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레스테츠코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레스테츠코 전투는 1651년 6월 28일부터 7월 10일까지 현재 우크라이나 서부에 위치한 베레스테츠코 근처에서 벌어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자포로제 코사크-크림 타타르 연합군 간의 전투이다. 흐멜니츠키 봉기 중 발생했으며, 양측 군대의 정확한 규모는 자료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전투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승리로 끝났지만, 이후 코사크의 저항은 계속되었다. 이 전투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군사적 역량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으며, 바르샤바 무명 용사의 묘에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51년 분쟁 - 우스터 전투
    우스터 전투는 1651년 9월 3일 잉글랜드 우스터에서 벌어진 의회군과 스코틀랜드 왕당파 군대 간의 전투로, 제3차 잉글랜드 내전의 마지막 주요 전투이자 의회군의 승리였다.
  • 우크라이나의 근세사 - 리투아니아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13세기 중반부터 1795년까지 동유럽에 존재했던 국가로, 발트족을 기반으로 성장하여 흑해 연안까지 영토를 확장하며 다문화 사회를 이루었고, 폴란드 왕국과 연합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일원으로 존속하며 동유럽 여러 국가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우크라이나의 근세사 - 헤트만
    헤트만은 15세기부터 18세기 동유럽에서 사용된 군사 및 행정 지도자 칭호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는 최고 군사 지휘관을, 우크라이나에서는 코사크 사회 지도자를 의미했으나, 시대에 따라 권력 축소 및 폐지, 그리고 잠시 부활하기도 했다.
베레스테츠코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베레스테츠코 전투 165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군의 자포로지예 카자크와 크림 타타르에 대한 반격
베레스테츠코 전투 165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군의 자포로지예 카자크와 크림 타타르에 대한 반격
분쟁흐멜니츠키 봉기
날짜1651년 6월 28일 – 1651년 7월 10일
장소리우네 주 베레스테츠코, 우크라이나
결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카자크 헤트만국
크림 칸국
교전국 2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지휘관 및 지도자
교전국 1 지휘관보흐단 흐멜니츠키
이반 보훈
필론 잘랄리
마트비 흘라드키
이슬람 3세 기라이
토가이 베이 (전사)
교전국 2 지휘관얀 2세 카지미에시 바사
예레미 비시니오비에츠키
미코와이 포토츠키
마르친 칼리노프스키
스테판 차르니에츠키
스타니스와프 란츠코론스키 (헤트만)
병력 규모
교전국 1 병력총 200,000명
33,000명의 카자크
수많은 농민
30,000명의 크림 타타르
2,000명의 돈 카자크
수천 명의 투르크인과 블라흐인
교전국 2 병력총 80,000명
17,000명의 기병
16,000명의 보병
56,000명의 포스폴리테 루스제니에
사상자 및 피해
교전국 1 사상자30,000–40,000명 사망
교전국 2 사상자700명
참고 문헌

2. 배경

2. 1. 흐멜니츠키 봉기

2. 2.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상황

2. 3. 크림 타타르의 개입

3. 전투

3. 1. 양측 군대 규모 및 구성

베레스테츠코 전투에서 양측 군대의 정확한 규모는 자료에 따라 차이가 있어 불확실하다.[10][11][12]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군은 왕관군리투아니아 의용병으로 구성되었다. 공작 보구스라프 라지비우는 왕관군이 정규병 40,000명과 귀족 민병대(포스폴리테 루셰니에) 40,000명, 그리고 그들과 거의 같은 수의 하인 및 보병 등을 포함하여 총 80,000명이라고 기록했다.[10][11] 그러나 일부 현대 역사가들은 이 숫자를 60,000~63,000명으로 보기도 한다.[12] 1651년 6월 19일, 왕관군은 14,844명의 폴란드 기병, 2,250명의 독일식 기병, 11,900명의 독일식 보병 및 용기병, 2,950명의 헝가리식 보병(''하이드크''), 1,550명의 리투아니아 의용병, 960명의 리프카 타타르족으로 구성되었다.[15] 다수의 등록 코사크가 폴란드 측에 충성하여 전투에 참여했으며, 많은 거물들이 사병을 이끌고 참전했다. 또한 30,000명의 귀족 민병대도 있었으나 그 가치는 제한적이었다.

코사크-크림 타타르 연합군의 규모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자료는 없다. 추정치는 90,000명[13]에서 130,000명[14] 사이로 다양하다. 즈보리우 조약에 따라 등록 코사크 12개 연대가 코사크 군대의 핵심을 이루었다.

