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히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히린은 우크라이나 체르카시주에 위치한 도시로, 티아스민 강 유역에 자리 잡고 있다. 1320년부터 17세기까지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일부였으며, 코사크 헤트만국의 수도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678년 러시아-터키 전쟁 중 파괴되었으나, 이후 다시 코사크에 의해 탈환되었다. 18세기에는 폴란드 분할로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으며, 1917년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볼셰비키 간의 쟁탈전의 무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점령되었다가 소련에 의해 탈환되었으며, 1991년 소련 붕괴 후 독립한 우크라이나의 도시가 되었다. 현재는 소규모 산업이 경제 기반을 이루며, 1993년 미국 세바스토폴과 자매 결연을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르카시주 - 카니우
    카니우는 우크라이나 중부 드니프로강변에 위치한 도시로, 키예프 루스 시대부터 역사적 중요성을 지니며 타라스 셰브첸코 묘가 있는 타라스 언덕과 카니우 수력 발전소 등 다양한 명소가 있는 곳이다.
  • 체르카시주 - 우만
    우만은 우크라이나 체르카시주에 위치한 도시로, 1616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소피이우카 공원, 랍비 나흐만의 묘, 로쉬 하샤나 순례지로 유명하고, 2022년 러시아 침공으로 포격을 받았다.
  • 체르카시주의 도시 - 카니우
    카니우는 우크라이나 중부 드니프로강변에 위치한 도시로, 키예프 루스 시대부터 역사적 중요성을 지니며 타라스 셰브첸코 묘가 있는 타라스 언덕과 카니우 수력 발전소 등 다양한 명소가 있는 곳이다.
  • 체르카시주의 도시 - 우만
    우만은 우크라이나 체르카시주에 위치한 도시로, 1616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소피이우카 공원, 랍비 나흐만의 묘, 로쉬 하샤나 순례지로 유명하고, 2022년 러시아 침공으로 포격을 받았다.
  • 우크라이나의 도시 - 이르핀
    우크라이나 키이우주 부차구에 위치한 이르핀은 1899년 철도 건설 중 형성되어 이르핀 강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과 2022년 러시아의 침공으로 피해를 입었지만 현재는 산업, 농업, 휴양 시설과 대학교가 있는 도시이다.
  • 우크라이나의 도시 - 하르키우
    하르키우는 우크라이나 북동부의 주요 도시이자 하르키우주의 중심지로서, 코사크 요새에서 시작하여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 공업 및 군수 산업 중심지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산업, 과학, 문화 중심지이자 저항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치히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치히린 전경
치히린 전경
우크라이나 체르카시주 치히린 위치
우크라이나 체르카시주 치히린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치히린
도시 종류도시
행정 구역
국가우크라이나
체르카시주
라이온체르카시 라이온
흐로마다치히린 도시 흐로마다
역사
도시 지위 획득1592년
지리
면적14km2
해발 고도124m
인구
2022년8539명
인구 밀도854명/km2
정치
시장세르히 올렉시이오비치 팀첸코
기타 정보
우편 번호20900-20906
지역 번호+380 4730
언어 정보

2. 명칭

치히린(; 튀르키예어: ''Çigirin'' 또는 ''Çehrin''; ; )은 오래된 지도에는 폴란드어/튀르키예어식 표기인 체흐린(Czehrin)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CH)

3. 역사

1320년부터 1569년까지 이 지역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일부였으며, 이후 루블린 연합에 따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폴란드 왕관의 키이우주)으로 넘어갔다. 1592년 지그문트 3세 바사에 의해 마그데부르크법을 부여받았다.[2]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ac83901_067b784d.svg|thumb|upright=2|1678년 포위 직전 치히린 요새의 지도


I - 신성(New Castle) 중앙 보루


II - 도로셴코의 보루("던전")


III - 크림 타워가 있는 보루


IV - 앞에 나무 탑과 이중 라블린이 있는 스파스키 문


V - 돌 기초 위에 있는 나무 탑, "뉴 고트 혼"


VI - 탑과 우물


VII - 돌 모서리 보루


VIII - 돌 둥근 탑


IX - 다리로 가는 문이 있는 키예프 타워


X - 무명 타워 (1678년에 건설됨)


XI - 코르순 또는 밀 타워


XII - 하위 마을로 가는 문]]

치히린은 요새화된 코사크 겨울 정착지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1638년 보흐단 흐멜니츠키가 지역 지도자인 스타로스타가 되었다. 1648년에는 새로 선출된 헤트만의 거주지이자 코사크 국가인 자포로제 호스트의 수도가 되었다.

