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트남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베트남의 공용어이며, 전 세계 베트남계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 후에를 중심으로 한 중부, 호찌민 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 방언으로 나뉘며, 6개의 성조를 가진 고립어이다. 17세기 프랑스 선교사에 의해 로마자를 기반으로 한 꾸옥응으(Quốc Ngữ)가 개발되어 현재 공식 표기 체계로 사용되며, 쯔놈(Chữ Nôm)이라는 고유 문자도 존재한다. 베트남어는 어휘에 한자어, 프랑스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속어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보디아의 언어 - 크메르어
    크메르어는 캄보디아의 공용어로서 약 1,300만 명의 모어 화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남인도계 아부기다 계통의 크메르 문자를 사용하는, 어미가 없는 분석적인 언어이다.
  • 캄보디아의 언어 - 태국어
    태국어는 크라이-다이어어족 타이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라오어와 상호 소통이 가능할 정도로 가까우며, 태국 전역의 공식어이자 교육 언어로서 중부 태국 방언 기반의 표준 태국어를 사용하고, 고립어적 특징과 다양한 차용어, 5개의 성조, 그리고 아유타야 왕국 시대 크메르어와의 이중언어 경험의 영향을 받았다.
  • 라오스의 언어 - 크무어
    크무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무어어파의 언어로, 표준어 없이 서부와 동부 크무어로 나뉘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메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있지만 별개의 언어이다.
  • 라오스의 언어 - 라오어
    라오어는 크라-다이어족 타이어족에 속하는 라오스의 공식 언어이며, 푸타이어, 타이 요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갖고 태국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 차별성이 강조되고, 크메르어, 산스크리트어, 팔리어의 영향을 받아 철자 개혁을 거쳐 다양한 방언과 함께 비엔티안 방언을 기준으로 한 표준 라오어가 사용된다.
  • 베트남의 언어 - 크메르어
    크메르어는 캄보디아의 공용어로서 약 1,300만 명의 모어 화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남인도계 아부기다 계통의 크메르 문자를 사용하는, 어미가 없는 분석적인 언어이다.
  • 베트남의 언어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베트남어
지도
베트남어 사용자 분포 지역
베트남 내 베트남어 사용 지역 분포 (저지대 지역 중심으로 베트남 민족이 다수 거주)
언어 정보
이름베트남어
발음(하노이), (후에), ~ (호치민시)
사용 국가베트남
중국 (광시 둥싱시)
모어 화자8542만 9000명 (2019년)
민족베트남인
제2언어 화자85만 3000명 (2019년)
총 화자8628만 2000명 (2019년)
언어 계통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어파비엣어파
어군비엣-므엉어군
조상 언어비엣-므엉어
역사적 형태고대 베트남어
중세 베트남어
문자라틴 문자 (베트남어 알파벳)
베트남어 점자
쯔놈 (역사적)
공용어 국가베트남
소수 언어 국가체코
슬로바키아
언어 기관베트남 사회과학원
ISO 639-1vi
ISO 639-2vie
ISO 639-3vie
링구아스피어 코드46-EBA
글롯토로그viet1252
글롯토로그 참조베트남어
추가 정보
다른 표기






1966년경 월남어 관련 참고자료월남어회화. 1966년경

2. 언어학적 특징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몬크메르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단음절이 하나의 단어가 되며 어미 변화가 없는 고립어로, 주어-동사-목적어 순의 어순을 갖는다. 또한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놓인다.[131] 예를 들어, 다른 나라에서는 대개 금성홍기라고 부르지만 베트남에서는 'Cờ đỏ sao vàng'(기 붉 별 금)이라고 하는데, 이는 '금성이 있는 붉은 기'라는 뜻으로, 수식어인 '금성'(금색 별)이 뒤에 온다.

이러한 성조, 단음절, 유형론적 고립어 등의 특징은 동남아시아의 여러 언어와 중국어에 공통되는 것으로, 언어학자들은 과거 동남아시아와 중국 남부에 걸친 언어 동조대(Mainland Southeast Asia linguistic area)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 1. 분류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몬크메르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몬크메르어파에는 베트남어 외에도 크메르어, 문다어, 카시어, 므엉어 등이 있다.[129] 최근에는 몬파에 속하는 언어들 가운데에서도 친연관계가 깊은 베트남 북부 고원지대에 살고 있는 므엉족의 언어인 므엉어, 베트남 중부 통로 주 악센트에서 사용되는 응우온어 등을 오리군으로 분류하기도 한다.[130]

영국 언어학자 월터 스키트와 찰스 블래그든이 1906년에 분석한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전에는 몬-안남어족으로 알려짐) 지도. 베트남어는 안남어로 표시됨.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의 초기 언어학적 연구(Logan, 1852; Forbes, 1881; Müller, 1888; Kuhn, 1889; Schmidt, 1905; Przyluski, 1924; Benedict, 1942)[11]에서는 베트남어를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몬-크메르어파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했다. 여기에는 캄보디아에서 사용되는 크메르어를 비롯하여 인도 동부에서 사용되는 문다어파카시어와 같이 다양한 소규모 및/또는 방언라오스, 중국 남부 및 태국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다른 언어도 포함된다. 1850년 영국 변호사 제임스 로건은 중앙 인도의 코르쿠어와 베트남어 사이에 놀라운 유사점을 발견했다. 그는 1856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코르쿠어, 몬어, 베트남어가 자신이 "몬-안남어"라고 명명한 것의 일부라고 제안했다. 나중에 1920년 프랑스-폴란드 언어학자 장 프릴루스키는 므엉어가 다른 몬-크메르어보다 베트남어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발견했고, 타붕어, 췻어, 꾸이어 등을 포함하는 베트-므엉 아그룹이 설정되었다.[12] "월트족(Vietic)"이라는 용어는 Hayes(1992)[13]가 제안했는데, 그는 베트-므엉을 베트남어와 므엉어만 포함하는 월트족의 하위 분파로 재정의할 것을 제안했다. 월트어족이라는 용어는 제라르 디플로스 등이 하위 분류에 대한 약간 다른 제안과 함께 사용하며, 여기서 "베트-므엉"은 베트남어 방언, 므엉어 방언, 그리고 꽝빈성의 응웬어로 구성된 하위 하위 그룹(동부 월트족 내)을 가리킨다.[14]

2. 2. 음운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몬크메르어파에 속하며, 크메르어, 문다어 등과 같은 어파에 속한다.[129] 최근에는 므엉어, 응우온어 등과 함께 오리군으로 분류하기도 한다.[130]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 방언(표준어), 후에를 중심으로 한 중부 방언, 호찌민 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 방언으로 나뉜다. 북부 방언은 6성조, 중부와 남부 방언은 5성조를 사용한다. 표준음은 하노이 방언을 기초로 한다.[131]

단음절이 하나의 단어가 되는 고립어이며, 주어 동사 목적어 순의 어순을 갖는다.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오는 특징이 있다.[131] (예: 금성홍기는 '금성이 있는 붉은 기')

이러한 특징은 동남아시아 여러 언어와 중국어에 공통되며, 과거 동남아시아와 중국 남부의 언어 동조대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베트남어는 모음이 많은 편이다. 아래는 하노이 베트남어의 모음 다이어그램이다.[132]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ưu
상중모음êâ / ơô
중하모음eo
저모음ă / a



원시 베트남어에는 성조가 없었으나, 자음의 초기 및 최종 자음 차이로부터 발달했다.[17]

높낮이초성 자음평탄한 종성성문 폐쇄음 종성마찰음 종성
높은 높낮이 (첫 번째)무성음A1 ngang "평평한"B1 sắc "날카로운"C1 hỏi "묻는"
낮은 높낮이 (두 번째)유성음A2 huyền "깊은"B2 nặng "무거운"C2 ngã "구르는"



성문 폐쇄음 종성으로 끝나는 음절은 또는 로 끝났다. 이후 성조 분열이 발생하여 유성음 초성이 있는 음절과 무성음 초성이 있는 음절의 성조에서 차이가 발생했다. 유성 파열음은 무성음이 되었고, 동소변이음은 새로운 음소적 성조가 되었다.

음절은 초성(음절 첫소리), 운모(요모음 + 주모음 + 음절 끝소리/모음), 성조로 구성된다. 많은 음절 자체가 형태소가 될 수 있다.

한자음의 대응에서 "面", "民" 등의 초성은 d(북부 방언의 )로 변화하고, 반모음 초성 자도 마찰이 강해져 d(북부 방언의 )가 된다. 의 일부는 로 변화하고, 현대 중국어의 sh() 초성 자의 일부는 th()에 대응한다.[69]

하노이 방언에서는 음절 첫소리 자음(성모)의 대립이 퇴화된 반면, 사이공 방언에서는 보존되고 있다.[114] 반대로 음절 끝소리 자음(운모)과 성조 대립은 사이공 방언에서 퇴화되는 경향이 있다.[115][116][117] 폐음절의 이중모음이 약화되어 단모음화되는 현상도 나타난다.[118]

후에 방언은 어휘, 성조에서 하노이, 사이공 방언과 큰 차이를 보인다.[122] 특히 성조에서 저성(仄聲)인 3.(예조), 4.(문조), 5.(전조)가 6.(중조)로 변화하여 '''nói nặng "무거운 발음"'''이라는 특징을 보인다.[125][126]

하노이 방언에서는 일부 음절이 같은 발음이 되는 경우가 있다.[127]

2. 2. 1. 자음

치경음후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비음mnnhng/ngh파열음무기음pttrchc/k/q유기음th격음마찰음무성음phxskhh유성음vd/gig/gh유음ly/iu/o설측음r



일부 자음은 "p"처럼 한 글자로 표기되고, 다른 자음은 "ph"처럼 이중자음으로 표기되며, 또 다른 자음은 "c", "k", "q"처럼 두 글자 이상 또는 이중자음으로 표기되는 연구개 파열음과 같이 나타난다. 어떤 경우에는 중세 베트남어 발음에 기반을 두는데, 그 이후로 ''ph''와 ''kh''(그러나 ''th''는 아님)는 유기 파열음에서 마찰음으로 변화했고(그리스어 피와 키와 같음), ''d''와 ''gi''는 합쳐져 수렴되었다(북부에서는 /z/, 남부에서는 /j/로).

모든 베트남어 방언이 주어진 단어에서 동일한 자음을 가지는 것은 아니지만(모든 방언은 문어에서 동일한 철자를 사용함), 자세한 내용은 방언 변이 섹션을 참조한다.

베트남어에서 음절 말의 철자 ''ch''와 ''nh''는 서로 다른 분석을 가진다. 한 분석에서는 최종 ''ch'', ''nh''를 음절 말의 ''t'', ''c'' 와 ''n'', ''ng'' 와 대조되는 음소 로 분석하고, 최종 ''ch''를 음절 초 ''ch'' 와 동일시한다. 다른 분석에서는 최종 ''ch''와 ''nh''를 전면 고모음 ''i'' 와 ''ê'' 뒤에 오는 연구개 음소 와 의 예측 가능한 동소이체 변이체로 본다. 비록 이것들이 ''a'' 뒤에도 나타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이전의 ''e'' 가 ''ai''로 이중모음화된 결과로 여겨진다(예: ''aic''에서 유래한 ''ach'', ''aing''에서 유래한 ''anh''). (자세한 내용은 베트남어 음운론: 최종 ''ch'', ''nh'' 분석 참조)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음절은 초성(음절 첫소리), 운모(요모음 + 주모음 + 음절 끝소리/모음), 그리고 성조로 구성된다. 많은 음절 자체가 형태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소위 "단음절어"적인 특징을 지닌다. 주석한 것을 제외하고, 모든 단모음과 이중모음은 주모음으로 설 수 있다.

음절 끝 모음(-i/-y, -o/-u)은 IPA에서는 반모음(, )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음절 끝 자음과 마찬가지로 취급된다.

