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밴 더 그래프 제너레이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밴 더 그래프 제너레이터는 1967년 영국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결성된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이다. 사이키델릭 록, 블루스, 재즈의 영향을 받아 실험적인 사운드를 선보였으며, 피터 해밀의 철학적인 가사와 연극적인 보컬이 특징이다. 1969년 해체 후, 멤버 교체를 거쳐 재결성 및 해체를 반복하며 활동을 이어갔으며, 2005년에는 클래식 라인업으로 재결합하여 공연과 앨범을 발표했다. 밴드는 러쉬, 휴먼 리그 등 다양한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로 프로그레시브 록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 핑크 플로이드
    핑크 플로이드는 1965년 영국에서 결성되어 실험적인 사운드와 컨셉추얼한 앨범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록 밴드이며, 멤버 교체와 갈등, 재결합, 사실상 해체 후 우크라이나 지원 싱글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보여주었다.
  • 잉글랜드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 다이어 스트레이츠
    1977년 런던에서 결성된 영국의 록 밴드 다이어 스트레이츠는 마크 노플러, 데이비드 노플러, 존 일즐리, 픽 위더스로 시작하여 "Money for Nothing" 등의 히트곡을 내고 1995년 해체 후 2018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67년 결성된 음악 그룹 - 파리 관현악단
    파리 관현악단은 1967년 파리 음악원 관현악단 해체 후 샤를 뮌슈를 초대 음악감독으로 창단되어 세계적인 지휘자들을 거쳐 현재 클라우스 맥켈라가 음악 감독을 맡고 있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관현악단으로, 파리 필하모니를 주요 공연장으로 사용하며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보이고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독일계 지휘자 비중이 높았던 점에 대한 논란도 있다.
  • 1967년 결성된 음악 그룹 - 트래픽 (밴드)
    트래픽은 스티브 윈우드, 짐 카팔디, 크리스 우드, 데이브 메이슨을 주축으로 1967년 영국 버밍엄에서 결성되어 사이키델릭 록, 블루스 록, 재즈 록을 융합한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인 록 밴드이며, 멤버 구성 변화와 해체 후 1994년 재결합, 2004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영국의 아트 록 밴드 - 핑크 플로이드
    핑크 플로이드는 1965년 영국에서 결성되어 실험적인 사운드와 컨셉추얼한 앨범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록 밴드이며, 멤버 교체와 갈등, 재결합, 사실상 해체 후 우크라이나 지원 싱글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보여주었다.
  • 영국의 아트 록 밴드 - 뮤즈 (밴드)
    1994년 영국에서 결성된 록 밴드 뮤즈는 매튜 벨라미, 크리스 볼첸홈, 도미닉 하워드로 구성되어 얼터너티브 록, 프로그레시브 록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과 라이브 공연으로 높은 평가를 받으며, 1999년 데뷔 앨범 《Showbiz》를 포함한 다수의 정규 앨범을 발매했다.
밴 더 그래프 제너레이터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21년 무대 위의 밴 더 그래프 제너레이터
2021년 무대 위의 밴 더 그래프 제너레이터
장르프로그레시브 록
익스페리멘털 록
아트 록
활동 기간1967년–1972년
1975년–1978년
2005년–현재
레이블머큐리
카리스마
폰타나
버티고
프로브
던힐
버진
출신지맨체스터, 잉글랜드
멤버
현재 멤버피터 해밀
휴 밴튼
가이 에반스
이전 멤버크리스 저지 스미스
닉 퍼른
키스 엘리스
닉 포터
데이비드 잭슨
그레이엄 스미스
찰스 디키
기타
관련 항목밴 더 그래프 제너레이터 음반 목록

2. 역사

1967년 피터 해밀을 중심으로 결성된 밴 더 그래프 제너레이터는 그의 철학적인 가사와 복잡하고 독특한 음악으로 이탈리아 등에서 인기를 얻었다. 이들은 여러 차례 해체와 재결성을 반복했다. 1972년 해산, 1974년 재결성, 1977년 밴드명을 '''반 데 그라프'''로 변경, 1978년 해산을 거쳐 2005년 다시 밴드 밴 더 그래프 제너레이터(VDGG)로 부활했다. 2008년에는 첫 내한 공연을 가졌다.