티아스민 강변의 치히린. 얀 얀손의 ''Tractus Borysthenis Vulgo Dniepr at Niepr dicti'' 지도 조각 (암스테르담, 1663)


러시아-터키 전쟁 (1676-1681) 동안 두 차례의 격전(1675-76 및 1677-78)이 벌어졌다. 1678년 치히린 요새는 러시아 수비대가 퇴각하면서 폭파되었고, 터키군은 나머지 도시를 약탈했다. 이후 중요성을 잃었으나, 오스만 제국빈 전투에 집중하는 동안 코사크에 의해 다시 탈환되었다. 1712년까지 치히린 연대의 중심지로 남았다.

17세기 전반에 걸쳐 코사크 반란군의 거점이었으며, 1648년부터 1660년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부터 독립한 코사크 국가의 수도헤트만의 거성이 되었다. 1648년부터 1712년까지 코사크 국가 치히린 연대의 연대청 소재지였다. 그러나 러시아-튀르크 전쟁 중인 1678년, 치히린은 오스만 제국·크림 칸국의 동맹군에 의해 파괴되어 쇠퇴했다.

18세기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 하에 돌아와 하이담카 반란군의 거점 중 하나였다. 1790년에는 제8 폴란드 국가 기병 여단, 1792년에는 제4 폴란드 선봉 연대가 주둔했다.[2] 폴란드 분할 (1793)에서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어 키이우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1917년 치히린에서 자유 코사크 회의가 열렸고, 파블로 스코로파츠키가 코사크의 헤트만으로 선출되었다(이후 1918년 키이우에서 우크라이나 헤트만으로 선출).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치히린은 바르바로사 작전부터 드네프르 전투까지 독일 국방군에 점령되었다. 1989년 인구는 12,853명이었다.[3]

1917년부터 1921년까지 치히린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러시아의 볼셰비키와의 쟁탈전의 무대가 되었다. 그 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지배 하에 놓였다. 1923년에 치히린 지구의 지구청 소재지가 되었다. 1941년 8월 7일에 치히린은 독일군에 점령되었지만, 1943년 12월 12일소련붉은 군대에 의해 탈환되었다. 1954년에 치히린 읍이 시로 승격, 치히린 시가 발족했다.

2020년 7월 18일까지 치히린은 치히린 구의 행정 중심지였으나, 우크라이나 행정 개혁으로 체르카시주의 구 수가 4개로 줄면서 폐지되었다. 치히린 구 지역은 체르카시 구로 통합되었다.[4][5] 이 마을에는 완공되지 않은 치히린 원자력 발전소가 있다.

1991년, 소련의 붕괴에 따라 독립한 우크라이나의 도시가 되었다.

3. 1. 초기 역사

1320년부터 1569년까지 이 지역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일부였으며, 이후 루블린 연합 이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폴란드 왕관의 키이우주)으로 할양되었다.[2] 1592년 지그문트 3세 바사에 의해 마그데부르크법을 부여받았다.[2]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ac83901_067b784d.svg|thumb|upright=2|1678년 포위 직전 치히린 요새의 지도


I - 신성(New Castle) 중앙 보루


II - 도로셴코의 보루("던전")


III - 크림 타워가 있는 보루


IV - 앞에 나무 탑과 이중 라블린이 있는 스파스키 문


V - 돌 기초 위에 있는 나무 탑, "뉴 고트 혼"


VI - 탑과 우물


VII - 돌 모서리 보루


VIII - 돌 둥근 탑


IX - 다리로 가는 문이 있는 키예프 타워


X - 무명 타워 (1678년에 건설됨)


XI - 코르순 또는 밀 타워


XII - 하위 마을로 가는 문]]

치히린은 요새화된 코사크 겨울 정착지로 처음 언급되었다. 1638년 보흐단 흐멜니츠키가 지역 지도자 스타로스타가 되었고, 1648년에는 새로 선출된 헤트만의 거주지이자 코사크 국가인 자포로제 호스트의 수도가 되었다. 16세기 전반부터 키예프현 남부, 우크라이나 코사크의 요새화된 도시로 알려졌다. 1592년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왕 지그문트 3세로부터 자치권을 받았다.

