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번 포이트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번 포이트레스는 미국의 신약학자이자, 과학 철학, 언어학, 신학 방법론 등 다양한 분야의 저술가이다. 1946년 캘리포니아주 마데라에서 태어나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수학 학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 및 변증학 신학 석사 학위를,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스텔렌보쉬 대학교에서 신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6년부터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에서 신약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성경의 완전한 신적 권위를 주장하는 칼빈주의자로서 신 칼뱅주의 개념을 받아들인다. 주요 저서로는 『조화신학』, 『요한계시록 맥잡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텔렌보스 대학교 동문 - 헨드릭 페르부르트
    헨드릭 페르부르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총리로서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설계하고 추진하여 흑인과 유색인종을 차별하고 억압했으며, 공화국 수립과 영연방 탈퇴를 주도했다.
  • 스텔렌보스 대학교 동문 - 콘라드 베스마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개혁교회 신학자 콘라드 베스마르는 스텔렌보쉬 대학교와 암스테르담 자유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더반-웨스트빌 대학교와 프리토리아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교회론, 기독교 윤리학, 에큐메니즘 분야에서 연구하고 아파르트헤이트 체제 비판과 에큐메니즘 운동에 기여했다.
  • 성서해석학 - 알레고리 성경해석
    알레고리 성경해석은 성경 내용을 문자적 의미를 넘어 상징적, 비유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으로, 오리게네스에 의해 강조되었고 중세 시대 4중적 의미 해석으로 발전했으나, 주관적인 해석과 교리 강화의 도구로 남용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 성서해석학 - 본문 비평
    본문 비평은 텍스트의 원본 복원과 오류 분석을 통해 텍스트의 정확성을 추구하는 학문이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외적, 내적 비평을 통해 원본을 추정한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클레어 칼리지 동문 - 조너선 스펜스
    조너선 스펜스는 1936년 영국에서 태어나 2021년 사망한 영국의 중국사 연구 권위자이며, 예일대학교에서 40년 이상 강의하며 《현대 중국을 찾아서》 등 중국 관련 저서를 집필하고 미국역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클레어 칼리지 동문 - 앤드루 와일스
    앤드루 와일스는 1953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수학자이며, 1995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여 수학계에 기여했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번 포이트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번 셰리던 포이트레스
원어명Vern Sheridan Poythress
로마자 표기Beon Syeorideon Poiteureseu
출생일1946년 3월 29일
출생지매데라, 캘리포니아주, 미국
국적미국
종교칼뱅주의
학력
학사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수학 전공)
박사하버드 대학교 (1970년)
석사웨스트민스터 신학교 (M.Div., Th.M. 1974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M. Litt. 1977년)
신학 박사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텔렌보스 대학교 (Th.D., 1981년)
경력
직업철학자, 신학자, 신약신학 학자
소속웨스트민스터 신학교
학문적 전통칼뱅주의, 반 틸 학파의 전제주의
주요 관심사과학 철학, 수학 철학, 언어학, 해석학, 신약성경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다중 관점주의, 과학 법칙을 하나님의 말씀의 형태로 봄, 삼위일체에 대한 존재론 및 인식론의 기초

2. 생애

번 포이트레스는 1946년 캘리포니아주에서 태어나 여러 대학교에서 수학, 신학 등 다양한 학위를 취득했다.[2][3][4][5][6][7][8] 1983년에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2][9] 1976년부터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에서 신약학을 가르치고 있다.[10]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번 포이트레스는 1946년 캘리포니아주 마데라에서 랜섬 H. 포이트레스와 캐롤라 N. 포이트레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캘리포니아주 프레즈노에 있는 불라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2]

1966년, 포이트레스는 20세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수학 이학사 학위(수석 졸업)를 받았다.[3] 1964년에는 퍼트넘 펠로우가 되었다.[4] 1970년에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3] 1971년부터 1974년까지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 및 변증학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4년부터 1976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신약학 연구로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5][6] 스텔렌보쉬 대학교에서 신약학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7][8]

2. 2. 결혼

1983년, 포이트레스는 다이앤 M. 포이트레스와 결혼하여 슬하에 랜섬 포이트레스와 저스틴 포이트레스 두 아들을 두었다.[2][9]

2. 3. 교수 활동

1976년부터 필라델피아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에서 신약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때때로 과학과 언어 철학에 관한 강좌를 진행하고 있었다.[10] 존 M. 프레임과 함께 운영하는 그의 블로그는 2018년 초에 기독교 대중 문화 사이트 상위 50위 안에 들었다.[10]

3. 사상

포이트레스는 성경의 완전한 신적 권위를 주장한다. 칼뱅주의 신학자로서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고, 예수 그리스도가 인간 존재의 모든 영역에서 주(Lord)라는 신 칼뱅주의 개념을 수용한다. 게할더스 보스의 전통 위에 성경신학을 구축하면서도, 메리디스 클라인의 형상론에 기초하여 신학을 발전시켰다. 종말론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무천년설을 지지하며, 신정론과 기독교 재건주의를 반대한다. 코닐리어스 밴틸과 존 프레임에게서 영향을 받았다.

