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만은 우크라이나 체르카시주에 위치한 도시로, 우크라이나어로는 'Умань', 폴란드어로는 'Humań', 이디시어로는 'אומאַן' 등으로 불린다. 1616년 역사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시기에는 요새 역할을 했다. 1793년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고, 19세기에는 유대인 공동체의 중심지였다. 현재는 소피이우카 공원과 랍비 나흐만의 묘가 있는 곳으로 유명하며, 매년 로쉬 하샤나 때 수만 명의 유대인이 순례하는 도시이다. 우만은 교육 및 연구 기관이 위치해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포격을 받아 피해를 입었다.
현대 우크라이나의 공용어인 우크라이나어로는 일반적으로 '''우만'''(Уманьuk)이라고 불린다. '''후만'''(Гуманьuk)이라는 별칭도 존재한다.
우만은 오랜 역사를 거치며 다양한 세력의 지배와 영향을 받아왔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시기에는 국경 방어의 요충지이자 코사크 활동의 중심지였으며, 하이담카 봉기와 우만 학살과 같은 비극을 겪기도 했다. 18세기 말 러시아 제국에 편입된 이후로는 포토츠키 가문에 의해 유명한 소피이우카 공원이 조성되고 하시디즘 유대교의 중요한 중심지로 발전했다. 20세기에는 소비에트 연방 시대를 거치며 산업화와 제2차 세계 대전의 참화를 겪었으며,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피해를 입는 등 현대사의 격동을 겪고 있다. 각 시대별 자세한 역사는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우만에는 18세기와 19세기에 걸쳐 상당한 규모의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다. 그러나 1768년 폴란드 통치에 반발하여 일어난 코사크의 콜리이우시치나 봉기 당시, 우만은 비극적인 우만 학살의 현장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막심 잘리즈니악과 이반 곤타가 이끄는 코사크 반군은 도시를 점령했고, 수많은 유대인과 폴란드인, 그리고 우크라이나 통합 교회 교도들이 학살당했다.[3] 일부 기록에 따르면, 도시를 방어하던 폴란드 사령관 믈라다노비치는 폴란드인들의 안전을 보장받는 대가로 유대인들을 코사크에게 넘겨주었다고 전해진다. 이 학살로 인한 희생자 수는 기록에 따라 차이가 있어, 약 2만 명[4] 또는 2천 명[4] 등으로 추산된다.
2. 명칭
과거 이 지역을 지배했던 국가들이 사용한 주요 언어로는 폴란드어와 러시아어가 있다. 폴란드어로는 '''후만'''(Humańpl)이라고 부르며, 러시아어로는 '''우만'''(Уманьru)이라고 부른다. 이 지역과 관련이 깊은 유대인들이 사용하는 이디시어로는 '''우만'''(Umanyi[31] 또는 Imen'|이멘yi)이라고 불린다.
이 외에도 영어로는 Uman'영어 또는 Uman영어, 체코어로는 Umaňcs, 독일어로는 Umande 등으로 표기된다. 우크라이나어 명칭의 로마자 표기로는 Uman'la, Umanla, Umaňla 등이 있다.
