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범운은 동진, 송, 제, 양나라 시대의 문인이자 정치가로, 남조 양나라 무제의 측근에서 활약했다. 그는 영주 서조서좌를 시작으로 관직에 나아가, 심유지의 난 때 심유지를 설득하고, 제나라에서 경릉왕 소자량을 보좌했다. 양나라 건국에 기여하여 소성현후에 봉해졌으며, 이부상서 등을 역임했다. 무제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으나, 53세에 사망했다. 그의 문집 30권이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51년 출생 - 브리지다
브리지다는 '높고 숭고한' 의미의 켈트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아일랜드의 성인이자 '게일인의 마리아'로 불리며, 킬데어 수도원 설립, 기적, 2월 1일 축일, 다양한 분야의 수호 성인, 지명 및 대중문화 속 등장 등 다양한 면모를 지닌다. - 제 (남조)의 시인 - 심약
심약은 남조 시대 송, 제, 양나라를 섬긴 문인이자 관료로서, 강남 호족 출신으로 경릉팔우의 일원이었으며, 궁체시의 선구자이자 사성팔병설을 주창하여 영명체와 근체시 발전에 기여했고, 양나라 건국 공신이자 역사서 편찬자이다. - 제 (남조)의 시인 - 종영
범운 | |
---|---|
기본 정보 | |
간체자 | 范云 |
정체자 | 范雲 |
병음 | Fàn Yún |
웨이드-자일스 | Fan4 Yün2 |
자 | 彦龍 (Yánlóng) |
존칭 | 范宣城 (Fàn Xuānchéng) |
시호 | 文 (Wén) |
출생 | 451년 |
사망 | 503년 |
묘지 | 강소 단양 |
시대 | 남조 남제 |
국적 | 남제 |
가족 | |
아버지 | 范抗 (Fàn Kàng) |
배우자 | 왕현모의 딸 |
아들 | 范ুন (Fàn 瑗) |
손자 | 范িয়া (Fàn িয়া) 范় (Fàn ়) |
2. 생애
(내용 없음)
2. 1. 초기 생애와 경력
범운은 범항(范抗)의 아들로, 동진의 평북장군 범왕(范汪)의 6대손이자 남조 송의 중서시랑 범거지(范居之)의 손자이다. 어린 시절 아버지를 따라 영주(郢州)로 내려가 심약(沈約), 유고지(劉訏之) 등과 교우했다. 그는 8세 때 송나라 예주 자사 은염(殷琰)을 만났는데, 은염이 어린 범운을 기특하게 여겨 자리에 앉혔으나 범운의 태도와 응대는 어른처럼 당당했다. 은염이 시를 짓도록 하자 즉석에서 시를 지어내 주위를 놀라게 했다. 또한 친족인 원조(袁照)에게 학문을 배우며 밤낮으로 게을리하지 않았고, 원조는 그의 등을 어루만지며 "그대의 정신이 빼어나고 학문에 힘쓰니, 재상감이다"라고 칭찬했다. 젊어서부터 기지가 풍부하고 식견을 갖추었으며 글짓기에 능하여, 서신을 쓸 때는 붓을 잡으면 바로 써내려가 초고를 쓰지 않았기에 당시 사람들은 미리 글을 지어둔 것이 아니냐고 의심할 정도였다.인정이 많고 다정한 성격으로 형수에게 예를 다했으며, 절의를 좋아하고 진귀한 것을 존중했다. 젊었을 때 영군장사(領軍長史) 왕개(王畡)와 친하게 지냈는데, 왕개가 관사에서 죽자 시신을 거둘 사람이 없자 자신의 집에서 장례를 치러주었다.