3. 1. 과학 철학

포이트레스는 과학 법칙을 하나님의 말씀의 한 형태로 본다.[11] 1976년 "수학에 대한 성경적 관점"에 관한 장을 썼는데,[12] 그 안에서 삼위일체가 영원하기 때문에 숫자도 영원하다고 주장했다.[13] 1983년 논문에서 그는 수학을 우주의 운율이라고 제시했다.[14] 그의 과학 철학은 토머스 쿤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다.[15]

4. 저서

번 포이트레스는 기독교 과학 철학, 언어학, 신학 방법론, 세대주의, 성경 율법, 저작권법, 해석학, 성경 번역, 종말론 및 요한계시록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 활동을 했다.

그는 세대주의 이해, 조화신학, 모세율법에 나타나나 그리스도, 요한계시록 맥잡기 등 한국어로 번역된 저서를 포함, 철학, 과학, 신학, 성경 해석, 언어, 사회학, 논리학, 수학 등 광범위한 주제에 대해 하나님 중심적 관점을 제시하는 다수의 책을 썼다. 또한, 여러 학술 논문을 발표하여 학문적 연구에도 기여했다.

4. 1. 주요 저서

제목출판사출판 연도비고
세대주의 이해 (Understanding Dispensationalists)총신대학교출판부1990
조화신학 (Symphonic Theology: The Validity of Multiple Perspectives in Theology)나침반사1993
모세율법에 나타나나 그리스도 (The Shadow of Christ in the Law of Moses)솔로몬1995
요한계시록 맥잡기 (The Returning King: A Guide to the Book of Revelation)크리스챤출판사2002
Philosophy, Science, and the Sovereignty of God영어 (철학, 과학, 그리고 하나님의 주권)Presbyterian and Reformed영어1976, 2004 (재판)
Science and Hermeneutics: Implications of Scientific Method for Biblical Interpretation영어 (과학과 해석학: 성경 해석을 위한 과학적 방법론의 함의)Zondervan영어1988
God-Centered Biblical Interpretation영어 (하나님 중심 성경 해석)Presbyterian and Reformed영어1999
The Gender-Neutral Bible Controversy: Muting the Masculinity of Gods Words영어 (젠더 중립 성경 논쟁: 하나님의 말씀의 남성성을 약화시키다)Broadman and Holman영어2000웨인 그루뎀과 공저
The TNIV and The Gender-Neutral Bible Controversy영어 (TNIV와 젠더 중립 성경 논쟁)Broadman and Holman영어2004웨인 그루뎀과 공저
Redeeming Science: A God-Centered Approach영어 (과학 구속: 하나님 중심 접근법)Crossway Books영어2006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Language--A God-Centered Approach영어 (태초에 말씀이 있었으니: 언어—하나님 중심 접근법)Crossway Books영어2009
What Are Spiritual Gifts?영어 (영적 은사는 무엇인가?)Presbyterian and Reformed영어2010
Redeeming Sociology: A God-Centered Approach영어 (사회학 구속: 하나님 중심 접근법)Crossway Books영어2011
Inerrancy and Worldview: Answering Modern Challenges to the Bible영어 (무오성과 세계관: 성경에 대한 현대적 도전에 답하다)Crossway Books영어2012
Inerrancy and the Gospels: A God-Centered Approach to the Challenges of Harmonization영어 (무오성과 복음서: 조화의 과제에 대한 하나님 중심 접근법)Crossway Books영어2012
Logic: A God-Centered Approach to the Foundation of Western Thought영어 (논리: 서양 사상의 기초에 대한 하나님 중심 접근법)Crossway Books영어2013
Redeeming Mathematics: A God-Centered Approach영어 (수학 구속: 하나님 중심 접근법)Crossway Books영어2015
The Lordship of Christ: Serving Our Savior All of the Time, in All of Life, with All Our Heart영어 (그리스도의 주권: 우리의 구주를 삶의 모든 순간, 모든 영역에서, 온 마음을 다해 섬기기)Crossway Books영어2016
The Miracles of Jesus: How the Savior’s Mighty Acts Serve as Signs of Redemption영어 (예수의 기적: 구주의 강력한 행위가 어떻게 구원의 징표로 작용하는가)Crossway Books영어2016
Reading the Word of God in the Presence of God: A Handbook for Biblical Interpretation영어 (하나님의 말씀을 하나님의 임재 안에서 읽기: 성경 해석 핸드북)Crossway Books영어2016
Knowing and the Trinity: How Perspectives in Human Knowledge Imitate the Trinity영어 (앎과 삼위일체: 인간 지식의 관점이 어떻게 삼위일체를 모방하는가)P&R영어2018
Theophany: A Biblical Theology of God’s Appearing영어 (테오파니: 하나님의 나타나심에 대한 성경 신학)Crossway Books영어2018
Interpreting Eden: A Guide to Faithfully Reading and Understanding Genesis 1-3영어 (에덴 해석: 창세기 1-3장을 충실하게 읽고 이해하기 위한 안내서)Crossway Books영어2019
Redeeming Our Thinking about History: A God-Centered Approach영어 (역사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구속하기: 하나님 중심 접근법)Crossway Books영어2022
Redeeming Reason: A God-Centered Approach영어 (이성을 구속함: 하나님 중심 접근법)Crossway Books영어2023
Making Sense of the World: How the Trinity Helps to Explain Reality영어 (세상 이해하기: 삼위일체가 어떻게 현실을 설명하는가)P&R영어2024


