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 국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해 국왕은 발해를 통치한 군주를 의미한다. 발해는 고왕 대조영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무왕, 문왕, 선왕 시기에 전성기를 누렸다. 역대 국왕으로는 고왕 대조영, 무왕 대무예, 문왕 대흠무, 선왕 대인수 등이 있으며, 926년 멸망 시까지 15명의 국왕이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해 멸망 이후 마지막 왕인 대인선의 아들 대광현은 고려로 귀순하였으며, 그의 후손들이 한국의 대씨(大氏)와 태씨(太氏) 성씨의 시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군주 목록 - 백제 국왕
백제 국왕은 기원전 18년 온조왕이 건국하여 660년 의자왕 때 멸망할 때까지 678년간 백제를 다스린 32명의 군주를 지칭하며, 초기 국가 기반 마련, 근초고왕 때 전성기, 성왕의 문화 발전 기여 등이 있었으나 의자왕 때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했다. - 한국의 군주 목록 - 고려 국왕
고려 국왕은 918년부터 1392년까지 존속한 고려의 역대 국왕들을 지칭하며, 태조 왕건부터 공양왕까지 총 34명의 국왕 목록과 추존 국왕, 추존 제후왕 및 심양왕·심왕의 목록, 그리고 고려 왕실 가계도를 제공한다. - 발해 국왕 - 대현석
대현석은 대야발의 7대손이자 발해의 왕으로, 일본과 교역하고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하는 등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펼치며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 발해 국왕 - 대이진
대이진은 발해의 제11대 왕으로 당나라와의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문물 교류에 힘썼고, 중앙 집권적인 행정 제도를 확립하고 군사 기구를 발전시켜 국가 체제를 강화하려 했다.
| 발해 국왕 | |
|---|---|
| 발해 국왕 정보 | |
| 역대 국왕 | |
| 제1대 | 고왕 대조영 (大祚榮) |
| 재위 기간 | 698년 ~ 719년 (22년) |
| 연호 | 천통(天統) |
| 휘 | 조영(祚榮) |
| 시호 | 열조(烈祖) 고황제(高皇帝) |
| 능호 | 미상 |
| 제2대 | 무왕 대무예 (大武藝) |
| 재위 기간 | 719년 ~ 737년 (19년) |
| 연호 | 인안(仁安) |
| 휘 | 무예(武藝) |
| 시호 | 무왕(武王) |
| 능호 | 미상 |
| 제3대 | 문왕 대흠무 (大欽茂) |
| 재위 기간 | 737년 ~ 793년 (57년) |
| 연호 | 대흥(大興), 보력(寶曆) |
| 휘 | 흠무(欽茂) |
| 시호 | 문왕(文王) |
| 능호 | 미상 |
| 제4대 | 강왕 대숭린 (大嵩璘) |
| 재위 기간 | 793년 ~ 794년 (2년) |
| 연호 | 정력(正曆) |
| 휘 | 숭린(嵩璘) |
| 시호 | 강왕(康王) |
| 능호 | 미상 |
| 제5대 | 정왕 대원유 (大元瑜) |
| 재위 기간 | 794년 |
| 연호 | 중흥(中興) |
| 휘 | 원유(元瑜) |
| 시호 | 정왕(定王) |
| 능호 | 미상 |
| 제6대 | 화왕 대연준 (大燕準) |
| 재위 기간 | 794년 ~ 809년 (16년) |
| 연호 | 영덕(永德) |
| 휘 | 연준(燕準) |
| 시호 | 화왕(和王) |
| 능호 | 미상 |
| 제7대 | 간왕 대명충 (大明忠) |
| 재위 기간 | 809년 ~ 812년 (4년) |
| 연호 | 주작(朱雀) |
| 휘 | 명충(明忠) |
| 시호 | 간왕(簡王) |
| 능호 | 미상 |
| 제8대 | 선왕 대인수 (大仁秀) |
| 재위 기간 | 812년 ~ 830년 (19년) |
| 연호 | 태시(太始) |
| 휘 | 인수(仁秀) |
| 시호 | 선왕(宣王) |
| 능호 | 미상 |
| 제9대 | 이진왕 대이진 (大彝震) |
| 재위 기간 | 830년 ~ 857년 (28년) |
