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관료제 혁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관료제 혁명은 1980년대 후반 유고슬라비아에서 일어난 일련의 사건들을 지칭하며, 세르비아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주도하여 세르비아 자치주인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의 자치권을 축소하고 세르비아의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시도였다.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에 따라 코소보와 보이보디나는 상당한 자치권을 누리고 있었으나, 세르비아 내에서 불만을 야기했고, 특히 1981년 코소보 시위 이후 세르비아 민족주의가 고조되었다.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을 장악한 후, 대중 시위를 통해 코소보 내 세르비아인들의 억압과 1974년 헌법의 문제점을 제기하며 자치권 축소를 요구했다. 1988년 보이보디나, 몬테네그로에서 친밀로셰비치 세력의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으며, 1989년 코소보의 자치권이 대폭 축소되었다. 이 혁명은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권력 균형을 변화시켰고, 유고슬라비아 전쟁의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정치사 - 유고슬라비아 평화 회담 중재위원회
유고슬라비아 평화 회담 중재위원회는 유럽 공동체가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의 법적 문제 해결을 위해 구성한 위원회로, 각 공화국의 독립 인정 여부 등 중요한 결정을 통해 유고슬라비아 해체 공식화 및 국가 승계 문제 해결에 기여했다. - 몬테네그로의 정치사 - 유고슬라비아 평화 회담 중재위원회
유고슬라비아 평화 회담 중재위원회는 유럽 공동체가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의 법적 문제 해결을 위해 구성한 위원회로, 각 공화국의 독립 인정 여부 등 중요한 결정을 통해 유고슬라비아 해체 공식화 및 국가 승계 문제 해결에 기여했다. - 유고슬라비아의 정치사 - 형제애와 통일
형제애와 통일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민족 간 평화로운 공존과 협력을 장려하기 위해 채택된 이념으로, 민족 갈등 극복을 목표로 문화적 권리 보장, 유고슬라비아인 국적 선택 장려, 민족 할당제 등을 포함하는 정책이다.
반관료제 혁명 | |
---|---|
개요 | |
명칭 | 반관료제 혁명 |
로마자 표기 | Antibirokratska Revolucija |
다른 이름 | 요오거트 혁명 거리의 혁명 |
배경 | |
주요 원인 | 코소보의 불안정한 상황 세르비아 공산주의 지도부의 권력 투쟁 경제 침체 |
목표 | |
주요 목표 | 반대파 제거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권력 강화 |
시기 및 장소 | |
기간 | 1988년 ~ 1989년 |
장소 |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보이보디나 사회주의 자치주,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
주요 사건 | |
주요 사건 | 1988년 보이보디나와 몬테네그로에서의 시위 1989년 코소보에서의 시위 베오그라드에서의 시위 |
결과 | |
주요 결과 | 보이보디나와 몬테네그로 정부의 교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권력 강화 유고슬라비아 내 민족주의 고조 |
관련 인물 | |
주요 인물 |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밀란 파니치 모미르 불라토비치 |
2. 배경
1987년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권력을 잡기 이전, 유고슬라비아는 복잡한 정치적 상황에 놓여 있었다.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은 세르비아 내 자치주인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에 상당한 자치권을 부여하여, 세르비아 중앙 정부의 통제력을 약화시켰다.
1974년 헌법은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에 유고슬라비아 연방 내 다른 공화국들과 거의 동등한 지위를 부여했다. 이들 자치주는 독자적인 정책 결정권을 가졌으며,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에 대표를 파견할 권한도 보유했다. 이러한 상황은 세르비아 중앙 정부와 자치주 정부 간의 갈등을 야기했다.
특히 코소보에서는 알바니아인과 세르브인 간의 민족 갈등이 심화되고 있었다. 1981년 코소보 시위에서는 알바니아인들이 "코소보 공화국", "알바니아와의 통합" 등의 구호를 외치며 분리 독립을 요구했다. 유고슬라비아 당국은 군대를 동원하여 시위를 진압했지만, 이는 오히려 민족 갈등을 더욱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코소보의 세르비아인들은 알바니아인들에 의한 차별과 박해를 주장하며 불만을 표출했다. 세르비아 언론은 이러한 주장을 부추기며 민족주의적 감정을 자극했다.