일본어에서는 다양한 표기 변형이 존재한다. 우크라이나어 또는 러시아어 명칭에 대해 악센트 위치를 나타내는 장음을 사용하여 ウーマニ|우-마니일본어, 이를 사용하지 않고 ウマニ|우마니일본어, 경자음을 나타내지 않고 ウマン|우만일본어 등으로 표기된다. 종종 ウマニ|우마니일본어로 표기되지만, 악센트는 제2음절의 'ма'가 아닌 제1음절의 'у'에 있으므로 이는 적절한 표기가 아니다.[32]
3. 역사
3. 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시대 (16세기-18세기)
1569년 루블린 연합 이후 우만 지역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폴란드 왕관령에 속했다. 1609년 브라츠와프와 빈니차의 영주였던 알렉시 카르노프스키는 이곳에 "우만"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것을 명령했다.[3] 이 이름이 공식 문서에 처음 등장한 것은 1616년으로, 당시 우만은 브라츠와프주의 소폴란드주에 속한 작은 마을(містечко|미스테치코uk)이었다.[3]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동쪽 국경 지대인 들판에 위치하여 크림 타타르의 침입을 막는 방어 거점 역할을 했으며[3], 1629년에는 목조 방어 시설을 갖춘 요새로 발전했다. 성채 주변에는 해자와 토루가 축조되었고, 당시 1,064가구가 거주하며 중요한 코사크 연대가 주둔하고 있었다.[3]
1648년 우크라이나 코사크의 보흐단 흐멜니츠키가 일으킨 대규모 봉기 때, 그의 부하 이반 한자가 이끄는 코사크 부대가 폴란드로부터 우만을 점령했다.[3] 이후 우만은 헤트만 국가의 우만 연대 행정 중심지가 되었고, 1667년까지 연대 도시이자 주요 요새로서 기능했다. 1654년 말부터 1655년 초에는 이반 보훈이 지휘하는 우만 코사크 군대가 폴란드 슈라흐타 군대의 침공을 성공적으로 격퇴하기도 했다. 그러나 1667년 모스크바 대공국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사이에 안드루소보 조약이 체결되면서 우만은 다시 폴란드 영토로 귀속되었다.[3] 이 조약 이후 많은 주민들이 폴란드 통치를 피해 좌안 우크라이나로 이주하면서 도시는 한동안 쇠퇴했다.[3]
1670년부터 1674년까지는 우크라이나 우안의 헤트만이었던 미하일로 하넨코가 우만에 거주했다. 하지만 1674년, 우크라이나 좌안의 헤트만 페트로 도로셴코가 오스만 제국 및 크림 칸국과 연합하여 우만을 침공했다. 이 침공으로 도시는 완전히 파괴되고 수많은 주민이 학살당했으며, 살아남은 이들 중 다수가 우크라이나 좌안으로 피난했다. 이 사건 이후 우만은 다시금 황폐해졌고, 일부 기록에 따르면 1672년부터 1699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놓이기도 했다.
도시의 쇠퇴는 1726년 폴란드의 유력 마그나트 가문인 포토츠키 가문이 우만을 소유하게 되면서 전환점을 맞았다.[3] 당시 포토츠키 가문의 영지 동쪽에서는 하이담카의 봉기가 계속되고 있었는데, 프란치셰크 사레지 포토츠키 백작은 영지 내 다른 지역의 농민과 장인들을 우만으로 이주시키는 정책을 1737년부터 1750년까지 추진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우만은 점차 경제적, 문화적으로 중요성을 회복하기 시작했다. 1760년에는 마그데부르크 법을 부여받아 정식 도시(місто|미스토uk)로 승격되었고, 시나고그가 문을 열었다. 1761년에는 농민들의 노동력으로 요새가 재건되었으며, 1764년에는 포토츠키 백작의 후원으로 가톨릭교회의 바실리안 수도원과 400명 규모의 신학교가 설립되었다.[3] 우만 주변에는 하이담카의 습격으로부터 도시를 방어하기 위한 코사크 정착지(슬로보다)들이 생겨났다. 이 시기 우만은 드네프르강 우안 우크라이나의 키예프주와 체르카시주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로 부상했다.
하지만 우만 지역은 1734년, 1750년, 그리고 1768년에 하이담카 봉기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3] 특히 1768년 콜리이우시치나 봉기 당시, 코사크 반군 지도자 막심 잘리즈니악과 이반 곤타가 이끄는 하이담카 부대가 우만을 점령했다. 이 과정에서 폴란드 귀족, 가톨릭교회 성직자, 유대인, 그리고 우크라이나인 유니에이트(동방 가톨릭 신자)들을 대상으로 한 우만 학살이 발생했다.[3] 도시가 포위되었을 때, 많은 우크라이나계 폴란드 군인들이 반군에 합류했으며, 주변 지역에서 수천 명의 피난민이 보호를 받기 위해 우만으로 몰려들었다. 폴란드 측 기록에 따르면, 우만 사령관 믈라다노비치는 폴란드인들의 안전을 보장받는 대가로 도시 내 유대인들을 반군에게 넘겨주었다고 전해진다. 학살은 3일간 지속되었으며, 희생자 수에 대해서는 기록마다 차이가 있어, 일부 폴란드 측 기록은 약 20,000명[3]으로 추산하는 반면, 다른 자료는 2,000명[4]으로 추산하기도 한다. 이 참혹한 사건 이후 우만은 다시 한번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고, 주민 수가 급감하고 상업 활동도 위축되었다.