관직 생활은 영주 서조서좌(西曹書佐)로 시작하여 법조행참군(法曹行參軍)으로 옮겼다. 얼마 지나지 않아 심유지(沈攸之)가 거병하여 영성을 포위했을 때, 범운은 성 밖에 있다가 심유지의 병사에게 붙잡혔다. 심유지 앞에 불려가서도 안색 하나 바꾸지 않고 자기 주장을 펼치자 심유지는 이에 감탄했다. 다음 날 아침, 범운은 심유지의 편지를 가지고 성 안으로 들어갔다. 성 안의 일부 사람들은 그를 죽이려 했으나, 장사(長史) 유세륭(柳世隆)과의 친분 덕분에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남제의 건원 초년(479년), 경릉왕 소자량(蕭子良)이 회계군 태수가 되자 그를 따라갔다. 소자량이 단양윤(丹陽尹)이 되자 범운은 주부(主簿)로 불려가 깊은 신임을 얻었다. 소자량이 유람 중 발견한 알아보기 힘든 석문(石文)을 범운 혼자 읽어내자 소자량은 크게 기뻐하며 그를 왕부의 속관 중 가장 마음에 들어 했다. 주부를 겸하면서 남군왕 소소업(蕭昭業) 밑에서 정북형옥참군사(征北刑獄參軍事)를 맡았고, 이후 상서전중랑(尚書殿中郎)으로 전임되었다. 소자량이 사도(司徒)가 되자 사도기실참군사(司徒記室參軍事)에 임명되었으며, 여러 차례 소자량에게 이해를 설명하면서도 그의 뜻에 아첨하는 일은 없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통직산기시랑(通直散騎侍郎)의 지위를 받고 형주 대중정(大中正)을 겸임했다. 제나라 고제에게 흰 까마귀(白烏)가 헌상되었을 때, 황제가 이것이 무슨 상서로운 징조인지 묻자 여러 신하들이 답하지 못하는 가운데 낮은 관직에 있던 범운이 마지막으로 나서 "왕께서 종묘에 경의를 표하면 흰 까마귀가 나타난다고 들었습니다"라고 답했다. 당시 종묘 배알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기에 고제는 "그대의 말이 옳을 것이다. 감응의 이치가 여기에 나타났는가"라며 만족해했다.
이후 영릉군 내사(內史)로 부임하여 청렴하게 직무를 수행하며 번거로운 조세와 노역을 줄이고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했다. 명제 때 건강으로 소환되어 산기시랑(散騎侍郎)의 지위를 받았고, 시흥군 내사로 다시 부임했다. 영원 원년(499년), 소수 민족이 흩어져 살고 반란이 잦았던 지역인 광주 자사(刺史)로 전임되어 가절(假節)·건무장군(建武將軍)·평월중랑장(平越中郎將)을 겸했다. 그러나 곡강현의 호족 담엄(譚儼)이 현령 서예(徐叡)에게 매질당한 일을 범운 탓으로 여겨 건강에 소송을 제기하면서, 범운은 소환되어 옥에 갇혔다가 사면되었다. 영원 2년(500년)에는 국자박사(國子博士)로 기용되었다. 범운은 일찍이 경릉 팔우(竟陵八友)의 일원으로서 소연(蕭衍)과 교우 관계를 맺고 있었다.