17세기 전반에 걸쳐 코사크 반란군의 거점이었으며, 1648년부터 1660년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부터 독립한 코사크 국가의 수도헤트만의 거성이 되었다. 또한 1648년부터 1712년까지 코사크 국가 치히린 연대의 연대청 소재지였다. 러시아-터키 전쟁 (1676-1681) 동안 두 차례의 피비린내 나는 캠페인(1675-76 및 1677-78)의 중심지였다. 1678년 치히린 요새는 그곳에 주둔해 있던 러시아 수비대가 퇴각하면서 폭파되었고, 터키군은 나머지 도시를 약탈했다.[2] 이 후, 점차 중요성을 잃었다. 이 도시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지만, 오스만 제국이 빈 전투에 열중하는 동안 코사크에 의해 다시 탈환되었다. 1712년까지 치히린 연대의 중심지로 남았다.

18세기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 하에 돌아와 하이담카 반란군의 거점 중 하나였다. 1790년에는 제8 폴란드 국가 기병 여단이 체흐린에 주둔했고, 1792년에는 제4 폴란드 선봉 연대가 주둔했다.[2] 1797년, 폴란드 분할의 결과 러시아 제국에 속하게 되었고, 키예프현 치히린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1917년부터 1921년까지의 치히린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러시아의 볼셰비키와의 쟁탈전의 무대가 되었다. 1917년 치히린에서 자유 코사크 회의가 열렸고, 이 회의에서 전통적으로 파블로 스코로파츠키가 코사크의 헤트만으로 선출되었다(후에 1918년 키이우에서 그는 우크라이나 헤트만으로 선출되었다).[2] 그 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지배 하에 놓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치히린은 바르바로사 작전부터 드네프르 전투까지 독일 국방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941년 8월 7일에 치히린은 독일군에 점령되었지만, 1943년 12월 12일소련붉은 군대에 의해 탈환되었다.

3. 2. 코사크 헤트만국의 수도

1320년부터 1569년까지 이 지역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일부였으며, 이후 루블린 연합에 따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폴란드 왕관의 키이우주)으로 할양되었다.[2] 1592년 지그문트 3세 바사에 의해 마그데부르크법을 부여받았다.[2]

치히린은 요새화된 코사크 겨울 정착지로 처음 언급되었다. 1638년 보흐단 흐멜니츠키가 지역 지도자 스타로스타가 되었고, 1648년에는 새로 선출된 헤트만의 거주지이자 코사크 국가인 자포로제 호스트의 수도가 되었다. 러시아-터키 전쟁 (1676-1681) 동안 두 차례의 격전이 벌어졌으며(1675-76 및 1677-78), 1678년 치히린 요새는 러시아 수비대가 퇴각하면서 폭파되었고, 터키군은 나머지 도시를 약탈했다. 이후 중요성을 잃었으나, 오스만 제국빈 전투에 집중하는 동안 코사크에 의해 다시 탈환되었다. 1712년까지 치히린 연대의 중심지로 남아있었다.[2]

17세기 전반에 걸쳐 치히린은 코사크 반란군의 거점이었다. 1648년부터 1660년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부터 독립한 코사크 국가의 수도헤트만의 거성이 되었다. 또한 1648년부터 1712년까지 코사크 국가 치히린 연대의 연대청 소재지였다. 그러나 러시아-튀르크 전쟁 중인 1678년, 치히린은 오스만 제국·크림 칸국의 동맹군에 의해 전멸되어 현저하게 쇠퇴했다.

