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달돌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달돌칼은 중국 화북지방에서 시작되어 신석기 시대 말부터 청동기 시대에 걸쳐 사용된 수확 도구이다. 주로 곡물 수확에 사용되었으며, 초기 철기 시대에 철제 낫 등으로 대체되었다. 형태에 따라 어형, 주형, 즐형, 장방형, 삼각형으로 분류되며, 반달돌칼의 전파는 동아시아 농경 문화의 확산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석기 - 르발루아 기법
르발루아 기법은 구석기 시대에 등장하여 석재의 부피를 활용하여 석기를 제작하는 기술로, 아프리카, 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며, 네안데르탈인과 관련이 깊다. - 석기 - 화살
화살은 활과 함께 사용되는 발사체로, 살대, 살촉, 깃, 오늬 등으로 구성되며 전쟁, 사냥, 스포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문화적 상징성을 지니기도 한다. - 청동기 시대 - 인도유럽조어
인도유럽조어는 라틴어,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 등 여러 유럽 및 인도 언어의 공통 조상어로 추정되는 재구된 언어이며, 문자 기록이 없어 후대 언어 비교를 통해 재구성되었고, 18세기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다양한 가설과 음운 변화 법칙을 통해 발전해왔다. - 청동기 시대 - 가락바퀴
실을 잣는 도구인 가락바퀴는 가락 하단에 위치하며 무게를 이용해 섬유 덩어리를 실로 꼬아내는 데 사용되고,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져 신석기 시대부터 직조 기술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반달돌칼 | |
|---|---|
| 개요 | |
![]() | |
| 종류 | 간돌칼 |
| 용도 | 곡물 이삭 자르기 |
| 사용 시기 | 청동기 시대 |
| 발견 지역 | 한국을 포함한 유라시아 대륙 전역 |
| 상세 정보 | |
| 형태 | 반달 모양, 칼날 존재, 자루 연결 구멍 존재 |
| 재료 | 돌 (주로 혈암, 점판암 사용) |
| 제작 방법 | 갈돌에 갈아서 제작 |
| 사용 방법 | 가죽끈으로 손목에 묶어 사용 |
| 특징 | 한 손에 잡고 사용 가능, 대량 수확에 용이 |
| 기능 | 벼, 보리, 조, 콩 등의 곡식 이삭을 자르는 데 사용 풀이나 나무를 베는 데 사용 고기를 자르는 데 사용 |
| 역사 | |
| 등장 시기 | 신석기 시대 후기 일부 지역에서 등장, 청동기 시대에 널리 사용 |
| 용도 변화 | 후대로 갈수록 의례용, 장식용으로 사용 |
| 관련 유물 | |
| 유사 도구 | 돌낫, 뼈칼 |
| 출토 유적 | 전국 각지 청동기 시대 유적지 |
2. 역사
반달돌칼은 원래 중국 화북 지방 농경 문화의 수확 도구였으나, 신석기 시대 말부터 중국 동북 지방에서 한반도로 전파되어 청동기 시대의 주요 수확 도구로 자리 잡았다.[15] 돌낫과 함께 청동기 시대 후기까지 주요 수확 도구로 사용되었으나, 초기 철기 시대에 철제 반달칼, 철제 낫 등으로 대체되었다.[19] 한국에서 반달돌칼이 많이 발견되는 것은 당시 농업의 비중이 컸음을 보여주며, 일본으로도 전파되었다.[20]
2. 1. 한반도 전래와 초기 농경
반달돌칼은 원래 중국 화북 지방 농경 문화의 수확 도구로 사용되었으나, 신석기 시대 말부터 중국 동북 지방에서 한반도로 전파되기 시작하여 청동기 시대의 주요 수확 도구로 자리 잡았다.[15] 반달돌칼은 농경 도구임이 분명하지만, 농경의 시작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24] 반달돌칼 사용 이전인 황해도 지탑리 유적의 지층에서 탄화된 조와 함께 곰배괭이가 발견되어, 반달돌칼 이전 시기에도 농경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5] 또한, 반달돌칼은 수확 도구이지 재배 도구가 아니라는 점에서 농경과의 관계는 아직 불분명하다.[26] 다만, 삼각형돌칼이 남한 지역과 일본의 벼농사 증거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18]이러한 돌칼은 돌낫과 함께 청동기 시대 후기까지 주요 수확 도구로 사용되었으나, 초기 철기 시대에 이르러 철제 반달칼, 철제 낫 등으로 대체되었다.[19] 한국에서 반달돌칼이 많이 발견되는 것은 당시 사람들의 생산 활동에서 농업의 비중이 컸음을 보여주며, 이 칼은 일본으로도 전파되었다.[20] 일본에서는 야요이 시대 초기에 삼각형 및 단주형(短舟形) 돌칼이 발견되는데, 이들은 모두 한반도에서 가장 늦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남부 지방에서 유행했으며 일본으로의 농경 전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1]
