[1] 2006년에는 『아침 산책』을 출판하여 인천문화상을 수상했다. '비(非) 문학' 저작으로는 『녹색 한국으로 가는 길』과 『여정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가 있다.[3]

3. 1. 문학 연구

그는 20대 말에 사르트르와 카뮈를 비롯한 실존주의 문학에 대한 평론을 발표하였다. 발레리, 에밀 졸라, 아나톨 프랑스 등의 작품을 번역했으며, 누보로망초현실주의를 연구하였다.[7]

안선재(Brother Anthony)는 박이문과 그의 작품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 박이문의 시는 어렵지 않으며, 보통 단순하고 암시적이어서 독자가 가치와 의미가 드러나는 어떤 순간, 어떤 장면의 경험을 공유하도록 이끈다.

: 박이문은 어린 시절과 청년기에 목격하고 경험한 고통에서 비롯된 연민을 지닌 시인이다. 그의 시는 인간 존재의 무의미함과 부조리에 직면하여 위안과 평화를 찾는 탐구를 재현한다.[3]

3. 2. 철학 연구

그는 20대 말에 사르트르카뮈를 비롯한 실존주의 문학에 대한 평론을 발표하였다. 발레리·에밀 졸라·아나톨 프랑스 등의 작품을 번역했으며, 누보 로망과 초현실주의를 연구하였다.[7]

4. 시 세계

박이문은 프랑스어와 영어로 주로 철학적 주제에 관한 많은 책과 논문을 출판했다. 그는 한국 시집 5권을 출판했다.

제목출판 연도
찰스 강가의 눈1979년
나비의 꿈1981년
보이지 않는 그림자1987년
공허의 울림1989년
부서진 단어1999년



2006년에는 『아침 산책』을 출판하여 인천문화상을 수상했다.[1] 박이문의 '비(非) 문학' 저작으로는 『녹색 한국으로 가는 길』과 『여정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가 있다.[3]

번역가 안선재(Brother Anthony)는 박이문과 그의 작품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 박이문의 시는 어렵지 않으며, 보통 단순하고 암시적이어서 독자가 가치와 의미가 드러나는 어떤 순간, 어떤 장면의 경험을 공유하도록 이끈다.

: ...

: 박이문은 어린 시절과 청년기에 목격하고 경험한 고통에서 비롯된 연민을 지닌 시인이다. 그의 시는 인간 존재의 무의미함과 부조리에 직면하여 위안과 평화를 찾는 탐구를 재현한다.[3]

5. 저서

박이문은 프랑스어와 영어로 주로 철학적 주제에 관한 많은 책과 논문을 출판했다. 한국 시집으로는 찰스 강가의 눈한국어(1979), 나비의 꿈한국어(1981), 보이지 않는 그림자한국어(1987), 공허의 울림한국어(1989)을 출판했고, 1999년에는 영어 시집 Broken Words영어를 출판했다.[1] 2006년에는 아침 산책한국어을 출판하여 인천문화상을 수상했다. 박이문의 '비(非) 문학' 저작으로는 녹색 한국으로 가는 길한국어과 여정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한국어가 있다.[3]

번역가 안선재(Brother Anthony)는 박이문과 그의 작품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 박이문의 시는 어렵지 않으며, 보통 단순하고 암시적이어서 독자가 가치와 의미가 드러나는 어떤 순간, 어떤 장면의 경험을 공유하도록 이끈다.

: ...

: 박이문은 어린 시절과 청년기에 목격하고 경험한 고통에서 비롯된 연민을 지닌 시인이다. 그의 시는 인간 존재의 무의미함과 부조리에 직면하여 위안과 평화를 찾는 탐구를 재현한다.[3]

구분저서 목록
철학 저서
시집


6. 수상

참조

[1] 웹사이트 Ynhui Park poems http://hompi.sogang.[...] Sogang University 2014-06-02
[2] 웹사이트 Ynhui Park http://wordswithoutb[...] Words Without Borders 2014-06-02
[3] 서적 Shadows of the Void Seoul Selection
[4] 웹사이트 Ynhui Park (1930–2017) https://data.bnf.fr/[...] 2023-12-30
[5] 뉴스 명복을 빕니다 - 박이문 포스텍 명예교수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6] 뉴스 하늘로 떠난 '둥지의 철학자'…박이문 명예교수 별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7] 뉴스 박이문 사상의 고갱이를 만나다 http://www.sisain.co[...] 시사IN 2017-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