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둔두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둔두주는 콩고 민주 공화국의 주로, 1966년 킬루, 쾅고, 마이-돔베 지역을 합병하여 형성되었다. 2006년 헌법에 따라 2015년 재분할을 통해 킬루, 쾅고, 마이-돔베의 3개 주로 다시 나뉘었다. 주도는 반둔두이며, 카사이 강이 동서로 흐르고, 사바나 지형을 보인다. 주요 경제 활동은 농업이며, 마니옥, 옥수수 등을 재배한다. 반둔두 대학교와 키크위트 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반둔두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반둔두 주 |
원어 이름 | Province du Bandundu |
국가 | 콩고 민주 공화국 |
유형 | 주 |
수도 | 반둔두 |
가장 큰 도시 | 키크위트 |
공식 언어 | 프랑스어 |
국가 언어 | 키콩고 야 레타, 링갈라 |
행정 | |
주지사 | 장 카미센두 쿠투카 |
면적 | |
총 면적 | 295658 km2 |
인구 | |
총 인구 (2010년 추정) | 8062463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위키데이터 Q806421 |
역사 (구) | |
존속 기간 | 1966년 7월 1일 ~ 2009년 2월 18일 |
2. 역사
반둔두 주는 1966년에 기존의 킬루(Kwilu), 쾅고(Kwango), 마이-돔베(Mai-Ndombe) 세 지역을 합병하여 만들어졌다.[1] 이 세 지역은 1960년 콩고 민주 공화국이 독립한 이후 존재했던 행정 구역이었다. 이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반둔두 주는 다시 분할되었는데, 2006년 헌법을 근거로 2015년 재분할을 통해 이전의 세 지역으로 나누어졌다는 설명[1][2]과, 2005년 헌법에 따라 2009년 2월 18일에 분할되었다는 설명이 있다.
2. 1. 반둔두 주의 형성 (1966년)
반둔두주는 1966년, 1960년 콩고 민주 공화국 독립 이후 존재했던 세 개의 주(州), 즉 킬루(Kwilu), 쾅고(Kwango), 마이-돔베(Mai-Ndombe)를 합병하여 형성되었다.[1] 이 세 지역은 식민지 시대 이후의 정치 구역들이었다.이후 콩고 민주 공화국의 행정 구역 개편 과정에서, 2006년 헌법에 따라 반둔두주를 다시 이전의 세 주로 분할할 계획이 세워졌다.[1] 이 계획은 2015년 재분할 때 최종적으로 실행되었다.[2] 다만, 다른 자료에서는 2005년 헌법에 따라 2009년 2월 18일에 분할이 이루어졌다고 언급하기도 한다.
2. 2. 2015년 재분할
반둔두 주는 1966년 식민지 시대 이후의 세 정치 지역인 킬루, 쾅고, 마이-돔베를 합병하여 형성되었다. 2006년 헌법에 따라 반둔두 주는 이 세 지역으로 다시 분할될 예정이었다.[1] 이 계획은 2015년 재분할을 통해 최종적으로 실행되었다.[2] 이 재분할로 인해 다음과 같은 주들이 새롭게 형성되었다.- 킬루 주: 기존의 킬루 구역과 반둔두 시, 키크위트 시를 합쳐 만들어졌다.
- 쾅고 주: 기존의 쾅고 구역을 기반으로 형성되었다.
- 마이-돔베 주: 기존의 플라토 구역과 마이-돔베 구역을 합쳐 형성되었다.
