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동균 (191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동균(1919년)은 일제강점기 만주군 군의관으로 복무했으며,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참여하여 육군의무감, 육군군의학교 초대 교장 등을 역임한 군인이다. 그는 간호장교 제도를 창설하는 등 국군 창설에 기여했으며, 한국 전쟁 중에는 야전의무단을 설립하고 군사원호처장, 서울위수사령관 등을 지냈다. 1962년 예비역으로 편입된 후 기업인으로 활동했으며, 2008년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양 박씨 - 박열
    박열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무정부주의자이자 독립운동가로, 일본에서 가네코 후미코와 함께 천황 암살을 기도하다 체포되어 '박열 사건'으로 알려졌으며, 해방 후 재일 조선인 단체 활동과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북한에서 생을 마감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 함양 박씨 - 박시후
    박시후는 1996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다양한 드라마와 영화에서 주연을 맡으며 인기를 얻고 연기력을 인정받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대한민국의 백세인 - 백선엽
    백선엽은 일제강점기 만주군에서 복무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대장까지 오른 군인으로, 다부동 전투 등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외교관과 장관을 역임하다가 2020년에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백세인 - 박갑동
    박갑동은 경상남도 산청 출신의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저술가로, 학병 반대 운동, 조선공산당 활동, 남로당 지하조직 총책, 북한 숙청, 일본 망명 후 북한 정권 비판 활동을 펼쳤다.
  • 일제강점기의 의사 - 원용덕
    원용덕은 일제강점기 만주국 군의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참여했으며, 정치적 사건에 개입하여 정치 군인으로 평가받았고, 4·19 혁명 이후 구속되었다가 사면된 인물이다.
  • 일제강점기의 의사 - 윤일선
    윤일선은 한국 근대 병리학 및 해부학의 선구자이자 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한 교육자로, 한국 의학 교육과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해방 후 서울대학교에서 한국 의학교육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국내외 학술 활동에도 참여하여 한국 과학기술 발전에 헌신하였다.
박동균 (1919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박동균
본관함양(咸陽)
출생일1919년 1월 29일
사망일2004년 9월 28일
출생지대한민국임시정부기 함경북도 명천군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교유교(성리학)
묘소국립대전현충원 제1장군묘역 218호
군사 경력
소속만주국군
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1943년 ~ 1962년
최종 계급만주국군: 상위
대한민국 국군: 소장
근무육군본부 군의무감실
지휘육군본부 군의무감
주요 참전 전투/전쟁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기타 이력
기타 이력내과 군의관 출신
대한염업주식회사 사장
서울중앙청과주식회사 사장
정당무소속

2. 생애

함경북도 명천군 출신으로 만주군 군의관으로 복무했다. 미군정이 끝나고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한 뒤 대한민국 국군에 참여하였다. 원용덕, 신학진 등과 함께 대표적인 만주군 군의관 출신 국군 장교였다. 국군 창설 단계에서 간호장교 제도를 창설하는 등[9] 많은 역할을 했다. 군의학교 교장을 지내며 간호사관생도 교육에 힘써 생도들이 그를 아버지라고 부를 정도로 따랐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10]

한국 전쟁 휴전 직후 서울위수사령관에 임명되었다.[12] 대한민국 육군에서 통위부 의무국장, 육군본부 의무감, 육군의무기지사령관, 국방부 병무국장, 수도육군병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최종 계급은 육군 소장이었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1962년 예비역에 편입되었고, 1963년 군사정변 세력이 설립한 국영기업체인 대한염업주식회사 사장에 임명되어 기업인으로 활동하였다. 서울중앙청과주식회사 대표이사, 동아용역주식회사 사장, 한국건설자재협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1972년 헌정회의 대의원(초대)을 지냈다.

2. 1. 초기 생애 및 만주군 복무

함경북도 명천군 출신으로, 1919년 함경북도 경원에서 태어났다. 1938년 경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4월 중앙육군훈련처 제7기생으로 입학하였다. 1939년 3월 하얼빈 육군군의학교에 입학하여 1943년 졸업하였다. 이후 만주국군 군의관으로 복무하였다.[9]

2. 2. 대한민국 국군 창설 참여 및 활동

1946년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국군에 참여했다. 원용덕, 신학진 등과 함께 대표적인 만주군 군의관 출신의 국군 장교였다. 간호장교 제도를 창설[9]하는 등 국군 창설 단계에서 많은 역할을 했다. 군의학교 교장을 지내며 간호사관생도 교육에 힘써 생도들이 그를 아버지라고 부를 정도로 따랐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10] 간호사관생도 제도는 국군간호사관학교의 모태가 되었다.