창립자 피터 해밀(2008년)

2. 1. 결성 초기 (1967년 ~ 1969년)

밴드는 원래 맨체스터 대학교 학생들에 의해 결성되었다.


밴드는 1967년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크리스 저지 스미스와 피터 해밀을 중심으로 결성되었다.[2] 이들은 영국 리듬 앤 블루스 그룹에서 활동했던 스미스가 샌프란시스코 여행에서 돌아온 후 새로운 그룹을 결성하기 위해 해밀과 의기투합했다.[3] 밴드 이름은 반 데 그라프 발전기에서 따왔지만, 철자에 오류가 있었다.[2]

초기에는 크림, 지미 헨드릭스, 핑크 플로이드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아서 브라운의 크레이지 월드의 영향을 받아 오르간 연주자 닉 페언을 영입했다.[3][4] 초기 라인업은 기타와 보컬의 해밀, 드럼, 관악기 및 보컬의 스미스, 오르간의 페언으로 구성되었다.[4]

밴드는 1968년 초, 블루스재즈의 영향을 받은 데모 테이프를 녹음하여 머큐리 레코드에 보냈고, 1968년 5월 해밀, 스미스, 페언은 머큐리와 계약을 체결했다.[4] 그러나 페언은 학업을 위해 밴드를 떠났다.[5]

런던으로 이주한 해밀과 스미스는 휴 밴턴을 영입했고,[6] 토니 스트래튼 스미스와 매니지먼트 계약을 체결했다.[7] 그 후 베이스 기타 연주자 키스 엘리스와 드러머 가이 에반스가 합류했다.[8] 이들은 머큐리를 위해 데모를 녹음하고, 1969년 1월 폴리도르 레코드에서 싱글을 녹음했지만, 머큐리와의 계약 문제로 싱글은 철회되었다.[8] 스미스는 싱글 녹음 직후 밴드를 떠났다.[3]

1969년, 밴드는 머큐리와의 계약 문제와 장비 도난 등의 어려움을 겪으며 활동을 중단했다.[3] 5월 10일, 노팅엄에서의 마지막 공연 후 해체되었다.[3]

같은 해 7월, 해밀은 솔로 앨범을 녹음하기 위해 밴턴, 에반스, 엘리스를 세션으로 불러 모았다.[3] 이 앨범은 1969년 9월, 밴 더 그래프 제너레이터의 이름으로 머큐리에서 《The Aerosol Grey Machine》으로 발매되었다.[3]

2. 2. 카리스마 레코드 시절 (1970년 ~ 1978년)

1970년, 피터 해밀, 휴 밴턴, 가이 에반스, 데이비드 잭슨, 닉 포터에 의해 밴드가 재결성되었다. 이들은 카리스마 레코드와 계약하고 두 번째 앨범 《The Least We Can Do Is Wave to Each Other》를 녹음했다.[10]

같은 해, 세 번째 앨범 《H to He, Who Am the Only One》 녹음 중에 포터가 탈퇴했다. 밴턴은 해먼드 오르간과 함께 베이스 페달을 사용하여 베이스 파트를 담당하게 되었다. 밴턴은 전자 장치에 대한 지식이 있어 해먼드 오르간을 개조하기도 했다.[10]

1971년, 해밀, 밴턴, 잭슨, 에반스의 4인조는 "클래식" 라인업으로 불리며, 제네시스, 린디스판과 함께 '식스 밥 투어'에 참여했다. 이 투어에서 밴드는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 해밀은 "거의 모든 공연에서 관객 대부분이 대부분의 노래를 알고 있었다"라고 회상했다.[10]

투어 중 밴드는 다음 앨범인 《Pawn Hearts》를 위한 곡 작업을 시작했다. 원래 더블 앨범으로 발매할 예정이었으나, 경제적인 이유로 싱글 앨범으로 발매되었다.[11] 이 앨범에는 "Lemmings", "Man-Erg", 그리고 23분짜리 컨셉 곡 "A Plague of Lighthouse Keepers"가 수록되었다. 프로듀서 존 앤서니는 이 앨범에서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은 스튜디오 실험을 했다고 언급했다.[10] 특히 "A Plague of Lighthouse Keepers"는 여러 부분을 녹음하여 믹싱 중에 합쳐 완성되었다. 잭슨에 따르면, 곡의 한 부분에는 밴드 전체가 16번 오버더빙되었다.[11]