2. 1. 밀로셰비치의 등장과 세르비아 민족주의
1987년 9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자신의 반대파인 이반 스탐볼리치가 이끌던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의 세르비아 지부를 장악했다. 이는 코소보 내 세르브인과 알바니아인 사이의 갈등이 고조되던 시기와 맞물렸다. 당시 코소보 내 세르비아인들은 알바니아인들과 알바니아인들이 지배하는 코소보 자치정부에 의해 억압받고 있다고 느꼈으며, 세르비아 언론의 선동적인 보도는 이러한 긴장을 더욱 악화시켰다.[1]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에 따르면, 세르비아 공화국의 두 자치주(보이보디나, 코소보)는 세르비아 중앙정부로부터 상당한 독립을 보장받았다. 두 자치주는 유고슬라비아의 6개 구성 공화국과 동등하게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에 대통령을 선출하는 투표권을 가졌다. 사실상 자치주의 지위는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의 지방 지도부가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정책을 추진할 수 있게 했으며, 다른 공화국들과 거의 동등한 지위를 누렸다.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 채택 이후, 세르비아 중앙 정부는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의 지방 정부와 정치적 교착 상태에 자주 직면했다. 1976년 세르비아 정부는 티토와 에드바르트 카르델리에게 지방 정부의 위헌적인 자치 행위에 대한 첫 번째 항의를 제기했으며, 1984년에도 같은 문제에 대해 항의하며 1974년 헌법 내에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했다. 지방 정부는 시민권 정책, 공통 방위법 및 사회 정책 등의 영역에서 세르비아 정부의 정책 시행 능력을 반복적으로 거부했다고 알려져 있다.
코소보의 상황은 1981년 코소보 시위에서 "우리는 유고슬라비아인이 아닌 알바니아인이다", "코소보 공화국", "알바니아와의 통합" 등의 구호를 외치는 알바니아인들에 의해 위기로 치닫게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당국은 시위를 강제로 진압했고, 프리슈티나 공산당 연맹 회장인 아슬란 파즐리아(알바니아인)는 이 시위가 민족주의적이고 반혁명적이라고 비난하며 강경한 경찰 조치를 발표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시위를 진압하는 데 실패했고, 오히려 알바니아인들의 시위가 코소보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코소보 공산당 연맹 회장인 마무트 바칼리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에게 전차를 거리에 배치할 것을 요청했다.
1981년 코소보 시위의 여파로 코소보 세르비아인들은 코소보의 정치 상황에 대한 불만을 품게 되었다. 세르비아인들은 코소보의 세르비아인 인구가 1961년 23.5%에서 1981년 13.2%로 크게 감소했다는 통계를 근거로 코소보의 의도적인 알바니아화가 있었다고 의심했으며, 알바니아인들에게 박해를 받고 있다는 주장을 했다. 여기에는 세르비아 여성들이 알바니아인들에게 체계적으로 강간당했다는 주장도 포함된다. 이러한 주장 중 상당수는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았지만 소문으로 확대되었다.
1987년 말과 1988년에 세르비아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견딜 수 없는 것으로 묘사하며 대중적 운동이 시작되었다. 지방 지도부는 관료적 비효율성과 국민과의 소외로 비난받았다. "'오 세르비아여, 세 조각으로 나뉘었지만 다시 하나가 될 것이다"(''oj Srbijo iz tri dela ponovo ćeš biti cela'')[1]와 같은 구호가 등장했다. 세르비아 언론의 수많은 기사와 독자 투고가 분위기를 더욱 자극했는데, 가장 악명 높은 것은 폴리티카의 "Odjeci i reagovanja"(''메아리와 반응'')라는 칼럼으로, 일종의 가짜 풀뿌리 운동으로 사용되었다.[2]
이 운동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3]
- 코소보의 세르비아인들이 알바니아인들에게 괴롭힘을 당하고 알바니아인이 지배하는 코소보 정부에 의해 억압받고 있다.
- 1974년 헌법으로 인해 세르비아는 지방 지도부가 관료적이고 국민과 소원해진 지방에 대해 효과적인 통제력을 가지지 못했다.