한자음의 대응은 중국어 각 방언, 일본어, 한국어에서 거의 변화가 없거나 (변화하더라도 b와 같은 순음으로 남는) 초성 자 "面", "民" 등이 d(북부 방언의 )로 변화하고, 반모음 초성 자도 마찰이 강해져 d(북부 방언의 )가 된다. 또한, 의 일부는 로 변화하는 것이 특징적이며, 현대 중국어의 sh() 초성 자의 일부는 th()에 대응한다.[69]

초성(頭子音, )
문자음가IPA 표기비고
북부중부·남부
p서구권에서 온 차용어(외래어)에만 해당. 종종 b(, )로 발음됨
b, 격착음. 성문을 닫았다가 동시에 연다
m
n북부 일부 지역(홍하 삼각주)에서는 종종 로 발음됨[83]
s,중부·남부에서는
x
d쟈 야*, ,중부·남부에서는 반모음
gi자*쟈 야, ,중부·남부에서는 반모음. 앞 모음 i, iê가 뒤따르는 경우, 초성 i를 생략하고 한 글자로만 표기[84]하며, gi, gi- [85](북부)/(중부·남부), giê- (북부)/(중부·남부)로 발음한다(예: → “무엇, 무언가”, → “유지하다”, → “우물”, → “죽이다”, → “조롱하다” 등).
r, ,중부·남부에서는 . 남서부(메콩 삼각주)에서는 프랑스어설측음 r()(연구개음)[86]처럼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87]
t
đ, 격착음. 성문을 닫았다가 동시에 연다
nh
h남부에서는, 개입 모음 o, u()를 동반하는 경우, 초성 h-가 탈락[88]하거나, g()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ch,
tr투라, , , ,중부·남부에서는 . 중부 등 일부에서는, 로 발음하는 방언도 있다[89]
c주모음 a, ă, â, o, ô, ơ, u, ư, ua, uô, ưa, ươ[90]
k앞 모음 i(y), ê, e, ia, iê 앞
q(u)쿠아와*,개입 모음 u를 동반하는 경우. 남부에서는, 초성 q-가 약화되어 거의 들리지 않거나, 또는 탈락하여 반모음으로 발음되는[91] 경우가 많다
ph
v바*쟈 야, ,남부에서는, 종종 반모음으로 발음됨[92]
l북부 일부 지역(홍하 삼각주)에서는, 종종 로 발음됨
th유기음. 숨을 세게 내쉰다
kh*,목구멍 깊숙한 곳에서 소리를 내듯이 숨을 세게 내쉰다. 남부에서는, 종종 유기음으로 발음됨
growspan="2"목구멍 깊숙한 곳에서 소리를 세게 낸다. 주모음 a, ă, â, o, ô, ơ, u, ư, uô, ươ[93]
gh앞 모음 i, ê, e, iê 앞
ng [응가]rowspan="2"비음. 코에 걸리는 소리를 낸다. 주모음 a, ă, â, o, ô, ơ, u, ư, uô, ưa, ươ 앞. 남부에서는, 개입 모음 o, u()를 동반하는 경우, 초성 ng-가 탈락하는 경우가 있다
ngh앞 모음 i, ê, e, ia, iê 앞



※“*”는 정서법 발음()

종성(末子音, )
문자음가IPA 표기비고
-pㅆ(프)폐쇄음. 입 모양만 취하고 소리는 내지 않는다. 입술을 다물고 숨을 멈춘다
-m입술을 다물고 숨을 코 쪽으로 내쉰다
-tㅆ(트)폐쇄음. 입 모양만 취하고 소리는 내지 않는다. 혀끝을 윗잇몸에 대고 숨을 멈춘다. 중부·남부에서는, 주모음 i, ê 뒤에서는 , 다른 경우에는 [94]
-n혀끝을 윗잇몸에 대고 숨을 코 쪽으로 내쉰다. 중부·남부에서는, 주모음 i, ê 뒤에서는 , 다른 경우에는 [95]
-cㅆ(크)폐쇄음. 입 모양만 취하고 소리는 내지 않는다. 혀를 뒤쪽으로 내리고 목구멍에서 숨을 멈춘다. 주모음 a, ă, â, ư, iê, uô, ươ[96]
-cㅆ(크프)폐쇄음. 입 모양만 취하고 소리는 내지 않는다. 주모음 o, ô, u 뒤. 연결음 를 동반(원순화). 발음과 동시에, 곧바로 입술을 다물고 볼을 약간 부풀리듯 한다(이중조음)
-ng [응(그)]혀를 뒤쪽으로 내리고 숨을 코 쪽으로 내쉰다. 주모음 a, ă, â, ư, iê(yê), uô, ươ[97]
-ng므 [응(그)므]주모음 o, ô, u 뒤. 연결음 를 동반(원순화). 발음과 동시에, 곧바로 입술을 다물고 볼을 약간 부풀리듯 한다(이중조음)
-chㅆ(크),폐쇄음. 입 모양만 취하고 소리는 내지 않는다. 입술을 좌우로 세게 당겨 목구멍에서 숨을 멈춘다. 주모음 a, ê, i(y) 뒤. 북부에서는, 연결음 를 동반(경구개화). 중부·남부에서는 [98]
-nh,입술을 좌우로 세게 당겨 숨을 코 쪽으로 내쉰다. 주모음 a, ê, i(y) 뒤. 북부에서는, 연결음 를 동반(경구개화). 중부·남부에서는 [99]


2. 2. 2. 모음

중모음êơ
âô중저모음/
저모음ea
ăo



전설모음과 중설모음(i, ê, e, ư, â, ơ, ă, a)은 둥글지 않고, 후설모음(u, ô, o)은 둥글다. 모음 â와 ă는 다른 모음보다 훨씬 짧게 발음된다. 따라서 ơ와 â는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발음되지만 ơ는 일반적인 길이인 반면 â는 짧다. 긴 a와 짧은 ă도 마찬가지다.[33]

중앙화 이중모음은 세 개의 고모음(i, ư, u)으로만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단어 끝에서는 ia, ưa, ua로 표기되고, 자음이 뒤따르는 경우에는 각각 iê, ươ, uô로 표기된다.

단모음(또는 단모음)과 중앙화 이중모음 외에도 베트남어는 폐쇄 이중모음과 삼중모음을 가지고 있다. 폐쇄 이중모음과 삼중모음은 주요 모음 성분 다음에 더 짧은 반모음 종성 또는 가 온다.[34] 고종성에는 제약이 있다. 는 전설모음(i, ê, e) 핵음 뒤에 올 수 없고, 는 후설모음(u, ô, o) 핵음 뒤에 올 수 없다.

 종성종성
전설중설후설
중앙화iêuươuươiuôi
고모음iuưuưiui
중고모음/
중모음
êu
âu
ơi
ây
ôi
중저모음/
저모음
eoao
au
ai
ay
oi



철자와 발음 사이의 대응은 복잡하다. 예를 들어, 종성 는 일반적으로 ''i''로 쓰이지만 ''y''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중모음 와 에서 ''y''와 ''i''는 주요 모음의 발음도 나타낸다. ay = ă + , ai = a + . 따라서 ''tay'' "손"은 이고 ''tai'' "귀"는 이다. 마찬가지로 u와 o는 주요 모음의 다른 발음을 나타낸다. au = ă + , ao = a + . 따라서 ''thau'' "놋쇠"는 이고 ''thao'' "생견"은 이다.

단모음 ()
문자음가IPA 표기발음 특징비고
a,입을 크게 벌리고 약간 길게
ă,입을 크게 벌리고 짧게단독으로 주모음으로 설 수 없다. 반드시 음절말 자음/모음을 수반하는 폐음절이 된다.
â, ,,아와 오의 중간적인 느낌으로 짧게단독으로 주모음으로 설 수 없다. 반드시 음절말 자음/모음을 수반하는 폐음절이 된다.
, ,아와 오의 중간적인 느낌으로 약간 길게
e입을 크게 벌리고, 에와 아의 중간적인 느낌으로 약간 길게
ê입을 약간 좁게 벌리고, 에와 이의 중간적인 느낌으로 약간 길게
i이(--)입술을 좌우로 강하게 당겨음절말 모음 로 발음됨 (주모음 a, o, ô, ơ, u, ư, uô, ươ 뒤). 주모음은 약간 길게, 말모음은 짧게 발음됨
yi의 장모음[70]. 입술을 좌우로 강하게 당겨 약간 길게음절말 모음 로 발음됨 (주모음 ă, â 뒤. [ă는 단음 기호(브레베)를 생략하여 표기함[71]]). 주모음은 짧게, 말모음은 약간 길게 발음됨
o입을 크게 벌리고 약간 길게음절말 모음 로 발음됨 (주모음 a, e 뒤). 주모음은 약간 길게, 말모음은 짧게 발음됨
ô입술을 둥글게 좁히고 입을 약간 내밀어 약간 길게
u입술을 둥글게 하고 입을 강하게 내밀어 약간 길게음절말 모음 로 발음됨 (주모음 i, ê, ư, ă, â, ươ, iê(yê) 뒤. [ă는 단음 기호(브레베)를 생략하여 표기함]). 모음 ê, ă, â일 때, 주모음은 짧게, 말모음은 약간 길게 발음되고,[72] 모음 i, ư일 때, 주모음은 약간 길게, 말모음은 짧게 발음됨
,입술을 좌우로 강하게 당겨 약간 길게



※음절말 자음 -ch, -nh가 뒤따르는 주모음 a[73], ê, i(y) , 음절말 자음 -c, -ng가 뒤따르는 주모음 o, ô, u , 음절말 자음 -t, -c, -ng가 뒤따르는 주모음 ư[74] , 음절말 모음 -y가 뒤따르는 주모음 a[75], 음절말 모음 -u가 뒤따르는 주모음 ê, a[76] 는 반드시 단모음으로 짧게 발음된다.[77]

이중모음 ()
문자정서법상의 제한음가IPA 표기발음 특징
-ia(C)_Ø이아 (이에)()이는 입술을 좌우로 강하게 당겨 약간 길게, 아(에)는 애매한 느낌으로 가볍게 짧게[79]
-iê-C_C
-yaCV_Ø
-yê-(C)(V)_C
-ua(C)_Ø우아 (우오)()우는 입술을 둥글게 내밀어 약간 길게, 아(오)는 애매한 느낌으로 가볍게 짧게
-uô-(C)_C
(C)_Ø우아,우는 입술을 좌우로 강하게 당겨 약간 길게, 아는 애매한 느낌으로 가볍게 짧게
(C)_C



주) V→모음(이중모음), C→자음(음절두 자음·음절말 자음/모음), Ø→음절말 자음/모음 없음(영운미)

※문자 표기가 -a로 끝나는 것은 개음절이 되고, -ê, -ô, -ơ로 끝나는 것은 폐음절(반드시 음절말 자음/모음을 수반함)이 된다.


위의 단모음·이중모음 이외에, 외래어의성어·의태어 등에 나타나는 oo, ôô(매우 드물게)[80]가 주모음으로 설 수 있다[81](음절말 자음 -c, -ng가 뒤따르는 폐음절에만 나타남[82](예: soóc「반바지」, soong [xoong]「스튜 냄비」등)).


iu, ưu, ao, au, âu, ai, ay, ây, ưi, ui, êo, êu, ơi, ôi, oi, oa, oe, uê, uơ, uy-, oă-, uâ-, ue, uă- 등의 위 이외의 모음이 두 개 연속되는 음절(단모음+음절말 모음, 이중모음+단모음)은 엄밀히 말하면 이중모음이 아니다.


또한, iêu(yêu), ươu, ươi, uôi, uya, uyê-, oeo, uyu, oai, oay, uây, ueo, uai, uao, uau, uay 등의 모음이 세 개 연속되는 음절(이중모음+음절말 모음, 이중모음+단모음+음절말 모음, 이중모음+단모음)은 편의상 삼중모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2. 3. 성조

베트남어에는 6개의 성조( thanh điệuvi)가 있다. 베트남어는 단음절이 단어를 이루는 고립어이기 때문에, 같은 발음이라도 성조에 따라 의미가 다르다.[17]



원시 베트남어에는 성조가 없었다. 성조는 나중에 자음의 초기 및 최종 자음의 차이로부터 딸 언어들에서 발달했다.[17]

남성 화자(하노이 출신 아님)가 발음한 베트남어 북부 방언의 여섯 가지 성조의 음고 곡선과 지속 시간. 시간에 따른 기본 주파수가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다.


각 베트남어 음절은 여섯 가지 고유한 성조 중 하나로 발음되며, 주요 모음 또는 모음 그룹을 중심으로 한다. 성조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다르다.

성조는 모음 위 또는 아래에 쓰여진 부호로 표시된다(대부분의 성조 부호는 모음 위에 나타난다. ''nặng'' 성조의 점 부호는 모음 아래에 있다). 하노이를 포함한 북부 방언의 여섯 가지 성조는 다음과 같으며, 베트남어 이름을 사용한다.