3. 지리
반둔두 주의 지형은 주로 사바나로 덮인 고원 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꺼운 숲으로 둘러싸인 강과 시내가 이를 관통하는 특징을 보인다.[8] 주요 강과 호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1. 주요 강 및 호수

반둔두 주의 지형은 주로 사바나로 덮인 고원 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꺼운 숲으로 둘러싸인 강과 시내가 이를 관통한다.[8]
주는 서쪽 경계에서 콩고 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카사이 강에 의해 양분된다. 다른 주요 강으로는 콰고 강, 궨게 강, 퀼루 강 및 루케니 강이 있다.[7]
마이-돔베 호는 주에서 가장 큰 호수이며, 이 호수와 주변의 늪지 숲은 툼바-응기리-마이돔베 람사르 습지의 남쪽 부분을 형성한다.[3]
4. 경제
대부분의 마을은 고지대에 위치하며, 주민들은 계곡에서 화전 농업을 한다. 주요 작물은 마니옥(카사바), 옥수수, 호박, 콩 등이다. 주민들은 닭, 오리, 염소, 양, 소와 같은 가축을 기르며, 물고기와 숲고기로 식단을 보충한다. 최근에는 휴대폰, 텔레비전, 음향 시스템과 같은 전자 제품을 판매하는 소수의 인도 및 중국 상인들이 가게를 열기도 했다.[8]
5. 행정 구역
반둔두주는 반둔두, 키크위트 2개 시와 쾅고, 킬루, 마이-돔베, 플라토 4개 구로 나뉜다. 주요 도시와 마을 목록은 하위 문서를 참조하라.
5. 1. 주요 도시

반둔두주는 반둔두, 키크위트 시와 쾅고, 킬루, 마이-돔베, 플라토 구로 나뉜다.
2010년 인구가 포함된 주요 도시와 마을은 다음과 같다.
이름 | 구 | 테리토리 | 2010년 인구[4] | 좌표[4] |
---|---|---|---|---|
바가타 | 킬루 구 | 바가타 테리토리 | 18,938 | |
반둔두 | (시) | (시) | 137,460 | |
볼로보 | 플라토 구 | 볼로보 테리토리 | 31,735 | |
불룽구 | 킬루 구 | 불룽구 테리토리 | 54,880 | |
디바야-루브웨 | 킬루 구 | 이디오파 테리토리 | 42,390 | |
페시 | 쾅고 구 | 페시 테리토리 | 7,591 | |
군구 | 킬루 구 | 군구 테리토리 | 22,946 | |
이디오파 | 킬루 구 | 이디오파 테리토리 | 58,637 | |
이노고 | 마이-돔베 구 | 이노고 테리토리 | 46,657 | |
카헴바 | 쾅고 구 | 카헴바 테리토리 | 18,061 | |
카손고-룬다 | 쾅고 구 | 카손고-룬다 테리토리 | 22,860 | |
켄게 | 쾅고 구 | 켄게 테리토리 | 42,884 | |
키크위트 | (시) | (시) | 370,328 | |
키리 | 마이-돔베 구 | 키리 테리토리 | 14,033 | |
쿠투 | 마이-돔베 구 | 쿠투 테리토리 | 37,405 | |
망가이 | 킬루 구 | 이디오파 테리토리 | 41,155 | |
마시-마님바 | 킬루 구 | 마시-마님바 테리토리 | 30,542 | |
무시 | 플라토 구 | 무시 테리토리 | 42,409 | |
오슈웨 | 마이-돔베 구 | 오슈웨 테리토리 | 21,681 | |
포포카바카 | 쾅고 구 | 포포카바카 테리토리 | 12,564 | |
방가 | 킬루 구 | 불룽구 테리토리 | 12,564 |
'''마테코'''는 반둔두 주에 위치한 도시로, 총 인구는 2,367명이다. 킬루 구의 이디오파 테리토리 북서부에 위치한다. 마테코라는 명칭은 섹터(Collectivite), 지방 자치 단체(Groupement), 도시(Cite)를 모두 가리킨다. 이디오파 테리토리의 주요 항구 중 하나인 파누에서 약 45km 떨어져 있다. 마테코는 카문차, 디암발라 강, 마줄루, 킴펠레와 같은 여러 강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중 카문차 강은 마테코에서 가장 가까운 큰 강으로, 카사이 강의 지류이며 마테코와 킨샤사 사이의 교역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키콩고어(키투바)가 마테코의 주요 언어이다.
