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은 베트남, 조선, 일본 등에서 사용된 행정 구역 단위이다. 베트남의 방(프엉)은 도시의 동에 해당하는 행정 단위로, 중앙직할시, 성직할시, 시사 아래에 위치하며, 2008년 기준 1327개가 존재한다. 조선 시대 한성부에는 1396년부터 1894년까지 5부 52방 체제가 유지되었으며, 갑오개혁으로 동(洞)으로 개편되었다. 일본 헤이안쿄의 조방제에서는 1방이 4보, 1보는 4정으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행정 구역 - 십삼도
십삼도는 1896년 조선이 23부제를 개편하며 전국을 13개 도로 재편하고 관찰사를 둔 행정구역 체계로, 일제강점기까지 행정구역 개편을 거치며 유지되다가 해방 이후 남북한의 상이한 행정구역 체계로 나뉘었다. - 조선의 행정 구역 - 이십삼부
이십삼부는 1895년 갑오개혁으로 조선 정부가 8도 체제를 대체하여 시행한 지방 행정 구역 개편으로, 중앙집권화 강화 및 행정 효율성 증대를 목표로 전국을 23개의 관찰부로 재편하고 행정 구역 명칭을 ‘군’으로 통일했으나, 행정 불균형, 통상 업무 혼란, 군 등급제로 인한 불평등 심화 등의 문제로 중앙집권화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 - 베트남의 행정 구역 - 하노이
하노이는 베트남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 중 하나로, 오랜 역사 동안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기원전부터 정치적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해왔고, 프랑스 식민지 시대와 베트남 전쟁을 거쳐 통일 베트남의 수도가 되었으며, 현재는 현대적인 도시 개발과 함께 중요한 관광 명소이다. - 베트남의 행정 구역 - 베트남의 성
베트남의 성은 중앙 정부의 지도 아래 인민회의와 인민위원회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1차 행정 구역으로, 베트남 공산당 성위원회가 실질적인 지도 역할을 수행하며, 인민위원회, 인민재판소, 경찰국, 성 군사령부 등이 중앙 정부의 정책을 이행하고, 2019년 기준 5개의 중앙 직할시와 58개의 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 (행정 구역) | |
---|---|
개요 | |
국가 | 베트남 |
종류 | 3단계 행정 구역 |
상위 행정 구역 | 군, 시사, 성시 |
행정 | |
성격 | 도시 지역의 하위 행정 단위 |
하위 행정 구역 | 구, 읍, 면 |
법적 지위 | 인민위원회 (UBND)에서 관리 |
언어별 명칭 | |
베트남어 | Phường |
한자 | 坊 |
한국어 | 방 (坊) |
일본어 | 町 (ちょう) |
중국어 | 坊 (fāng) |
영어 | Ward |
2. 베트남의 방 (프엉)
베트남의 행정 구역 단위인 '프엉'(Phường|坊vi)은 베트남 도시의 동(洞)에 해당한다. 1992년 헌법과 2013년 헌법 제110조 및 지방 정부 조직법 제2조에 따라 규정되어 있다.
2. 1. 프엉의 정의와 역할
베트남 도시의 동(洞)에 해당하는 행정단위로 베트남어로는 '''프엉'''(Phường|坊vi)이라고 읽는다.1992년 헌법에 따르면, 중앙직할시(Thành phố trực thuộc Trung ương 城舗直屬中央) 군(Quận|郡vi), 성직할시(thành phố trực thuộc tỉnh 城舗直屬省), 중앙직할시와 성 아래의 시사(thị xã ,市社) 아래에 두는 3단계 행정 단위이다.[6]
2013년 헌법 제110조 및 지방 정부 조직법 제2조에 따라 현재 베트남의 행정 분권화는 다음 3가지 행정 수준으로 구성된다.[7]
2008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베트남 전역에 1327개의 방이 있으며, 호치민 시에는 259개의 방, 하노이에는 147개의 방이 있다.[4]
2. 2. 프엉의 현황
2008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베트남 전역에는 1327개의 프엉이 있으며, 호찌민시에는 259개, 하노이에는 147개의 프엉이 있다.[4]3. 조선 시대 한성부의 방
조선 태조 5년(1396년) 4월 19일, 조선 왕조의 수도 한성부에 도성을 동, 서, 남, 북, 중 5부(府)로 나누고 그 아래에 52개의 방을 배치하는 행정 구역 체제가 도입되었다.[8] 이는 1894년까지 498년 동안 유지되었다.