이름과 의미설명곡선부호예시예시 모음유니코드
'ngang''' (수평)중간 수평˧(표시 없음)ma (유령)
'huyền''' (깊은)저음 하강(종종 숨쉬는 듯한 소리)˨˩(그레이브 악센트)mà (그러나)U+0340 또는 U+0300
'sắc''' (날카로운)고음 상승˧˥(악센트)má (뺨, 어머니(남부))U+0341 또는 U+0301
'hỏi''' (의문의)중간 하강-상승˧˩˧(위쪽 갈고리)mả (무덤)U+0309
'ngã''' (넘어지는)쉰소리 나는 고음 꺾임-상승˧ˀ˦˥(틸드)mã (말(한자 베트남어), 코드)U+0342 또는 U+0303
'nặng''' (무거운)쉰소리 나는 저음 하강 좁힘(짧은 길이)˨˩ˀ(아래 점)mạ (벼 모종)U+0323



베트남어의 다른 방언에는 성조가 더 적을 수 있다(일반적으로 5개만).[35]

베트남어 시에서는 성조가 두 그룹으로 분류된다.

성조 그룹성조 그룹 내 성조
bằng (수평)nganghuyền
trắc (비스듬한, 날카로운)sắc, hỏi, ngã, nặng



특정 성조 그룹에 속하는 성조를 가진 단어는 시구 내 특정 위치에 나타나야 한다.

베트남어에는 6가지 성조가 있으며, 크게 (평)과 (측)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각 음절은 반드시 어떤 성조를 가지고 있다. 단, 남부 방언에서는 4. (문조)와 5. (전조)가 합쳐져 5성조가 된다[100](남북의 성조 차이는 후술하는 "'''방언'''"을 참조). 성조 기호는 모음 자(주모음 또는 介母音)의 상부(6. (중조)만 하부)에 붙인다.

성조
번호성조명읽기(의미)기호성조 패턴성조값과 IPA 표기평측비고
1thanh ngang탄 낭 (평평한, 가로의) [평조(평성, 횡성)](없음)중평조˧ 33(평)보통 높이보다 약간 높게 평평하게 늘인다
2탄 후옌 (걸다(걸리다), 매달다(매달리다)) [수조(현성, 현성)]` (그레이브)저강조(저평조)˨ (˨˩) 21 (22)약간 낮은 곳에서 늘이는 듯 천천히 낮게 내린다
3탄 삭(크) (날카로운) [예조(예성)]´ (아큐트)고승조˧˥ 35(측)보통 높이에서 순간적으로 빠르게 올라간다
4탄 호이 (묻다, 묻는다) [문조(문성)] ̉ (후크)강승조˧˩˧ 312 (31/313)보통 높이에서 천천히 낮게 내려가 마지막에 조금 올라간다 (개인차가 있으며, 올라가지 않는 경우도 있다)
5thanh ngã탄 응아 (넘어지다, 떨어지다) [전조(첩성)]˜ (틸다)고승조(승강조) + 후두화˦˥˦ (˧ˀ˦˥) 3ʔ5 325 (324)처음부터 후두의 긴장을 수반하면서 보통 높이에서 조금 올라간 후, 순간적으로 성문을 닫은 후 급격히 올라간다
6탄 낭 (무거운) [중조(중성)] ̣ (닷)저강조 + 후두화˨˩ (˨˩ˀ) 21ʔ (21/211)처음부터 후두의 긴장을 수반하면서, 무겁게 후두 안쪽에서 소리를 억누르는 듯, 약간 낮은 곳에서 순간적으로 내려가 성문을 닫는다 (다른 성조보다 음의 길이가 조금 짧다)



여기서 보인 성조값은 5도식이며, 5가 가장 높고, 1이 가장 낮음을 나타낸다.

아래 그림과 같이, 1. (평조), 3. (예조), 5. (전조)는 높은 음의 영역(고음조)에, 2. (수조), 4. (문조), 6. (중조)는 낮은 음의 영역(저음조)에 속하며,[102] 각 그룹의 음이 서로의 영역을 넘어 공존하지는 않는다.

역사적으로, 말소리가 사라질 때, 3성조로 나뉘었다고 한다. 베트남어가 속한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대부분은 성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 후, 초성의 무성/유성에 따라 각 성조가 두 개로 나뉘어 오늘날의 6성조가 되었다.[103][104][105]

2. 3. 문자

베트남어는 로마자성조를 표시하여 기록하는 꾸옥응으를 사용한다. 꾸옥응으는 17세기 프랑스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가 정리한 로마자 기반의 표기법에서 비롯한 것으로, 20세기 초 프랑스 식민지 시절 《꾸옥응으》(Quốc Ngữ|꾸옥응으vi)로 정리되었다.

현대 베트남어의 알파벳
대문자소문자
Aviavi
Ăviăvi
Âviâvi
Bvibvi
Cvicvi
Dvidvi
Đviđvi
Evievi
Êviêvi
Gvigvi
Hvihvi
Iviivi
Kvikvi
Lvilvi
Mvimvi
Nvinvi
Oviovi
Ôviôvi
Ơviơvi
Pvipvi
Qviqvi
Rvirvi
Svisvi
Tvitvi
Uviuvi
Ưviưvi
Vvivvi
Xvixvi
Yviyvi



모음에 붙는 기호는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실제 표기에서는 이 기호들 위에 성조 표시가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어 “mắc|막vi”(병을 앓다)와 같이 쓰인다. 베트남어는 단음절마다 띄어쓰고 문장의 처음과 고유명사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중국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베트남의 고전과 역사적 기록의 대부분은 한자를 사용한 한문으로 쓰여졌으며, 한자 문화권에 속한다. 현대어의 경우에도 사전에 실린 단어의 70% 이상이 한자어이며, 한자 표기가 가능하다. 대응하는 한자가 없는 단어의 경우에는 고장자 등과 마찬가지로, 한자를 응용한 독자적인 문자인 주놈(Chữ Nôm|주놈|yvi)을 만들어 한자와 섞어 사용했다.

그러나 1919년 과거 폐지, 프랑스 총독부에 의한 주곡구(후술) 교육 추진으로 한자, 주놈의 사용 빈도는 점차 감소하였다. 1945년 응우옌 왕조 멸망과 베트남 민주 공화국 성립으로 베트남의 국자로 한자를 대신하여 주곡구가 공식적으로 채택되면서 한자와 주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공식적인 한자 폐지는 1954년이며, 남북으로 분단된 이 해에 베트남 민주 공화국 지폐에서의 한자 사용은 폐지되었다. 현재 일상생활에서 한자를 볼 수 있는 것은 뗏(구정)이나 추석과 같은 전통 행사나 불교 의식, 혼례, 장례 등이다. 한자를 이해하는 사람도 고령자의 일부와 국문학이나 역사학 등의 연구자, 서예가나 불교 승려, 일본어 및 중국어 학습자 등으로 제한된다.

현재 베트남어 표기에 사용되는 것은 17세기 가톨릭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가 고안하고, 프랑스의 식민지화 이후 널리 보급된 로마자 표기 "주곡구(Chữ Quốc ngữ|주꾸옥응우|yvi)"이다. 식민지 시대에는 주곡구가 프랑스에 의한 "문명화"의 상징으로 "프랑스인으로부터의 선물"이라고 불렸지만, 독립 운동을 추진한 민족주의자들은 모두 주곡구에 의한 자기 형성을 완료했기 때문에, 불편함과 비효율성 및 읽고 쓰는 능력 향상을 이유로 한자와 주놈은 배제되었고, 주곡구가 독립 후 베트남어의 공식 표기법이 되었다.

현재 주곡구를 공식 표기법으로 하는 것 자체에 대한 이견은 존재하지 않지만, 전통적인 한문과 난해한 한자·주놈 혼합 문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인재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인문 과학, 특히 역사 연구의 발전에 대한 불안을 가진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중등 교육에서의 한자 교육의 제한적 부활론이 있다.

현재의 정서법인 꾸옥응으에서는 라틴 문자와 보조 기호를 사용한다.[67] 단, F, J, W, Z는 고유 명사, 외래어, 의성어, 의태어를 표기할 때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한자(chữ Hán)와 주놈으로도 표기할 수 있지만, 현재는 중국 광서 자치구 동흥시에 거주하는 징족을 제외하고는 베트남인이 배우지 않아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베트남어 표기의 특징은, 가 아닌 음절 단위로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다. 이것은 베트남어의 단음절적인 성질에 부합한다.

2. 3. 1. 대문자 표기

베트남어는 로마자성조를 표시하여 기록하는 꾸옥응으를 사용한다. 꾸옥응으는 17세기 프랑스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가 정리한 로마자 기반의 표기법에서 비롯한 것으로, 20세기 초 프랑스 식민지 시절 《꾸옥응으》(Quốc Ngữ|꾸옥응으vi)로 정리되었다.

현대 베트남어의 알파벳
대문자A|AviĂ|ĂviÂ|ÂviB|BviC|CviD|DviĐ|ĐviE|EviÊ|ÊviG|GviH|HviI|IviK|KviL|LviM|MviN|NviO|OviÔ|ÔviƠ|ƠviP|PviQ|QviR|RviS|SviT|TviU|UviƯ|ƯviV|VviX|XviY|Yvi
소문자a|aviă|ăviâ|âvib|bvic|cvid|dviđ|đvie|eviê|êvig|gvih|hvii|ivik|kvil|lvim|mvin|nvio|oviô|ôviơ|ơvip|pviq|qvir|rvis|svit|tviu|uviư|ưviv|vvix|xviy|yvi



모음에 붙는 기호는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실제 표기에서는 이 기호들 위에 성조의 표시가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어 “mắc|막vi”(병을 앓다)와 같이 쓰인다. 베트남어는 단음절 마다 띄어쓰고 문장의 처음과 고유명사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2. 4. 문법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몬크메르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립어의 특징을 지닌다. 단음절이 하나의 단어가 되며 어미 변화가 없고, 주어-동사-목적어 순의 어순을 갖는다. 또한,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위치한다.[131] 예를 들어, '금성홍기'는 베트남어로 "Cờ đỏ sao vàng"(기 붉 별 금)인데, 이는 '금성이 있는 붉은 기'라는 뜻으로 수식어인 '금성'(금색 별)이 뒤에 온다.

베트남어는 격, 성, 수량에 따른 어미 변화를 하지 않으며, 조사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시제 부사, 의문 부사를 사용하여 시제나 의문을 나타내고, 전치사를 사용하여 장소 등을 나타낸다. 부사는 동사 앞에, 일반 명사는 분류사 뒤에, 수식어는 피수식어 뒤에 위치한다.[131]

Convi (껀)chóvi (쩌[133])nàyvi (나이)chẳngvi (짱)bao giờvi (바오 저)sủavi (수어)cảvi (까)
(동물 분류사)이(것)아니(부정 부사)언제(나)짖다전부
이 개는 결코 짖지 않는다.



Khivi (키)chếtvi (쩻)mộtvi (못)ngườivi (응어이)không cònvi (콤 껀)hiện hữuvi (히엔 흐우)nữavi (느어)
~할 때죽다한 (부정관사)사람더는 ~않다 (뒤에 nữa와 호응)존재하다
죽으면, 사람은 더는 존재하지 않는다.



베트남어는 태국어처럼 분석어이며, 형태론적으로 격, 성, 수, 시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문법은 형태론이 아닌 어순과 문장 구조에 의존한다.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따르며, 수식어는 피수식어 뒤에 오고, 명사 분류사 체계를 갖는다. 또한, 주어 생략이 가능하고, 자리에 있는 의문사이며, 동사 연쇄를 허용한다.

예시:



베트남어는 고립어적 특징을 가지며, 형태 변화를 하지 않고, 접사를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통사적 관계는 주로 어순에 의해 표현된다. 사역수동동사에 앞서는 전치사구 구문으로 표현하고, 동사에 보어를 후치하여 동작의 방향이나 결과를 나타낸다.

3. 역사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기원전 2000년경에 확산된 것으로 추정된다.[1] 그 당시 홍강 삼각주에 등장한 풍원 문화의 농업은 베트남어파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2] 초기 베트남어는 다음절어 또는 반다음절어의 형태를 띄고 있었으며, 성조가 없는 대신 성문 폐쇄음과 무성 마찰음 종지음을 특징으로 했다.[3][4]

기원전 마지막 1000년 동안 타이어족 화자들과의 초기 접촉으로 차용어가 유입되었으며, 이는 동선 문화 유적지의 유전적 증거와 일치한다.[5] 한나라(기원전 2세기)부터 중국어와의 광범위한 접촉이 시작되면서, 베트남어파 집단은 홍강 삼각주에서 남쪽과 인접한 고지대로 확장하기 시작했다.[6][7] 이 시기에 중국어에서 북부 베트남어파로 차용된 어휘는 가장 오래된 층위를 형성한다.[8]

북부 베트남어파 방언은 동남아시아 본토 언어 지역의 일부가 되어, 분리적 형태론과 유사한 음절 구조와 같은 특징을 공유하게 되었다.[9] 특히, 베트남-므엉어는 종지 자음의 소실과 함께 성조 발생 과정을 거쳐 음소적인 성조의 차이를 가지게 되었다.