1946년 1월 28일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군번 10032) 소위(대위)로 임관되어 남조선국방경비대 제1연대 의무부 부장으로 근무를 시작하였다.[9]

1947년 12월 28일 남조선국방경비대 총사령부 의무처장(~1949년 8월 18일)에 임명되었고,[2] 해안경비대 총사령부 의무참모를 겸임하였다.[9]

1948년 8월, 대한민국 육군 정식 설립과 함께 육군의무감(군의총감에 상당)에 취임하였다. 당시 계급은 대령이었다.[9] 1949년 육군군의학교 초대 교장이 되었다.[9] 재직 중 육군보병학교와 참모학교 1기생으로 고급 장교 교육을 받은 후, 오사카 주일 미군 제4사단을 3개월간 시찰하였다.[9] 1948년 12월 15일, 국방부는 육군본부 의무국장이던 박동균 등 8명의 중령을 대령으로 특진 발령하였다.[11]

한국 전쟁 발발 후, 군의학교를 폐쇄하고 야전의무단을 설립하였다.[9] 이후 부산에 군의학교를 재건하고 경남지구 위수사령관을 겸임하였다.[9]

1952년 군사원호처장이 되었다.[9]

1953년 5월 16일 소장으로 임명되었고,[3] 수도육군병원 원장이 되었다.[9] 같은 해 9월 23일, 서울위수사령관이 되었다.[4]

1954년 4월, 마산에 육군의무교육기지사령부를 설치하고 사령관 겸 군의학교 교장이 되었다.[5] [9]

1955년 제2군관구사령관이 되었다.[9]

1956년 국방부 병무국장이 되었다.[9]

1961년 9월 24일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6]

2. 3. 군 복무 이후 활동

1961년 5·16 군사정변이 일어난 이듬해 1962년에 예비역으로 편입되었고,[6] 1963년에 군사정변 세력이 설립한 국영기업체인 대한염업주식회사 사장에 임명되어 이후 기업인으로 활동하였다. 서울중앙청과주식회사 대표이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동아용역주식회사 사장, 한국건설자재협회 회장도 역임하였다.

1972년에는 헌정회의 대의원(초대)을 지냈다.

3. 학력

4. 경력

만주군 군의관으로 복무하다가 미군정 지역으로 와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국군에 참여했다. 원용덕, 신학진 등과 함께 대표적인 만주군 군의관 출신 국군 장교였다. 간호장교 제도를 창설[9]하는 등 국군 창설 단계에서 많은 역할을 했다. 군의학교 교장을 지내며 간호사관생도 교육에 힘써 생도들이 그를 아버지라고 부를 정도로 따랐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10] 간호사관생도 제도는 국군간호사관학교의 모태가 되었다.

1946년 1월 28일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군번 10032번),[2] 소위(대위)로 임관되어 남조선국방경비대 제1연대 의무부 부장으로 근무를 시작하였다. 1947년 12월 28일, 남조선국방경비대 총사령부 의무처장(~1949년 8월 18일)에 임명되었고,[2] 해안경비대 총사령부 의무참모를 겸임하였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육군의 정식 설립과 함께 육군의무감(군의총감에 상당)에 취임하였다. 당시 계급은 대령이었다. 1948년 12월 15일, 육군본부 의무국장이던 박동균 등 8명의 중령을 대령으로 특진 발령하였다.[11] 1949년 육군군의학교 초대 교장이 되었다. 재직 중 육군보병학교와 참모학교 1기생으로 고급 장교 교육을 받은 후, 오사카 주일 미군 제4사단을 3개월간 시찰하였다.

한국 전쟁 발발 후, 군의학교를 폐쇄하고 야전의무단을 설립하였다. 이후 부산에 군의학교를 재건하고 경남지구 위수사령관을 겸임하였다. 1952년, 군사원호처장이 되었다. 1953년 5월 16일, 소장으로 임명되었고,[3] 수도육군병원 원장이 되었다. 같은 해 9월 23일, 서울위수사령관이 되었다.[4] 1954년 4월, 마산에 육군의무교육기지사령부를 설치하고 사령관 겸 군의학교 교장이 되었다.[5]

1955년 제2군관구사령관이 되었다. 1956년, 국방부 병무국장이 되었다. 1961년 9월 24일,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6] 1961년 5·16 군사정변이 일어난 이듬해 1962년 예비역에 편입되었고, 1963년 군사정변 세력이 설립한 국영기업체인 대한염업주식회사 사장에 임명되어 이후 기업인으로 활동하였다. 서울중앙청과주식회사 대표이사도 역임하였다.

대한염업주식회사 사장, 동아용역주식회사 사장, 한국건설자재협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1972년, 헌정회의 대의원(초대)이 되었다.

5. 상훈

참조

[1] 웹사이트 (128) 함양박씨 https://www.joongang[...] 2024-09-13
[2] 웹사이트 호국전몰용사공훈록 제5권(창군기) http://www.imhc.mil.[...] 한국国防部軍史編纂研究所 2021-09-06
[3] 뉴스 元 少將, 中將으로 http://www.busan.com[...] 1953-05-29
[4] 웹사이트 連続刊行物 東亜日報「서울衛戍司令官 朴東均少將任命」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2021-09-05
[5] 웹사이트 連続刊行物 慶南新聞系列「軍醫學校校長 朴東均少將 着任」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2021-09-05
[6] 웹사이트 連続刊行物 東亜日報「朴東均少將 등 豫備役에 編入」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2021-09-05
[7] 뉴스 [명단] 친일인명사전 수록 대상자 4776명 http://www.ohmynews.[...] 2008-04-29
[8] 웹인용 박동균 http://people.empas.[...] 엠파스 인물정보 2008-07-12
[9] 서적 이야기여성사 (1) 여성신문사 2000-04-25
[10] 뉴스 <491>군복입은 하얀 천사들-36-굴곡진 간호장교 수급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06-11-06
[11] 뉴스 陸軍八中領昇進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48-12-31
[12] 뉴스 서울위수사령관에 朴東均소장을 임명 조선일보 1953-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