1790년에는 폴란드 제8 국립 기병 여단이 우만에 주둔했다.[5]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1793년 폴란드 분할의 결과로 우만은 러시아 제국 영토로 편입되었다.
3. 2. 러시아 제국 시대 (18세기-20세기 초)
1793년 제2차 폴란드 분할의 결과로 우만은 러시아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이후 여러 귀족 저택이 이곳에 세워졌다. 1795년 우만은 러시아 제국의 보즈네센스크현의 우예즈드(군) 중심지가 되었으며[3], 같은 해 스타니스와프 슈쳉스니 포토츠키 백작이 우만으로 이주하여 도시 부흥에 힘썼다. 그는 1796년 유명한 경관 정원 공원인 소피이우카를 조성했다. 1797년에는 키예프현에 편입되었다.[3]
19세기 초, 우만은 유대인 공동체의 하시디즘 중심지로 부상했다. 랍비 나흐만 브라츨라프와 이스라엘 벤 엘리에제르는 말년을 우만에서 보냈으며, 특히 이스라엘 벤 엘리에제르는 1810년 우만에서 결핵으로 사망했다. 그의 유언에 따라, 그는 1768년 콜리이의 난 당시 학살된 유대인 희생자들이 묻힌 오래된 유대인 묘지에 안장되었다. 나흐만 랍비의 생전 거주지는 현재 시나고그로 사용되고 있다.
1826년에는 성모 마리아 교회가 건립되었으며, 이 건물은 현재 우크라이나의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1834년, 러시아 제국 정부는 우만을 포토츠키 가문으로부터 몰수했고, 1838년에는 키예프현 및 포돌리아현의 군사 거주 구역 관할 하에 두었다. 이 시기에도 아치교나 가스등 설치 등 귀족적인 인프라 건설은 계속되었다. 1859년에는 오데사에 있던 원예 학교가 우만으로 이전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우만의 인구는 눈에 띄게 증가했다. 1860년에 10,100명이었던 인구는[3]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 당시 31,016명으로 늘어나 카미야네츠-포돌스키에 이어 포돌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1900년에는 29,900명, 1914년에는 50,000명 이상으로 증가했다.[3] 이러한 인구 증가는 철도 건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1890년에는 키예프까지, 1891년에는 오데사까지 철도가 개통되면서[3] 산업 부문, 특히 상업과 수공업을 중심으로 한 가구류 교역 등이 빠르게 발전했다. 19세기 말, 우만은 전형적인 유대인 지방 공동체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0세기 초까지 키예프와 오데사를 잇는 철도는 도시의 지속적인 산업 발전을 뒷받침했다.[3]
3. 3. 소비에트 연방 시대 (20세기 초-1991년)
20세기 초, 키예프와 오데사를 잇는 철도가 우만과 연결되면서 산업 부문이 급속히 발전했다.[3] 인구는 1860년 10,100명에서 1900년 29,900명으로 증가했고, 1914년에는 50,000명을 넘어섰다.[3]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당시 인구 31,016명의 우만은 카미야네츠-포돌스키 다음으로 포돌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였다. 1900년에는 인구가 약 3만 명이었는데, 그중 21,500명이 유대인이었다. 당시 우만에는 3개의 시나고그, 13개의 기도소, 4개의 사립 유대인 학교가 있었으며, 가톨릭 교회도 4개 있었다. 또한 마을에는 극장도 운영되었다.
