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송국리 유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여 송국리 유적은 1975년 발굴이 시작된 한국의 청동기 시대 유적으로, 둥근 움집과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어 한국 중기 무문토기 문화를 대표하는 '송국리형'으로 불린다. 이 유적에서는 원형과 네모난 형태의 움집터가 발견되었으며, 토기, 석기, 청동기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특히 요녕식 청동제 단검, 석관묘, 옹관 등이 발견되어 당시 사회의 계층 분화와 중국과의 교류를 보여준다. 송국리 유적은 석성천 유역의 중심 집락으로, 마한, 변한, 백제 등 초기 국가의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청동기 시대 유적 - 김해 봉황동 유적
김해 봉황동 유적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며, 조개더미 성격의 유적으로 붉은 토기, 가야 토기 파편, 화천 등이 출토되어 한반도 남부 지역 선사시대와 중국 간의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한국의 청동기 시대 유적 - 속초 조양동 유적
속초 조양동 유적은 청동기 시대 유적으로, 집터, 고인돌, 토기, 석기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부채 모양 청동 도끼와 굽손잡이그릇은 특징적인 유물로 평가받아 사적 제376호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유적 - 무령왕릉
무령왕릉은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지석을 통해 주인공이 확인되었고 2906점의 유물이 출토되어 백제 장례 문화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남조 양나라의 영향을 받은 굴식 벽돌무덤이자 백제 고유의 건축 기술과 미적 감각이 융합된 건축물이다. - 대한민국의 유적 - 풍납토성
풍납토성은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백제 초기 왕성으로 추정되는 한반도 최대 규모의 토성으로, 사적 제11호로 지정되어 백제 시대 유물과 삼한 시대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이다. - 부여군의 문화유산 - 부여 나성
부여 나성은 백제 사비 도성을 방어하기 위해 538년경에 축조된, 둘레 8km의 흙으로 쌓은 성으로, 금강과 자연 지형을 활용한 이중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는 일부 흔적만 남아있다. - 부여군의 문화유산 - 부여 관북리 유적
부여 관북리 유적은 백제 왕궁지로 추정되는 유적으로, 1982년부터 발굴 조사가 진행되어 방형석축연지, 토기, 도로 및 배수시설 등이 발견되었으며, 2015년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다.
부여 송국리 유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위치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송국리 산24-1번지 |
면적 | 546,908m2 |
시대 | 선사시대 |
지정 정보 | |
명칭 | 부여 송국리 유적 (扶餘 松菊里 遺蹟) |
영문 명칭 | Archaeological Site in Songguk-ri, Buyeo |
유형 | 사적 |
지정 번호 | 249 |
지정일 | 1976년 12월 31일 |
2. 발굴 역사
청동기 시대에 대략 1000m2에 걸쳐 흙을 쌓아 대지를 조성하였다. 성토층에서는 지점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흙이 사용되었으며, 평탄하게 하기 위해 경사면 위쪽의 풍화암반층을 깎아내고 그 깎아낸 흙은 경사면에 쌓아 면적을 넓힌 것으로 보인다.[9]
1975년 부여 송국리 유적에 대한 발굴이 시작되었다.[1] 송국리 유적은 청동 유물, 큰 관 모양의 옥 비취 구슬, 둥근 평면 형태의 움집 등을 포함하여 한국 최초의 고고학 유적 중 하나이다. 이후 다른 고고학 유적에서도 송국리와 유사한 둥근 움집과 관련 유물들이 발견되면서, 고고학자들은 송국리를 중기 무문 토기 문화의 대표 유적으로 지정하고 '송국리식'이라는 명칭을 부여하였다.[2] '송국리식' 움집은 한국 남부의 중기 무문 시대 주거지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국립중앙박물관과 부여 국립박물관 등에서 여러 차례 발굴 조사를 진행하였다.
3. 유구
송국리 유적에서는 집터, 제의 시설, 구상 유구, 석관묘, 옹관묘 등 다양한 유구가 발견되었다.
