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동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동강은 랑림산맥과 묘향산맥 사이에서 발원하여 황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과거에는 패수 또는 패강으로 불리기도 했다. 고구려 시대부터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유적과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삼국 통일 과정에서 신라와 당나라의 국경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임진왜란, 제너럴 셔먼호 사건, 푸에블로호 사건 등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으며, 평양 시내를 관통하며 릉라도, 양각도 등 여러 섬을 품고 있다. 평양에는 청류교, 옥류교, 릉라교, 대동교 등 여러 다리가 건설되었고, 남포에는 서해갑문이 설치되어 수운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동강 - 서해갑문 (남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포시 대동강 하구에 위치한 서해갑문은 대동강 수위 유지, 남포항 확장, 농업 및 공업용수 확보를 목적으로 건설되어 북한 선전 매체에 자주 등장하고 외국인 관광객 방문 장소로 활용되지만, 건설 과정에서의 인명 피해와 환경 오염 문제도 제기된다.
  • 평안남도의 지리 - 보통강
    죄송합니다. 제공된 본문이 없어 "보통강" 위키 페이지의 개요를 요약할 수 없습니다. 본문을 제공해주시면 주어진 지침에 따라 개요를 요약해 드리겠습니다.
  • 평안남도의 지리 - 송도역 (안주)
    송도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안주시에 있는 철도역이며, 북한 철도 노선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황해북도의 지리 - 재령강
  • 황해북도의 지리 - 례성강
대동강
지도
대동강 지도
기본 정보
이름 (한국어)대동강
이름 (한자)大同江
로마자 표기 (문화어)Taedonggang
로마자 표기 (개정)Daedonggang
위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길이439km
유역 면적20,344km²
발원지랑림산맥, 함경남도
하구서조선만
지리
수계 등급해당 정보 없음
수원랑림산맥, 묘향산맥
하구황해, 서조선만
유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유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타 정보
비고19세기 서양 문헌에서는 'Tai-tang'으로 표기됨

2. 역사

대동강 유역은 신석기 시대청동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고구려 건국의 중심지였다.[13][3] 강 유역에서는 선사 시대 유적과 함께 고구려 관련 유물과 유적이 다수 발견되었다.

과거에는 패수(浿水) 또는 패강(浿江)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13][15][16][3] 본래 '국경의 강'이라는 의미를 지녔다. 삼국통일 과정에서 신라당나라가 합의한 국경이 되면서 통일신라의 북쪽 경계선 역할을 하였고, 이후 '패수'는 대동강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점차 굳어졌다.[15]

1592년 임진왜란 때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을 받은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끄는 일본군이 평양 근처 대동강 유역까지 침략해왔다.

근현대사에서는 1866년 제너럴 셔먼호 사건과 1968년 푸에블로호 사건 등 외세와 관련된 주요 사건의 무대가 되었다. 푸에블로호 사건으로 나포미국 해군의 푸에블로호는 현재도 평양 직할시 내 대동강에서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2. 1. 고대

고구려는 대동강 유역에 기반을 두고 성장하였다. 강 유역에서는 신석기 시대청동기 시대의 유적뿐만 아니라 고구려 관련 유물과 유적이 다수 발견되었다.[13][3]

대동강은 과거 패수(浿水) 또는 패강(浿江)이라고 불렸다.[13][15][16][3] '패수'라는 명칭은 본래 특정 강을 지칭하는 고유명사가 아니라 '국경의 강'을 의미하는 일반명사였다. 예를 들어, 고구려 장수왕백제의 수도 위례성을 점령한 475년 이전까지 백제에게 '패수'는 북쪽의 낙랑, 고구려와의 경계를 이루던 예성강을 가리켰다.

이후 삼국통일 과정에서 신라당나라는 패수(浿水)를 양국 간의 국경으로 삼기로 합의하였고, 이때의 패수는 대동강을 지칭하는 것이었다. 이 합의를 통해 대동강은 통일신라의 북쪽 국경 하천이 되었으며, 이때부터 '패수'는 점차 대동강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굳어지게 되었다.[15]

2. 2. 삼국 통일 전쟁과 신라

대동강은 과거 패수(浿水) 또는 패강(浿江)이라고 불리기도 했다.[15][16] '패수'는 원래 특정한 강을 가리키는 고유명사가 아니라 '국경의 강'을 가리키는 일반명사였다. 예를 들어, 고구려 장수왕위례성을 점령한 475년 전까지 백제에게 패수는 북쪽의 낙랑, 고구려와 국경이었던 예성강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삼국통일 과정에서 신라당나라가 합의한 국경으로 대동강이 통일신라국경 하천인 패수(浿水)가 되었는데, 이후에 패수는 대동강을 가리키는 말로 굳어졌다.[15]

2. 3. 근현대

1866년에 제너럴 셔먼호 사건이 발발했다.