러시아 혁명과 우크라이나 내전 시기 동안 우만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키예프현에 속했다가, 이후 소비에트 러시아군, 백군, 그리고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군과 연합한 폴란드군에게 차례로 점령되는 혼란을 겪었다. 우크라이나 독립 전쟁에서 독립파 공화국이 패배한 후, 파리 강화 회의를 통해 우만은 최종적으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영토로 결정되었다. 이후 소비에트 연방이 결성되면서 우만은 그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41년 우만 전투가 도시 근처에서 벌어졌고, 독일 국방군이 붉은 군대의 제6군과 제12군을 포위했다. 아돌프 히틀러와 베니토 무솔리니는 1941년 우만을 방문하기도 했다. 우만은 1941년 8월 1일부터 1944년 3월 10일까지 나치 독일군에게 점령되었다. 점령 기간 동안 독일군은 1941년에 전쟁 포로를 위한 AGSSt 16 집결 센터를 운영했으며, 1941년 9월부터 1943년 10월까지는 슈탈라크 349 포로 수용소를 운영했다.[6] 또한, 붉은 군대 포로들을 위한 강제 수용소인 "우만의 구덩이"(«Уманська Яма»|우만스카 야마uk)가 건설되어, 1941년 8월 14일 기준으로 5만 명의 포로가 수용되었다. 마을 외곽의 스히이 야르(마른 계곡)에서는 독일군에 의해 1만 3천 명 이상의 유대인이 학살당하는 비극이 발생했다. 점령군은 "소피이우카" 공원도 심하게 파괴하고, 그곳에 독일군 전사자 묘지를 만들었다. 제2 우크라이나 전선이 수행한 우만-보토샤니 작전에 의해 우만은 1944년3월 10일 소련군에 의해 탈환되었다.
전쟁 후, 우만은 지역 중심지로서 역할을 했다. 소련 시대에는 금지되었던 유대교도의 우만 순례[33]는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직전인 1989년부터 재개되어, 오늘날 우만은 유대교도들에게 중요한 순례지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1989년 1월 당시 우만의 인구는 90,596명이었다.[7][8]
3. 4.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1991년-현재)
2011년 기준으로 우만에는 광학 및 농기계 공장, 통조림 공장, 양조장, 비타민 공장, 재봉 공장, 신발 공장 등 다양한 산업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1] 주요 건축물로는 옛 요새의 지하 묘지, 바실리안 수도원(1764년 건립), 시청(1780–1782년 건립), 고전 양식의 성모 승천 로마 가톨릭 교회(1826년 건립), 19세기에 지어진 무역 상가 등이 남아있다.[1]
우만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는 소피이우카 공원( Софiївка|소피이우카uk; Zofiówka|조피우프카pl )이다. 이 공원은 1796년 폴란드 귀족인 스타니스와프 슈쳉스니 포토츠키 백작이 그의 아내 소피아를 위해 조성한 곳으로 유명하다.[2] 공원 안에는 여러 개의 폭포가 있으며, 좁고 아치형의 돌다리가 시내와 경치 좋은 계곡을 가로지르고 있다.[2]
행정 구역 상으로는 2020년 7월 18일까지 오블라스트의 중요성을 가진 도시로 분류되었으며, 우만 라욘의 중심지 역할을 했지만 라욘 자체에는 속하지 않았다.[3] 그러나 우크라이나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체르카시 오블라스트의 라욘 수가 4개로 축소되면서 우만은 우만 라욘에 통합되었다.[3]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만은 러시아군의 공격 대상이 되었다. 2022년 2월 24일, 러시아군의 포격으로 자전거를 타고 있던 시민 1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 이는 영상으로 기록되기도 했다.[4][5] 2023년 4월 28일에는 러시아군이 발사한 미사일이 도시의 주거용 건물에 떨어지는 2023년 우만 미사일 공격이 발생했다. 이 공격으로 어린이 6명을 포함해 최소 23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을 입었다.[6][7] 공격 직후 러시아 국방부는 텔레그램 채널에 미사일 발사 이미지와 함께 "정확히 목표에 명중"이라는 문구를 게시하여 논란이 되었다.[8]
4. 인구
연도 인구 1897 31,016 1926 43,821 1939 44,384 1959 44,546 1970 63,378 1979 78,897 1989 90,596 2001 88,735 2011 87,437 2022 81,525
1960년대 이후 우만의 인구는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21세기 들어서는 감소하고 있다.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 따른 모국어별 인구 분포는 다음과 같다.[16]
주요 민족별 인구 비율 변화는 다음과 같다.