1000년대 말 무엉어와 분리된 후, 베트남어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10세기 초 오나라가 중국을 몰아낸 후, 고전 중국어가 공식적인 매체로 채택되면서 한월어 어휘가 대량으로 유입되었다. 베트남어파 언어는 15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남진"(남진)으로 참파를 정복하고 메콩 삼각주를 정복하면서 확장되었고, 지역적 변화가 나타났다.

19세기 후반 프랑스 식민 지배 시기에는 프랑스어가 공식 언어로 대체되면서, 베트남어는 đầm|담vi('숙녀', madame|마담프랑스어에서 유래), ga|가vi('기차역', gare|가르프랑스어에서 유래) 등과 같은 프랑스어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3. 1. 원시 베트남어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기원전 2000년경에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1] 당시 홍강 삼각주에 등장한 풍원 문화의 농업은 베트남어파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2]

초기 베트남어파는 이후의 베트남어와 형태가 매우 달랐다. 다음절어 또는 반다음절어였으며, 어근은 축약된 음절과 완전한 음절로 이루어져 있었고, 많은 자음군을 특징으로 했다. 이 두 가지 특징은 다른 오스트로아시아어와 홍강 지역 남쪽의 보수적인 현대 베트남어파 언어에서도 발견된다.[3] 이 언어는 성조가 없었지만, 성문 폐쇄음과 무성 마찰음 종지음을 특징으로 했다.[4]

차용어는 기원전 마지막 1000년 동안 타이어족 화자들과의 초기 접촉을 나타내는데, 이는 동선 문화 유적지의 유전적 증거와 일치한다.[2] 중국어와의 광범위한 접촉은 한나라(기원전 2세기)부터 시작되었다.[5] 이때 베트남어파 집단은 홍강 삼각주에서 남쪽과 인접한 고지대로 확장하기 시작했는데, 아마도 중국의 침략을 피하기 위해서였을 것이다.[2] 이 시대는 중국어에서 북부 베트남어파(베트남-므엉 아어파가 될 것임)로 차용된 가장 오래된 시기이다.[6]

북부 베트남어파 방언은 동남아시아 본토 언어 지역의 일부가 되었는데, 이 지역에서는 유전적으로 관련 없는 어족의 언어들이 분리적 형태론과 유사한 음절 구조와 같은 특징으로 수렴되었다.[7] 이 지역의 많은 언어들, 특히 베트남-므엉어는 종지 자음으로 표현되었던 차이가 그 자음이 사라지면서 음소적인 성조의 차이가 되는 성조 발생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특징들은 동남아시아의 유전적으로 관련 없는 많은 언어의 일부가 되었다. 예를 들어, 차트어(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의 구성원이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함)와 베트남어는 각각 음소적 특징으로 성조를 발달시켰다.

:

원베트어 자음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 m* > n* > nh* > ng/ngh
파열음무성* > b* > đ* > ch* > k/c/q* > #
유성* > b* > đ* > ch* > k/c/q
기음* > ph* > th* > kh
폐쇄음* > m* > n* > nh
마찰음* > x
마찰음무성* > t* > h
유성* > v* > d* > r* > gi* > g/gh
유음* > v* > l* > r* > d


3. 2. 고대 베트남어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기원전 2000년경에 확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당시 홍강 삼각주에 등장한 풍원 문화의 농업은 베트남어파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2]

초기 베트남어파는 이후의 베트남어와 형태론적으로 매우 달랐다. 다음절어 또는 반다음절어였는데, 어근은 축약된 음절과 완전한 음절로 이루어져 있었고, 많은 자음군을 특징으로 했다. 이 두 가지 특징은 다른 오스트로아시아어와 홍강 지역 남쪽의 보수적인 현대 베트남어파 언어에서도 발견된다.[3] 이 언어는 성조가 없었지만, 성문 폐쇄음과 무성 마찰음 종지음을 특징으로 했다.[4]

차용어는 기원전 마지막 1000년 동안 타이어족 화자들과의 초기 접촉을 나타내는데, 이는 동선 문화 유적지의 유전적 증거와 일치한다.[5] 중국어와의 광범위한 접촉은 한나라(기원전 2세기)부터 시작되었다.[6] 이때 베트남어파 집단은 홍강 삼각주에서 남쪽과 인접한 고지대로 확장하기 시작했는데, 아마도 중국의 침략을 피하기 위해서였을 것이다.[7] 중국어에서 북부 베트남어파(베트남-므엉 아어파)로 차용된 가장 오래된 층은 이 시대의 것이다.[8]

북부 베트남어파 방언은 동남아시아 본토 언어 지역의 일부가 되었는데, 이 지역에서는 유전적으로 관련 없는 어족의 언어들이 분리적 형태론과 유사한 음절 구조와 같은 특징으로 수렴되었다.[9] 이 지역의 많은 언어들, 특히 베트남-므엉어는 종지 자음으로 표현되었던 차이가 그 자음이 사라지면서 음소적인 성조의 차이가 되는 성조 발생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특징들은 동남아시아의 유전적으로 관련 없는 많은 언어의 일부가 되었다. 예를 들어, 차트어(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의 구성원이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함)와 베트남어는 각각 음소적 특징으로 성조를 발달시켰다.

서기 1000년대 말 무엉어와 분리된 후, 일반적으로 확인되는 베트남어의 다음 단계는 고대(또는 고전) 베트남어이다.
:(약 1500년까지) 자료로는 명나라 시대의 어휘집 安南國譯語중국어 (약 15세기)가 있는데, 이는 ''화이이어유'' 시리즈에서 발췌한 것이다.[15] 초기 쯔놈으로 기록된 불교 경전(12세기와 15세기로 추정)도 있다. 원시 베트남어와 비교했을 때, 이 언어는 정지음의 유성/무성 구별을 잃어 성조 분열을 일으켰고, 파열음 초성은 비음이 되었다. 원시 베트남어의 대부분의 작은 음절은 여전히 존재했다.

고대 베트남어는 9세기경 무어어에서 갈라져 나왔다. 고대 베트남어를 재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자료는 문헌(예: 12세기/1486년 불경 ''Phật thuyết Đại báo phụ mẫu ân trọng kinh'' ("부모님께 대한 큰 은혜 갚음에 대한 부처님의 설법")), 고대 비문, 13세기 후반(아마도 1293년)의 https://ctext.org/wiki.pl?if=gb&chapter=224481&remap=gb 안남지사 중국 외교관 진부(陳孚, 약 1259년 ~ 1309년)의 어휘집이다. 고대 베트남어는 중국 한자를 음운적으로 사용했는데, 현대 베트남어에서 단음절인 각 단어는 두 개의 한자 또는 두 개의 다른 한자로 이루어진 복합 한자로 쓰였다. 이것은 중국어의 언어적 영향으로 베트남어 어휘가 겹받침어에서 단음절어로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이는 소음절의 축소, 접사 형태론의 손실(분석적 문법으로 이동), 주음절 단편의 단순화 및 초분절 요소의 변화와 같은 언어 현상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현대 베트남어 단어 trờivi '하늘'은 고대 베트남어에서는 ''*plời''였다.

고대 베트남어 자음
colspan="2" |순음치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nhng/ngh
파열음무기음b/vd/đch/gic/k/q#
유기음phtht/rkhh
폐쇄음mnnh
마찰음유성음vd
파찰음x
유음rl


3. 3. 중세 베트남어

알렉상드르 드 로드의 ''Dictionarium Annamiticum Lusitanum et Latinum''(1651)에서 발견되는 언어는 중세 베트남어(16세기~19세기)이다.[15] 이 시대의 또 다른 유명한 사전은 피에르 피뇨 드 베앙이 1773년에 쓰고 장루이 타베르가 1838년에 출판한 것이다.

알렉상드르 드 로드(Alexandre de Rhodes)의 『안남어-포르투갈어-라틴어 사전』(Dictionarium Annamiticum Lusitanum et Latinum)에서 ''ꞗ'' 단락의 첫 페이지


알렉산드르 드 로드(Alexandre de Rhodes)가 1651년에 저술한 『안남어-포르투갈어-라틴어 사전』(Dictionarium Annamiticum Lusitanum et Latinum)에서 개발한 표기 체계를 기반으로 베트남어 표기법이 만들어졌다. 이 표기법은 당시 하노이 베트남어의 발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중세 베트남어(tiếng Việt trung đại)라고 불리는 단계이다. 음절의 운(rime), 즉 초성 자음(선택적 /w/ 활주, 모음 핵, 성조, 종성 자음)을 제외한 모든 부분의 발음은 중세 베트남어와 현대 하노이어 발음이 거의 동일하다. 반면, 중세 베트남어의 초성 자음 발음은 모든 현대 방언과 크게 다르며, 실제로 현대 하노이어보다 현대 사이공 방언과 훨씬 더 가깝다.

다음은 중세 베트남어의 철자와 발음을 보여주는 표이다.

중세 베트남어 자음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후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nhng/ngh
파열음무기음pttrchc/k
유기음phthkh
격음bđ
마찰음무성음s/ſxh
유성음dgig/gh
유사음v/u/oly/i/ĕ
설측음r



''b''와 ''p''는 어떤 위치에서도 대조를 이루지 않으므로, 이들은 동위음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이 언어에는 음절의 처음에 세 개의 자음군이 있었는데, 이것들은 이후 사라졌다.

철자와 현대 발음 사이의 대부분의 특이한 대응 관계는 중세 베트남어에 의해 설명된다. 특히 다음을 참고하라.

드 로드의 항목은 구별되는 초성, 예각 및 정점을 보여준다.


드 로드의 표기법은 또한 ''o᷄''와 ''u᷄''에서와 같이 정점 부호를 사용하여 종성 순 연구개 비음 을 나타냈는데, 이것은 오늘날까지 하노이 방언에 고유한 의 동위음이다. 이 부호는 초기 베트남어 문자의 현대 복제본에서 종종 물결표시로 잘못 해석된다.

3. 4. 현대 베트남어

알렉상드르 드 로드의 ''Dictionarium Annamiticum Lusitanum et Latinum''(1651)에서 발견되는 중세 베트남어 이후 19세기부터 현대 베트남어가 사용되었다.[15]

10세기 초 오나라가 중국을 몰아낸 후, 고전 중국어를 정부, 학문 및 문학의 공식적인 매체로 채택했다. 중국의 지배와 함께 중국어 어휘가 대량으로 수입되었다. 그 결과 한월어는 모든 영역에서 베트남어 어휘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며, 공식적인 텍스트에 사용되는 어휘의 최대 60%를 차지할 수 있다.[15]

베트남어파 언어는 15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남진"(남진)까지 현대 베트남의 북부 3분의 1에 국한되었다.[15] 고대 국가 참파의 정복과 메콩 삼각주의 정복은 베트남인과 베트남어의 확장으로 이어졌고, 독특한 지역적 변화가 나타났다.

19세기 후반 프랑스가 베트남을 침략한 후, 프랑스어는 교육과 정부에서 점차 한문을 공식 언어로 대체했다. 베트남어는 đầm|담vi('숙녀', madame|마담프랑스어에서 유래), ga|가vi('기차역', gare|가르프랑스어에서 유래), sơ mi|소미vi('셔츠', chemise|슈미즈프랑스어에서 유래), búp bê|붑베vi('인형', poupée|푸페프랑스어에서 유래)와 같은 많은 프랑스어 단어를 채택하여 오스트로아시아어이지만 주요한 중국어 영향과 프랑스 식민지 시대의 일부 작은 프랑스어 영향을 받은 언어가 되었다.

4. 지리적 분포

베트남어는 베트남의 공용어로, 다수 민족인 킨족뿐 아니라 베트남 내의 많은 소수민족들도 이 언어를 사용한다. 또 이웃한 중국, 캄보디아, 라오스에도 베트남계 인구를 중심으로 한 베트남어 화자가 상당수 분포하고 있다. 현대 이민의 결과로 베트남어는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북아메리카,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등 전세계 여러 지역의 베트남인 디아스포라에서 사용되고 있다.