3. 1. 방의 설치와 변천
조선 태조 5년(1396년) 4월 19일, 조선 왕조의 수도 한성부에 도성을 동, 서, 남, 북, 중 5부(府)로 나누고 그 아래에 52개의 방을 배치하는 행정 구역 체제가 도입되었다. 1894년까지 498년 동안 유지된 이 행정 단위에서 각 부에 속한 방은 다음과 같다.[8]부 (府) | 이름 | 한자 | 총계 |
---|---|---|---|
동부 | 12방 | ||
남부 | 11방 | ||
서부 | 11방 | ||
북부 | 10방 | ||
중부 | 8방 |
조선 초기 한성부의 관할 구역은 도성으로부터 사방 10리까지였으나, 1428년(세종 10) 한성부 인구 103,328명 중 도성 밖 인구는 6,044명에 불과할 정도로 대부분이 도성 안에 집중되었다. 당시 도성 밖에는 서대문·서소문 밖에 2방, 동대문 밖에 2방, 남부의 2방 등 6방 정도만 있었다.
이후 세종 때 서부의 3방이 폐지되어 49방이 되었고, 영조 때는 5부 46방(동부 6방, 남부 11방, 서부 9방, 북부 12방, 중부 8방)과 그 아래 328계(契)를 두었다. 고종 2년(1865년)에는 동부에 경모궁방(景慕宮坊)이 신설되어 47방, 339계가 되었다.
1894년 제1차 갑오개혁으로 방은 동(洞)으로 개편되었다. 한성부의 5부는 5서(五署)로, 계는 288개로 줄고, 775개의 동이 설치되어 한성부는 5서 288계 775동이 되었다.[9] 1895년 제2차 갑오개혁 때는 23부제로 개편되면서,[10] 한성부는 한성군, 고양군, 파주군, 교하군, 연천군, 적성군, 양주군, 포천군, 영평군, 가평군, 광주군(廣州)으로 개편되었다가 다음 해에 13도제로 개편되면서 한성부로 복구되었다.
3. 2. 방의 구조와 기능
1396년 태조 5년에 도성을 동서남북중 5부(府)로 구분하고, 그 아래에 52개의 방을 배치하였다.[8] 각 부(府)별 방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8]부 (府) | 이름 | 한자 | 총계 |
---|---|---|---|
동부 | 12방 | ||
남부 | 11방 | ||
서부 | 11방 | ||
북부 | 10방 | ||
중부 | 8방 |
조선 초기 한성부의 관할 구역은 도성으로부터 사방 10리까지였으나(성저십리), 대부분의 인구가 도성 안에 집중되었다. 1428년(세종 10년) 한성부 인구 103,328명 중 도성 밖 10리까지의 인구는 6,044명에 불과했고, 도성 밖에는 서대문·서소문 밖에 2방, 동대문 밖에 2방, 남부의 2방 등 6방만 존재했다.
세종 때 서부의 3방이 폐지되어 49방이 되었고, 영조 때는 동부 6방, 남부 11방, 서부 9방, 북부 12방, 중부 8방으로 5부 46방이었으며, 그 밑에 328계(契)를 두었다. 고종 2년 1865년에는 동부에 경모궁방(景慕宮坊)이 신설되어 47방이 되고, 계도 11개가 증가되어 339계가 되었다.