연대대령병력
치히린미하일로 크리사3,220
체르카시야키프 보론첸코2,990
코르순이반 굴랴니츠키3,470
빌라 체르크바미하일로 그로미카2,990
우만요시프 글루흐2,977
브라츠라프다닐로 네차이2,662
빈니차이반 보훈2,050
페레야슬라프페디르 로보다2,986
크로피우나필론 젤랄리1,993
미르고로드마트비 글라드키3,009
폴타바마르틴 푸슈카르2,970
프릴루키티모피 노사치1,996
합계33,313



야누시 라지비우가 키예프로 진격하면서 키예프, 카니우, 체르니히우, 니진, 파볼로치의 5개 코사크 연대는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다. 등록 코사크 외에도 낫, 도리깨 등으로 무장한 다수의 우크라이나 농민들이 코사크 군에 합류했으나, 이들은 규율과 조직력이 부족했다. 크림 타타르족 군대는 25,000~30,000명으로 추정되지만 더 적을 수도 있으며, 2,000명의 돈 코사크와 수천 명의 터키인과 블라흐족도 있었다.

폴란드 지휘관들은 날개 기병의 돌격을 통해 코사크 대열을 돌파하려 했다. 이는 키르홀름 전투와 클루신 전투 등 이전 전투에서 효과가 입증된 전술이었다. 코사크 군대는 폴란드와 함께 싸우거나 맞서 싸운 경험이 많아 폴란드식 전쟁 방식에 익숙했으며, 야전 전투를 피하고 요새화된 캠프에서 싸우는 전술을 선호했다.

3. 2. 전투 경과

3. 2. 1. 1일차

2,000명의 폴란드 기병대(알렉산데르 코니에츠폴스키의 지휘 하에 있는 한 연대, 예지 루보미르스키의 지원, 예레미 비시니오비에츠키의 6개 판체르 기병대와 날개 기병대 스테판 차르니에츠키의 지휘 하에 있는 부대)는 막대한 피해를 입은 크림 타타르를 격퇴했다.[16] "타타르족과 코사크 선봉 연대의 소규모 교전" 첫날 동안 폴란드군은 "그들의 군대가 첫 번째 공격을 기쁘게 그리고 쾌활하게 견뎌냈기" 때문에 승리했다.[16]

3. 2. 2. 2일차

폴란드군은 첫날의 성공에 힘입어, 모든 기병대를 "주요 타타르 무리"와 "코사크 선봉 연대"에 맞서 배치했다.[16] 폴란드 보병과 포병은 야영지에 남아 기병대를 지원하지 않았다. 이번에는 타타르 기병대가 우위를 점하며 폴란드군을 야영지까지 밀어냈지만, 폴란드 보병과 포병의 강력한 화력에 의해 "간신히 격퇴"되었다.[16] 폴란드군은 300명의 슐라흐타를 잃었고, 여기에는 많은 "유능한" 장교들과 "헤트만 미코와이 포토츠키의 호위 부대"도 포함되었다.[16] 전투 이틀 동안 반군은 승리했지만, "타타르족 역시 두 차례의 전투에서 폴란드군의 결의와 지구력에 불쾌한 놀라움을 느꼈고, 상당한 피해를 입은 후 의욕을 잃었다".[16] 투가이 베이와 이슬람 3세 기라이의 매형인 메흐메트 기라이가 전사했다.

3. 2. 3. 3일차

국왕 얀 2세는 밤 회의에서 다음 날인 6월 30일 금요일에 적과 결정적인 전투를 벌여야 한다고 주장했다.[16] 왕립군은 아침 안개 속에서 완전한 전력으로 나타났지만, 폴란드 포병은 타타르인들만이 소규모 교전을 벌였다.[16] 코사크 방어선은 두 개의 요새화된 야영지로 구성되었는데, 하나는 등록 코사크를 위한 더 큰 야영지였고 다른 하나는 농민 민병대를 위한 더 작은 야영지였으며, 둘 다 10줄의 사슬로 연결된 마차로 보호받았다.[17]

오후 3시에 예레미 비쉬니오비에츠키 공작은 18개 기병 중대의 성공적인 돌격을 이끌어 코사크-타타르 군대의 우익을 공격했고, "열정적인 기병 공격은 성공하여 코사크 보병과 울타리 형태로 이동하는 마차 행렬을 무너뜨렸다".[18] 그러나 코사크는 재집결하여 폴란드 기병을 야영지 밖으로 밀어내고 타타르족의 도움을 받아 더 진격했다. 폴란드군의 좌익이 후퇴하기 시작하자 국왕은 호울왈트 대령 휘하의 모든 독일 용병을 투입하여 공격을 격퇴하고 "타타르족을 전장에서 몰아냈다".[19]