3. 3. 러시아-튀르크 전쟁과 쇠퇴

16세기 전반부터 키예프현 남부, 우크라이나 코사크의 요새화된 도시로 알려진 치히린은 1592년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왕 지그문트 3세로부터 자치권을 받았다.[2] 1638년 보흐단 흐멜니츠키가 지역 지도자 스타로스타가 되었고, 1648년에는 자포로제 호스트의 수도이자 헤트만의 거주지가 되었다. 러시아-터키 전쟁 (1676-1681) 동안 두 차례의 격전(1675-76 및 1677-78)이 벌어졌고, 1678년 치히린 요새는 러시아 수비대가 퇴각하면서 폭파되었고, 터키군은 나머지 도시를 약탈했다. 이후, 점차 중요성을 잃었으나 빈 전투에 오스만 제국이 집중하는 동안 코사크에 의해 다시 탈환되었다. 치히린은 1712년까지 치히린 연대의 중심지로 남았다.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ac83901_067b784d.svg|thumb|upright=2|1678년 포위 직전 치히린 요새의 지도


I - 신성(New Castle) 중앙 보루


II - 도로셴코의 보루("던전")


III - 크림 타워가 있는 보루


IV - 앞에 나무 탑과 이중 라블린이 있는 스파스키 문


V - 돌 기초 위에 있는 나무 탑, "뉴 고트 혼"


VI - 탑과 우물


VII - 돌 모서리 보루


VIII - 돌 둥근 탑


IX - 다리로 가는 문이 있는 키예프 타워


X - 무명 타워 (1678년에 건설됨)


XI - 코르순 또는 밀 타워


XII - 하위 마을로 가는 문]]

17세기 전반에 걸쳐 코사크 반란군의 거점이었던 치히린은, 1648년부터 1660년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부터 독립한 코사크 국가의 수도헤트만의 거성이었다. 또한 1648년부터 1712년까지 코사크 국가 치히린 연대의 연대청 소재지였다. 그러나 러시아-튀르크 전쟁 중인 1678년, 치히린은 오스만 제국·크림 칸국의 동맹군에 의해 전멸되어 현저하게 쇠퇴했다.

18세기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 하에 돌아온 치히린은 하이담카 반란군의 거점 중 하나였다. 1793년 폴란드 분할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고, 키이우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1790년에는 제8 폴란드 국가 기병 여단이, 1792년에는 제4 폴란드 선봉 연대가 치히린에 주둔했다.[2] 1797년에는 러시아 제국에 속하게 되었고, 키예프현 치히린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3. 4. 폴란드 분할과 러시아 제국

1320년부터 1569년까지 이 지역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일부였으며, 이후 루블린 연합 이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폴란드 왕관의 키이우주)으로 할양되었다. 1592년 지그문트 3세 바사에 의해 마그데부르크법을 부여받았다.[2] 치히린은 요새화된 코사크 겨울 정착지로 처음 언급되었다. 1638년 보흐단 흐멜니츠키가 지역 지도자 스타로스타가 되었고, 1648년에는 새로 선출된 헤트만의 거주지이자 코사크 국가인 자포로제 호스트의 수도가 되었다. 러시아-터키 전쟁 (1676-1681) 동안 두 차례의 격전이 벌어졌고, 1678년 치히린 요새는 러시아 수비대가 퇴각하면서 폭파되었고, 터키군은 나머지 도시를 약탈했다. 이후 중요성을 잃었으나, 오스만 제국빈 전투에 집중하는 동안 코사크에 의해 다시 탈환되었다. 1712년까지 치히린 연대의 중심지로 남았다. 1790년에는 제8 폴란드 국가 기병 여단이, 1792년에는 제4 폴란드 선봉 연대가 치히린에 주둔했다.[2] 폴란드 분할 (1793)에서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고, 키이우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17세기 전반에 걸쳐 코사크 반란군의 거점이었으며, 1648년부터 1660년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부터 독립한 코사크 국가의 수도헤트만의 거성이 되었다. 또한 1648년부터 1712년까지 코사크 국가 치히린 연대의 연대청 소재지였다. 그러나 러시아-튀르크 전쟁 중인 1678년, 치히린은 오스만 제국·크림 칸국의 동맹군에 의해 전멸되어 쇠퇴했다.