- 이 헌법은 특히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와 같은 다른 유고슬라비아 공화국의 영향으로 세르비아의 권력을 억압하고 세르비아의 천연 자원 착취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이 헌법은 사실상 연방 의회에서 6개 공화국의 합의 의사결정 없이는 어떤 결정도 내릴 수 없었던 연방 형태의 정부를 만들었으며, 국민 다수의 의견을 더 잘 고려하는 시스템("일인일표" 구호가 가장 인기가 있었다)이 요구되었다.
- 따라서 연방 헌법의 전면적인 개정과 세르비아의 지방에 대한 통제 강화가 필요했다.
3. 전개
1986년 2월부터 베오그라드와 코소보에서 세르비아계 코소보인들이 코소보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시작되었다. 초기 시위는 백여 명에서 5천여 명 정도였으나, 1987년 4월 코소보 폴레에서 열린 시위에는 2만여 명이 모였다.
1988년 하반기부터 시위는 더욱 격화되었다. 6월에는 즈마이 공장 노동자 5천 명이 시위를 열었고, 7월에는 7개 마을에서 수만 명이, 8월에는 10개 마을에서 10만 명이 시위를 벌였다. 9월에는 39개 마을에서 40만 명 이상이 시위에 참여했다.
1988년 11월 19일, 베오그라드의 우슈체(사바강과 다뉴브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모든 집회의 어머니"라고 불리는 대규모 집회가 열렸다. 유고슬라비아 국영 언론은 100만 명이 모였다고 보도했으며, 다른 증언에서는 수십만 명이 모였다고 한다.[19]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이 자리에서 코소보 사태에서 세르비아인이 승리할 것이라고 연설하였다.[19]
1989년 초 세르비아 의회는 코소보 자치주의 지위를 대폭 축소하는 헌법 개정안을 제안했다. 알바니아계 코소보인들은 이에 반발하여 대규모 시위를 벌였으나,[2] 1989년 3월 코소보 의회는 헌법 개정안을 통과시켰고, 세르비아 의회도 이를 승인했다.[2]
1989년 6월 28일, 코소보 가지메스탄에서 대규모 집회가 열렸으며, 폴리티카는 최대 2백만 명이 집회에 참여했다고 보도했다.[1]
3. 1. 보이보디나: 요거트 혁명
1988년 10월 5일, 노비사드에서 약 15만 명이 보이보디나 자치 정부에 항의하는 시위를 열었다. 이 시위는 하루 전 인근 도시인 바치카팔란카에서 시작되어 시위대가 노비사드로 이동하며 확대되었다.[16] 바치카팔란카의 시위대는 헝가리계 세르비아인이자 공산당 중진 관료인 미할 케르테스가 주도했는데, 그는 "헝가리인인 나조차 세르비아를 두려워하지 않는데, 어떻게 세르브인이 세르비아를 두려워하지 않겠는가?"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16]자치정부 수반이었던 밀로반 쇼고로브, 보슈코 크루니치, 지반 베리사블레비치는 시위에 큰 반응을 보였다. 시위 이전까지는 보이보디나의 기존 입장을 고수하면서도 헌법 개정에는 신중한 지지를 보이며 밀로셰비치와 타협하고 협상하려 노력했다. 하지만 베오그라드의 조직적인 언론 동원으로 자치정부 주요 수뇌부를 권력에 굶주린 권력욕자(фотељаши|포텔랴시sr)이자 자치주의자(аутономаши|아우토노마시sr)라고 몰아세웠다.[17]
보이보디나 정부는 시위대를 향한 전기와 수도 공급을 중단했는데 이는 시위대의 반응을 격화시켰고 노비사드와 인근 마을의 시위대가 더 확대되었다. 상황이 회복되자 정부는 뒤이어 시위대를 격려하기 위해 시위대에게 빵과 요구르트를 주었지만, 수천 개의 요구르트를 시위대가 보이보디나 자치의회 건물로 던져버렸다. 그래서 일부는 보이보디나의 시위를 "요거트 혁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8]
10월 6일 보이보디나 자치정부의 전 내각 구성원이 사퇴하였고 보이보디나 자치정부 내각은 친밀로셰비치파인 네델코 시포바츠, 라도반 판코브, 라도만 보조비치가 집권하였다.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보이보디나 자치주 대표인 보슈코 크루니치도 사임하고 스탄코 라드밀로비치가 이어받았으며, 보이보디나 공산주의자 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인 밀로반 쇼고로브도 사임하고 보고사브 코바체비치가 이어받았다.