5. 유대인 공동체
19세기 초, 우만은 하시디즘 유대교, 특히 브레슬로프 하시디즘의 중요한 중심지로 부상했다. 브레슬로프 하시디즘의 창시자인 랍비 나흐만은 생애 마지막 시기를 우만에서 보냈으며, 1810년 결핵으로 사망했다. 그는 자신의 유언에 따라 1768년 학살의 희생자들이 묻힌 옛 유대인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의 무덤은 이후 브레슬로프 하시드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19세기 후반, 철도 건설과 함께 우만의 인구가 급증하면서 유대인 공동체도 더욱 성장하여, 19세기 말에는 우만이 전형적인 유대인 지방 공동체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우만을 점령하면서 유대인 공동체는 다시 한번 파괴를 겪었다. 1941년 우만 전투 이후 독일군은 이 지역의 유대인들을 조직적으로 학살했으며, 약 17,000명에 달하는 유대인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된다.[17] 이 과정에서 랍비 나흐만의 무덤이 있던 유대인 묘지 역시 완전히 파괴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브레슬로프 하시드들은 파괴된 묘지 터에서 랍비 나흐만의 무덤을 찾아내어 보존하기 위해 노력했다. 소련 정부가 해당 부지에 주택 건설 계획을 추진했을 때도 무덤을 지켜냈다. 1990년대 이후, 특히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랍비 나흐만의 무덤이 있는 푸쉬키나 거리를 중심으로 다시 유대인 공동체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주로 매년 로쉬 하샤나(유대교 새해)에 랍비 나흐만의 무덤을 찾는 순례객들과 관련된 활동에 종사한다. 2018년경에는 이스라엘과 미국 등지에서 온 유대인 가족들이 이주하면서 공동체 규모가 더욱 커졌으며, 새로운 이디시어 학교가 설립되기도 했다.
5. 1. 로쉬 하샤나 순례
매년 로쉬 하샤나에는 수만 명의 하시드교도를 비롯한 전 세계의 다양한 유대인들이 랍비 나흐만의 묘지를 찾아 우만으로 대규모 순례를 떠난다. 랍비 나흐만은 생애 마지막 5개월을 우만에서 보냈으며,[19] 자신이 이곳에 묻히기를 특별히 원했다. 그는 죽기 전, 로쉬 하샤나에 자신의 묘를 찾아 기도하는 사람은 누구든, 심지어 "가장 악한 죄인"이라 할지라도 그를 위해 중재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브레슬로프 하시드교도들은 믿는다. 이런 믿음 때문에 랍비 나흐만의 묘소 순례는 욤 키푸르에 하느님이 내리는 심판에서 벗어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로 여겨진다.[20]
이 연례 순례는 랍비 나흐만이 사망한 이듬해인 1811년, 그의 수제자인 나단 오브 브레슬로프가 처음으로 조직하면서 시작되었다. 19세기와 20세기 초에는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리투아니아, 폴란드 등지에서 수백 명의 하시드교 유대인들이 순례에 참여했다. 그러나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소련과 폴란드 사이의 국경이 봉쇄되면서 순례는 큰 어려움을 겪었다. 소수의 소련 내 하시드교도들은 비밀리에 순례를 이어갔으나, 일부는 KGB에 발각되어 시베리아로 추방되어 목숨을 잃기도 했다.