우리나라의 주형석도(舟形石刀)를 창 강(장강) 유역의 것과 연결 짓는 학설도 있으나, 우리나라의 주형(舟形)은 요동반도의 어형(漁形)에서 자체적으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22] 반월형 석기(반달돌칼)의 전파는 중국 화북 농경 문화의 유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처음에는 잡곡 농사와 관련된 수확 도구로 쓰이다가 벼농사와 본격적으로 결부된 것은 단주형 석기(短舟形石器)와 삼각형 석기(三角形石器)가 유행한 시기 이후부터인 것으로 추정된다.[23]
2. 2. 청동기 시대의 확산과 발전
반달돌칼은 원래 중국 화북지방 농경 문화의 수확 도구로 사용되었으나, 신석기 시대 말부터 중국 동북 지방에서 전파되기 시작하여 청동기 시대의 수확 도구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15] 반달돌칼은 농경 도구임은 분명하나, 농경의 시작과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다.[16] 황해도 지탑리 지층에서 탄화된 조와 함께 곰배괭이가 발견되어 반달칼 사용 이전으로 농경이 소급될 증거가 있다.[17] 반달칼은 수확 도구이지 재배 도구는 아니라는 점에서 반달칼과 농경의 관계는 아직 불분명하다.[18] 다만 삼각형 돌칼이 남한 지역과 일본의 벼농사 증거라는 점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18] 이러한 돌칼은 돌낫과 함께 청동기 시대 후기까지 주요 수확구로 사용되었으나, 초기 철기 시대에 이르러 철제 반달칼, 철제 낫 등으로 대체되었다.[19] 한국에서 반달칼이 많이 발견되는 것은 당시 사람들의 생산 활동에서 농업의 비중이 컸음을 보여주며, 이 칼은 일본으로도 전파되었다.[20] 일본 야요이 시대 초기에 발견되는 삼각형 및 단주형(短舟形) 돌칼은 모두 한반도에서 가장 늦은 시기의 것이고 남부 지방에서 성행한 것으로, 일본의 농경 전파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21]우리나라의 주형 석도는 창강 유역의 그것과 연결 짓는 학설도 있으나, 요동반도의 어형에서 자체적으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22] 반월형 석도의 전파는 중국 화북 농경 문화의 유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처음에는 잡곡 농사와 관련된 수확구로 쓰이다가 벼농사와 본격적으로 결합한 것은 단주형 석도와 삼각형 석도가 성행한 시기 이후부터로 생각된다.[23]
2. 3. 철기 시대의 변화
돌칼은 돌낫과 함께 청동기 시대 후기까지 주요 수확구로 사용되었으나, 초기 철기 시대에 이르러 철제 반달돌칼, 철제 낫 등으로 대체되었다.[19][27]2. 4. 일본으로의 전파
일본에서는 야요이 시대 초기에 삼각형과 단주형(短舟形)의 돌칼이 발견되는데, 이들은 모두 한반도에서 가장 늦은 시기의 것이고 남부 지방에서 성행한 것으로 일본에 농경이 전파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1] 한국에서 이처럼 반달칼이 많이 발견되는 사실은 당시 사람들의 생산 활동에서 농업의 비중이 컸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 칼은 일본으로도 전파되었다.[20]3. 분류
반달돌칼은 전체적인 형태와 날, 등 부분의 형상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다.[28] 물고기 모양(어형), 배 모양(주형), 장방형, 삼각형으로 분류되는데, 직사각형과 반달형이 기본형이며 후기에는 삼각형이 나타난다.[29]
| 종류 | 특징 | 주요 출토 지역 | 시기 |
|---|---|---|---|
| 장방형 | 등과 날이 모두 곧고, 날은 대부분 양날 | 동북 지방, 압록강 중·상류 유역 | 신석기 시대 말기, 청동기 시대 |
| 즐형 | 바깥쪽으로 휜 등에 곧은 날, 대부분 양날 | 압록강 중·상류 유역, 동북 지방 | 청동기 시대 전기 |