18세기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 하에 돌아와 하이담카 반란군의 거점 중 하나였다. 1797년, 폴란드 분할의 결과 러시아 제국에 속하게 되었고, 키예프현 치히린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3. 5. 우크라이나 독립 전쟁과 소비에트 연방

1320년부터 1569년까지 이 지역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일부였고, 이후 루블린 연합 이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폴란드 왕관의 키이우주)으로 할양되었다. 1592년 지그문트 3세 바사에 의해 마그데부르크법을 부여받았다.[2]

치히린은 요새화된 코사크 겨울 정착지로 처음 언급되었다. 1638년 보흐단 흐멜니츠키가 지역 지도자 스타로스타가 되었고, 1648년에는 새로 선출된 헤트만의 거주지이자 코사크 국가인 자포로제 호스트의 수도가 되었다. 러시아-터키 전쟁 (1676-1681) 동안 두 차례의 피비린내 나는 캠페인(1675-76 및 1677-78)의 중심지였다. 1678년 치히린 요새는 그곳에 주둔해 있던 러시아 수비대가 퇴각하면서 폭파되었고, 터키군은 나머지 도시를 약탈했다. 이 후, 점차 중요성을 잃었다. 이 도시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지만, 오스만 제국이 빈 전투에 열중하는 동안 코사크에 의해 다시 탈환되었다. 1712년까지 치히린 연대의 중심지로 남았다.

1917년 치히린에서 자유 코사크 회의가 열렸고, 이 회의에서 전통적으로 파블로 스코로파츠키가 코사크의 헤트만으로 선출되었다(후에 1918년 키이우에서 우크라이나 헤트만으로 선출되었다). 1923년에 치히린 지구의 지구청 소재지가 되었다. 1991년, 소련의 붕괴에 따라 독립한 우크라이나의 도시가 되었다.

1917년부터 1921년까지 치히린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러시아의 볼셰비키와의 쟁탈전의 무대가 되었다. 그 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지배 하에 놓였다.

3. 6.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8월 7일에 치히린은 독일군에 점령되었지만,[2] 1943년 12월 12일소련붉은 군대에 의해 탈환되었다.[2]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치히린은 바르바로사 작전부터 드네프르 전투까지 독일 국방군에 의해 점령되었다.[3]

3. 7. 전후

1320년부터 1569년까지 이 지역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일부였고, 이후 루블린 연합에 따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폴란드 왕관의 키이우주)으로 할양되었다. 1592년 지그문트 3세 바사마그데부르크법을 부여했다.[2] 치히린은 요새화된 코사크 겨울 정착지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1638년 보흐단 흐멜니츠키가 지역 지도자 스타로스타가 되었다. 1648년에는 헤트만의 거주지이자 코사크 국가인 자포로제 호스트의 수도가 되었다.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ac83901_067b784d.svg|thumb|upright=2|1678년 포위 직전 치히린 요새의 지도


I - 신성(New Castle) 중앙 보루


II - 도로셴코의 보루("던전")


III - 크림 타워가 있는 보루


IV - 앞에 나무 탑과 이중 라블린이 있는 스파스키 문


V - 돌 기초 위에 있는 나무 탑, "뉴 고트 혼"


VI - 탑과 우물


VII - 돌 모서리 보루


VIII - 돌 둥근 탑


IX - 다리로 가는 문이 있는 키예프 타워


X - 무명 타워 (1678년에 건설됨)


XI - 코르순 또는 밀 타워


XII - 하위 마을로 가는 문]]

러시아-터키 전쟁 (1676-1681) 동안 두 차례의 격전(1675-76 및 1677-78)이 벌어졌다. 1678년 치히린 요새는 러시아 수비대가 퇴각하면서 폭파되었고, 터키군은 도시를 약탈했다. 이후 중요성을 잃었으나, 오스만 제국빈 전투에 집중하는 동안 코사크에 의해 다시 탈환되었다. 1712년까지 치히린 연대의 중심지로 남았다. 1790년에는 제8 폴란드 국가 기병 여단, 1792년에는 제4 폴란드 선봉 연대가 주둔했다.[2] 폴란드 분할 (1793)으로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어 키이우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1917년 치히린에서 자유 코사크 회의가 열려 파블로 스코로파츠키가 코사크의 헤트만으로 선출되었고, 후에 1918년 키이우에서 우크라이나 헤트만으로 선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치히린은 바르바로사 작전부터 드네프르 전투까지 독일 국방군에 점령되었다. 1989년 인구는 12,853명이었다.[3]

2020년 7월 18일까지 치히린은 치히린 구의 행정 중심지였으나, 행정 개혁으로 체르카시주의 구 수가 4개로 줄면서 폐지되고 체르카시 구로 통합되었다.[4][5] 이 마을에는 완공되지 않은 치히린 원자력 발전소가 있다.

