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지하철 6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징 지하철 6호선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 있는 지하철 노선으로, 자금성 인근의 역사 유적 보호를 위해 노선이 변경되어 건설되었다. 2012년 하이뎬우루주역에서 차오팡역 구간을 시작으로, 2023년 얼리거우역까지 개통되었으며, 2025년 둥샤오잉난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최고 속도 100km/h로 베이징 지하철 노선 중 가장 빠르며, 가공 전차선 방식을 최초로 채택했다. DKZ47형 전동차가 운행되며, 2019년에는 평일 일일 평균 승차 인원이 100만 명을 넘어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201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수원시와 인천광역시를 잇는 수인선과 성남시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분당선을 2020년 9월 12일 통합 개통한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서남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축을 형성하며, 향후 학익역 개통 예정 및 인천역-경부고속철도 연결 계획 검토와 함께 소음 문제 및 콘크리트 도상 사용 등 논란도 존재한다. - 베이징 지하철 노선 - 베이징 지하철 8호선
베이징 지하철 8호선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위해 건설되어 총 길이 49.5km에 35개 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관광지를 연결하고 여러 노선과의 환승을 통해 베이징 시내 주요 지역을 잇는 중요한 교통 수단이다. - 베이징 지하철 노선 - 베이징 지하철 1호선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은 베이징 시내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간선 노선으로, 1971년 개통 이후 2021년 8호선과의 직결 운행을 시작했으며, 현재 미래 개발 계획이 진행 중이다. - 베이징 지하철 6호선 - 난뤄구샹역
난뤄구샹역은 베이징 지하철 6호선, 8호선 환승역으로 디안먼 동대가와 난뤄구샹 교차점에 위치하며, 스택형 상대식 승강장 구조와 독특한 역사 디자인, 공공 예술 작품이 특징이다. - 베이징 지하철 6호선 - 핑궈위안역
핑궈위안역은 베이징 지하철 1호선, 6호선, S1선이 지나는 환승역으로, 1969년 1호선 개통과 함께 개업했으며 현재 1호선 운행은 중단되었고 2023년 말 재개될 예정이다.
베이징 지하철 6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베이징 지하철 6호선 |
다른 이름 | M6 (계획된 이름) |
![]() | |
색상 | 금색 |
![]() | |
종류 | 급행 철도 |
시스템 | 베이징 지하철 |
상태 | 운영 중 |
지역 | 퉁저우 구, 차오양 구, 둥청 구, 시청 구, 하이뎬 구, 스징산 구, 베이징 |
기점 | 진안차오 역 |
종점 | 루청 역 |
역 수 | 34개 (운영 중) |
일일 승객 수 | 601,900명 (2014년 평균), 107만 명 (2018년 최고) |
개통일 | 2012년 12월 30일 |
운영자 | 베이징 지하철 운영유한공사 |
특징 | 지하 |
차량기지 | 우루 차량기지, 우리차오, 둥샤오잉 |
차량 | 8량 B형 (DKZ47) |
노선 길이 | 53.4 km |
전철화 | 가공 전차선에서 직류 공급 |
![]() | |
기술 정보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수 | 복선 |
복선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V 가선집전식 |
최고 속도 | 100 km/h |
2. 역사
베이징 지하철 6호선은 여러 단계에 걸쳐 개통되었다. 2012년 12월 30일 하이뎬우루쥐역에서 차오팡역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고, 2014년 12월 28일 차오팡역에서 루청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초기에는 자금성과의 근접성 때문에 역사적 보존 문제가 제기되어 노선이 변경되기도 하였다.
2. 1. 건설 배경
6호선은 원래 자금성과 가까운 차오양 가(朝陽大街) 아래를 지나 서쪽으로 곧게 뻗어가는 동서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이 노선은 6호선 중앙 구간의 터널이 자금성과 매우 가까워져 역사적 보존 및 보호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 지역의 문화 유적 손상을 피하기 위해 6호선 전체 서부 및 중앙 구간은 북쪽으로 1.5km 떨어진 핑안 가(平安大街)로 이동되었고, 현재의 6호선 노선이 형성되었다.[18][19]2. 2. 단계별 개통
2012년 12월 30일 하이뎬우루쥐역에서 차오팡역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고, 2014년 12월 28일 차오팡역에서 루청역 구간이 개통되었다.[38]2018년 12월 30일 진안차오역에서 하이뎬우루주역 구간과 베이윈허둥역이 개통되었으나, 핑궈위안역은 개통되지 않고 열차가 통과했다. 2021년 12월 31일 핑궈위안역 6호선 승강장이 개통되었고, 2023년 3월 18일 얼리거우역이 개통되었다.[39]
구간 | 개통일 | 역(개) | 명칭 |
---|---|---|---|
하이뎬우루주 — 차오팡 | 2012년 12월 30일 | 20 | 1단계 |
차오팡 — 루청 | 2014년 12월 28일 | 6 | 2단계 |
베이윈허둥 | 2018년 12월 30일 | 1 | style="text-align: left;" | |
진안차오 — 하이뎬우루주 | 5 | 3단계 | |
핑궈위안 | 2021년 12월 31일 | 1 | style="text-align: left;" | |
얼리거우 | 2023년 3월 18일 | 1 | style="text-align: left;" | |
2. 3. 추가 확장
루청 역에서 둥샤오잉난 역까지 1개 역으로 연결되는 2단계 남부 연장 구간은 총 2.066km이다.[36] 2022년 8월 30일에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2025년에 개통될 예정이다.[37]3. 노선 특징
6호선은 베이징 지하철에서 처음으로 가공 전차선 방식을 채택한 노선이다. 2012년 12월 30일에 개통했으며, 다른 노선과 달리 최고 속도가 100km/h로 베이징시 지하철 노선 중 가장 빠르다. 또한,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평일 러시아워에는 급행 열차가 운행되며, 일반 열차는 주로 창잉 역에서 추월당한다. 평일 아침 루청 역 방면 일부 열차는 미개통된 퉁윈먼 역에서 일반 열차를 추월하며, 이때 일반 열차는 운전 정차한다.[8]
3. 1. 급행 운행
평일 러시아워에는 급행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일반 열차 추월은 기본적으로 창잉 역에서 실시하지만, 평일 아침 루청 역 방면으로 가는 일부 열차만 미개통된 퉁윈먼 역에서도 일반 열차를 추월한다(일반 열차는 운전 정차한다).[8]3. 2. 기술
6호선은 베이징 지하철에서 처음으로 가공 전차선 방식을 채택한 노선이다.[1] 2012년 12월 30일에 개통했다.[1] 다른 노선의 최고 속도는 80km/h인데 비해, 6호선의 최고 속도는 100km/h로, 베이징시의 지하철 노선 중 가장 빠르다.[1] 또한,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4. 역 목록
베이징 지하철 6호선은 진안차오 역에서 루청 역까지 운행되며, 일부 구간에서는 급행 열차가 운행된다.[14][15] 급행 열차는 평일에만 운행되며, A와 B 두 가지 종류가 있다. 급행 A는 평일 아침 루청 방면(→진안차오) 및 평일 저녁 진안차오 방면(→루청)으로 운행되며, 급행 B는 평일 아침 진안차오 방면(→루청)으로 운행된다.
일부 역은 아직 개통되지 않았으며, 미개통 역은 회색 배경에 ''기울임꼴''로 표시된다.
4. 1. 역 목록표
11호선S1선
팡산선 (직통 운행)
13호선 (A)
4호선
19호선
8호선
핑구선 (공사중)
28호선 (공사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