3. 2. 몬테네그로
1988년 8월 20일 티토그라드에서 세르브계 코소보인과 몬테네그로계 코소보인을 지지하는 첫 집회가 열렸고 언론도 동원되었다.[20] 당시 몬테네그로 공산주의자 동맹 지도부는 코소보를 보호하고 있다고 옹호했지만, 밀로셰비치 지지자들은 직접적인 지원을 자제하는 행동을 좋지 않게 여겼다.1988년 10월 7일, 주타 그레다에서 몬테네그로 내각의 총사퇴를 요구하는 집회에 몬테네그로 경찰이 개입하면서 혁명으로 분화하기 시작했다. 몬테네그로 지도부는 시위에 대처하기 위해 비상사태를 선언했지만, 몬테네그로 내 밀로셰비치 지지층과 친밀로셰비치에게 통제받는 언론은 비상사태를 세르비아에 대한 적대 행위로 규정하여 며칠 만에 해제되었다.[21]
혁명 2막은 몬테네그로 대학교 학생과 국영 공장인 라도예 다키치 노동자의 합동 집회가 주도했다. 1989년 1월 10일, 티토그라드에서 1만 명 이상의 시위대가 집결했다.[21] 혼란에 빠진 구 지도부는 항복하고 내각 전체가 총사퇴를 발표했다.[21] 모미르 불라토비치, 밀로 주카노비치, 스베토자르 마로비치로 구성된 젊은 층의 신 지도부는 밀로셰비치와 강력한 유대관계를 맺고 협력하겠다고 선언했다. 몬테네그로 공산주의자 동맹은 이후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민주당으로 개편되어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을 완전히 장악했고, 2020년 몬테네그로 총선까지 몬테네그로의 수권정당으로 활약했다.
3. 3. 우슈체 행진 (1988년 11월)
1988년 11월 19일, 베오그라드의 우슈체(사바강과 다뉴브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대규모 집회가 열렸다. 유고슬라비아 국영 언론에서는 100만 명이 모였다고 보도했으며, 다른 증언에서는 수십만 명이 모였다고 한다.[19] 이 집회는 "모든 집회의 어머니"라고 불렸으며, 세르비아 전역에서 사람들이 대중교통이나 공장 버스를 타고 한꺼번에 몰려들었다. 이 행진에 참여한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가 확약했던 유고슬라비아의 자유와 세르비아인 평등 원칙을 말하며 코소보 사태에서 세르비아인이 승리할 것이라고 연설하였다.[19]> 우리는 국내외의 방해를 뛰어넘어 코소보의 전쟁에서 승리할 것입니다. 국내의 적이 외국의 적과 합세하여 공격할지라도 우리는 승리할 것입니다. 이 나라가 자유를 위한 전쟁에 승리할 것이라는 것은 저 터키와 독일 정복자에게도 잘 알려질 것입니다.