전 세계 베트남어 사용자 분포


베트남계 이민의 결과로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북아메리카, 유럽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베트남어 화자가 발견된다. 베트남어는 체코에서도 소수 언어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국가 언어로서 베트남어는 베트남의 ''링구아 프랑카''이다. 베트남어는 광시 남부 동흥 앞 세 개의 섬(현재는 본토와 합쳐짐)에 전통적으로 거주하는 징족 사람들도 사용한다.[19] 많은 수의 베트남어 화자는 캄보디아와 라오스에도 거주한다.

미국에서는 베트남어가 150만 명 이상의 화자를 보유한 여섯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 소수 주에 집중되어 있다. 텍사스와 워싱턴에서는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 조지아, 루이지애나, 버지니아에서는 네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고, 아칸소와 캘리포니아에서는 다섯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20] 베트남어는 영어를 제외하고 중국어와 아랍어 다음으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21] 프랑스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아시아 언어이자 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여덟 번째 이민자 언어이다.[22]

5. 방언

베트남어는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 방언, 후에를 중심으로 한 중부 방언, 호찌민 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 방언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북부 방언은 6성조를 사용하고 음절 끝자음을 분명히 발음하지만, 중부와 남부 방언은 5성조를 사용하는 등 차이가 있다. 베트남어의 표준음은 하노이의 북부 방언을 기초로 하고 있다.[131]

5. 1. 전통적인 방언 구분

베트남어에는 여러 지역 방언이 있으나 모두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전통적으로 베트남어는 북부, 중부, 남부의 3가지 방언 지역으로 구획되는데, 화자 수는 대략적으로 북부가 45%, 중부가 10%, 남부가 45% 정도이다.[131] 일부 학자들은 독자적 특징을 가진 북중부 방언의 존재를 주장하기도 한다. 남베트남 지역은 15세기 말부터서야 베트남어 화자가 살기 시작했기 때문에 남북 간의 방언 차이는 중부와의 차이에 비해 크지 않다.

베트남어 방언은 크게 북부 방언, 중부 방언, 남부 방언의 세 가지로 나뉘며, 각각 하노이, 후에, 호찌민 시를 표준으로 한다.[131] 이 중 중부 방언은 다른 두 방언과 비교하여 음운과 어휘 양면에서 차이가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북부와 남부가 대립한다. 이는 역사적으로 하노이와 후에가 (정씨)와 (응우옌 왕조)의 분립 이후 대립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반면, 남부는 18세기 말 이후 처음으로 영역이 된 "신개척지"이며, 명나라 멸망 후 베트남으로 유입된 중국인 난민들이 남부에 정착하여 베트남인 관료의 지배하에 세력을 확장하여 크메르계 주민을 몰아내고, 1863년 프랑스의 캄보디아 보호국화까지 계속해서 캄보디아 영토를 침식하며 확장한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

각 방언의 언어적 구분은 일반적인 베트남지리적 구분[113]과는 큰 차이가 있다(북부 방언: 타인호아성 이북, 중부 방언: 게안성~투아티엔후에성, 남부 방언: 다낭(꽝남성) 이남).

5. 2. 북중부 방언

일부 학자들은 독자적인 특징을 가진 북중부 방언의 존재를 주장한다.[113] 북중부 방언은 타인호아성 이북부터 게안성~투아티엔후에성까지 사용되는 방언을 가리킨다.[113]

5. 3. 방언 간 차이

베트남어에는 여러 지역 방언이 있으나 모두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전통적으로 베트남어는 북부, 중부, 남부의 3가지 방언 지역으로 구획되는데, 화자 수는 대략적으로 북부가 45%, 중부가 10%, 남부가 45% 정도이다. 일부 학자들은 독자적 특징을 가진 북중부 방언의 존재를 주장한다. 남베트남 지역은 15세기 말부터서야 베트남어 화자가 살기 시작했기 때문에 남북 간의 방언 차이는 중부와의 차이에 비해 크지 않다.[113]

베트남어 방언은 크게 북부 방언, 중부 방언, 남부 방언으로 나뉘며, 각각 하노이, 후에, 호치민(사이공)을 표준으로 한다. 중부 방언은 다른 두 방언과 비교하여 음운과 어휘 양면에서 차이가 가장 크고, 그다음으로 북부와 남부 방언이 대립한다. 이는 (정씨)와 (광남 응우옌 씨)가 분립한 이후 하노이와 후에가 대립한 역사와 달리, 남부는 18세기 말 이후 처음으로 영역이 된 "신개척지"이기 때문이다. 명나라 멸망 후 베트남으로 유입된 중국인 난민들은 남부에 정착하여 베트남인 관료의 지배하에 세력을 확장하여 크메르계 주민을 몰아내고, 1863년 프랑스의 캄보디아 보호국화까지 계속해서 캄보디아 영토를 침식하며 확장했다.[113]

1858년부터 시작된 남부 점령(코친차이나 총독부 설치)으로 프랑스의 식민지배를 받은 사이공은 "동양의 파리"라고 불리는 대도시로 성장하여, 1975년 사이공 함락까지 하노이와 대립하는 정치적·경제적 중심지였다. 현재 베트남어에서도 하노이 방언과 사이공 방언은 거의 동등한 위상을 가지고 병존하며, 음성 매체에서도 사이공 방언은 하노이 방언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113]

베트남 전쟁으로 많은 정치 난민이 발생하였고, 특히 남베트남에 살던 부유층과 화교의 대부분이 해외로 이주하였다. 사회주의 국가로서의 새로운 생활 환경·습관을 모르는 베트남계 이주민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말은, 전후 공산당 정부의 "베트남어 순화 운동"의 영향을 받지 않아 한자어 비율이 높은 등, 특히 어휘 면에서 현재 베트남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말과 다르다.[113]

각 방언의 언어적 구분은 일반적인 베트남지리적 구분[113]과 큰 차이가 있다(북부 방언: 타인호아성 이북, 중부 방언: 게안성~투아티엔후에성, 남부 방언: 다낭(꽝남성) 이남).[113]

5. 3. 1. 어휘

베트남어는 크게 북부 방언, 중부 방언, 남부 방언의 세 가지로 나뉘며, 각각 하노이, 후에, 호치민(사이공)을 표준으로 한다. 이 중 중부 방언은 다른 두 방언과 비교하여 어휘와 음운 양면에서 차이가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북부와 남부 방언이 대립한다.[113] 이는 역사적으로 하노이와 후에는 (정씨)와 (광남 응우옌 씨)가 분립한 이후 대립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반면, 남부는 18세기 말 이후 처음으로 영역이 된 "신개척지"이기 때문이다. 명나라 멸망 후 베트남으로 유입된 중국인 난민들은 남부에 정착하여 베트남인 관료의 지배하에 세력을 확장하여 크메르계 주민을 몰아내고, 1863년 프랑스의 캄보디아 보호국화까지 계속해서 캄보디아 영토를 침식하며 확장했다.[113]

1975년 사이공 함락까지 하노이와 대립하는 정치적·경제적 중심지였던 사이공은 코친차이나 총독부 설치로 시작된 프랑스의 식민지배 중심지였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베트남어에서도 하노이 방언과 사이공 방언은 거의 동등한 위상을 가지고 병존하며, 음성 매체에서도 사이공 방언은 하노이 방언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113]

베트남 전쟁으로 많은 정치 난민이 발생하였고, 특히 남베트남에 살던 부유층과 화교의 대부분이 해외로 이주하였다. 사회주의 국가로서의 새로운 생활 환경·습관을 모르는 베트남계 이주민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말은, 전후 공산당 정부의 "베트남어 순화 운동"의 영향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한자어 비율이 높은 등, 특히 어휘 면에서 현재 베트남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말과 다르다.[113]

각 방언의 언어적 구분에서도 일반적인 베트남지리적 구분[113]과는 큰 차이가 있다(북부 방언: 타인호아성 이북, 중부 방언: 게안성~투아티엔후에성, 남부 방언: 다낭(꽝남성) 이남).[113]

5. 3. 2. 음운

음절은 초성(음절 첫소리), 운모(요모음 + 주모음 + 음절 끝소리/모음), 그리고 성조로 구성된다. 많은 음절 자체가 형태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소위 "단음절어"적인 특징을 지닌다.

음절 끝 모음(-i/-y, -o/-u)은 IPA에서 반모음(, )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음절 끝 자음과 마찬가지로 취급된다.

한자음 대응은 중국어 각 방언, 일본어, 한국어에서 거의 변화가 없거나 (변화하더라도 b와 같은 순음으로 남는) 초성 자 "面", "民" 등이 d(북부 방언의 )로 변화하고, 반모음 초성 자도 마찰이 강해져 d(북부 방언의 )가 된다. 또한, 의 일부는 로 변화하는 것이 특징적이며, 현대 중국어의 sh() 초성 자의 일부는 th()에 대응한다.[69]

베트남어 방언은 크게 북부 방언, 중부 방언, 남부 방언으로 나뉘며, 각각 하노이(하노이시), 후에, 호치민(호치민시, 사이공)을 표준으로 한다. 이 중 중부 방언은 다른 두 방언과 비교하여 음운과 어휘 양면에서 차이가 가장 크고, 그다음으로 북부와 남부가 대립한다.

사이공은 "동양의 파리"라고 불리는 대도시로 성장하여, 1975년 사이공 함락까지 하노이와 대립하는 정치적·경제적 중심으로 남아 있었기 때문에, 현재 베트남어에서도 하노이 방언과 사이공 방언은 거의 동등한 위신을 가지고 병립하고 있으며, 음성 매체에서도 사이공 방언은 하노이 방언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각 방언의 언어적 구분은 일반적인 베트남지리적 구분[113]과 큰 차이가 있다(북부 방언: 타인호아성 이북, 중부 방언: 게안성~투아티엔후에성, 남부 방언: 다낭(꽝남성) 이남).

음운론적 측면에서 볼 때, 하노이 방언에서는 음절 첫소리 자음(성모)의 대립이 퇴화된 반면, 사이공 방언에서는 이를 보존하고 있다(자세한 내용은 "'''문자'''", "'''자음'''" 표 참조). 단, 음절 첫소리 자음의 구분은 하노이를 제외한 북부 방언에서는 상당히 보존되어 있다[114]). 반대로, 음절 끝소리 자음(운모)과 성조의 대립은 사이공 방언에서 퇴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n, -ng, -nh를 가지는 모음이 모두 비음화되고, 성조의 경우 4.(문조)와 5.(전조)의 구분이 없어진다.[115][116] 또한 6.(중조)도 하노이 방언과 약간 다르다.[117] 또한 폐음절의 이중모음이 약화되어 단모음화된다(iê(yê) → i(y), uô → u, ươ → ư).[118]

후에 방언은 저성(仄聲)()인 3.(예조), 4.(문조), 5.(전조)가 6.(중조)로 변화하기 때문에, 흔히 '''nói nặng "무거운 발음"'''이라는 독특한 어휘가 중부 방언의 특징이라고 여겨진다.[125][126]

하노이 방언에서는 일부 음절이 같은 발음이 된다(ưu → iu, ươu → iêu).[127]

6. 어휘

동남아시아 본토의 민족언어 집단


한자어(왼쪽) 어휘와 표준중국어 및 광둥어 발음, 현대 베트남어 어휘(오른쪽) 비교


베트남어 어휘는 고유어, 한자어, 프랑스어 차용어, 영어 차용어, 속어 등으로 구성된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베트남어는 고유어 형태소도 한자어 어근과 마찬가지로 단음절이다. 고유어는 수식 성분을 뒤에 놓는 반면, 한월어는 중국어에서 차용했기 때문에 수식 성분을 앞에 놓는다.[131]

베트남어는 일본어 차용 어휘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비교적 최근에 연구되기 시작했다.[41] 베트남어 속어(tiếng lóng)는 순수 베트남어 단어뿐만 아니라 북경어, 인도유럽어족 등 다른 언어에서 차용한 단어로 구성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해왔다.[43]

6. 1.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기원 어휘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며, 크메르어와 함께 화자 수가 가장 많은 언어 중 하나이다. 중국어타이어 등의 영향을 받아 성조 언어가 되었다고 여겨진다.[129]

어휘에는 한자어가 많지만, 고유어 형태소도 한자어 어근과 마찬가지로 단음절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조어 방식에는 차이가 있는데, 고유어는 문법에 따라 수식 성분을 뒤에 놓는 반면, 한월어는 중국어에서 그대로 가져왔기 때문에 수식 성분을 앞에 놓는 형태가 유지된다.[131]

6. 2. 한자어 어휘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지만, 중국어와의 언어 접촉으로 인해 한자어 어휘가 많이 유입되었다. 10세기 초까지 중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고전 중국어가 공식 언어로 사용되었고, 이후에도 중국어 어휘가 대량으로 유입되어 한월어는 베트남어 어휘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38][39][40]

베트남어 어휘는 한자어와 고유어가 혼재되어 나타난다. 고유어 형태소는 한자어 어근과 마찬가지로 단음절이지만, 조어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고유어는 문법에 따라 수식 성분을 뒤에 두는 반면, 한월어는 중국어에서 차용되었기 때문에 수식 성분이 앞에 놓인다.

