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라 차슬라프스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라 차슬라프스카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체조 선수로, 1958년 국제 대회 데뷔 후 1960년 로마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개인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그녀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정치적 항의의 표시로 주목받았으며,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공산 정권의 탄압을 받았다. 1989년 벨벳 혁명 이후 스포츠 및 사회 문제 자문관, 체코 올림픽 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2010년 욱일장을 수훈했다. 2015년 췌장암 진단을 받고 2016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베라 차슬라프스카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베라 차슬라프스카 |
별칭 | 도쿄의 연인 올림픽의 명화 멕시코의 신부 |
국적 | 체코슬로바키아 → 체코 |
출생일 | 1942년 5월 3일 |
출생지 | 프라하, 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령 |
사망일 | 2016년 8월 30일 |
사망지 | 프라하, 체코 |
키 | 160cm |
몸무게 | 58kg |
종목 | 여자 기계체조 |
국가대표 | 1958년~1968년 (TCH) |
은퇴 | 1968년 |
메달 | |
금메달 | 1964년 도쿄: 개인 종합, 도마, 평균대 1968년 멕시코시티: 개인 종합, 도마, 이단평행봉, 마루운동 |
은메달 | 1960년 로마: 단체 종합 1964년 도쿄: 단체 종합 1968년 멕시코시티: 단체 종합, 평균대 |
금메달 | 1962년 프라하: 도마 1966년 도르트문트: 개인 종합, 단체 종합, 도마 |
은메달 | 1958년 모스크바: 단체 종합 1962년 프라하: 개인 종합, 단체 종합 1966년 도르트문트: 평균대, 마루운동 |
동메달 | 1962년 프라하: 마루운동 |
금메달 | 1959년 크라쿠프: 평균대 1965년 소피아: 개인 종합, 도마, 이단평행봉, 마루운동, 평균대 1967년 암스테르담: 개인 종합, 도마, 이단평행봉, 마루운동, 평균대 |
은메달 | 1959년 크라쿠프: 도마 |
동메달 | 1961년 라이프치히: 개인 종합 |
2. 체조 경력
베라 차슬라프스카는 1958년 세계 기계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하며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이듬해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도마 금메달과 평균대 은메달을 획득하며 첫 국제 대회 우승을 기록했다.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는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1964년부터 1968년까지 차슬라프스카는 주요 국제 대회에서 개인전 금메달 19개를 획득하며 전성기를 맞았다. 이 기간 동안 그녀는 주요 국제 대회 종합에서 무패를 기록했으며,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 종합에서 모두 우승한 유일한 여자 체조 선수이다.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종합, 평균대, 도마에서 금메달을,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96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도마, 단체전, 개인 종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65년과 1967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5개 전 종목에서 모두 금메달을 획득했다.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직전, 차슬라프스카는 프라하의 봄을 지지하고 두 천 단어 선언에 서명했기 때문에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으로 훈련 시설을 잃었다. 그녀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훈련을 계속하여 올림픽에 참가, 6개 전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특히 개인 종합에서는 1.4점 차로 우승하며 올림픽, 세계 선수권, 월드컵, 유럽 선수권 여자 종합 경기 역사상 가장 큰 점수 차 우승 기록을 세웠다.