3. 4. 코소보 자치권 축소
아젬 블라시와 카추샤 야샤리는 1988년 11월 코소보 지도부에서 해임되었다.[1] 알바니아계 코소보인들은 불안감을 느꼈고, 1989년 2월 1989년 코소보 광부 파업을 기점으로 총파업에 돌입하였다. 한편 2월 28일 베오그라드에서는 "무기를 원한다", "블라시를 체포해라"라는 세르브인의 대규모 집회가 열렸고, 집회 사흘 뒤 아젬 블라시가 체포되었다.[1]1989년 초 세르비아 의회는 당시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내에 있던 자치주인 코소보 자치주의 지위를 매우 줄이는 헌법 개정안을 제안했다.[2] 알바니아계 코소보인들은 자치권 약화 움직임에 저항해 대규모 시위를 벌였으나,[2] 1989년 3월 코소보 의회의 헌법 개정안 비준을 앞두고 유고슬라비아 경찰이 비준을 반대하는 알바니아계 코소보인 240명을 법적 절차 없이 구금하였다.[3]
1989년 3월 23일 코소보 의회의 알바니아계 의원은 헌법 개정안 비준 투표를 거부했지만, 개정안 통과 정족수인 2/3를 넘지 못했음에도 비준이 가결되었음이 선포되었다.[2] 3월 28일에는 세르비아 의회에서도 헌법 개정안이 통과되었다.[2]
3. 5. 가지메스탄 행진 (1989년 6월)
1989년 6월 28일, 코소보 가지메스탄에서 대규모 집회가 열렸으며, 폴리티카는 최대 2백만 명이 집회에 참여했다고 보도했다.[1]4. 여파
반관료제 혁명은 1년 남짓한 거리 시위와 유고슬라비아 각 주의 당 지도부 교체(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충성파로 교체됨)를 거치면서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권력 균형을 급격히 바꾸어 놓았다. 이 사건들은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이어지는 긴장 고조 국면으로 접어들게 했다.[15]
4. 1.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 권력 균형 변화
반관료제 혁명은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권력 균형에 영향을 미쳤다. 세르비아의 보리사브 요비치(당시 대통령직 의장), 몬테네그로의 네나드 부친, 보이보디나의 유고슬라브 코스티치, 코소보의 리자 사푼지우는 하나의 투표 블록으로 뭉쳐 움직이기 시작했다.[28] 이들은 8석의 대통령직에서 4표를 확보했다.[15]1990년 8월 크로아티아 의회는 통나무 혁명의 여파로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크로아티아 대표를 스티페 슈바르에서 스체판 메시치로 교체했지만,[27] 세르비아 측의 항의로 1990년 10월이 되어서야 취임했다.[28] 1991년 3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이 계엄령 발령을 요구했을 때, 메시치는 마케도니아의 바실 투푸르코프스키, 슬로베니아의 야네스 드르노브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보기치 보기체비치 대표와 함께 비상사태 선포 요구를 거부하였다.[28]
사푼지우가 최종 투표에서 이탈하자, 요비치는 잠시 사임했다가 복귀했고, 부친은 브랑코 코스티치로, 사푼지우는 세이도 바이라모비치로 교체되어 대통령직은 사실상 교착 상태에 빠졌다.[15]
4. 2.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의 반발
반관료제 혁명은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권력 균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세르비아의 보리사브 요비치(당시 대통령직 의장), 몬테네그로의 네나드 부친, 보이보디나의 유고슬라브 코스티치, 코소보의 리자 사푼지우는 하나의 투표 블록으로 뭉쳐 움직이기 시작했다.[28] 밀로셰비치는 연방 대통령직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추가적인 공화국 투표권이 필요했기 때문에 지방자치의 축소 자체는 의도적이었으나 지방 공화국 자체의 폐지는 의도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25][26]1990년 8월 크로아티아 의회는 통나무 혁명의 여파로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크로아티아 대표를 스티페 슈바르에서 스체판 메시치로 교체했지만,[27] 세르비아 측의 항의로 1990년 10월이 되어서야 의석에 앉게 되었다. 이후 메시치는 1991년 3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이 계엄령 발령을 요구했을 때 마케도니아의 바실 투푸르코프스키, 슬로베니아의 야네스 드르노브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보기치 보기체비치 대표와 함께 비상사태 선포 요구를 거부하였다.[28]
4. 3. 유고슬라비아 전쟁 발발
반관료주의 혁명은 1년 남짓한 거리 시위와 유고슬라비아 각 주의 당 지도부 교체(밀로셰비치 충성파로 교체됨)를 거치면서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권력 균형을 급격히 바꾸어 놓았다. 당시 대통령직을 맡고 있던 세르비아의 보리사브 요비치, 몬테네그로의 네나드 부친, 보이보디나의 유고슬라브 코스티치, 코소보의 리자 사푼슈는 8석의 대통령직에서 4명의 투표 블록을 형성하기 시작했다.[15] 코소보의 주 자치권 축소(하지만 주 지위의 완전 폐지는 아니었음)는 밀로셰비치가 연방 대통령직에서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두 개의 "추가" 주 의석이 필요했기 때문에 의도적인 것으로 여겨졌다.[12][13]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1990년 7월 새로운 헌법이 선포되었고, 8월에는 세르비아인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민족 세르비아인들의 반란인 로그 혁명이 시작되어 크로아티아 의회가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대표 스티페 슈바르를 스테판 메시치로 교체했다.[14] 그러나 세르비아의 항의 때문에 메시치는 1990년 10월에야 취임했다.