17세기 전반에 걸쳐 코사크 반란군의 거점이었으며, 1648년부터 1660년까지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부터 독립한 코사크 국가의 수도이자 헤트만의 거성이었다. 또한 1648년부터 1712년까지는 코사크 국가 치히린 연대의 연대청 소재지였다. 그러나 러시아-튀르크 전쟁 중인 1678년, 치히린은 오스만 제국·크림 칸국의 동맹군에 의해 파괴되어 쇠퇴했다.

18세기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 하에 돌아와 하이담카 반란군의 거점 중 하나였다. 1797년 폴란드 분할의 결과 러시아 제국에 속하게 되었고, 키예프현 치히린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1917년부터 1921년까지 치히린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러시아 볼셰비키와의 쟁탈전의 무대가 되었다. 그 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지배 하에 놓였다. 1923년에 치히린 지구의 지구청 소재지가 되었다. 1941년 8월 7일에 치히린은 독일군에 점령되었지만, 1943년 12월 12일소련붉은 군대에 의해 탈환되었다. 1954년에 치히린 읍이 시로 승격, 치히린 시가 발족했다. 1991년 소련 붕괴 후 독립한 우크라이나의 도시가 되었다.

3. 8. 우크라이나 독립

1320년부터 1569년까지 이 지역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일부였으며, 이후 루블린 연합에 따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폴란드 왕관의 키이우주)으로 넘어갔다. 1592년 지그문트 3세 바사에 의해 마그데부르크법을 부여받았다.[2] 치히린은 요새화된 코사크 겨울 정착지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1638년 보흐단 흐멜니츠키가 지역 지도자인 스타로스타가 되었다. 1648년에는 새로 선출된 헤트만의 거주지이자 코사크 국가인 자포로제 호스트의 수도가 되었다.

[[파일: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ac83901_067b784d.svg|thumb|upright=2|1678년 포위 직전 치히린 요새의 지도


I - 신성(New Castle) 중앙 보루


II - 도로셴코의 보루("던전")


III - 크림 타워가 있는 보루


IV - 앞에 나무 탑과 이중 라블린이 있는 스파스키 문


V - 돌 기초 위에 있는 나무 탑, "뉴 고트 혼"


VI - 탑과 우물


VII - 돌 모서리 보루


VIII - 돌 둥근 탑


IX - 다리로 가는 문이 있는 키예프 타워


X - 무명 타워 (1678년에 건설됨)


XI - 코르순 또는 밀 타워


XII - 하위 마을로 가는 문]]

러시아-터키 전쟁 (1676-1681) 동안 두 차례의 격전(1675-76 및 1677-78)이 벌어졌다. 1678년 치히린 요새는 러시아 수비대가 퇴각하면서 폭파되었고, 터키군은 나머지 도시를 약탈했다. 이후 중요성을 잃었으나, 오스만 제국빈 전투에 집중하는 동안 코사크에 의해 다시 탈환되었다. 1712년까지 치히린 연대의 중심지로 남았다. 1790년에는 제8 폴란드 국가 기병 여단, 1792년에는 제4 폴란드 선봉 연대가 주둔했다.[2] 폴란드 분할 (1793)에서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어 키이우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1917년 치히린에서 자유 코사크 회의가 열렸고, 파블로 스코로파츠키가 코사크의 헤트만으로 선출되었다(이후 1918년 키이우에서 우크라이나 헤트만으로 선출).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치히린은 바르바로사 작전부터 드네프르 전투까지 독일 국방군에 점령되었다. 1989년 인구는 12,853명이었다.[3]

2020년 7월 18일까지 치히린은 치히린 구의 행정 중심지였으나, 우크라이나 행정 개혁으로 체르카시주의 구 수가 4개로 줄면서 폐지되었다. 치히린 구 지역은 체르카시 구로 통합되었다.[4][5] 이 마을에는 완공되지 않은 치히린 원자력 발전소가 있다.