차슬라프스카의 주요 국제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 | 팀 | 종합 | 도마 | 이단평행봉 | 평균대 | 마루 |
---|---|---|---|---|---|---|---|
1958 | 세계 선수권 대회 | 8 | |||||
1959 | 유럽 선수권 대회 | 8 | |||||
1960 | 올림픽 | 8 | 6 | ||||
1961 | 유럽 선수권 대회 | 6 | 5 | 6 | |||
1962 | 세계 선수권 대회 | 5 | 5 | ||||
1964 | 올림픽 | 5 | 6 | ||||
1965 | 유럽 선수권 대회 | ||||||
1966 | 세계 선수권 대회 | 4 | |||||
1967 | 유럽 선수권 대회 | ||||||
1968 | 올림픽 |
2. 1. 초기 경력 (1957-1963)

프라하에서 태어나 원래는 피겨 스케이터였던 베라 차슬라프스카는 1958년 세계 기계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국제 대회에 데뷔하여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녀의 첫 번째 국제 대회 우승은 이듬해 유럽 여자 기계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도마 금메달, 평균대 은메달을 획득하며 이루어졌다. 1960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하여 체코슬로바키아 팀으로 은메달을 획득했고, 1961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종합 동메달을 획득했다. 1962년 세계 선수권 대회(자국 개최)에서 라리사 라티니나에 이어 종합 우승을 다투었고, 도마에서 첫 세계 타이틀을 획득했다. 1963년 파리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연도 | 대회 | 팀 | 종합 | 도마 | 이단평행봉 | 평균대 | 마루 |
---|---|---|---|---|---|---|---|
1957 | 체코슬로바키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
1958 | 체코슬로바키아 선수권 대회 | ||||||
세계 선수권 대회 | 8 | ||||||
1959 | 체코슬로바키아 선수권 대회 | ||||||
유럽 선수권 대회 | 8 | ||||||
1960 | 체코슬로바키아 선수권 대회 | ||||||
체코슬로바키아 스파르타키아다 | |||||||
올림픽 | 8 | 6 | |||||
1961 | 체코슬로바키아 선수권 대회 | ||||||
체코슬로바키아-동독 친선 경기 | 4 | ||||||
유럽 선수권 대회 | 6 | 5 | 6 | ||||
1962 | 체코슬로바키아 선수권 대회 | ||||||
체코슬로바키아-동독-우크라이나 3개국 친선 경기 | |||||||
트빌리시 국제 대회 | |||||||
세계 선수권 대회 | 5 | 5 | |||||
1963 | 일본-체코슬로바키아 친선 경기 |
2. 2. 전성기 (1964-1968)
1964년부터 1968년까지 베라 차슬라프스카는 주요 국제 대회에서 개인전 금메달 19개를 획득했으며, 이 기간 동안 주요 국제 대회 종합에서 무패를 기록했다. 그녀는 한 올림픽에서 다음 올림픽까지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 종합에서 모두 우승한 유일한 여자 기계체조 선수이다.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차슬라프스카는 종합 우승을 차지하고 평균대, 도마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일본 관중들은 그녀의 우아한 연기에 "올림픽의 명화", "체조의 명화"라고 칭송했다.[11]196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차슬라프스카는 도마에서 우승을 지키고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하여 이 종목에서 소련의 독점을 깨뜨렸으며, 종합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1965년과 1967년 유럽 선수권 대회를 지배하며 5개의 개인전 타이틀을 모두 석권했고, 1967년에는 두 번의 만점(10점)을 기록했다.[2] 그녀는 유럽 개인전 금메달을 두 번 모두 휩쓴 유일한 기계체조 선수이다.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을 앞두고, 차슬라프스카는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민주화 운동("프라하의 봄")을 지지하며 "두 천 단어 선언"에 서명했다. 그해 8월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군사 개입과 프라하 침공으로 인해 훈련 시설을 잃고 은둔 생활을 해야 했다. 그녀는 북부 모라비아(Moravia)의 후르비 예세니크(Hrubý Jeseník) 산맥 숲에서 감자 자루를 역기로, 통나무를 평균대로 사용하며 훈련했다.
올림픽 직전에 겨우 출국 허가를 받은 차슬라프스카는 조국 체코슬로바키아의 굴욕을 떨쳐내기 위해 최고의 연기를 펼치겠다고 다짐하며 경기에 임했다. 그녀는 6개 종목 모두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압도적인 기량을 선보였다. 종합 우승을 지키고 마루운동, 이단 평행봉, 도마에서 금메달을 추가로 획득했으며, 단체전과 평균대에서 은메달 2개를 획득했다. 마루 종목에서는 정치적 사정의 영향으로 소련 선수와 공동 금메달을 수상했고, 평균대 메달 수여식에서는 소련 선수에게 고개를 돌리는 것으로 항의를 표했다.[11] 그녀는 당시까지 기록된 최고 점수로 1968년 올림픽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1.4점 차이로 거둔 그녀의 승리는 48년 동안 여자 종합 경기에서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월드컵,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가장 큰 승리 차이로 남아 있었다. 2006년 개방형 채점 방식이 도입된 후 10년이 지난 2016년에야 마침내 넘어섰다. 2024년 파리 올림픽 현재, 그녀와 라리사 라티니나는 연속 올림픽 경기에서 개인 종합 금메달을 획득한 유일한 기계체조 선수이다. 그녀는 또한 도마 종목에서 금메달을 방어한 두 명의 여자 기계체조 선수 중 한 명이기도 하다. 그녀가 마루운동 루틴 음악으로 "하라베 타파티오(Jarabe tapatío)"를 사용하고 그 도시에서 결혼한 것은 멕시코 관중들에게 그녀를 엄청나게 인기 있게 만들었다.