그 이후로 메시치는 마케도니아의 바실 투푸르코프스키, 슬로베니아의 야네츠 드르노브셰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보기치 보기체비치와 함께 1991년 3월 밀로셰비치가 지원하는 대통령직 다른 4명이 제안한 일반 계엄령 선포(이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이 계엄령을 부과할 수 있도록 허용했을 것임)에 반대했다.[15]
사푼슈가 최종 투표에서 자신의 파벌에서 '탈퇴'하자, 요비치는 잠시 사임했다가 복귀했고, 부친은 브랑코 코스티치로, 사푼슈는 세이도 바이라모비치로 교체되어 대통령직은 사실상 교착 상태에 빠졌다.[15] 그 직후, 국가는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이어지는 긴장 고조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uh Belog dvora
http://www.nin.co.rs[...]
NIN
1997-08-01
[2]
서적
Politika in the Storm of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3]
학술지
Western Intervention and the Promotion of Democracy in Serbia
[4]
웹사이트
Crash of Yugoslavia's Money Man
http://listserv.buff[...]
Washington Post Foreign Service
2000-11-29
[5]
웹사이트
Vojvodina:Užegli jogurt
http://www.nin.co.rs[...]
NIN
1998-10-15
[6]
서적
Serbia Since 1989: Politics And Society Under Milosevic And After (pp 350–379)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7]
웹사이트
Disintegration Years 1988–2000
http://www.beograd.r[...]
Assembly of Belgrade
[8]
뉴스
Bili Srbi, a sada ih svrbi
http://www.dan.co.me[...]
2009-08-21
[9]
웹사이트
Serbian President: The Technology Of A Showdown
http://www.scc.rutge[...]
Vreme
1994-08-29
[10]
웹사이트
Historical Circumstances in Which "The Rally of Truth" in Ljubljana Was Prevented
http://www.fvv.uni-m[...]
Journal of Criminal Justice and Security
[11]
웹사이트
"Rally of truth" (Miting resnice)
http://www.rtvslo.si[...]
A documentary published by RTV Slovenija
[12]
서적
https://books.google[...]
[13]
서적
Kosovo: what everyone needs to kno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9-29
[14]
뉴스
Svjedoci raspada – Stipe Šuvar: Moji obračuni s njima
http://www.slobodnae[...]
Radio Free Europe
2008-02-27
[15]
뉴스
Stjepan Mesić, svjedok kraja (I) – Ja sam inicirao sastanak na kojem je podijeljena Bosna
http://www.bhdani.co[...]
2001-06-01
[16]
웹인용
Crash of Yugoslavia's Money Man
http://listserv.buff[...]
Washington Post Foreign Service
2021-09-27
[17]
웹인용
Vojvodina:Užegli jogurt
http://www.nin.co.rs[...]
NIN
1998-10-15
[18]
서적인용
Serbia Since 1989: Politics And Society Under Milosevic And After (pp 350–379)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
웹인용
Disintegration Years 1988–2000
http://www.beograd.r[...]
Assembly of Belgrade
[20]
뉴스인용
Bili Srbi, a sada ih svrbi
http://www.dan.co.me[...]
2009-08-21
[21]
웹인용
Serbian President: The Technology Of A Showdown
http://www.scc.rutge[...]
Vreme
2021-09-30
[22]
웹인용
Historical Circumstances in Which "The Rally of Truth" in Ljubljana Was Prevented
http://www.fvv.uni-m[...]
Journal of Criminal Justice and Security
[23]
웹인용
"Rally of truth" (Miting resnice)
http://www.rtvslo.si[...]
A documentary published by RTV Slovenija
[24]
웹인용
akcijasever.si
http://www.akcijasev[...]
The "North" Veteran Organization
[25]
서적
https://books.google[...]
[26]
서적인용
Kosovo: what everyone needs to kno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9-29
[27]
웹인용
Svjedoci raspada – Stipe Šuvar: Moji obračuni s njima
http://www.slobodnae[...]
Radio Free Europe
2008-02-27
[28]
뉴스인용
Stjepan Mesić, svjedok kraja (I) – Ja sam inicirao sastanak na kojem je podijeljena Bosna
http://www.bhdani.co[...]
2001-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