《Pawn Hearts》는 1971년 10월에 발매되었고, 영국에서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이탈리아에서는 12주 동안 차트 1위를 차지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12][13] 후속 싱글 "Theme One"도 이탈리아에서 1위를 차지했다. "Theme One"은 조지 마틴이 BBC 라디오 방송국 Radio 1을 위해 작곡한 기악곡이었다.[12]

이탈리아에서의 성공 이후, 밴드는 1972년 초에 6주간의 투어를 진행했다. 밴드는 관객이 적을까 봐 걱정했지만, 예상보다 많은 관객이 찾아와 큰 호응을 보였다. 잭슨은 "''Pawn Hearts''는 최고의 밴드의 궁극의 앨범으로 여겨졌다"라고 회상했다.[14]

밴드는 1972년 6월까지 세 번의 이탈리아 투어를 마쳤다. 그러나 너무 오랫동안 휴식 없이 일한 것과 스트래튼 스미스와 카리스마 레코드의 지원 부족,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밴드는 해체되었고, 해밀은 솔로 활동을 시작했다.

1975년, 해밀, 밴턴, 잭슨, 에반스의 "클래식 라인업"으로 재결성되었다. 이들은 1975년에 《Godbluff》, 1976년에 《Still Life》, 1976년에 《World Record》를 발매하며 이전보다 더욱 응집력 있고 강렬한 사운드를 선보였다.

1977년, 밴턴과 잭슨이 탈퇴하고, 밴드명을 "밴 더 그래프"로 변경했다. 그레이엄 스미스와 포터가 다시 합류하고, 이후 찰스 디키가 합류했다. 이들은 1977년에 《The Quiet Zone/The Pleasure Dome》을 발매하고, 라이브 앨범 《Vital》(1978)을 녹음한 후 다시 해체되었다.

2. 3. 재결성 이후 (2005년 ~ 현재)

2005년, 피터 해밀, 휴 밴턴, 데이비드 잭슨, 가이 에반스의 클래식 라인업으로 밴드가 재결성되었다. 이들은 9번째 앨범 《Present》(2005)를 발매하고 활발한 공연 활동을 펼쳤다.[15] 1975년 재결성 당시 밴드는 "킬러"(H to He, Who Am the Only One의 첫 번째 트랙) 및 "테마 원"과 같은 이전 시대의 인기곡을 연주하고 싶어하지 않았으며, 해밀은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계속하고 싶지 않았다"라고 회고했다.

데이비드 잭슨(2009년 사진)


2006년, 잭슨이 탈퇴하고, 해밀, 밴턴, 에반스의 트리오 체제로 활동을 이어갔다. 이후 《Trisector》(2008), 《A Grounding in Numbers》(2011), 《ALT》(2012), 《Do Not Disturb》(2016) 등의 앨범을 발매하며 꾸준히 창작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재시동 후 라이브 (2009년)


밴드는 2008년2012년 두 차례 내한 공연을 가졌다. 2008년 첫 내한 공연을 가졌으며, 2012년에는 "progressive rock fes 2012"에 출연했다. 2009년에는 NEARfest'09에 출연했다.

3. 음악적 특징

밴 더 그래프 제너레이터는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로 분류되지만,[1]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사운드로 인해 다른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들과는 차별화된다. Record Collector의 토비 매닝은 이들의 음악이 "철학적이고, 심지어 지적이며, 복잡하고... 때로는 끔찍하다"라고 표현했다.

피터 해밀의 철학적이고 문학적인 가사와 연극적인 보컬은 밴드 음악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초기에는 사이키델릭 록, 블루스, 재즈의 영향을 받았으나, 점차 복잡하고 실험적인 사운드로 발전했다. 특히 해밀의 가사는 로버트 A. 하인라인필립 K. 딕과 같은 SF 작가들의 영향으로 죽음에 대한 주제를 자주 다루었으며, 그의 목소리는 "남성 니코"로 묘사될 정도로 밴드의 독특한 개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였다.[47]