순례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중단되었다가 1948년에 매우 작은 규모로 재개되었다. 냉전 시기인 1960년대부터 1989년까지 수백 명의 미국과 이스라엘 하시드교도들이 합법적 또는 불법적인 방법을 통해 우만에 있는 랍비 나흐만의 묘를 찾았다. 1988년, 소련 정부는 250명의 남성이 로쉬 하샤나 기간 동안 랍비의 묘를 방문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허용했다. 이후 순례객 수는 급증하여 1989년에는 1,000명 이상, 1990년에는 2,000명이 우만을 찾았다.[17][21] 2008년에는 참가자가 25,000명으로 늘어났고,[22] 2018년에는 30,000명 이상의 유대인이 순례에 참여했다.[23]
2010년대 중반부터는 미즈라히 유대인 랍비를 포함한 이스라엘 내 다양한 울트라 정통파 공동체 구성원들도 순례에 참여하고 있다. 이 순례는 예멘 출신 예시바 학생부터 전과가 있는 이스라엘인, 미국 히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을 하나로 모으는 독특한 행사로 자리 잡았다.[24]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안전 문제로 인해 유대인 새해를 맞아 우만을 찾은 순례객 수는 약 10,000명으로 줄어들어, 2021년의 약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25]
이 연례 순례는 오늘날 우만의 주요 경제 활동 중 하나로 간주된다.[26]
6. 지리
2011년 기준으로 우만에는 광학 및 농기계 공장, 통조림 공장, 양조장, 비타민 공장, 재봉 공장, 신발 공장 등 다양한 산업 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주요 건축 기념물로는 옛 요새의 지하 묘지, 바실리안 수도원(1764년 건축), 시청(1780년~1782년 건축), 고전 양식으로 지어진 성모 승천 로마 가톨릭 교회(1826년 건축), 19세기에 지어진 무역 상가 등이 있다.
우만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는 소피이우카 공원( Софiївка|소피이우카uk; Zofiówka|조피우프카pl)이다. 이 공원은 1796년 폴란드 귀족인 스타니스와프 슈쳉스니 포토츠키 백작이 그의 아내 소피아를 위해 조성한 곳으로 유명하다. 공원 안에는 여러 개의 폭포와 좁고 아치형으로 만들어진 돌다리가 시내와 아름다운 계곡을 가로지르고 있다.
행정 구역상으로 우만은 2020년 7월 18일까지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로 분류되었으며, 라욘의 중심지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만 라욘에는 속하지 않았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체르카시 오블라스트의 라욘 수가 4개로 줄어들면서 우만은 우만 라욘에 통합되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만은 큰 피해를 겪었다. 2022년 2월 24일, 러시아군의 포격으로 자전거를 타고 있던 시민 한 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 이 장면은 영상으로 기록되기도 했다. 이후 2023년 4월 28일에는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이 도시의 주거용 건물을 강타하여 어린이 6명을 포함해 최소 23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을 입는 참사가 발생했다. 이 공격 직후 러시아 국방부는 텔레그램 채널에 미사일 발사 이미지와 함께 "정확히 목표에 명중"이라는 설명을 게시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6. 1. 기후
wikitext
7. 과학 및 교육
wikitext
대학교 | |
---|---|
연구소 및 전문대학 | |
과학 아카데미 (연구소) |
8. 자매 도시
우만은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29]
국가 | 도시 |
---|---|
이스라엘 | 아슈켈론 |
미국 | 데이비스 |
폴란드 | 그니에즈노 |
에스토니아 | 하프살루 |
폴란드 | 코르니크 |
폴란드 | 와인추트 |
영국 (웨일스) | 밀포드헤이븐 |
이스라엘 | 노프하갈릴 |
리투아니아 | 라드빌리슈키스 |
프랑스 | 로미이쉬르센 |
이스라엘 | 차파트 |
참조
[1]
웹사이트
Уманська територіальна громада
https://decentraliza[...]
decentralization.gov.ua
[2]
서적
A History of Ukraine
[3]
백과사전
Uman
http://encyclopediao[...]
2011-09-26
[4]
서적
A History of Ukraine
Univ. of Washington Press
[5]
서적
Rodowody pułków polskich i oddziałów równorzędnych od r. 1717 do r. 1831
Towarzystwo Wiedzy Wojskowej
[6]
서적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ume IV
Indiana University Pres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7]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 Численность городского населения союзных республик, их территориальных единиц, городских поселений и городских районов по полу
http://demoscope.ru/[...]