한월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어중국어 원문주음한국어 번역
Nhật Bản日本일본
Việt Nam越南베트남
chú ý注意주의
vũ trụ宇宙우주
công ty公司회사
lãnh sự quán領事館영사관
thủ tướng首相수상
thư viện書院도서관
phát triển發展발전, 개발



현대 중국어와 의미가 다른 한자어도 많이 존재한다.

베트남어한자의미중국어/광둥어 의미와 표현
phương tiện方便수단편리, 办法중국어 / 또는 手段중국어
văn phòng文房사무실서재, / 또는 /
giáo sư教師교수교사, 教授중국어
tiên sinh先生주로 연장자나 학식이 높은 사람에 대한 존칭(고전적 표현, 현대에는 무협 소설이나 시대극에서만 사용)~씨/선생님, /



일본어 고유어에 한자를 붙인 유형의 한자어 또는 일본식 한자어가 차용되어 정착한 예도 있다. 이 경우 베트남어에서는 음독으로 읽힌다.

베트남어일본어
lập trường입장(立場)
trường hợp경우(場合)
thủ tục수속(手続)
bệnh viện병원(病院)
gia đình가정(家庭) (가족)


6. 3. 프랑스어 차용어

19세기 후반 프랑스가 베트남을 침략한 후, 프랑스어는 교육과 정부에서 점차 한문을 공식 언어로 대체했다.[15] 베트남어는 đầm|담vi('숙녀', madame프랑스어에서 유래), ga|가vi('기차역', gare프랑스어에서 유래), sơ mi|소미vi('셔츠', chemise프랑스어에서 유래), búp bê|붑베vi('인형', poupée프랑스어에서 유래)와 같은 많은 프랑스어 단어를 채택하여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지만 주요한 중국어 영향과 프랑스 식민지 시대의 일부 작은 프랑스어 영향을 받은 언어가 되었다.

베트남은 1883년 프랑스의 보호령/식민지가 되었으며(1954년 제네바 협정까지), 이는 인도차이나 지역(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에 프랑스어의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베트남어의 ''"Cà phê"''는 프랑스어 ''café''(커피)에서 유래했다. 베트남어로 요구르트는 ''"sữa chua"''(직역: "신맛이 나는 우유")이지만, 프랑스어 (''yaourt'')에서 베트남어 (''da ua -'' /j/a ua)로 직역되었다. ''"Phô mai"''(치즈)는 프랑스어 ''fromage''에서 유래했다. 음표는 프랑스어 ''note de musique''에서 베트남어 ''"nốt"'' 또는 ''"nốt nhạc"''로 차용되었다. 베트남어로 핸들은 프랑스어 ''volant directionnel''에서 부분적으로 유래한 ''"vô lăng"''이다. 넥타이(프랑스어 ''cravate'')는 베트남어로 ''"cà vạt"''으로 표현된다.

또한, 프랑스식 이름의 현대 베트남어 발음은 원래 프랑스어 발음과 직접적으로 일치한다 (파리는 ''"Pa-ri"'', 마르세이유는 ''"Mác-xây"'', 보르도는 ''"Boóc-đô"'' 등). 반면 다른 외국 이름( 중국어 제외)의 발음은 일반적으로 영어에서 유래한다.

이 외에도 프랑스어에서 차용한 단어가 있다. 알파벳 사용 언어에서 차용한 단어(특히 고유 명사)는 로마자 채택으로 용이해졌지만, 원래 철자를 그대로 사용할지, 베트남어 음운 구조에 맞춘 철자를 사용할지를 놓고 현재까지 논의가 계속되고 있으며, 차용어의 사용에는 혼란이 보인다. /m/, /n/, /ŋ/, /ɲ/ 이외의 유성 자음은 음절 말에 서지 않으므로, 대응하는 무성 자음(없는 경우에는 조음 위치가 가까운 무성 자음)으로 바뀐다(프랑스어의 r을 /k/로 음역하는 등).

6. 4. 영어 차용어

베트남어는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베트남 침략 이후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많은 프랑스어 단어를 차용했다. madame|마담|프랑스어에서 유래한 đầm|담|vi('숙녀'), gare|가르|프랑스어에서 유래한 ga|가|vi('기차역'), chemise|슈미즈|프랑스어에서 유래한 sơ mi|소미|vi('셔츠'), poupée|푸페|프랑스어에서 유래한 búp bê|붑베|vi('인형') 등이 그 예이다. 이로 인해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면서도 중국어의 영향과 더불어 프랑스어의 영향까지 받은 독특한 언어가 되었다.

일부 영어 단어도 베트남어에 차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TV"는 "tivi" 또는 그냥 TV로 사용된다. 그러나 공식적으로는 ''truyền hình''이라고 한다. 다른 영어 단어들은 역어되어 베트남어로 번역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software'는 "''phần mềm''"(직역하면 "부드러운 부분")으로 번역된다.

알파벳 사용 언어에서 차용한 단어(특히 고유 명사)는 로마자 채택으로 인해 차용이 쉬워졌지만, 원래 철자를 그대로 사용할지, 아니면 베트남어 음운 구조에 맞춘 철자를 사용할지를 놓고 논의가 계속되고 있으며, 차용어 사용에 혼란이 나타나기도 한다. 베트남어는 /m/, /n/, /ŋ/, /ɲ/ 이외의 유성 자음은 음절 말에 오지 않으므로, 대응하는 무성 자음(없는 경우에는 조음 위치가 가까운 무성 자음)으로 바뀐다(프랑스어의 r을 /k/로 음역하는 등).

다음은 베트남어에 차용된 외국어 단어의 예시이다.

6. 5. 일본어 차용어

베트남어는 일본어에서 차용한 어휘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비교적 최근에 연구되기 시작한 현상이다. Nguyễn & Lê (2020)의 논문에서는 베트남어에 영향을 준 일본어를 세 차례로 분류하고 있다.[41]

6. 6. 순수 베트남어 단어

베트남어의 기본 어휘는 프로토-비엣어(Proto-Vietic) 기원을 가지고 있다. 베트남어는 므엉어와 많은 어휘를 공유한다.

베트남 서사시 ''Đại Nam quốc sử diễn ca''(大南國史演歌)에 나오는 ''nước non''


베트남어, 므엉어, 마이어 및 문다어족의 기본 어휘
영어베트남어므엉어마이어비교프로토-비엣어
영(zero)khôngkhôngkħǒŋN/A, 중국 중세어(Middle Chinese) 空 /kʰuŋ/에서 유래
일(one)mộtmốch, môchmucmɨy (소라어)*moːc
이(two)haihalhaːlbar (산탈리어)*haːr
삼(three)bapapape (산탈리어)*pa
사(four)bốnpổnponpon (산탈리어)*poːnʔ
오(five)nămđằm, đămdămmɔ̃ɽɛ̃ (산탈리어)*ɗam
육(six)sáukhảuplǎųtuɾui (코르쿠어)*p-ruːʔ
칠(seven)bảypáypǎiei (코르쿠어)*pəs
팔(eight)támthảmtʰamtʰam (소라어)*saːmʔ
구(nine)chínchỉncintin (소라어)*ciːnʔ
십(ten)mười/chụcmườlmal/cukgel (소라어)*maːl/*ɟuːk
너(you)màymiʔamiamən (소라어)*miː
비(rain)mưamưakuma̤gama (문다리어)*k-ma
바람(wind)gióxỏkuzɔhɔjɔ (문다리어)*k-jɔːʔ ~ *kʰjɔːʔ
산(mountain)khũɓlubɘru (소라어)*b-ruːʔː
젊은(young)nonnonkunɔnkɔnɔn (카리아어)*k-nɔːn
물(water)nác > nướcđácdakdaʔa (소라어)*ɗaːk
차가운(cold)lạnhlẽnhtabat/l͎uɓat raŋga (카리아어)*nl͎eŋ
연기(smoke)/khói/khỏihakoporo (소라어)*ɓɔːjʔ
잎(leaf)lảʔulaola (소라어)*s-laːʔ
쌀(rice)gạocảotakocaole (산탈리어)*r-koːʔ
고기(meat)ñśic > thịtthitcitsissid (소라어)*-siːt
물고기(fish)cảʔakahako (산탈리어)*ʔa-kaːʔ
쥐(rat)chuộtchuộtkunegubu (본다어)*k-ɟɔːt
돼지(pig)cúicủikulsukri (산탈리어)*kuːrʔ
파리(fly (n.))ruồiròimuɽɔi̯aroi (소라어)*m-rɔːj
잡다(hold)cầmcầmkadapkum-si (소라어)*nkɘm
하품하다(yawn)ngápngáppuŋoh'aŋgɔb'' (산탈리어)*s-ŋaːp
찌르다(to stab)chọcchoccatʔsuj (소라어)*ncuk(i)
훔치다(steal)trộm (đồ)lỗmlomkombro (산탈리어)*t.luːmʔ



nước non ( chữ Nôm: 渃𡽫, "국가/국토", 문자 그대로 "물과 산")과 같은 다른 복합어는 순수하게 베트남어 기원인 것으로 보이며, 주자(chữ Nôm) 문자(복합적인, 자체 제작 중국 문자)로 쓰였지만 이제는 베트남 알파벳으로 쓰여진다.

어휘에는 한자어가 많지만, 고유어 형태소도 한자어 어근과 마찬가지로 단음절로 이루어진다. 다만 조어에 있어서는 고유어의 경우 문법에 따라 수식 성분을 후치하는 반면, 한월어는 중국어에서 그대로 차용했기 때문에 수식 성분은 전치된 채로 남아 있다.



다만, 남북 통일 후 "베트남어 순화 운동"이 일어나 몇몇 한자 차용어가 고유어로 대체되었기 때문에, 남베트남에서 쓰인 오래된 문서나 베트남 전쟁 종전 전 해외로 이주한 사람들 사이에서는 máy bay|마이 바이vi를 phi cơ|피 꺼vi(번역 차용이 아닌 「飛機」의 직역)으로 하는 등의 차이가 있다.[108]

6. 7. 속어

베트남어 속어(tiếng lóng)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해왔다. 순수 베트남어 단어뿐만 아니라 북경어 또는 인도유럽어족과 같은 다른 언어에서 차용한 단어로 구성된다.[43] 북경어에서 유래한 베트남어 속어는 아주 적은 비율(4.6%)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43] 반면, 인도유럽어에서 유래한 속어는 더 큰 비중(12%)을 차지하며 오늘날 사용에서 훨씬 더 일반적이다.[43] 이러한 언어에서 차용된 속어는 음역되거나 구어일 수 있다.[43]

단어IPA설명
Ex영어에서 차용된 단어로, 전 애인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며, 보통 ếch("개구리")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구어 속어의 한 예이다.[43]
영어 단어 "show"에서 유래한 단어로, 같은 의미를 가지며, 보통 chạy("달리다")라는 단어와 함께 chạy sô라는 구를 만드는데, 영어로는 "쇼를 진행하다"로 번역되지만, 일상적인 용법은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일을 해야 한다"는 의미와 같다. 음역 속어의 한 예이다.[43]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속어가 생성되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유행하고 있다. 이러한 더 현대적인 속어는 베트남의 젊은 세대의 청소년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대부분 순수 베트남어이며, 거의 모든 단어가 동음이의어이거나 어떤 형태의 말장난이다. 일부 속어에는 욕설(비하적인)이나 단순한 말장난이 포함될 수 있다.