년도 | 대회 | 팀 | 종합 | 도마 | 이단평행봉 | 평균대 | 마루운동 |
---|---|---|---|---|---|---|---|
1964년 올림픽 | 5 | 6 | |||||
1965년 유럽 선수권 대회 | |||||||
1966년 세계 선수권 대회 | 4 | ||||||
1967년 유럽 선수권 대회 | |||||||
1968년 올림픽 |
2. 3.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과 항의
1968년 멕시코시티 하계 올림픽에서 베라 차슬라프스카는 6개 전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하는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개인 종합, 마루운동, 이단 평행봉, 도마에서 금메달을, 단체전과 평균대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개인 종합에서는 1.4점 차이로 우승했는데, 이는 48년 동안 여자 종합 경기에서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월드컵, 유럽 선수권 대회를 통틀어 가장 큰 점수 차였다.차슬라프스카의 올림픽 참가와 메달 획득은 체코슬로바키아가 소련을 비롯한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침공을 받은 직후 이루어져서 더욱 감동적이었다. 그녀는 "프라하의 봄"을 지지하며 "두 천 단어 선언"에 서명했고, 이로 인해 훈련 시설을 잃고 북부 모라비아의 숲에서 감자 자루와 통나무를 이용해 훈련해야 했다. 올림픽 직전에 겨우 출국 허가를 받은 차슬라프스카는 조국의 굴욕을 떨쳐내기 위해 최고의 연기를 펼치겠다고 다짐하며 경기에 임했다고 회고했다.
하지만 마루운동에서는 심판 판정으로 인해 소련 선수와 공동 금메달을 수상하게 되었고, 평균대에서는 소련 선수에게 금메달을 내주었다.[3][4] 이에 차슬라프스카는 소련 국가가 연주되는 동안 고개를 숙이고 돌리는 행동으로 항의를 표현했다.[3][4] 이는 조국 체코슬로바키아에 대한 억압에 저항하는 상징적인 행동으로 체코 국민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다음은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차슬라프스카의 경기 결과를 정리한 표이다.
대회 | 팀 | 종합 | 도마 | 이단평행봉 | 평균대 | 마루운동 |
---|---|---|---|---|---|---|
올림픽 |
차슬라프스카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소련에 항의하는 용감한 행동으로 체코 국민들에게 존경받았으며, 같은 해 체코슬로바키아 올해의 스포츠인 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프라하의 봄을 지지하고 두 천 단어 선언에 서명했기 때문에, 체코슬로바키아 '정상화 체제'에서 탄압을 받아 은퇴를 강요당했다.
3. 은퇴 이후의 삶
1989년 벨벳 혁명으로 공산 정권이 종식된 후, 바츨라프 하벨 대통령의 스포츠 및 사회 문제 자문관이자 체코-일본 협회 명예 회장이 되었고, 이후 체코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95년에는 IOC 회원 위원회에 임명되었다.
1987년 이혼한 전 남편 요제프 오드로질이 차남과의 갈등 끝에 사망하는 사건으로 차슬라프스카는 우울증에 걸려 치료를 받기도 했다.[13]
2008년에는 체코 주요 일간지 이드네스(iDNES.cz) 인터뷰에서 남오세티야 분쟁에서 러시아의 대응을 비판했다.
2016년 8월 30일, 췌장암으로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4]
3. 1. '정상화 체제' 시기의 탄압
차슬라프스카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소련에 항의하는 행동으로 체코 국민들에게 존경받았지만, 프라하의 봄을 지지하고 두 천 단어 선언에 서명한 것 때문에 체코슬로바키아 '정상화 체제'에서 탄압받았다. 1968년 8월 소련 주도의 침공 이후 숙청이 이어지는 동안, 그녀는 해외 여행 및 체코슬로바키아 내외의 공개 스포츠 행사 참가 권한을 박탈당했다. 차슬라프스카는 사실상 은퇴를 강요당했고, 여러 해 동안 조국에서 '페르소나 논 그라타'(기피 인물)로 여겨졌다.