| 연호 | 함화(咸和) |
| 휘 | 이진(彝震) |
| 시호 | 미상 |
| 능호 | 미상 |
| 제10대 | 희왕 대건황 (大虔晃) |
| 재위 기간 | 857년 ~ 871년 (15년) |
| 연호 | 건녕(建寧) |
| 휘 | 건황(虔晃) |
| 시호 | 희왕(僖王) |
| 능호 | 미상 |
| 제11대 | 경왕 대위해 (大瑋瑎) |
| 재위 기간 | 871년 ~ 895년 (25년) |
| 연호 | 미상 |
| 휘 | 위해(瑋瑎) |
| 시호 | 경왕(景王) |
| 능호 | 미상 |
| 제12대 | 미상 |
| 재위 기간 | 미상 |
| 연호 | 미상 |
| 휘 | 미상 |
| 시호 | 미상 |
| 능호 | 미상 |
| 제13대 | 애왕 대인선 (大諲譔) |
| 재위 기간 | 906년 ~ 926년 (21년) |
| 연호 | 미상 |
| 휘 | 인선(諲譔) |
| 시호 | 애왕(哀王) |
| 능호 | 미상 |
2. 역대 국왕 목록
| 대수 | 시호 | 휘 | 재위 기간 | 가족관계 |
|---|---|---|---|---|
| 1 | 고왕 | 대조영 | 698년 ~ 719년 | 발해 건국 시조 |
| 2 | 무왕 | 대무예 | 719년 ~ 737년 | 고왕의 아들 |
| 3 | 문왕 | 대흠무 | 737년 ~ 793년 | 무왕의 아들 |
| 4 | 폐왕 | 대원의 | 793년 | 문왕의 족제 |
| 5 | 성왕 | 대화여 | 793년 ~ 794년 | 문왕의 손자 |
| 6 | 강왕 | 대숭린 | 794년 ~ 809년 | 성왕의 숙부 |
| 7 | 정왕 | 대원유 | 809년 ~ 812년 | 강왕의 아들 |
| 8 | 희왕 | 대언의 | 812년 ~ 817년 | 정왕의 동생 |
| 9 | 간왕 | 대명충 | 817년 ~ 818년 | 희왕의 동생 |
| 10 | 선왕 | 대인수 | 818년 ~ 830년 | 고왕의 동생인 대야발의 증손, 간왕의 종부(從父) |
| 11 | 대이진 | 830년 ~ 857년 | 선왕의 손자, 대신덕의 아들 | |
| 12 | 대건황 | 857년 ~ 871년 | 대이진의 동생 | |
| 13 | 대현석 | 871년 ~ 894년? | 대건황의 손자 | |
| 14 | 대위해 | 894년? ~ 906년? | 김육불에 의해 존재가 드러남 | |
| 15 | 대인선 | 906년? ~ 926년 | 발해의 마지막 왕 |
발해 왕실의 후손으로는 대광현, 대도수, 대연림 등이 있다. 대광현은 발해의 마지막 왕인 대인선의 태자로, 934년 고려로 귀순하였다. 태조 왕건은 그에게 왕계(王繼)라는 성명을 하사하였다. 대도수는 대광현의 아들로, 고려 현종 때 대장이 되었다. 한국의 대씨(大氏)와 태씨(太氏)는 모두 대도수의 후손이다. 대연림은 1029년 흥료국을 세웠으나 거란에 패배하고 죽었다. 그는 대조영의 7세손이라고 전해지지만, 대조영과 살던 시대가 약 340년으로 멀어 기록의 신빙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3. 발해 왕위 계보
대수 시호 휘 재위 기간 가족 관계 1 고왕 대조영 698년 ~ 719년 발해 건국 시조 2 무왕 대무예 719년 ~ 737년 고왕의 아들 3 문왕 대흠무 737년 ~ 793년 무왕의 아들 4 폐왕 대원의 793년 문왕의 족제 5 성왕 대화여 793년 ~ 794년 문왕의 손자 6 강왕 대숭린 794년 ~ 809년 성왕의 숙부 7 정왕 대원유 809년 ~ 812년 강왕의 아들 8 희왕 대언의 812년 ~ 817년 정왕의 동생 9 간왕 대명충 817년 ~ 818년 희왕의 동생 10 선왕 대인수 818년 ~ 830년 고왕의 동생인 대야발의 증손, 간왕의 종부(從父) 11 대이진 830년 ~ 857년 선왕의 손자, 대신덕의 아들 12 대건황 857년 ~ 871년 대이진의 동생 13 대현석 871년 ~ 894년? 대건황의 손자 14 대위해 894년? ~ 906년? 김육불에 의해 존재가 드러남 15 대인선 906년? ~ 926년 발해의 마지막 왕
4. 발해 왕실 후손
4. 1. 고려 귀순 왕족
4. 2. 흥료국
대연림은 1029년 흥료국을 세웠으나 거란에 패배하고 죽었다. 그가 대조영의 7세손이라 전하나, 대조영과 살던 시대가 약 340년으로 멀어 기록을 신뢰하기 어렵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