3. 1. 주거지
송국리 유적의 집터는 평면 형태에 따라 둥근 것과 긴 네모꼴인 것으로 나뉜다. 둥근 집터는 30∼150cm 깊이로 땅을 파서 만든 수혈식 주거지로, 한쪽 벽을 얕게 파서 문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 화덕자리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다수의 저장용 구덩이가 발견되었다. 바닥 중앙에는 1m 내외의 긴 타원형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몇 개의 둥근 구덩이를 만들었다.
네모꼴 집터는 30cm 미만으로 땅을 판 반움집이거나 지상식에 가까운 것으로, 기둥구멍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주춧돌이 있는 발달된 집 형태를 하고 있다.[9]
송국리 유적은 1975년에 발굴이 시작되었으며[1], 청동 유물, 큰 관 모양의 옥 비취 구슬, 둥근 평면 형태의 움집 등 한국 최초의 고고학 유적 중 하나이다. 송국리와 유사한 둥근 움집은 이후 다른 고고학 유적에서도 발견되었으며, 이와 함께 다른 연관된 유물들이 함께 발견되면서 고고학자들은 송국리를 중기 무문 토기 문화의 유형 유적으로 사용하고, 이곳과 다른 중기 무문 유적의 특징과 유물을 '송국리식'으로 명명하게 되었다.[2] 특히 '송국리식' 움집이라는 용어는 한국 남부의 중기 무문 시대 주거지에 주어진 유형학적 명칭이다.
3. 2. 제의 시설
두 줄로 길게 늘어선 나무기둥열(列)이 확인되었는데, 약 200m에 걸쳐 쌍을 이루며 모두 북쪽에 위치한 1호 석관묘를 향하고 있었다. 석관묘에서는 비파형 동검, 동착, 관옥 등 권위를 상징하는 유물들이 함께 발견되어 마을의 지배자가 묻힌 것으로 추정되며, 이 나무기둥열은 무덤군으로 향하는 제의를 위한 통로 시설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9]
3. 3. 기타 유구
대지 조성 과정에서 만들어진 도랑 모양의 구상유구(溝狀遺構) 7기가 확인되었는데, 안은 회색과 적색 등의 점토 덩어리(토괴, 土塊)로 무질서하게 메워져 있었다.[9] 유적 주거 구역 중 하나를 둘러싸고 목책의 증거가 발견되어, 고고학자들은 지역 무문 사회의 갈등과 경쟁에 대한 가설을 세우게 되었다.
4. 유물
송국리 유적에서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집터 안에서는 돌칼, 돌화살촉, 방추차, 돌도끼 등 다양한 석기와 많은 양의 불탄 쌀, 불탄 채 발견된 벽체 판자가 나왔다.[1] 비파형 동검(요령식 동검), 청동 도끼 거푸집(동부용범)도 출토되었으며,[3] 큰 원통형 녹색 돌 구슬, 둥근 평면 형태의 움집 등이 발견되었다.[2] 정교하게 만들어진 갈돌제 단검을 가진 고위층의 석관과 많은 옹관도 출토되었다.[4]
4. 1. 토기
송국리 유적에서는 무문토기, 붉은 간토기(홍도), 검은 간토기(흑도) 등 다양한 종류의 토기가 출토되었다.[1] 무문토기는 납작한 밑, 긴 달걀형의 몸체, 목이 없이 아가리가 밖으로 약간 꺾인 모습을 하고 있어 이전의 무문토기와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송국리식 토기'라고 불린다.[1] 집터 서쪽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무문토기 가마터가 확인되었다.[1]4. 2. 석기
돌칼, 돌화살촉, 방추차, 돌도끼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간석기들이 출토되었다.[1]4. 3. 청동기
비파형 동검(요령식 동검)과 청동 도끼 거푸집(동부용범)이 출토되었다.[3] 청동 도끼 거푸집은 부채날형 청동 도끼의 틀로서 요령 지역의 것과 닮아, 당시 요령 지역과 송국리 유적 사이에 활발한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준다.[3]4. 4. 기타 유물
집터 안에서는 돌칼, 돌화살촉, 방추차, 돌도끼를 비롯한 다양한 석기들이 출토되었다. 많은 양의 불탄쌀과 벽체에 세웠던 판자가 불탄 채로 발견되었고, 청동도끼 거푸집(동부용범)이 출토되었다.[1] 청동도끼 거푸집은 부채날형 청동도끼의 틀로서 요령지역의 것과 닮은 것이다.[1] 이 유적에서는 청동기와 큰 원통형 녹색 돌 구슬,[2] 다수의 큰 원통형 녹색 돌 장식품, 정교하게 만들어진 갈돌제 단검을 가진 고위층의 석관도 발견되었다.[4]5. 시대적 의의