전투 중에 오트비노프스키라는 폴란드 귀족이 타타르 칸의 기치를 발견했고, 폴란드 포병은 이를 향해 사격했다. 칸의 형제 아마라트가 치명상을 입었다. 이미 전투가 불리하게 전개되자 타타르군은 당황하여 "칸의 야영지를 그대로 버리고" 전장에서 도망쳐 대부분의 소지품을 남겨두었다. 흐멜니츠키와 비호프스키는 소수의 코사크와 함께 칸을 쫓아가 그의 군대를 다시 데려오려 했지만, 전투가 끝날 때 석방될 인질로 잡혔다.[20]

폭우가 시작되어 기병 작전이 복잡해졌다. 타타르 기병이 사라지자 코사크는 밤에 마차를 강에 더 가까운 더 나은 방어 위치로 옮기고 참호를 파고 벽을 쌓아 다음 날 아침 폴란드군을 놀라게 했다.

3. 2. 4. 코사크-타타르 진영 포위

왕립군과 코사크 진영은 양측이 요새를 건설하는 동안 10일 동안 포격을 주고받았다. 폴란드군은 진영을 봉쇄하려 했다.[21] 보흐단 흐멜니츠키가 없어 지도력을 잃은 자포로제 코사크군은 7월 9일 필론 젤랄리 대령이 이반 보훈으로 교체될 때까지 지휘를 받았다. 다른 기록에는 지휘관이 마트비 흘라드키였다고 한다.[22] 코사크의 사기는 저하되었고, 탈영병들이 강 건너편으로 향하기 시작했지만, 그들은 높은 수준의 포격을 유지했고 때때로 공격을 감행했다. 항복 조건이 거부되자 폴란드군은 코사크 진영을 침수시키기 위해 플랴시우카 강을 막을 준비를 했다. 스타니스와프 란츠코론스키는 2,000명의 기병대를 이끌고 7월 9일 강을 건너 자포로제 코사크의 포위를 완료했다. 폴란드의 진격을 알게 된 보훈은 등록된 자포로제 코사크의 다른 지도자들과 추가 조치에 대한 의회를 소집했다.[23] 그러나 농민 민병대는 의회에 초대받지 못했다. 자포로제 코사크는 세 개의 다리를 건설했고, 보훈은 10일 아침에 두 문의 대포와 함께 2,000명의 기병대를 이끌고 강 건너편으로 건너가 란츠코론스키를 공격했다. 상황을 알지 못했던 농민들은 버려졌다고 생각해 공황 상태에 빠져 강을 건너 도망가기 시작했다.[24] 란츠코론스키는 그 방향으로의 대규모 움직임을 예상하지 못하고 후퇴했다. 보훈은 진영으로 돌아와 질서를 회복하려 했지만 헛수고였다. 폴란드군은 혼란을 감지했지만 함정이라고 생각하여 즉시 코사크 진영을 공격하지 않았다. 결국 그들은 공격을 가해 방어선을 돌파하고 강을 건너갔다. 몇몇 코사크 연대는 질서 정연하게 후퇴하는 데 성공했다. 일부 자포로제 코사크는 익사했지만, 강을 건너는 지점에서 고고학적 발굴 결과 백여 명의 코사크 유해가 발견되었으며, 모두 근접 무기의 피해를 보여 격렬한 전투가 있었음을 시사했다. 200~300명의 자포로제 코사크 후위대는 영웅적으로 강을 건너는 곳을 보호했다. 그들은 모두 항복 제안을 거부하고 전투에서 사망했다. "흐멜니츠키의 텐트는 그의 모든 소지품과 함께 온전하게 포획되었다" 여기에는 두 개의 깃발이 포함되어 있는데, 하나는 1649년 얀 2세 카지미에시 바사의 위임으로 받은 것이고, 다른 하나는 1646년 브와디스와프 4세로부터 받은 것이었다.[25] 퇴각 중에 얼마나 많은 자포로제 코사크와 농민이 사망했는지 추정하기는 어렵지만, 전투에 참여한 피아세츠키와 브조스토프스키는 3,000명이 사망했다고 언급했다. 차르의 대사 포디야치 보그다노프는 모스크바에 보낸 보고서에서 4,000명이 사망했다고 언급했다.[26] 대부분의 코사크 포는 폴란드군에게 빼앗기거나 늪에 잠겼다. 30,000 탈러의 군대 재무부를 포함한 많은 전리품이 코사크 진영에서 수집되었다.