2. 2. 남제 시대 활동
남조 송 말기 혼란 속에서 심유지가 형주에서 반란을 일으켜 영성(郢城)을 포위했을 때, 범운은 성 밖에 있다가 심유지의 병사에게 붙잡혔다.[1][2][3] 심유지 앞에 끌려가 심문을 받았지만, 범운은 전혀 두려워하는 기색 없이 자신의 주장을 당당하게 펼쳤다. 이에 심유지는 감탄하며 그를 풀어주었고, 다음 날 아침 범운은 심유지의 편지를 가지고 성 안으로 돌아갔다. 성 안에서는 그를 의심하여 죽이려 했으나, 당시 장사(長史)였던 유세륭과의 친분 덕분에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1][2]남조 제가 건국되고 건원 초년(479년경), 경릉왕(竟陵王) 소자량이 회계군 태수로 부임하자 범운은 그를 따라갔다. 이후 소자량이 단양윤(丹陽尹)이 되자 범운을 주부(主簿)로 삼았는데, 소자량은 범운을 매우 신임했다.[1][2] 범운은 주부를 겸하면서 남군왕(南郡王) 소소업(훗날의 울림왕) 밑에서 정북형옥참군사(征北刑獄參軍事)를 맡기도 했으며, 이후 상서전중랑(尚書殿中郎)으로 옮겼다.[1][2] 소자량이 사도가 되자 범운은 사도기실참군사(司徒記室參軍事)에 임명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통직산기시랑(通直散騎侍郎)의 지위를 받고 형주의 대중정(大中正)을 겸했다.[1][2] 소자량은 유람 중 발견된 오래된 석문(石文)을 아무도 읽지 못했을 때 범운만이 해독하자 크게 기뻐하며 그를 왕부의 속관 중 가장 아꼈다고 전해진다.[3] 또한 범운은 소자량을 섬기면서 여러 차례 이해득실을 설명하며 간언했지만, 그의 뜻에 아첨하는 일은 없었다.[3] 일찍이 제 고제에게 흰 까마귀(白烏)가 헌상되었을 때, 고제가 이것이 무슨 상서로운 징조인지 묻자 낮은 관직에 있던 범운은 마지막으로 나서 "왕께서 종묘에 경의를 표하면 백오가 나타난다고 들었습니다"라고 답했다. 당시 종묘 제례를 다시 정비하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기에, 고제는 그의 말이 이치에 맞다며 감탄했다.[3]
이후 영릉군 내사로 부임하여 청렴하게 직무를 수행하고, 번거로운 조세와 노역을 줄였으며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1][2] 명제 때 수도 건강으로 소환되어 산기시랑(散騎侍郎)의 지위를 받았다.[1][2] 이후 시흥군 내사로 다시 부임했다.[1][2] 영원 원년(499년), 가절(假節)·건무장군(建武將軍)·평월중랑장(平越中郎將)·광주 자사(刺史)로 임명되었다. 당시 광주는 소수 민족들이 흩어져 살며 반란이 잦은 지역이었는데, 범운은 이를 안정시켰다.[1][2] 그러나 곡강현의 호족 담엄(譚擫)이 현령 서예(徐預)에게 매질당한 일로 범운을 모함하여 건강에 소송을 제기했다. 이로 인해 범운은 소환되어 옥에 갇혔으나 곧 사면되었다.[1][2] 영원 2년(500년), 국자박사로 기용되었다.[1][2]
범운은 일찍이 경릉 팔우의 일원으로서 소연(훗날의 양 무제)과 교우했다.[1][2] 영원 3년(501년) 2월, 소연이 상양에서 거병하여 동쪽으로 진군했고, 같은 해(중흥 원년) 3월에는 화제를 옹립했다. 10월, 소연의 군대가 건강을 포위했을 때 범운은 성 안에 있었다.[1][2] 12월, 동혼후 소보권이 살해되자, 범운은 시중 장직의 명을 받아 소연에게 사신으로 파견되었다.[1][2] 이후 범운은 소연의 측근에 머물며 군무에 참여했고, 황문시랑(黃門侍郎)에 임명되어 심약과 함께 소연을 보좌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대사마 자의참군(諮議參軍)·영록사(領錄事)로 전임되었다.[1][2] 중흥 2년(502년), 소연이 양공(梁公)이 되자 범운은 시중(侍中)이 되었다.[1][2] 이때 소연이 동혼후의 비(妃)였던 여씨(余氏)를 후궁으로 삼으려 하자, 범운은 왕무와 함께 소연의 침실로 들어가 한 고조 유방이 관중에 입성했을 때의 고사를 인용하며 간언했다. 소연은 범운의 뜻을 알아차리고 여씨를 왕무에게 하사하는 것으로 일을 마무리했다.[1][2]