휴 밴턴의 오르간과 데이비드 잭슨의 색소폰/플루트 연주는 밴드 사운드의 중요한 축을 담당했다. 특히 잭슨은 두 대의 색소폰을 동시에 연주하는 독특한 스타일을 선보였다. 밴턴은 릭 웨이크먼이나 키스 에머슨과 같은 다른 프로그레시브 록 키보디스트와 달리 클래식 및 교회 음악을 전공한 오르간 연주자로, 맞춤형 전자 장치 및 장치로 심하게 개조된 오르간을 주로 사용했다.[48] 2005년 재결성 기간 동안에는 클론휠 오르간을 사용했지만, 2009년부터는 Hammond XK-3c를 사용하고 있다.[49]

1970년대 중반부터는 해밀의 일렉트릭 기타 연주가 밴드 사운드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2007년 이후에는 해밀, 밴턴, 에반스의 트리오 편성으로 활동하며, 밴턴의 오르간과 해밀의 기타/피아노를 중심으로 한 사운드를 선보이고 있다.

밴드는 킹 크림슨을 제외하고 다른 프로그레시브 밴드보다 더 어두운 음악적 주제를 다루는 경향이 있었다. 밴드는 Charisma Records에서 레이블을 공유하고, 토니 스트래턴 스미스와 매니지먼트를 공유하며, 'Six Bob Tour'에서 같은 무대에 올랐다는 이유로 제네시스와 비교되기도 했다. 하지만 해밀과 밴턴은 이러한 비교를 거부하며, 해밀은 제네시스가 상업적인 성공에 더 집중한 반면, 자신들은 레코드 회사의 간섭 없이 음악을 발표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언급했다.

4. 멤버

1967년1967–1968년1968년1968년
1968–1969년1969–1970년1970–1972년1972–1974년
1975–1976년1977년1977–1978년1978–2004년
2005–2006년2006–현재



밴 더 그래프 제너레이터는 1967년 피터 해밀과 크리스 저지 스미스가 결성했다. 1968년 휴 밴턴이 가입했고, 이후 키스 엘리스와 가이 에반스가 합류했다. 같은 해 해밀과 스미스 사이에 리드 보컬 자리를 두고 다툼이 있었지만, "곡을 쓴 쪽이 리드 보컬을 맡는다"는 합의로 스미스가 탈퇴했다.

1969년에는 데이비드 잭슨과 닉 포터가 합류하여 재결성되었으나, 1970년 H to He, Who Am the Only One 앨범 녹음 중 포터가 탈퇴했다. 1972년 밴드는 해산했지만, 1974년 해밀, 밴턴, 잭슨, 에반스에 의해 재결성되었다. 1976년에는 밴턴이 탈퇴했고, 1977년 그레이엄 스미스가 가입하고 포터가 재가입했으나, 같은 해 잭슨이 탈퇴했다. 이후 찰스 디키가 합류했으나 1978년 다시 해산했다.

2005년 해밀, 밴턴, 잭슨, 에반스에 의해 재결성되었으나, 2006년 잭슨이 탈퇴하고 현재는 해밀, 밴턴, 에반스 3인으로 활동 중이다.

4. 1. 현재 멤버


  • 피터 해밀(Peter Hammill) - 보컬, 기타, 피아노, 일렉트릭 피아노 (1967년–1972년, 1975년–1978년, 2005년– )
  • 휴 밴턴(Hugh Banton) - 오르간, 베이스 페달, 베이스, 키보드 (1968년–1972년, 1975년–1976년, 2005년– )
  • 가이 에반스(Guy Evans) - 드럼, 퍼커션 (1968년–1972년, 1975년–1978년, 2005년– )


4. 2. 이전 멤버


  • 크리스 저지 스미스 (Chris Judge Smith): 드럼, 보컬, 관악기 (1967년-1968년)
  • 닉 페언 (Nick Pearne): 오르간 (1967년-1968년)
  • 키스 엘리스 (Keith Ellis): 베이스 (1968년-1969년, 1978년 사망)
  • 닉 포터 (Nic Potter): 베이스, 기타 (1969년-1970년, 1977년-1978년, 2013년 사망)
  • 데이비드 잭슨 (David Jackson): 색소폰, 플루트, 키보드 (1969년-1972년, 1975년-1977년, 1978년, 2005년-2006년)
  • 그레이엄 스미스 (Graham Smith): 바이올린 (1977년-1978년)
  • 찰스 디키 (Charles Dickie): 첼로, 키보드 (1977년-1978년)