북부, 중부 또는 남부 베트남 방언에서 유래한 새로운 속어와 오래된 속어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단어IPA설명
vãi주로 북부 베트남에서 유래한 욕설로, 문맥에 따라 명사 또는 동사가 될 수 있다. 명사 형태에서는 여성 불교 사찰 참배객을 가리키고, 동사 형태에서는 "무언가를 엎지르다"를 의미한다. 속어로는 형용사나 동사를 강조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예: ngon vãi("매우 맛있다"), sợ vãi("매우 무섭다")).[44] 욕설 bloody와 유사한 용법이다.
trẻ trâu직역하면 "버펄로 아이"를 뜻하는 명사이다. 보통 어린 아이 또는 아이처럼 행동하는 사람들, 즉 다른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허세를 부리고 어리석게 행동하는 사람들(부정적인 행동, 말, 생각으로)을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45]
gấu"곰"을 뜻하는 명사이다. 애인을 가리키는 데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46]
"닭"을 뜻하는 명사이다. 어떤 일을 완수하거나 경쟁하는 데 능력이 부족한 사람을 가리키는 데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45]
cá sấu"악어"를 뜻하는 명사이다. 못생긴 사람을 가리키는 데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sấu라는 단어는 xấu(못생긴)와 비슷하게 발음될 수 있다.[46]
thả thính물고기를 잡기 위해 볶은 를 미끼로 던지는 행위를 묘사하는 동사이다. 오늘날에는 자신이 끌리는 다른 사람에게 암시를 던지는 행위를 묘사하는 데에도 사용된다.[46]
nha (및 다른 변형)다른 어미 (nhé, nghe, nhỉ, nhá)와 마찬가지로 문장 끝에 사용될 수 있다. "Rửa chén, nhỉ"는 "설거지 해… 그렇지?"를 의미할 수 있다.[47]
dô (남부) 및 dzô 또는 zô (북부)"안에"를 의미하는 vô 단어의 안구 방언이다. 파티에서 술을 마실 때 쓰는 구호이다. 보통 베트남 남부 사람들은 "dô"라고 발음하지만, 북부 사람들은 "dzô"라고 발음한다. 베트남어 알파벳에는 일반적으로 없는 문자 "z"는 강조하거나 속어 용어에 사용될 수 있다.[48]
lu bu, lu xu bu,바쁜 것을 의미하는 남부 베트남어 "Lu bu". 특정 작업이나 활동에 너무 바빠서 다른 일을 많이 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하는 "Lu xu bu" - 예: quá lu bu(너무 바쁨).[49]



이전 세대가 오래된 속어를 사용해 온 반면, 베트남 젊은이들(청소년어로)이 사용하는 현대 속어의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오래된 세대가 대화를 이해하기 어려워졌다. 이것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일부 사람들은 청소년들이 일상적인 대화에서 청소년어나 인터넷 속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말의 형식과 리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믿는다.[50] 다른 사람들은 문제가 속어가 아니라 순간적인 인터넷 메시징 시대에 대한 의사소통 기법의 부족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속어를 무시해서는 안 되며, 대신 청소년들에게 언제 사용해야 하고 언제 부적절한지 인식하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믿는다.

베트남어의 기본적인 말장난 형태 중 하나는 이어지는 단어의 첫 음절이 앞 단어의 마지막 음절이 되는 2음절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게임은 상대방이 더 이상 단어를 생각해내지 못할 때까지 두 명이 번갈아가며 진행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Hậu trường (후우 장 - 무대 뒤)Trường học (쯔엉 혹 - 학교)Học tập (혹 탑 - 공부)Tập trung (탑 중 - 집중)
Trung tâm (중 텀 - 중심)Tâm lí (텀 리 - 심리)Lí do (리 조 - 이유)등등, 누군가 다음 단어를 만들어내지 못하거나, 게임으로 사용하는 경우 포기할 때까지 계속된다.



베트남어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또 다른 언어 게임으로는 ''nói lái(노이 라이)''가 있다. ''Nói lái''는 한 쌍의 단어에서 성조를 바꾸거나,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며, 단어의 순서나 각 단어의 첫 자음과 운율을 바꾸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원래 문구nói lái 변형 후 문구구조적 변화
đái dầm ("아이" 오줌 누다)dấm đài (직역: "식초 무대")단어 순서 및 성조 변경
chửa hoang (결혼하지 않고 임신하다)hoảng chưa (아직 놀랐어?)단어 순서 및 성조 변경
bầy tôi (왕의 모든 신하들)bồi tây (서양 종업원)첫 자음, 운율 및 성조 변경
bí mật (비밀들)bật mí (폭로하다)첫 자음과 운율 변경
Tây Ban Nha (스페인(España))Tây Bán Nhà (직역: "서쪽 집 팔다", 주로 스페인 국가대표팀을 비꼬는 데 사용됨)[65]첫 자음, 운율 및 성조 변경
Bồ Đào Nha (포르투갈)Nhà Đào Bô (직역: "집 파다 양동이", 주로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을 비꼬는 데 사용됨)단어 순서 및 성조 변경



변형된 문구는 종종 다른 의미를 갖지만, 때로는 단순히 무의미한 단어 쌍이 될 수도 있다. ''Nói lái''는 원래 의미를 애매하게 만들어 사회적으로 민감한 문제에 대한 논의를 완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암시적으로 전달하여 숨겨진 함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피글래틴과 다소 유사한 또 다른 단어 게임은 아이들이 한다. 여기서 아이가 선택한 무의미한 음절(nonsense syllable)이 목표 단어의 음절 앞에 붙여지고, 그런 다음 원래 단어의 성조를 유지하면서 초기 자음과 운율이 바뀐다.

무의미한 음절목표 단어접두사 음절이 붙은 중간 형태결과 "비밀" 단어
laphở (소고기 또는 닭고기 국수 수프)la phởlơ phả
laăn (먹다)la ănlăn a
lahoàn cảnh (상황)la hoàn la cảnhloan hà lanh cả
chimhoàn cảnh (상황)chim hoàn chim cảnhchoan hìm chanh kỉm



이 언어 게임은 성인의 이해에서 메시지를 숨기는 데 유용한 "비밀" 또는 "암호" 언어로 자주 사용된다.

음절의 첫 글자를 따서 약어를 만드는 일이 빈번하며, 모어 화자조차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아래는 거의 누구에게나 이해될 수 있는 예이다. 단, 이것들은 필기에서만 존재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ĐTDĐvi는 데테제데라고 읽지 않고, 디엔토아이지돈(남부 표준어에서는 이돈)이라고 읽는다.



또한 이 외에도, 특히 휴대전화에 익숙한 젊은 세대에서는 성조 기호의 생략, được(수동, 허가, 가능을 나타내는 어)를 "đk"로 하는 것, không(부정, 의문을 나타내는 어)을 "k" 한 글자로 줄이는 것, 인칭 대명사 anh, em을 "a", "e" 한 글자로 줄이는 등의 생략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7. 표기 체계

베트남어는 로마자성조를 표시하여 기록하는 꾸옥응으를 사용한다. 꾸옥응으는 17세기 프랑스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가 정리한 로마자 기반의 표기법에서 비롯한 것으로, 20세기 초 프랑스 식민지 시절 《꾸옥응으》(Quốc Ngữ|꾸옥응으vi)로 정리되었다.

꾸옥응으의 알파벳 자모는 아래의 표와 같다.

현대 베트남어의 알파벳
대문자소문자
Aa
Ăă
Ââ
Bb
Cc
Dd
Đđ
Ee
Êê
Gg
Hh
Ii
Kk
Ll
Mm
Nn
Oo
Ôô
Ơơ
Pp
Qq
Rr
Ss
Tt
Uu
Ưư
Vv
Xx
Yy



모음에 붙는 기호는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실제 표기에서는 이 기호들 위에 성조의 표시가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어 “mắc|막vi(병을 앓다)”와 같이 쓰인다. 베트남어는 단음절 마다 띄어쓰고 문장의 처음과 고유명사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7. 1. 쯔놈

13세기경부터 베트남 학자들은 중국 문자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베트남어로 된 민간 문학을 기록하기 위한 chữ Nômvi (쯔놈) 문자를 개발했다.[51] 이 문자는 중국 한자를 사용하여 차용된 한월어 어휘와 발음이나 의미가 유사한 고유어를 모두 표기했다. 또한 음의미 합성어를 포함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베트남어 단어를 표기하기 위해 수천 개의 새로운 합성 한자가 만들어졌다.[51]

예를 들어, 고전시가 ''결구(Kiều)''의 첫 구절에서,

Nômvi의 초기 형태에 대한 가장 오래된 예는 13세기 초의 탑미우 사원 비문에 있는 이름 목록에서 발견된다.[52][53]

Nômvi 문자는 18세기에 전성기를 맞이하여 많은 베트남 작가와 시인들이, 특히 응우옌 즈엉(Nguyễn Du)과 "Nôm 시의 여왕"으로 불리는 호 쑤언 흐엉(Hồ Xuân Hương)이 Nômvi으로 작품을 지었다. 그러나 공식적인 목적으로 사용된 것은 짧은 기간 동안의 후(Hồ) 왕조와 타이선(Tây Sơn) 왕조(각각 1400~1406년과 1778~1802년)에만 해당된다.[51]

베트남 가톨릭 신자였던 응우옌 뜨엉 토(Nguyễn Trường Tộ)는 중국 한자를 기반으로 한 베트남어 문자 채택을 제안하는 상소를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51]

7. 2. 꾸옥응으

로마자성조를 표시하여 기록하는 꾸옥응으는 17세기 프랑스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가 정리한 로마자 기반의 표기법에서 비롯한 것으로, 20세기 초 프랑스 식민지 시절 《꾸옥응으》(Quốc Ngữ|꾸옥응으vi)로 정리되었다.

꾸옥응으의 알파벳 자모는 아래의 표와 같다.

현대 베트남어의 알파벳
대문자A|AviĂ|아viÂ|어viB|베viC|쎄viD|제viĐ|데viE|에viÊ|에viG|제viH|핫viI|이viK|까viL|엘viM|엠viN|엔viO|오viÔ|오viƠ|어viP|뻬viQ|뀌viR|에르viS|엗viT|떼viU|우viƯ|으viV|베viX|읻viY|이vi
소문자a|aviă|아viâ|어vib|베vic|쎄vid|제viđ|데vie|에viê|에vig|제vih|핫vii|이vik|까vil|엘vim|엠vin|엔vio|오viô|오viơ|어vip|뻬viq|뀌vir|에르vis|엗vit|떼viu|우viư|으viv|베vix|읻viy|이vi



모음에 붙는 기호는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실제 표기에서는 이 기호들 위에 성조의 표시가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어 “mắc|막vi(병을 앓다)”와 같이 쓰인다. 베트남어는 단음절 마다 띄어쓰고 문장의 처음과 고유명사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는 17세기에 아비뇽의 예수회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Alexandre de Rhodes, 1591~1660)에 의해 체계화되었는데, 이는 특히 프란시스쿠 드 피냐(Francisco de Pina), 가스파르 두 아마랄(Gaspar do Amaral), 안토니우 바르보사(Antonio Barbosa) 등 초기 포르투갈 선교사들의 업적을 바탕으로 한다.[54][55]

베트남어 알파벳에는 29개의 문자가 있으며, 라틴 알파벳에 추가적인 자음 문자 하나(''đ'')와 구별 부호를 사용하여 형성된 6개의 추가적인 모음 문자(''ă'', ''â/ê/ô'', ''ơ'', ''ư'')가 보충되어 있다. 라틴 문자 ''f'', ''j'', ''w'', ''z''는 사용되지 않는다.[56][57]

이 문자 체계는 10개의 이중자음(''ch'', ''gh'', ''gi'', ''kh'', ''ng'', ''nh'', ''ph'', ''qu'', ''th'', ''tr'')과 하나의 삼중자음(''ngh'')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음소를 나타낸다.

추가적인 구별 부호는 각 음절의 성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구별 부호베트남어 명칭 및 의미
(표시 없음)ngang|응앙vi '평성'
(그래브 악센트)huyền|후옌vi '저성'
(악센트)sắc|삭vi '고성'
(후크 위)hỏi|호이vi '상승조'
(틸데)ngã|응아vi '쇄파성조'
(아래 점)nặng|낭vi '입성'



따라서 구별 부호를 겹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문자에 구별 부호를 붙인 ê에 성조를 나타내는 구별 부호를 추가하여 ể를 만든다.

19세기 후반부터 베트남 알파벳(chữ Quốc ngữ|쯔 꾸옥 응으vi 또는 '국가 언어 문자')은 초기 기독교 서적에서의 사용에서 시작하여 일반 대중 사이에서 점차 인기를 얻게 되었다.