| 어형 | 날과 등이 모두 바깥쪽으로 휨, 단날이 많음 | 압록강 하류, 대동강·재령강 유역, 중남부 지방 | 신석기 시대 말기, 청동기 시대 |
| 장주형 | 등이 곧고 날이 바깥쪽으로 휨, 길이 20cm 안팎, 장폭비 3.5:1~4:1 | 대동강·재령강 유역 | 청동기 시대 전기 |
| 단주형 | 장주형에서 장폭비가 줄어든 형태, 길이 15cm 전후, 장폭비 2.5:1~3:1 | 한국 중부 지방 이남 | 청동기 시대 중·후기 |
| 삼각형 | 삼각형 양변에 엇갈린 날 | 한국 서남부 지방 | 청동기 시대 중·후기 |
가장 일반적인 형식인 주형(舟形)은 등이 곧고 날이 휘어 대동강 유역, 한강 유역 등 한반도 중서부 지방에서 성행하였으며, 장방형은 동북 지방에서 주로 출토되었다.[46] 반면 금강 이남의 서남 지역에서는 양변에 엇날을 단 삼각형 석도가 크게 유행했다.[47]
3. 1. 반월형 석도
반월형 석도는 형태상 어형(魚形)·주형(舟形)·즐형(櫛形)으로 분류되며, 장방형 및 삼각형 석도(三角形石刀)도 이에 포함된다.[30] 중국 황하 중·상류 유역의 양사오(仰韶) 시기에 발생하여 동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31] 중국에서 처음 나타난 형태는 양쪽에 홈이 있는(兩側缺口) 타제 장방형 돌칼이며, 간 돌칼(마제) 형태의 장방유공도(長方有孔刀)는 이보다 조금 늦은 양사오 중기부터 출현하였다.[32] 이후 장방단공(長方單孔)은 황하 중류에서, 장방쌍공(長方雙孔)은 황하 하류에서 많이 사용되었다.[33]3. 1. 1. 어형 석도
요서(遼西)의 홍산문화에서 처음 출현해 이후 요동반도에서 성행하였다.[51] 즐형 및 주형은 하남 용산문화에서 주로 조개를 이용한 형태로 나타나 이후 특히 창강(長江) 유역에서 주류를 이뤘다.[52]3. 1. 2. 주형 석도
단주형은 장주형이 장폭비가 줄어들면서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길이 15cm 전후에 장폭비 2.5:1에서 3:1 사이가 많고, 주로 중부지방 이남에서 청동기시대 중기와 후기에 성행하였다.[48] 단주형(短舟形)은 장주형에서 발전한 형식으로 남한 전 지역에서 쓰였으며, 삼각형 돌칼은 영암 월송리, 부여 송국리, 대평리와 같이 남한만의 지역성이 심화된 것이다.[49] 삼각형 석도는 삼각형의 양변에 날을 세운 것으로 양변의 날을 서로 반대되도록 간 엇날인 것이 특징이며 단주형 석도와 함께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데, 청동기시대 중기와 후기에 서남부 지방에서 성행하였다.[50]3. 1. 3. 즐형 석도
즐형 석도는 바깥쪽으로 휜 등(外彎背)에 곧은 날(直刃)이 붙은 형식으로, 대부분 양날이다.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압록강 중·상류 유역과 동북 지방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34] 초기 철기 시대에 보이는 철제 반월도도 대부분 이 형식이다.[35]3. 1. 4. 장방형 석도
장방형 석도는 등과 날이 모두 곧은 형태로, 날은 대부분 양날(兩刃)이다.[30] 주로 동북 지방에 집중 분포하고 있으며 압록강 중·상류 유역에도 상당수 발견되었다.[30] 신석기 시대 말기와 청동기 시대에 다량 출토되고 있다.[30] 동북 지방은 반달돌칼 문화가 전파되었지만, 농경이 어려워 반달칼이 널리 쓰이지 않고 장방형 돌칼이 많이 쓰였다.[30] 장방형 돌칼은 대부분 양날이며 동북 지방과 압록강 중상류 유역에서 많이 발견되었고, 남쪽의 여주 흔암리에서도 사용되었다.[45]3. 2. 삼각형 석도
삼각형 석도는 삼각형의 양변에 날을 세운 것으로, 양변의 날을 서로 반대되도록 간 엇날인 것이 특징이다. 단주형 석도와 함께 출토되는 경우가 많은데, 청동기 시대 중기와 후기에 한반도 서남부 지방에서 성행하였다.[50] 영암 월송리, 부여 송국리, 대평리에서 출토된 삼각형 돌칼은 남한만의 지역성이 심화된 것이다.[49]4. 사용법
반달돌칼은 중앙부에 한두 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데, 이 구멍에 끈을 꿰어 끈 사이로 손가락을 넣어 사용하였다.[53] 주로 벼 이삭을 자르는 데 이용하였다.[54]
4. 1. 사용 단계
반달 돌칼은 중앙부에 한두 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데, 이 구멍 사이에 끈을 꿰어 끈 사이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사용하였다.[53] 주로 이삭을 자르는 데 이용하였다.[54] 사용 단계는 다음과 같다.[55]# 가운데 뚫린 두 개의 구멍에 줄을 끼운다.