체코슬로바키아 당국은 그녀의 자서전 출판을 거부했고, 일본에서 출판될 때는 심한 검열을 요구했다. 멕시코 정부가 체코슬로바키아에 대한 석유 수출 중단을 위협했을 때에야 비로소 멕시코에서 코치로 일할 수 있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1980년대 초 멕시코에서 돌아온 후에는 에밀 자토페크와 같은 사무실을 사용했는데, 두 전직 스포츠 스타이자 당시 추방자들은 무의미한 행정직을 맡았다. 1980년대 후반,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의 압력을 받은 후, 차슬라프스카는 마침내 조국에서 체조 코치 및 심판으로 일할 수 있게 되었다.
3. 2. 벨벳 혁명 이후의 활동
1989년 벨벳 혁명으로 체코슬로바키아의 공산 정권이 종식된 후, 차슬라프스카는 바츨라프 하벨 대통령의 스포츠 및 사회 문제 자문관이자 체코-일본 협회 명예 회장이 되었다. 이후 대통령 집무실을 떠난 후에는 체코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95년에는 IOC 회원 위원회에 임명되었다.[11]
차슬라프스카는 "두 천 단어 선언" 서명 철회를 거부했기 때문에, 체코슬로바키아의 "정상화 체제" 시대에 매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었다.[11]
3. 3. 개인적인 시련과 극복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직후, 차슬라프스카는 1964년 도쿄 올림픽 육상 남자 1500m 은메달리스트 요세프 오들로질(Josef Odložil)과 멕시코 시티 대성당(Mexico City Cathedral)에서 결혼했다. 결혼식에는 수천 명의 인파가 몰렸다. 두 사람 사이에는 딸 라드카와 아들 마르틴이 있었다. 1987년 이혼 후, 1993년 차슬라프스카의 아들과 전 남편 사이에 다툼이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마르틴이 요세프를 가격했고, 요세프는 바닥에 머리를 부딪혀 35일 만에 사망했다. 이 사건으로 차슬라프스카는 심한 우울증과 무기력증을 겪으며 대중 앞에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3]
차슬라프스카는 정신병원에서 전기충격요법을 포함한 치료를 받았고, 이후 요양원으로 옮겨졌다. 약 15년간의 투병 끝에 우울증을 극복하고 모든 약물 복용을 중단한 그녀는 사회생활과 스포츠 활동에 복귀하여 어린 체조 선수들을 지도했다. 오랫동안 은둔 생활을 했던 차슬라프스카는 삶에 대한 열정을 되찾았고, "기적"이라고 표현할 만큼 회복된 모습을 보였다. 70세의 나이에도 아카풀코 체조 행사에 초청 손님으로 참석하여 다리 찢기 동작을 선보이며 멕시코 관중들을 열광시키기도 했다.
3. 4. 췌장암 투병과 사망
Věra Čáslavskács는 2015년 췌장암 진단을 받았다.[9] 2016년 여름, 건강이 급격히 나빠져 8월 30일 프라하의 한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7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9]
4. 일본과의 인연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차슬라프스카는 평균대, 도마, 개인 종합 금메달과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하며 많은 인기를 얻었다. 우아한 연기로 일본에서 "올림픽의 명화", "체조의 명화"라는 칭송을 받았다.[15][16]
차슬라프스카는 도쿄 올림픽 당시 일본 팬들이 체조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에 놀랐고, 부채, 유카타, 일본도 등 많은 선물을 받은 것에 감동했다고 한다. 이 선물들은 2013년까지도 자택에 보관하고 있었다.[15][16]
2010년에는 일본 정부로부터 욱일장 중수장을 수훈받았다.[15][16]
5. 수상 경력
베라 차슬라프스카는 선수 시절 뛰어난 성적과 체조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다양한 상을 받았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 올림픽 훈장 및 국제 페어플레이 트로피: 1989년 유네스코(UNESCO)로부터 피에르 드 쿠베르탱 국제 페어플레이 트로피를 받았으며, "모범적인 품위"를 인정받았다.
- 체코 공로 훈장: 1995년 체코 공화국 공로 훈장(Medal of Merit)을 받았다.
- 명예의 전당 헌액: 1991년 국제 여성 스포츠 명예의 전당, 1998년 국제 체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기타: 2010년 욱일장 3등급을 받았고,[6] 일본 천황으로부터 17세기 카타나[6]와 의식용 기모노[7]를 선물 받았다. 2014년에는 한노 R. 엘렌보겐 시민상(Hanno R. Ellenbogen Citizenship Award)을 공동 수상했다.[8]
- 소행성: 그녀의 이름을 딴 소행성(26986) 카슬라프스카(Caslavska)가 있다.