4. 일본 헤이안쿄의 방
일본 헤이안쿄의 조방제에서 1방(坊)은 4보(保)로, 1보는 4정(町)으로 구성되었다.[11][5]
4. 1. 조방제와 방
일본 헤이안쿄의 조방제에서는 1방이 4보(保)였으며, 1보는 4정(町)으로 정해져 있었다.[11][5]5. 각국의 방 제도 비교
Phườngvi, 坊한국어, 坊일본어은 각각 베트남, 조선, 일본에서 사용되었거나 사용되는 행정 구역 단위이다. 이들은 각 국가의 행정 체계 내에서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며, 역사적으로도 다른 변천 과정을 겪었다.
행정 구역 체계 내 위상 비교
- 베트남: 베트남의 방(프엉)은 최하위 행정 구역(제3급)으로, 중앙 직할시의 군, 성 직할시, 시사 아래에 위치한다. 2008년 12월 31일 기준 베트남 전역에 1327개의 방이 있으며, 호찌민시에 259개, 하노이에 147개가 있다.[6]
- 조선: 조선 시대 한성부의 방은 1396년(태조 5년)부터 1894년(고종 31년)까지 존속했던 행정 구역이다.[8] 한성부는 도성을 동, 서, 남, 북, 중 5부로 나누고 그 아래에 52개의 방을 두었다.[8] 갑오개혁 때 동(洞)으로 개편되기 전까지 498년간 유지되었다.[9]
- 일본: 일본 헤이안쿄의 조방제에서 1방은 4보로 구성되었고, 1보는 다시 4개의 정(町)으로 구성되었다.[11]
역사적 변천 과정
- 조선: 1396년(태조 5년) 한성부에 5부 52방 설치.[8] → 세종 때 49방 → 영조 때 5부 46방 328계 → 1865년(고종 2년) 47방 339계 → 1894년(고종 31년) 갑오개혁으로 방이 동(洞)으로 개편.[9]
- 베트남: 1992년 헌법에 의해 프엉(Phường)이 중앙직할시 아래 꽌(군)의 하위 행정 단위, 타인포(성직할시) 아래, 시사(thị xã) 아래에 설치되는 3단계 행정 단위로 규정됨. 2008년 12월 31일 기준 1327개.[6]
- 일본: 헤이안쿄의 조방제에는 1방이 4보, 1보는 4정(町)으로 구성.[11]
5. 1. 행정 구역 체계 내 위상 비교
베트남, 조선, 일본의 방은 각 국가의 행정 구역 체계 내에서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진다.베트남베트남의 방(프엉)은 1992년 헌법 및 2013년 헌법, 지방 정부 조직법에 따라 최하위 행정 구역인 제3급 행정 구역에 해당한다.[7] 중앙 직할시의 군, 성 직할시, 시사 아래에 위치한다.[6] 2008년 12월 31일 기준 베트남 전역에 1327개의 방이 있으며, 호찌민시에 259개, 하노이에 147개가 있다.[6]
조선조선 시대 한성부의 방은 1396년(태조 5년)부터 1894년(고종 31년)까지 존속했던 행정 구역이다.[8] 한성부는 도성을 동, 서, 남, 북, 중 5부로 나누고 그 아래에 52개의 방을 두었다.[8] 각 부별 방의 수는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가 있었으며, 갑오개혁 때 동(洞)으로 개편되기 전까지 498년간 유지되었다.[9]
일본일본 헤이안쿄의 조방제에서 1방은 4보로 구성되었고, 1보는 다시 4개의 정(町)으로 구성되었다.[11]
5. 2. 역사적 변천 과정 비교
조선 태조 5년(1396년) 한성부에는 도성을 동서남북중 5부(府)로 구분하고, 그 아래에 52개의 방을 배치하였다.[8] 각 부(府)별 방의 명칭과 개수는 다음과 같다.[8]부 (府) | 이름 | 한자 | 총계 |
---|---|---|---|
동부 | 연희방, 숭교방, 천달방, 창선방, 건덕방, 덕성방, 서운방, 연화방, 숭신방, 인창방, 관덕방, 흥성방 | 燕喜坊, 崇敎坊, 泉達坊, 彰善坊, 建德坊, 德成坊, 瑞雲坊, 蓮花坊, 崇信坊, 仁昌坊, 觀德坊, 興盛坊 | 12방 |