1968년에는 푸에블로호 사건이 발생했으며, 이 사건으로 나포미국 해군의 푸에블로호가 평양 직할시 내 대동강에서 일반에 공개되었다.

3. 지리

대동강은 랑림산맥묘향산맥 사이에서 발원하여, 굽이쳐 흐르면서 낙랑 준평원을 거쳐 황해로 흘러든다. 이 과정에서 마탄강, 비류강, 보통강, 재령강 등 크고 작은 여러 지류와 합류한다.

강 하류 주변부에는 평양 시가지가 넓게 펼쳐져 있으며, 강의 오른쪽 강둑(우안)에 평양의 중심부가 위치한다. 평양 시가지 부근의 본류에는 여러 사주(모래섬)가 형성되어 있다.

3. 1. 지류

대동강은 마탄강, 비류강, 보통강, 재령강 등 크고 작은 지류를 합류하며 황해로 흘러든다.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 재령강
  • * 서강
  • * 서흥강
  • * 은파천
  • * 전탄천
  • * 곡천
  • * 문암천
  • 황주천
  • * 덕화천
  • * 석화천
  • * 계심천
  • * 미산천
  • * 먹지천
  • * 홍교천
  • 매상천
  • 보통강
  • * 시정천
  • * 상서천
  • * 천북천
  • * 서포천
  • 무진천
  • 남강
  • * 상원강
  • * 배미천
  • * 용천
  • * 봉명천
  • * 곡산천
  • * 두무강
  • * 선암천
  • * 약수천
  • * 송강천
  • 비류강
  • * 평원천
  • * 소창천
  • * 금평천
  • * 옥류천
  • * 맹산개
  • * 필밀천
  • * 지동천
  • * 성저천


대동강의 유로

3. 2. 섬

양각도 - 평양의 강 한가운데 있는 섬


평양 시가지 부근의 대동강 본류에는 여러 사주(모래섬)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섬은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릉라도, 양각도, 애도, 두로도, 군유도 순서로 자리 잡고 있다.

4. 교량

평양 시내를 흐르는 대동강에는 청류교, 옥류교, 릉라교, 대동교, 양각교, 충성의 다리를 포함하여 총 여섯 개의 다리가 놓여 있다.[8]

한국 전쟁 중이던 1950년, 평양의 대동강 철교가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다. 당시 수많은 피난민들이 부서진 다리 위를 위태롭게 건너 남쪽으로 향했는데, 이 모습을 담은 맥스 데스포 기자의 사진 ''한국의 파괴된 다리를 건너는 피난민의 행렬''은 전쟁의 참상을 생생하게 보여주며 1951년 퓰리처상 퓰리처상 사진 부문을 수상했다.[4][5]

5. 수운

서해갑문 등의 갑문이 있다. 한때 동조선만과 연결하는 운하 건설이 구상되기도 했다.[14]

1986년, 북한 정부는 남포 인근 대동강 하구에 8km 길이의 서해갑문을 완공했다. 이 갑문에는 3개의 수문과 36개의 수문이 설치되어 있다.[2] 서해갑문은 강의 홍수를 조절하고 서한만에서 간척된 토지에 물을 공급하는 관개 목적으로 건설되었다.[2] 그러나 이 댐으로 인해 강물이 바닷물과 섞이는 것이 차단되면서, 강물의 흐름이 정체되어 오염 물질의 농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6]

6. 주변 명소



1889년 대동강의 모습


남포의 대동강


남포의 강

참조

[1]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 Taedong River http://www.britannic[...]
[2] 논문 North Korea in 1986: Strengthening the Soviet Connection 1987
[3] 간행물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https://books.google[...] 1973
[4] 서적 The Pulitzer Prize Photographs Newseum Inc.
[5] 웹사이트 Max Desfor of Associated Press https://www.pulitzer[...] 2020-11-25
[6] 논문 International Health: North Korean Catastrophe 2005
[7] 간행물 Korea Today No. 640 https://www.kcckp.ne[...] 2009-10
[8] 문서 옥류교 (Okryu Bridge) 2010-07-02
[9] 뉴스 黒い山葡萄原人 https://www.youtube.[...] 2022-03-28
[10] 뉴스 지평선/6월 27일 대동강 문화 http://news.hankooki[...] 2011-06-26
[11] 서적 수문학 구미서관 2018
[12] 웹인용 대동강(大同江) http://cybernk.net/i[...]
[13] 간행물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https://books.google[...] 1973
[14] 뉴스 北韓, 동서해안 연결 운하건설 구상 http://news.naver.co[...]
[15] 뉴스 대동강 https://news.v.daum.[...] 2013-02-15
[16] 간행물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http://books.google.[...] 197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