로마자 표기는 20세기 초 교육이 널리 보급되고 더 간단한 문자 체계가 일반 대중에게 가르치고 의사소통하는 데 더 효율적인 것으로 판명되면서 우세하게 되었다. 프랑스 식민 정부는 베트남에서 중국어, 유교, 그리고 다른 중국 문화의 영향을 제거하려고 했다. 프랑스어가 행정에서 문어 중국어를 대체했다. 알파벳으로 쓰인 베트남어는 1910년 통킹 보호령의 프랑스 주재 고등위원의 법령에 따라 모든 공문서에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다. 결과적으로 베트남 개혁가들과 민족주의자들은 스스로 chữ Quốc ngữ|쯔 꾸옥 응으vi의 사용을 장려하고 대중화했다. 20세기 중반까지 대부분의 글쓰기는 chữ Quốc ngữ|쯔 꾸옥 응으vi로 이루어졌으며, 독립 후 공식 문자로 채택되었다.

현재 베트남어 표기에 사용되는 것은 17세기에 가톨릭의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가 고안하고, 프랑스의 식민지화 이후 널리 보급된 로마자 표기 "주곡구(Chữ Quốc ngữ|쯔 꾸옥 응으vi)”이다. 식민지 시대에는 주곡구가 프랑스에 의한 "문명화"의 상징으로 "프랑스인으로부터의 선물"이라고 불렸지만, 독립 운동을 추진한 민족주의자들은 모두 주곡구에 의한 자기 형성을 완료했기 때문에, 불편함과 비효율성 및 읽고 쓰는 능력 향상을 이유로 한자와 주놈 문은 배제되었고, 주곡구가 독립 후 베트남어의 공식 표기법이 되었다.

참조

[1] 언어코드
[2] 웹사이트 Česko má nové oficiální národnostní menšiny. Vietnamce a Bělorusy https://www.idnes.cz[...] 2013-07-03
[3] 웹사이트 Slovakia: Vietnamese community granted national minority status | European Website on Integration https://ec.europa.eu[...] 2023-06-07
[4] 간행물 Ethnologue 2013
[5] 서적 A History of the Vietnames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5-09
[6] 서적 Languages of the Himalayas, Volume One https://books.google[...] BRILL
[7] 학술지 The integration of French loanwords into Vietnamese: A corpus-based analysis of tonal, syllabic and segmental aspects https://hal.science/[...]
[8] 학술지 The Problem of the Word in Vietnamese http://www.tandfonli[...] 1963-01-17
[9] 웹사이트 Vietnamese literature https://www.britanni[...] 2019-04-13
[10] 서적 The Chinese Writing System in Asia: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Routledge
[11] 웹사이트 Mon–Khmer languages: The Vietic branch http://sealang.net/m[...] SEAlang Projects 2006-11-08
[12] 간행물 Langues et peuples viet-muong
[13] 학술지 Vietic and Việt-Mường: a new subgrouping in Mon-Khmer
[14] 간행물 Vietnamese as a Mon-Khmer language
[15] 서적 An Nam dịch ngữ NXB Đà Nẵng 1995
[16] 학술지 Spirantisation des obstruantes médiales et formation du système consonantique du vietnamien https://halshs.archi[...]
[17] 학술지 La place du Vietnamien dans les langues Austroasiatiques https://halshs.archi[...] 2017
[18] 학술지 Proto-Viet–Muong Phonology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 서적 Language Power and Hierarchy: Multilingual Education in China Bloomsbury
[20] 웹사이트 MLA Language Map Data Center https://apps.mla.org[...] Modern Language Association 2018-01-20
[21] 웹사이트 2021 Australia, Census All persons QuickStats |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https://www.abs.gov.[...]
[22] 웹사이트 La dynamique des langues en France au fil du XXe siècle http://www.ined.fr/f[...] Insee
[23] 백과사전 Vietnamese language https://www.britanni[...] 2023-11-29
[24] 웹사이트 National Minorities | Government of the Czech Republic https://www.vlada.cz[...]
[25] 웹사이트 Česko má nové oficiální národnostní menšiny. Vietnamce a Bělorusy http://zpravy.idnes.[...]
[26] 웹사이트 More Thai Students Interested in Learning ASEAN Languages http://thailand.prd.[...] The Government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14-04-16
[27] 웹사이트 More and more foreigners have need to learn Vietnamese https://vietnamtimes[...] 2020-05-30
[28] 웹사이트 Vietnamese in the United States https://web.archive.[...] California State Library 2007-05-18
[29] 서적 Vietnamese Immigration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30] 웹사이트 Vietnamese teaching and learning overwhelming Germany http://www.vietnambr[...] 2015-06-13
[31] 웹사이트 School in Berlin maintains Vietnamese language https://web.archive.[...] 2015-06-13
[32] 서적 Encyclopedia of Diasporas: Immigrant and Refugee Cultures Around the World Springer 2004
[33] 학술자료 Hanoi vowels description
[34] 학술자료 Thompson's description of closing diphthongs and triphthongs
[35] 학술지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Phonology
[36] 논문 Linguistic Research on the Origins of the Vietnamese Language: An Overview https://www.research[...] 2006-02-01
[37] 논문 Language Contact and Language Change in the History of the Sinitic Languages. 2010
[38] 웹사이트 Lacquered Words: The Evolution Of Vietnamese Under Sinitic Influences From The 1St Century Bce Through The 17Th Century Ce https://ecommons.cor[...] 2013-01-28
[39] 웹사이트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the history of Colloquial Chinese – written and spoken, Rutgers University, New Brunswick NJ, 11–12 March 2016.) http://hilario.bambo[...] 2016
[40] 논문 Re-Imagining 'Annam': A New Analysis of Sino–Viet–Muong Linguistic Contact 2010
[41] 논문 Japanese Loanwords Adopted into the Vietnamese Language by Vietnamese Students and Temporary Workers https://doi.org/10.1[...] 2020-03-31
[42] 논문 Some returned loans, Japanese loanwords in Taiwan Mandarin 2001
[43] 웹사이트 Tiếng lóng trên các phương tiện truyền thông hiện nay http://khoavanhoc-ng[...]
[44] 웹사이트 Vãi là gì? Tại sao các bạn trẻ lại hay sử dụng từ này? https://tbtvn.org/va[...] 2020-07-18
[45] 웹사이트 10 từ lóng thường dùng của giới trẻ ngày nay https://vnexpress.ne[...] 2016-06-25
[46] 웹사이트 10 từ lóng thường dùng của giới trẻ ngày nay https://vnexpress.ne[...] 2016-06-25
[47]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nhé" and "nha, nghe, nhà, nhỉ" ? "nhé" vs "nha, nghe, nhà, nhỉ" ? https://web.archive.[...] 2021-03-14
[48] 웹사이트 Vã mồ hôi "giải mã" tiếng lóng tuổi teen – Xã hội – VietNamNet https://vietnamnet.v[...] 2021-04-06
[49] 웹사이트 What is the meaning of "tôi chóng mặt luôn, quá lu bu quá mệt (plz english)"? - Question about Vietnamese https://hinative.com[...] 2023-06-07
[50] 웹사이트 Lo ngại thực trạng sử dụng ngôn ngữ mạng trong học sinh https://baoninhbinh.[...] 2018-12-07
[51] 서적 Asia's Orthographic Dilemma University of Hawaii Press
[52] 서적 A History of East Asi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the Twenty-First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서적 Languages, Scripts, and Chinese Texts in East Asia Oxford University Press
[54] 서적 Portuguese Pioneers of Vietnamese Linguistics Prior to 1650 – Pionniers Portugais de la Linguistique Vietnamienne Jusqu'en 1650 Orchid Press 2002
[55] 학회발표 Từ Nước Mặn đến Roma: Những đóng góp của các giáo sĩ Dòng Tên trong quá trình La tinh hoá tiếng Việt ở thế kỷ 17 https://www.academia[...] Committee on Culture,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Vietnam 2019-10
[56] 웹사이트 Alphabet {{!}} Vietnamese Typography https://vietnamesety[...] 2023-06-24
[57] 웹사이트 Vietnamese Language History https://www.vietnam-[...] 2021-01-30
[58] 서적 Vietnam and the West: New Approaches SEAP Publications, Cornell University Press 2010
[59] 웹사이트 French Indochina 500 Piastres 1951 http://art-hanoi.com[...]
[60] 웹사이트 North Vietnam 5 Dong 1946 http://art-hanoi.com[...]
[61] 웹사이트 Ai “bức tử” chữ Hán-Nôm? https://web.archive.[...] 2009
[62]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Cultures, volume 6: Russia and Eurasia / China G.K. Hall
[63] 웹사이트 Repression in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Executions and Population Relocation https://web.archive.[...] Executive Publications, Singapore 1987 2013-11-28
[64] 기타 Table data from Hoàng (1989)
[65] Youtube Nhạc chế World Cup 2018 {{!}} TÂY BÁN NHÀ {{!}} Ronaldo còn có nhà mà về https://www.youtube.[...] 2023-08-30
[66] 웹사이트 Language Log http://www.users.big[...]
[67] 기타 # Wiki 내용으로 판단하기 어려움
[68] 서적 ベトナム語のしくみ 白水社
[69] 기타 # Wiki 내용으로 판단하기 어려움
[70] 기타 # Wiki 내용으로 판단하기 어려움
[71] 서적 キクタン ベトナム語【入門編】 アルク
[72] 텍스트
[73] 텍스트
[74] 텍스트
[75] 텍스트
[76] 텍스트
[77] 서적 ベトナム語基礎1500語 大学書林
[78] 텍스트
[79] 텍스트
[80] 텍스트
[81] 서적 ベトナム語基礎1500語 大学書林
[82] 서적 1か月で復習するベトナム語基本の500単語 語研
[83] 서적 くわしく知りたいベトナム語文法(改訂版) 白水社
[84] 서적 キクタン ベトナム語【入門編】 アルク
[85] 서적 ニューエクスプレス+(プラス) ベトナム語 白水社
[86] 텍스트
[87] 서적 くわしく知りたいベトナム語文法(改訂版) 白水社
[88] 서적 まずはここから!やさしいベトナム語 カタコト会話帳 すばる舎
[89] 서적 初心者から使える超実践的ベトナム語基本フレーズ アスク出版
[90] 텍스트
[91] 서적 パスポート初級ベトナム語辞典 白水社
[92] 텍스트
[93] 텍스트
[94] 서적 ヴェトナム語の世界 ヴェトナム語基本文典 大学書林
[95] 서적 ヴェトナム語の世界 ヴェトナム語基本文典 大学書林
[96] 텍스트
[97] 텍스트
[98] 서적 キクタン ベトナム語【初級編】 アルク
[99] 서적 キクタン ベトナム語【初級編】 アルク
[100] 텍스트
[101] 텍스트
[102] 텍스트
[103] 논문 De l'origine des tons du vietnamien
[104] 논문 The origin of Chinese tones http://halshs.archiv[...]
[105] 웹사이트 A.G. Haudricourt と声調の起源・分岐について http://www.aa.tufs.a[...] 2008-05-01
[106] 일반
[107] 논문 Vietnamese Tone: A New Analysis https://doi.org/10.4[...]
[108] 서적 ベトナム語表現とことんトレーニング 白水社
[109] 일반
[110] 일반
[111] 일반
[112] 일반
[113] 일반
[114] 일반
[115] 서적 パスポート初級ベトナム語辞典 白水社
[116] 서적 くわしく知りたいベトナム語文法(改訂版) 白水社
[117] 일반
[118] 서적 まずはここから!やさしいベトナム語 カタコト会話帳 すばる舎
[119] 일반
[120] 서적 詳解ベトナム語辞典 大修館書店
[121] 서적 つながるベトナム語会話 白水社
[122] 일반
[123] 서적 つながるベトナム語会話 白水社
[124] 서적 五味版学習者用ベトナム語辞典 武蔵野大学出版会
[125] 서적 くわしく知りたいベトナム語文法(改訂版) 白水社
[126] 서적 つながるベトナム語会話 白水社
[127] 서적 ニューエクスプレス+(プラス) ベトナム語 白水社
[128] 웹인용 현재위치 : 홈 >> 국어학·문학-국어학12 >> 월남어회화 .1966년경 https://www.oldbooks[...] 2024-07-28
[129] 논문 The Austroasiatic Urheimat: the Southeastern Riverine Hypothesis http://rogerblench.i[...]
[130] 웹사이트 Mon–Khmer languages: The Vietic branch http://sealang.net/m[...] 2006-11-08
[131] 서적 베트남어 개설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32] 일반
[133]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