2. 3. 양나라 건국과 활동
범운은 과거 경릉팔우의 일원으로서 소연과 깊은 교우 관계를 맺고 있었다. 영원 3년(501년) 2월, 소연이 상양에서 군사를 일으켜 동쪽으로 향하자, 범운은 이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양나라 건국에 기여했다. 같은 해(중흥 원년) 3월, 소연은 화제를 황제로 옹립했다. 10월, 소연의 군대가 수도 건강을 포위했을 때, 범운은 성 안에 있었다. 12월, 성 안에서 동혼후가 살해되자, 범운은 당시 시중이었던 장직의 명을 받아 성 밖의 소연에게 항복 의사를 전달하는 사자가 되었다.이후 범운은 소연의 측근에 머물며 군무에 참여했고, 황문시랑에 임명되어 심약과 함께 소연을 보좌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대사마 자의참군 겸 영록사로 전임되었다. 중흥 2년(502년), 소연이 양공(梁公)의 지위에 오르자 범운은 시중이 되었다. 이때 소연이 남조 제 동혼후의 비였던 여씨(余氏)를 자신의 후궁으로 삼으려 하자, 범운은 왕무와 함께 소연의 침실로 들어가 한나라 고조가 관중에 입성했을 때의 고사를 인용하며 간언했다. 소연은 범운의 뜻을 받아들여 여씨를 왕무에게 보내도록 허락했다.
같은 해(천감 원년) 4월, 소연이 황제로 즉위하여 양 무제가 되자, 범운은 산기상시 겸 이부상서로 임명되었다. 양나라 건국을 도운 공로를 인정받아 소성현후(邵城縣侯)에 봉해졌다. 무제는 범운을 깊이 신임하여 그가 올리는 상주 대부분을 받아들였다. 소통이 황태자로 책봉되자, 범운은 본래의 관직을 유지하면서 태자중서자(太子中庶子)를 겸임하여 태자를 보좌하게 되었다.
양나라 건국 후, 무제와의 관계는 여전히 돈독했다. 무제가 남교(南郊)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의식을 마친 뒤 시중이었던 범운에게 "짐의 오늘은, 이른바 여섯 필의 말을 연결하여 몰면 매어놓아야 한다[4]"라고 말하자, 범운은 "또한 바라옵건대 폐하께서 날마다 하루를 신중히 하십시오[5]"라고 답하여 무제를 기쁘게 했다. 또한 무제는 연석에서 동생인 임천왕 소굉(蕭宏)과 파양왕 소회(蕭恢)에게 "짐은 범상서(범운)와 젊은 시절부터 친하게 지내 사해(四海)가 넘칠 정도의 경의를 바쳤다. 이제 짐이 천하의 주인이 되어 이 예는 이미 바뀌었지만, 너희들은 나의 대신 범운을 형이라고 불러주지 않겠는가"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두 왕은 자리에서 내려와 절하고 범운과 같은 수레를 타고 상서성으로 돌아갔으며, 당시 사람들은 이를 큰 영광으로 여겼다.
2. 4. 사망
천감 2년(503년) 1월, 이부(吏部)를 관장하는 상서우복야로 전임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무제의 명령을 어기고 사람을 등용한 일로 이부의 직책은 면직되었으나, 복야의 지위는 유지하였다. 같은 해 5월 정사일에 사망하였다. 이때 그의 나이는 53세였다. 사후 시중과 위장군의 관직이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문(文)이라 하였다. 저서로 문집 30권이 있었다.3. 평가
범운에 대한 평가는 주로 역사 기록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의 행적과 관련된 주요 기록은 『양서』 권13 열전 제7과 『남사』 권57 열전 제47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일화
범운(范雲)은 8세 때 송나라 예주 자사 은염(殷琰)을 투(塗)에서 만났다. 은염은 그를 기특하게 여겨 자리에 앉혔지만, 범운의 태도와 응대는 거리낌이 없었다. 은염이 시를 짓도록 명하자, 범운은 붓을 들자마자 바로 써내려가 참석자들을 감탄하게 했다.