17세기 전반에 걸쳐 코사크 반란군의 거점이었으며, 1648년부터 1660년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부터 독립한 코사크 국가의 수도헤트만의 거성이 되었다. 1648년부터 1712년까지 코사크 국가 치히린 연대의 연대청 소재지였다. 그러나 러시아-튀르크 전쟁 중인 1678년, 치히린은 오스만 제국·크림 칸국의 동맹군에 의해 파괴되어 쇠퇴했다.

18세기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 하에 돌아와 하이담카 반란군의 거점 중 하나였다. 1797년, 폴란드 분할의 결과 러시아 제국에 속하게 되었고, 키예프현 치히린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1917년부터 1921년까지 치히린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러시아의 볼셰비키와의 쟁탈전의 무대가 되었다. 그 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지배 하에 놓였다. 1923년에 치히린 지구의 지구청 소재지가 되었다. 1941년 8월 7일에 치히린은 독일군에 점령되었지만, 1943년 12월 12일소련붉은 군대에 의해 탈환되었다. 1954년에 치히린 읍이 시로 승격, 치히린 시가 발족했다. 1991년, 소련의 붕괴에 따라 독립한 우크라이나의 도시가 되었다.

4. 지리

4. 1. 위치

이 도시는 티아스민 강 유역에 위치하며, 해발 124미터에 자리 잡고 있다. 21세기 현재, 식품 및 가구 공장과 같은 소규모 산업이 이 도시의 경제 기반을 이루고 있다.

4. 2. 기후

치히린의 기후는 1981년부터 2010년까지 관측된 자료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7] 연평균 기온은 8.8°C이며, 가장 더운 달은 7월로 평균 21.2°C,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3.5°C이다. 연간 강수량은 560.1mm이며, 6월에 77.1mm로 가장 많고, 2월에 32.9mm로 가장 적다. 연평균 상대 습도는 74.3%이며, 12월에 85.1%로 가장 높고, 5월에 63.2%로 가장 낮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0.9-0.15.514.421.324.326.325.920.013.05.00.412.9
평균 기온 (°C)-3.5-3.11.79.415.919.221.220.414.98.82.3-2.18.8
평균 최저 기온 (°C)-6.1-5.9-1.54.810.414.316.115.010.45.4-0.2-4.44.9
강수량 (mm)34.432.935.536.749.777.165.254.255.942.139.437.0560.1
평균 강수일수 (≥ 1.0 mm)7.47.17.37.07.28.57.16.36.55.76.87.484.3
평균 상대 습도 (%)83.580.876.666.963.268.068.066.471.976.984.085.174.3


5. 인구

5. 1. 인구 통계

5. 2. 언어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 따른 모국어별 인구 분포는 다음과 같다.[6]

언어비율
우크라이나어93.14%
러시아어5.37%
기타/미결정1.49%


6. 경제

치히린의 경제 기반은 농업, 식료품 산업, 모피 산업, 건축 자재 산업(벽돌 공장), 건축 산업이다.

7. 문화

치히린은 우크라이나 코사크와 관련된 문화재가 많다. 그중에는 치히린 성 터(17세기), 구세주 성당 터(17세기), 보흐단 흐멜니츠키의 저택(복원) 등이 있다. 치히린 국립 역사 문화 공원도 존재한다.

8. 국제 관계

치히린은 미국 세바스토폴과 1993년에 자매 결연을 맺었다.

도시국가협약 연도
세바스토폴
25px
미국
1993


참조

[1] 웹사이트 Чигиринська територіальна громада https://decentraliza[...] decentralization.gov.ua
[2] 서적 Rodowody pułków polskich i oddziałów równorzędnych od r. 1717 do r. 1831 Towarzystwo Wiedzy Wojskowej
[3]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 Численность городского населения союзных республик, их территориальных единиц, городских поселений и городских районов по полу http://demoscope.ru/[...]
[4] 뉴스 Про утворення та ліквідацію районів. Постанова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 807-ІХ. http://www.golos.com[...] 2020-07-18
[5] 웹사이트 Нові райони: карти + склад https://www.minregio[...] Міністерство розвитку громад та територій України
[6] 웹사이트 Рідні мови в об'єднаних територіальних громадах України https://socialdata.o[...]
[7]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07-17
[8] 웹인용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