송국리 유적은 기원전 7~6세기 청동기 시대 사람들이 농경과 수렵 생활을 했던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이곳에서는 청동 유물, 큰 관 모양의 비취 구슬, 둥근 평면 형태의 움집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1][2]
특히, 송국리 유적과 비슷한 둥근 움집은 다른 유적에서도 발견되었는데, 고고학자들은 이러한 형태의 움집과 관련 유물을 '송국리식'이라고 부른다.[2] 송국리 유적은 국립중앙박물관의 여러 분관에서 발굴 조사를 진행했다.
송국리 유적에서는 사회적 지위 구별[4]과 옥 및 금속(예: 요녕식 청동 단검)과 같은 위세품을 무덤에 함께 묻는 풍습이 확인되었다. 이는 당시 사회가 계층화되었고, 종교 의례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특징들은 송국리 유적이 마한, 변한과 같은 삼한과 백제와 같은 초기 국가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요녕식 동검의 출토는 한반도와 중국 요령 지역 간의 활발한 교류를 보여준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동북아 평화 번영 정책과도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이다. 송국리에서 발견된 쌀은 공동체 음식이었음을 알 수 있다.[6]
6. 추가 정보
현재 5기의 집터가 움집 형태로 복구되었다.[1] 송국리 유적과 관련된 발굴 보고서는 국립중앙박물관, 부여국립박물관, 공주국립박물관 등에서 간행되었다. 관련 보고서는 다음과 같다.
기관 | 보고서 제목 및 내용 |
---|---|
부여국립박물관 | 송국리 VI (송국리 유적 VI). 국립박물관 고고유물 조사보고, 제6권. 부여국립박물관, 부여. (2000) |
공주국립박물관 | 송국리 V: 목책 (1) (송국리 유적 V: 목책 (1)). 공주국립박물관, 공주. (1993) |
국립중앙박물관 | 송국리 I (송국리 유적 I). 국립박물관 고고유물 조사보고, 제11권.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1979) |
송국리 II (송국리 유적 II). 국립박물관 고고유물 조사보고, 제18권.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1986) | |
송국리 III (송국리 유적 III). 국립박물관 고고유물 조사보고, 제19권.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1987) |
참조
[1]
논문
Important Prehistoric Sites
https://www.dbpia.co[...]
1977-04
[2]
논문
The Bronze Dagger Culture of Liaoning Province and the Korean Peninsula
https://www.dbpia.co[...]
1996-12
[3]
논문
A Review of the Songguk-ri Site
https://www.dbpia.co[...]
2022-06
[4]
논문
Changing Components of Power among Ancient Chiefs in the Korean Peninsula
2012
[5]
학위논문
Emergence of Agricultural Society: A Chronological Review of the Early and Middle Bronze Age on the Korean Peninsula
2011
[6]
논문
Rice in ancient Korea: status symbol or community food?
2015-08
[7]
논문
The Making and Use of the Bifid Ornamental Hairpin Stone Mold Excavated at Neungsan-ri, Buyeo
2021-06-30
[8]
논문
Recent Developments and Debates in Korean Prehistoric Archaeology
2015
[9]
웹인용
부여 송국리 유적에서 청동기시대 대규모 성토층 확인
https://www.khs.go.k[...]
2024-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