그는 친족인 원조(袁照)에게 학문을 배우며 밤낮으로 게을리하지 않았다. 원조는 그의 등을 어루만지며 "그대의 정신이 빼어나고 학문에 힘쓰니, 재상이 될 만하다"라고 격려했다.
젊은 시절 범운은 기지가 풍부하고 식견을 갖추었으며 글짓기에 능했다. 특히 서신을 쓸 때는 붓을 잡으면 바로 써내려가 초고를 쓰지 않았는데, 이 때문에 당시 사람들은 미리 글을 지어둔 것이 아니냐고 의심할 정도였다. 인정이 많고 다정한 성격으로, 형수에게 예를 다하고 집안일을 먼저 처리한 뒤 관청의 일을 보았다. 절의를 좋아하고 진귀한 것을 존중했으며, 남을 찾아갈 때는 격식 없이 갑작스럽게 방문하기도 했다.
젊었을 때 영군장사(領軍長史) 왕개(王畡)와 친하게 지냈다. 왕개가 관사에서 죽었으나 시신을 거둘 사람이 없자, 범운은 그의 장례를 자신의 집에서 치러주고 스스로 밤새 빈소를 지켰다.
경릉왕(竟陵王) 소자량(蕭子良)이 유람 중 누구도 읽지 못하는 석문을 발견했을 때, 범운만이 이를 해독하여 소자량의 총애를 받았다. 그는 소자량을 섬기며 두터운 은혜를 입었지만, 여러 차례 소자량에게 올바른 도리를 설명했을 뿐, 그의 뜻에 아첨하는 일은 결코 없었다.
제나라 고제(高帝) 때 어떤 이가 흰 까마귀(白烏)를 헌상하자, 황제가 이것이 무슨 상서로운 징조인지 신하들에게 물었다. 당시 관위가 낮았던 범운은 맨 마지막으로 나서 "왕께서 종묘에 경의를 표하면 흰 까마귀가 나타난다고 들었습니다"라고 답했다. 마침 종묘 제례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던 때라, 고제는 "그대의 말이 옳을 것이다. 감응의 이치가 여기에 나타났구나"라며 그의 말을 높이 샀다.
양나라 무제가 즉위하여 남교(南郊)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의식을 거행할 때, 시중(侍中)으로 참여했던 범운에게 무제는 의식이 끝난 후 "짐의 오늘은, 이른바 여섯 필의 말을 연결하여 몰면 매어놓아야 한다[4]"라고 말했다. 이에 범운은 "바라옵건대 폐하께서는 매일 하루를 신중히 보내십시오[5]"라고 답했고, 무제는 이를 좋게 여겼다.
한번은 범운이 양 무제의 연회에 참석했을 때, 무제는 자신의 동생인 임천왕(臨川王) 소굉(蕭宏)과 파양왕(鄱陽王) 소회(蕭恢)에게 이렇게 말했다. "짐은 범 상서(范尚書)와 젊은 시절부터 친하게 지내며 매우 깊은 경의를 표해왔다. 이제 짐이 천하의 주인이 되어 예법은 달라졌지만, 너희들은 나를 대신하여 범운을 형으로 불러주지 않겠는가?" 두 왕은 자리에서 내려와 절하고, 범운과 같은 수레를 타고 상서성으로 돌아갔다. 당시 사람들은 이를 큰 영광으로 여겼다.
5. 저서
문집 30권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참조
[1]
서적
Fan Yun's biography in Book of Liang
Liang Shu
[2]
서적
Xiao Yan's biography in Book of Liang
Liang Shu
503-06-15
[3]
서적
梁書
[4]
서적
書経
[5]
서적
太公金匱
[6]
서적
Fan Yun's biography in Book of Liang
Liang Shu
[7]
서적
Xiao Yan's biography in Book of Liang
Liang Shu
503-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