4. 2. 학술 논문


  • A Biblical View of Mathematics|수학에 대한 성경적 관점영어
  • Structuralism and Biblical Studies|구조주의와 성경 연구영어
  • Science as Allegory|알레고리로서의 과학영어
  • Newton's Laws as Allegory|알레고리로서의 뉴턴의 법칙영어
  • Mathematics as Rhyme|운율로서의 수학영어
  • The Use of the Intersentence Conjunctions De, Oun, Kai, and Asyndeton in the Gospel of John|요한복음에서 문장 간 접속사 De, Oun, Kai, Asyndeton의 사용영어
  • Reforming Ontology and Logic in the Light of the Trinity: An Application of Van Til's Idea of Analogy|삼위일체의 빛 안에서 존재론과 논리 개혁: 반 틸의 유추 아이디어 적용영어
  • 2 Thessalonians 1 Supports Amillennialism|데살로니가후서 1장은 무천년설을 지지한다영어
  • Counterfeiting in the Book of Revelation as a Perspective on Non-Christian Culture|비기독교 문화에 대한 관점으로서의 요한계시록에서의 위조영어
  • Keep on Praying!|계속 기도하라!영어
  • Why Scientists Must Believe in God: Divine Attributes of Scientific Law|과학자들이 왜 하나님을 믿어야 하는가: 과학적 법칙의 신성한 속성영어

참조

[1] 웹사이트 VERN POYTHRESS NEW TESTAMENT SYSTEMATIC THEOLOGY https://faculty.wts.[...]
[2] 웹사이트 Vern Sheridan Poythress https://frame-poythr[...] 2012-02-07
[3] 간행물 God In Mathematics https://www.forbes.c[...] 2016-04-19
[4] 웹사이트 Putnam Competition Individual and Team Winners http://www.maa.org/p[...]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021-12-12
[5] 웹사이트 Vern Poythress https://faculty.wts.[...]
[6]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 Vern Sheridan Poythress http://faculty.wts.e[...] 2024-01-03
[7] 서적 Redeeming the Life of the Mind: Essays in Honor of Vern Poythress Crossway
[8] 문서
[9] 서적 Redeeming the Life of the Mind: Essays in Honor of Vern Poythress Crossway 2017
[10] 웹사이트 The Top 50 Christian Pop Culture Blogs https://www.patheos.[...] 2018-02-27
[11] 문서
[12] 서적 Foundations of Christian Scholarship Ross House
[13] 간행물 Theism and Mathematical Realism http://www.reformati[...] ACMS 2019-07-16
[14] 웹사이트 Mathematics as Rhyme http://www.asa3.org/[...]
[15] 서적 Faith Has Its Reasons: Integrative Approaches to Defending The Christian Faith https://books.google[...] Biblica
[16] 문서
[17] 웹사이트 Faculty biography at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https://faculty.wts.[...]
[18] 웹인용 Faculty biography at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http://www.wts.edu/f[...] 2017-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