# 줄을 손에 걸고 반달 돌칼을 쥔다.
# 벼 이삭을 자른 후 목을 꺾는다.
참조
[1]
웹사이트
반달돌칼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반달돌칼
https://terms.naver.[...]
[3]
서적
반달돌칼
http://www.doopedia.[...]
두산백과,doopedia
[4]
웹인용
반달돌칼
http://museum.khu.ac[...]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5]
저널
반월 형석도
http://www.emuseum.g[...]
국립중앙박물관
[6]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7]
서적
생방송 한국사1
http://book.naver.co[...]
(주)북이십일 아울북
2017-01-20
[8]
웹인용
두산백과
https://blog.naver.c[...]
교육부 공식블로그
[9]
웹인용
두산백과
https://blog.naver.c[...]
교육부 공식블로그
[10]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11]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12]
저널
한국의 농기구
http://book.naver.co[...]
어문각
2001-06-25
[13]
저널
한국의 농기구
http://book.naver.co[...]
어문각
2001-06-25
[14]
서적
생방송 한국사1
http://book.naver.co[...]
(주)북이십일 아울북
2017-01-20
[15]
웹인용
반달돌칼
http://www.doopedia.[...]
doopedia
[16]
웹인용
반달돌칼
http://www.doopedia.[...]
doopedia
[17]
웹인용
반달돌칼
http://www.doopedia.[...]
doopedia
[18]
웹인용
반달돌칼
http://www.doopedia.[...]
doopedia
[19]
웹인용
반달돌칼
http://www.doopedia.[...]
doopedia
[20]
웹인용
반달돌칼
http://www.doopedia.[...]
doopedia
[21]
서적
한국고고학사전
http://book.naver.co[...]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12
[22]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23]
웹인용
반달돌칼
http://www.doopedia.[...]
doopedia
[24]
서적
한국고고학사전
http://book.naver.co[...]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12
[25]
서적
한국고고학사전
http://book.naver.co[...]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12
[26]
서적
한국고고학사전
http://book.naver.co[...]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12
[27]
서적
한국고고학사전
http://book.naver.co[...]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12
[28]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29]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30]
저널
반달돌칼
http://encykorea.aks[...]
1996
[31]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32]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33]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34]
저널
반달돌칼
http://encykorea.aks[...]
1996
[35]
저널
반달돌칼
http://encykorea.aks[...]
1996
[36]
저널
반달돌칼
http://encykorea.aks[...]
1996-01-01
[37]
저널
반달돌칼
http://www.emuseum.g[...]
국립중앙박물관
[38]
저널
반달돌칼
http://encykorea.aks[...]
1996-01-01
[39]
저널
반달돌칼
http://www.emuseum.g[...]
국립중앙박물관
[40]
저널
반달돌칼
http://www.emuseum.g[...]
국립중앙박물관
[41]
저널
반달돌칼
http://www.emuseum.g[...]
국립중앙박물관
[42]
저널
반달돌칼
http://encykorea.aks[...]
1996-01-01
[43]
저널
반달돌칼
http://www.emuseum.g[...]
국립중앙박물관
[44]
저널
반달돌칼
http://www.emuseum.g[...]
국립중앙박물관
[45]
저널
반달돌칼
http://www.emuseum.g[...]
국립중앙박물관
[46]
서적
한국의 농기구
http://book.naver.co[...]
어문각
2001-06-25
[47]
서적
한국의 농기구
http://book.naver.co[...]
어문각
2001-06-25
[48]
저널
반달돌칼
http://encykorea.aks[...]
1996-01-01
[49]
저널
반달돌칼
http://www.emuseum.g[...]
국립중앙박물관
[50]
저널
반달돌칼
http://www.emuseum.g[...]
국립중앙박물관
[51]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01-01
[52]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01-01
[53]
웹인용
반달돌칼
http://www.doopedia.[...]
doopedia
[54]
서적
생방송 한국사1
http://book.naver.co[...]
(주)북이십일 아울북
2017-01-20
[55]
서적
생방송 한국사 1
http://book.naver.co[...]
(주)북이십일 아울북
2017-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