3. 3. 전투 결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승리로 전투가 끝났다.[27] 존 2세 카지미에시 바사는 도망치는 코자크를 추격하지 않았고, 귀족들의 레베 앙 마스(levée en masse, 징집된 민병대)는 우크라이나로 진군하려 하지 않았다.[27] 또한, 비가 오는 날씨와 식량 및 사료 부족, 전염병 등으로 인해 전쟁 수행에 어려움을 겪었다.[27] 국왕은 1651년 7월 17일 군대를 포토츠키에게 맡기고 바르샤바로 돌아가 승리를 축하했다.

헤트만 보흐단 흐멜니츠키는 타타르 칸 이슬람 3세 기라이에게 포로로 잡혔다가 금전적인 약속을 하고 풀려났다. 흐멜니츠키는 자포로제 군을 재결합하여 빌라 체르크바 전투에서 폴란드군과 맞섰다. 1651년 9월 28일 빌라 체르크바 조약을 통해 평화가 맺어졌지만, 등록된 코자크의 수는 20,000명으로 줄었고, 즈보리우 조약에서 허용되었던 우크라이나 지방에 대한 정착 및 통제 권리가 박탈되었다.[28] 흐멜니츠키의 지휘 아래 우크라이나의 반란은 몇 년 더 지속되었다.

4. 전투의 영향 및 의의

4. 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4. 2. 우크라이나 코사크

4. 3. 크림 칸국

4. 4. 한국사와의 관련성 (더불어민주당 관점)

5. 전투 이후 상황

얀 2세 카지미에시 바사는 전투 후 도망치는 코자크를 추격하지 않았다.[27] 귀족들의 징집병들이 우크라이나로 진군하지 않으려 했고, 악천후와 식량 부족, 전염병 등으로 전쟁 수행 의지가 약화되었다.[27] 국왕은 1651년 7월 17일 군대를 포토츠키에게 맡기고 바르샤바로 돌아가 승리를 축하했다. 헤트만 보흐단 흐멜니츠키이슬람 3세 기라이에게 석방된 후 자포로제 군을 재결합하여 빌라 체르크바 전투에서 폴란드군과 맞섰다. 1651년 9월 28일 빌라 체르크바 조약이 체결되어 등록된 코자크 수가 2만 명으로 줄고, 즈보리우 조약에서 허용되었던 우크라이나 지방 통제권을 박탈당했다.[28] 그러나 코사크 봉기는 끝나지 않고 흐멜니츠키의 지휘 아래 계속되었다.

6. 기념 및 평가

베레스테츠코 전투는 바르샤바 무명 용사의 묘에 "베레스테츠코 28-30 VI 1651"이라는 비문과 함께 기념되고 있다.[29] 사무엘 트와르도프스키의 서사시 "내전"은 스티르 강을 따라 펼쳐진 전투의 배경을 묘사하고 있다.[29]

:그 강가에는 작은 마을이 하나 있는데,

:볼히니아 한가운데 베레스테츠코라 불리며,

:과거에는 덜 유명했던 레스친스키 가문에 속했지만,

:이제는 고대 칸나이 전투처럼 유명해졌네,

:호틴 전투는 이 전투에 훨씬 못 미치는데, 왜냐하면 이곳에서 눈으로 본 머리 수가

:테르모필레

:마라톤 전투에서 헤아린 숫자만큼이나 많았기 때문이네, 비록 그곳에서는

:유럽과 아시아의 모든 군대가 함께 모였지만.

:우리 도착 이후 - 언덕길

:과 가파른 경사면, 탁 트인

:스티르 강둑 근처의 풀밭이 펼쳐질 때까지. 남쪽에서 바라보는 것은 즐거웠네.

:프론스키 가문의 피라미드와 겨울에도 푸르른 숲을 보며. 동쪽에는 자연스러운 듯 펼쳐져 있네.

:야영지 - 그리고 실제로 그곳에 배치되었지

:나중에, 하지만 처음에는 - 이것에 대해 오랫동안 생각했네.

베레스테츠코 전투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군사적 역량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참조

[1] 서적 History of Ukraine-Rus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2] 문서
[3] 서적 Książę Jeremi Wiśniowiecki
[4] 서적 Beresteczko 1651
[5]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Volume II: 1500–1774 ABC-CLIO
[6] 문서
[7] 문서
[8] 뉴스 Made in Poland: The Women and Men Who Changed the World https://books.google[...] 2019-01-23
[9] 뉴스 Along Ukraine's River: A Social and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Dnipro https://books.google[...] 2019-01-23
[10] 서적 Kniaź Jarema
[11] 문서
[12] 문서 Jan Kazimierz Waza
[13] 서적 Ostatni Waza na polskim tronie.
[14] 문서
[15] 서적 Ostatni Waza na polskim tronie.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