5. 음반 목록

밴 더 그래프 제너레이터는 여러 음반을 발매했다. 자세한 내용은 밴 더 그래프 제너레이터 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5. 1. 스튜디오 앨범

5. 2. 주요 라이브 앨범


  • 《바이탈》 - ''Vital / Van der Graaf Live'' (1978년, 제10기 밴 더 그래프 명의) ※ 구 일본어 제목 『바이탈 (라이브)』
  • 『리얼 타임 - 로열 페스티벌 홀』 - ''Real Time'' (2007년, 제11기)
  • ''Live At The Paradiso'' (2009년, 제12기)
  • 『멀린 아토스: 라이브 퍼포먼스 2013』 - ''Merlin Atmos-Live Performances 2013'' (2015년, 제12기)

6. 한국과의 관계

2008년2012년에 두 차례 내한 공연을 가졌다. 특히 2012년에는 "프로그레시브 록 페스티벌 2012"에 참여하여 한국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2009년에는 NEARfest'09에 출연하였다.[17]

7. 평가 및 영향

밴 더 그래프 제너레이터는 프로그레시브 록 장르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며, 후대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51] 실험적인 사운드와 철학적인 가사는 프로그레시브 록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음악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이 밴드는 킹 크림슨을 제외한 다른 프로그레시브 밴드보다 더 어두운 음악적 주제를 다루는 경향이 있었다.[57] 피터 해밀의 가사는 로버트 A. 하인라인필립 K. 딕과 같은 SF 작가에 대한 그의 사랑과 자기 고백적이고 강박적인 성향으로 인해 죽음에 대한 주제를 자주 다루었다.

러쉬,[51] 줄리언 코프를 포함한 주목할 만한 음악가들이 이들에게 영감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휴먼 리그의 필립 오키는 "우리가 정말 신경 썼던 밴드는 밴 더 그래프 제너레이터였다. 그들의 음악은 너무 헌신적이었다."[52]라고 말했다. 그레이엄 콕슨, 마크 아몬드, 스티븐 모리스,[53] 젤로 비아프라, 마크 E. 스미스, 존 라이든도 이들을 언급했다.[54][55]