[8]
서적
Умань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9]
뉴스
Про утворення та ліквідацію районів. Постанова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 807-ІХ.
http://www.golos.com[...]
2020-10-03
[10]
웹사이트
Нові райони: карти + склад
https://www.minregio[...]
Міністерство розвитку громад та територій України
2020-07-17
[11]
웹사이트
Ukraine Casualties in the Hundreds As Civilians Bear Brunt of Russia's Attack
https://www.newsweek[...]
Newsweek
2022-02-24
[12]
웹사이트
Death toll in Uman rises to 14 including 2 children
https://www.pravda.c[...]
Ukrainska Pravda
2023-04-28
[13]
웹사이트
Russian Offensive Campaign Assessment, April 28, 2023
https://www.understa[...]
ISW
2023-04-29
[14]
뉴스
Russian missile and drone attack in Ukraine kills 23 people
https://apnews.com/a[...]
Associated Press
2023-04-28
[15]
웹사이트
Cities & Towns of Ukraine
http://pop-stat.mash[...]
[16]
웹사이트
Рідні мови в об'єднаних територіальних громадах України
https://socialdata.o[...]
[17]
웹사이트
"Uman! Uman! Rosh HaShanah! A guide to Rebbe Nachman's Rosh HaShanah in Uman".
http://www.breslov.c[...]
Breslov
[18]
서적
Pilgrimage and the Jews
Praeger, Westport: CT
[19]
서적
"Until the Mashiach: Rabbi Nachman's biography: an annotated chronology"
Breslov Research Institute, Jerusalem/New York
[20]
웹사이트
http://vitaminim.org[...]
[21]
문서
See the article "A New Phase in Jewish-Ukrainian Relations" by Mitsuharo Akao
[22]
뉴스
Hasidic Jews celebrate holiday in Uman
http://jta.org/news/[...]
Jewish Telegraphic Agency
2008-10-02
[23]
웹사이트
30,000 Israelis Heading to Uman for Rosh Hashanah
https://www.theyeshi[...]
2018-09-05
[24]
뉴스
Rosh Hashana in Uman: A Jewish anarchy
http://www.jpost.com[...]
Jerusalem Post
2016-10-02
[25]
웹사이트
This year's Jewish New Year celebrations in Uman were unlike the previous years
https://twitter.com/[...]
Hromadske International
2022-10-04
[26]
웹사이트
How Do You Say Shofar in Ukrainian? The strange and wonderful Hasidic pilgrimage to Uman, Ukraine.
http://www.slate.com[...]
[27]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07-17
[28]
웹사이트
Uman, Ukraine Climate Data
http://climatebase.r[...]
Climatebase
2021-11-05
[29]
웹사이트
Міжнародні зв'язки
http://uman-rada.gov[...]
Uman
2020-03-31
[30]
웹사이트
за матеріалами перепису
http://db.ukrcensus.[...]
2022-01-01
[31]
문서
「ウマン巡礼の歴史」
http://src-h.slav.ho[...]
[32]
문서
슬라브어파, 특히 동슬라브어군의 언어의 일본어 표기에서는, 원어의 악센트 위치를 장음부호로 나타내도 좋다는 규칙이 있다. 이는 실제 원어 발음에서 강세가 일본어의 개념에서는 장음에 상당하는 약 2배의 길이로 발음되기 때문에 정당화되는 표기법이다. 한편, 원어에서는 어디까지나 악센트이지 장음이라는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일본어 표기라고 해도 장음부호를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학설도 있어, 거기에 따르면 장음부호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 페이지에서는, 내각고시 「외래어의 표기」(헤세이 3년 2월)에 따라, 원칙적으로 장음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도 원어에서 악센트가 없는 위치에 장음부호를 사용하는 것은 있을 수 없고, 표기법으로서는 원칙에서 벗어난 부적절한 표기라고 할 수 있다.
[33]
문서
유대교 관계에서는, 우마니는 보통 「우만」이라고 불린다.
[34]
웹사이트
http://db.ukrcensus.[...]
[35]
웹인용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