6. 주민
(내용 없음)
6. 1. 언어
반둔두주에서는 주로 두 개의 통상 언어가 사용되었다. 카사이강 북쪽 지역에서는 린갈라어가 사용되었고, 강 남쪽 지역에서는 키투바어(키콩고 야 레타 또는 주의 콩고어라고도 불린다)가 사용되었다. 이 언어들은 해당 지역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되어 많은 주민들이 모국어처럼 사용하며 자랐다.[5] 또한, 이 언어들은 콩고 민주 공화국 내 여러 지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레레어, 킴발라어,[5] 키삼바어, 웡고어[6]와 같은 여러 지역 방언이 존재한다.6. 2. 생활
반둔두 시민들은 주로 식료품, 다양한 미용 용품, 가발 등을 판매하는 소규모 상점을 운영하며 생계를 유지한다. 최근에는 외국인 기업가들이 전자제품 상점 등을 열면서 시장에서의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다.[1]킨샤사에서 반둔두까지 버스는 주 2회 운행하며, 편도 요금은 30USD이다. 페리는 오전 7시부터 오후 5시까지만 운행한다. 도시에는 2개의 텔레비전 방송국이 있으며, 주로 킨샤사에서 송출되는 지역 뉴스, 종교 프로그램, 또는 국가의 인기 스포츠인 축구 경기를 방송한다.[1]
숙박 시설로는 Hotel Vendome|호텔 벤돔fra과 같은 호텔들이 시내 중심가에서 자체 인터넷 서비스를 포함한 편의 시설을 갖추며 점차 발전하고 있다. 국제 방문객은 드물지만, 비정부 기구(NGO)나 지방 정부 관련 업무로 방문하는 경우는 가끔 있다.[1]
여가 활동으로는 젊은이들을 위한 야외 디스코텍인 Chez Jacque|셰 자크fra가 콩고 음악을 즐길 수 있는 밤문화를 제공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민들은 음악을 들으며 구운 염소 고기와 맥주(Primus|프리무스fra, Mitzig|미치그deu, Doppel|도펠deu 등)를 즐길 수 있는 노천 카페를 더 선호한다.[1]
반둔두의 주요 지역 교통 수단은 자전거와 오토바이이며, 오토바이는 링갈라어로 '가자'라는 뜻의 '톨레카'(Tolekalin)라고 불린다. 교통 흐름은 많지 않은 자동차, 오토바이, 보행자, 손수레 사이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각 교차로에서 경찰의 엄격한 지시에 따라 이루어진다.[1]
지역 문화 센터는 졸업식, 공공 서비스 행사, 교회 행사 등에 사용된다. 현지 및 국제 통화 환전을 위한 Soficom|소피콤fra이나 웨스턴 유니언 같은 환전소도 있다. 음악은 콩고 생활의 중요한 부분으로, 특히 룸바에 대한 애정이 깊다. 킹 케스터 에메네야(King Kester Emeneya)와 같은 음악가들은 쿠바 음악의 영향을 받은 오래된 삼바 리듬에 맞춰 노래하며 댄스 플로어를 장악하기도 한다.[1]
7. 교육
- 반둥두 대학교
- 키크위트 대학교
참조
[1]
웹사이트
Constitution de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Article 226
http://fr.wikisource[...]
Wikisource
[2]
뉴스
RDC: démembrement effectif du Bandundu
https://www.radiooka[...]
2020-06-04
[3]
웹사이트
Logging concession different periods
https://web.archive.[...]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ecurity
2012-01-28
[4]
웹사이트
Bandundu: largest cities and towns and statistics of their population
https://archive.toda[...]
World Gazetteer
[5]
문서
personal experience
[6]
웹사이트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www.ethnologu[...]
[7]
웹사이트
Découpage administratif de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https://web.archive.[...]
PNUD-SIG
2011-12-09
[8]
웹사이트
Bandundu
https://web.archive.[...]
2012-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