참조

[1] 웹사이트 Van der Graaf Generator – Biography & History https://www.allmusic[...] 2018-12-05
[2] 웹사이트 Van der Graaf Generator – Music Biography, Credits and Discography : AllMusic http://www.allmusic.[...] 2012-10-22
[3] 간행물 Hope and Spray [Van der Graaf Generator Peter Hammill and Chris Judge Smith Tell The Story] 2019-06
[4] 뉴스 Progress of a Pop Group 1968-05-07
[5] 뉴스 The Van Der Graaf Bow Out 1968-05-21
[6] 문서 The Organs of Hugh Banton & Van Der Graaf Generator
[7] 간행물 Scene
[8] 간행물 Singles reviews 1969-01-18
[9] 웹사이트 Chart Archive : Van De Graaf Generator – The Least We Can Do Is Wave To Each Other https://www.official[...] Officialchart.com 2012-08-17
[10] 간행물 Six bob gigs which made Van der Graaf 1971-03-27
[11] 간행물 The Generator are staying very content on the Continent 1971-05
[12] 간행물 Van der Graaf singer Peter Hammill talks to Steve Peacock 1972-01-29
[13] 웹사이트 Van der Graaf Generator – Theme One http://www.allmusic.[...] 2012-10-23
[14] 문서 Van der Graaf Generator – Masters from the Vaults DVD Intense GMBH (made in Germany) 2003
[15] 간행물 Godbluff – review
[16] 간행물 Graaf's Bluff is just enough
[17] 문서 Album notes by Peter Hammill for "Time Vaults", cd (1992). Thunderbolt.
[18] 웹사이트 The Union Chapel Concert http://www.allmusic.[...] 2014-08-04
[19] 웹사이트 Van der Graaf Generator http://primarytalent[...] Primary Talent 2014-08-04
[20] 뉴스 Van Der Graaf Generator – Present https://www.bbc.co.u[...] 2014-08-04
[21] 웹사이트 Present – Van der Graaf Generator http://www.allmusic.[...] 2014-08-04
[22] 웹사이트 Real Time – Van der Graaf Generator http://www.allmusic.[...] 2014-08-04
[23] 뉴스 In prog they trust 2005-05-29
[24] 웹사이트 Van der Graaf Generator http://www.wdr.de/tv[...] WDR 2014-08-04
[25] 웹사이트 Sofa Sound Newsletter 28/Dec 2005 http://www.sofasound[...] SofaSound 2014-08-04
[26] 웹사이트 Sofa Sound Newsletter 31/March 2007 http://www.sofasound[...] SofaSound 2014-08-04
[27] 문서 Van der Graaf Generator at the Paradiso, Amsterdam April 14th 2007
[28] 웹사이트 Gouveia Art Rock Festival http://www.gaudela.n[...] 2012-09-05
[29] 간행물 Van Der Graaf Generator
[30] 웹사이트 Prog Music Today: NEARfest https://slate.com/cu[...] Slate.com 2012-08-21
[31] 웹사이트 Interview with Peter Hammill by Anil Prasad http://www.innerview[...] 2013-03-20
[32] 웹사이트 Latest News http://www.sofasound[...] 2013-01-17
[33] 간행물 Former Van Der Graaf Generator Bassist Nic Potter Passes Away http://ultimateclass[...] 2014-04-24
[34] 뉴스 Van der Graaf Generator : Barbican 2013-06-30
[35] 뉴스 Venezia, prende il volo EarlyBird, il progetto ecologista italo-russo http://it.rbth.com/i[...] 2015-02-11
[36] 웹사이트 Merlin Atmos http://sofasound.com[...] SofaSound 2015-02-11
[37] 웹사이트 The Quietus – Reviews – Van Der Graaf Generator http://thequietus.co[...] 2015-05-14
[38] 웹사이트 After the Flood: Van der Graaf Generator at the BBC 1968–77 review – prog power https://www.theguard[...] 2015-05-14
[39] 웹사이트 Do Not Disturb – Cherry Red Records http://www.cherryred[...] cherryred.co.uk 2016-10-03
[40] 간행물 Van der Graaf Generator – Do Not Disturb https://thequietus.c[...] 2019-01-31
[41] 웹사이트 Van der Graaf Generator and Peter Hammill http://www.vandergra[...]
[42] 웹사이트 Van Der Graaf Generator kutistui duoksi Suomen-keikoilleen – "Tämä liittyy brexitiin", Peter Hammill kertoo syyn https://www.soundi.f[...] 2021-10-25
[43] 웹사이트 Van der Graaf Generator move UK tour dates to 2021 https://www.louderso[...] 2021-11-09
[44] 웹사이트 Van der Graaf Generator and Peter Hammill Live http://www.vandergra[...] 2021-11-09
[45] citation The Aerosol Grey Machine CD reissue notes Repertoire Records – REP 4647-WY
[46] 뉴스 Van der Graaf Generator: 'We still love making a racket' https://www.theguard[...] 2019-01-25
[47] 서적 The Book of Rock https://books.google[...] Pavilion
[48] 웹사이트 J.S Bach – The Goldberg Variations – Hugh Banton – organ http://www.sofasound[...] 2012-10-18
[49] 뉴스 A collective musical vision http://www.praguepos[...] 2014-08-04
[50] 간행물 The Generator Game 1976-11-13
[51] 웹사이트 Geddy Lee Interview GEDDY http://www.ugo.com/c[...] ugo.com 2014-04-24
[52] 간행물 Back to the future 2003-10-00
[53] 뉴스 Cult music heroes: artists on their unsung idols https://www.theguard[...] 2023-12-28
[54] 뉴스 Van der Graaf Generator: 'We still love making a racket' https://www.theguard[...] 2023-06-17
[55] 웹사이트 Van Der Graaf Generator: After the flood https://thequietus.c[...] 2023-06-14
[56] 웹사이트 Q Magazine – Cash for Questions http://www.johnlydon[...] 2012-08-21
[57] 웹사이트 Pop/Rock » Art-Rock/Experimental » Neo-Prog http://www.allmusic.[...] 2015-07-28
[58] 간행물 This Must Be The Plaice: Fish's Favourite Albums http://thequietus.co[...] 2014-08-04
[59] 웹사이트 Van Der Graaf Generator will release 13th album Do Not Disturb in September http://teamrock.com/[...] 2016-06-23
[60] 서적 Van der Graaf Generator - The Bo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