남부 | 광통방, 호현방, 명례방, 태평방, 훈도방, 성명방, 낙선방, 정심방, 명철방, 성신방, 예성방 | 廣通坊, 好賢坊, 明禮坊, 太平坊, 熏陶坊, 誠明坊, 樂善坊, 貞心坊, 明哲坊, 誠身坊, 禮成坊 | 11방 |
서부 | 영견방, 인달방, 적선방, 여경방, 인지방, 황화방, 취현방, 양생방, 신화방, 반석방, 반송방 | 永堅坊, 仁達坊, 積善坊, 餘慶坊, 仁智坊, 皇華坊, 聚賢坊, 養生坊, 神化坊, 盤石坊, 盤松坊 | 11방 |
북부 | 광화방, 양덕방, 가회방, 안국방, 관광방, 진정방, 순화방, 명통방, 준수방, 의통방 | 廣化坊, 陽德坊, 嘉會坊, 安國坊, 觀光坊, 鎭定坊, 順化坊, 明通坊, 俊秀坊, 義通坊 | 10방 |
중부 | 정선방, 경행방, 관인방, 수진방, 징청방, 장통방, 서린방, 견평방 | 貞善坊, 慶幸坊, 寬仁坊, 壽進坊, 澄淸坊, 長通坊, 瑞麟坊, 堅平坊 | 8방 |
세종 때 서부의 3방이 폐지되어 49방이 되었고, 영조 때는 5부 46방, 그 밑에 328계(契)를 두었다. 1865년(고종 2년) 동부에 경모궁방(景慕宮坊)이 신설되어 47방 339계가 되었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방은 동(洞)으로 개편되었다.[9] 1895년에는 2차 갑오개혁으로 한성부는 한성군을 포함한 주변 군으로 개편되었다가 다음 해에 13도제로 개편되면서 한성부로 복구되었다.[10]
베트남에서는 프엉(Phường)이라고 불리는 행정단위가 1992년 헌법에 의해 중앙직할시 아래 꽌(군)의 하위 행정 단위, 타인포(성직할시) 아래, 시사(thị xã) 아래에 설치되는 3단계 행정 단위로 규정되었다. 2008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베트남 전역에 1327개의 방이 있으며, 호찌민시에 259개, 하노이에 147개가 있다.[6]
일본 헤이안쿄의 조방제에는 1방이 4보였으며, 1보는 4정(町)으로 정해져 있었다.[11]
참조
[1]
웹사이트
Đơn vị hành chính
http://www.gso.gov.v[...]
[2]
웹사이트
Đơn vị hành chính (administrative units)
https://www.gso.gov.[...]
Tổng cục Thống kê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3]
웹사이트
The data of local administrative subdivisions till 31 December 2008 by Vietnam Statistics General Office.
http://www.gso.gov.v[...]
[4]
웹사이트
TONG CUC THONG KE
http://www.gso.gov.v[...]
[5]
서적
都市と職能民の活動
中央公論新社
[6]
웹사이트
행정 단위, 토지 및 기후
http://www.gso.gov.v[...]
2009-12-31
[7]
웹인용
지방정부, 2013년 헌법
http://www.chinhphu.[...]
2019-03-19
[8]
웹사이트
한성부에 명하여 5부의 총 52방에 방명표를 세우게 하다
http://sillok.histor[...]
태조실록 【태백산사고본】 2책 9권 5장 B면【국편영인본】 1책 91면
2019-03-21
[9]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성부
http://encykorea.aks[...]
2019-03-21
[10]
서적
춘향이 살던 집에서, 구보씨 걷던 길까지
창비
[11]
서적
都市と職能民の活動
中央公論新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