5. 1. 올림픽 훈장 및 국제 페어플레이 트로피
차슬라프스카는 체조 종목에 대한 공헌으로 많은 상을 받았다. 올림픽 훈장 외에도 1989년 유네스코(UNESCO)로부터 피에르 드 쿠베르탱 국제 페어플레이 트로피를 수상했으며, 시상식에서 그녀의 "모범적인 품위"가 주목받았다.5. 2. 체코 공로 훈장
1995년에 체코 공화국 공로 훈장(Medal of Merit)을 받았다.5. 3. 명예의 전당
차슬라프스카는 체조에 기여한 공로로 많은 상을 받았다. 1991년 국제 여성 스포츠 명예의 전당과 1998년 국제 체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5. 4. 기타 수상
2010년 旭日章일본어 3등급을 받았으며,[6] 일본 천황으로부터 17세기 카타나[6]와 의식용 기모노[7]를 받았다. 2014년에는 프라하 국제 협력 협회와 글로벌 패널 재단이 매년 수여하는 뛰어난 시민적 용기상인 한노 R. 엘렌보겐 시민상(Hanno R. Ellenbogen Citizenship Award)을 AP 통신 기자 이바 드라팔로바와 공동 수상했다.[8]6. 차슬라프스카의 기술
기술규정에는 차슬라프스카의 이름을 딴 기술이 하나 등재되어 있다.[5]
기구 | 이름 | 설명 | 난이도 |
---|---|---|---|
이단평행봉 | 차슬라프스카 | 높은 봉의 앞 지지에서 시작 - 뒤로 스윙하며 놓고 1/1 회전 (360°)하여 높은 봉에 매달림 | C |
7. 저서
Věra Čáslavskács 저, 이르지 무크(Jiří Muk) 편저, 미야가와 타케시 역, 『나는 일본을 잊을 수 없다』 (베이스볼 매거진사).
참조
[1]
웹사이트
Věra Čáslavská
https://www.sports-r[...]
[2]
서적
Gymnastics: all the beauty and skills of this thrilling sport
Chartwell Books, Inc.
[3]
웹사이트
Vera Caslavska and the forgotten story of her 1968 Olympics protest
https://www.bbc.co.u[...]
2018-10-20
[4]
웹사이트
Olga Kharlan's Stand Had History Behind It
https://defector.com[...]
2023-08-21
[5]
웹사이트
2022-2024 Code of Points Women's Artistic Gymnastics
https://www.gymnasti[...]
2022-01-22
[6]
웹사이트
Legendární gymnastka Věra Čáslavská: Můj meč hlavy nestínal
http://isport.blesk.[...]
Isport
2016-08-31
[7]
웹사이트
The Important Persons of the Czech Olympism
http://www.nm.cz/Hla[...]
National Museum
2016-08-31
[8]
웹사이트
Věra Čáslavská and Iva Drápalová receive HRE Citizenship Award
http://globalpanel.o[...]
Global Panel Foundation
2016-08-31
[9]
뉴스
Czech gymnast Caslavska, Olympic great and icon of anti-Soviet protests, dies at 74
https://www.reuters.[...]
2016-08-31
[10]
웹사이트
Vera Caslavska - The International Gymnastics Hall of Fame
http://www.ighof.com[...]
国際体操殿堂
2017-12-18
[11]
신문
こだま
1968-09-30
[12]
뉴스
元女王も嘆く体操の“曲芸化”
1992-08-03
[13]
웹사이트
Past Olympics Athletes
http://sports.espn.g[...]
ESPN
2015-09-27
[14]
뉴스
「五輪の名花」チャスラフスカさん死去 女子体操で金
http://www.asahi.com[...]
2016-08-31
[15]
신문
『64年の東京、運営完璧だった』 ベラ・チャスラフスカさん
2013-09-10
[16]
뉴스
2020へ翔べ東京五輪上 おもてなし 日本の知恵に期待
http://www.asahi.com[...]
2013-12-28
[17]
뉴스
A Departure From the Past
http://query.nytimes[...]
2008-01-01
[18]
뉴스
조한욱의 서양사람 - 아름다운 여자
http://www.hani.co.k[...]
2014-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