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이컬루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컬루 선은 1906년 개통된 런던 지하철 노선으로, 해로 & 웰드스톤 역에서 엘리펀트 & 캐슬 역까지 운행한다. 1898년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자금 문제로 인해 건설이 중단되기도 했지만, 1913년까지 베이커 스트리트에서 패딩턴까지 연장되었다. 왓포드 지선은 1915년에 개통되었으나 1982년에 폐쇄되었고, 1984년부터 해로 & 윌드스톤까지 재영업을 시작했다. 1939년에는 스탠모어 지선이 개통되었으나 1979년에 주빌리 선으로 대체되었다. 현재는 1972년식 전동차를 사용하며, 향후 새로운 열차 도입 및 노선 연장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컬루선 - 런던 패딩턴역
    런던 패딩턴역은 1854년 개업한 런던의 주요 철도 터미널 역으로, 이잠바드 킹덤 브루넬이 설계했으며 서부 잉글랜드와 웨일스를 연결하고 히드로 익스프레스와 엘리자베스 선이 운행되는 곳이다.
  • 베이컬루선 - 베이커 스트리트역
    베이커 스트리트 역은 1863년에 개통된 런던 지하철의 역으로, 5개 노선이 지나가고 10개의 승강장을 갖춘 복합적인 구조이며 셜록 홈즈 관련 장식으로 유명하다.
  • 해로구의 교통 - 메트로폴리탄선
    메트로폴리탄선은 런던 지하철 노선으로, 세계 최초의 지하철인 메트로폴리탄 철도로 개통되어 런던 도심과 북서쪽 교외를 연결하며 다양한 운행 형태와 S형 차량을 제공한다.
  • 해로구의 교통 - 주빌리선
    주빌리 선은 1979년 개통한 런던 지하철 노선으로, 엘리자베스 2세의 실버 주빌리를 기념하여 명칭이 변경되었고, 베이커 스트리트에서 스트랫포드까지 27개의 역을 연결하며, 은색을 나타내는 밝은 회색이 노선 색상이다.
  • 브렌트구의 교통 - 메트로폴리탄선
    메트로폴리탄선은 런던 지하철 노선으로, 세계 최초의 지하철인 메트로폴리탄 철도로 개통되어 런던 도심과 북서쪽 교외를 연결하며 다양한 운행 형태와 S형 차량을 제공한다.
  • 브렌트구의 교통 - 주빌리선
    주빌리 선은 1979년 개통한 런던 지하철 노선으로, 엘리자베스 2세의 실버 주빌리를 기념하여 명칭이 변경되었고, 베이커 스트리트에서 스트랫포드까지 27개의 역을 연결하며, 은색을 나타내는 밝은 회색이 노선 색상이다.
베이컬루선
노선 정보
런던 지하철 베이컬루 선 로고
베이컬루 선 로고
노선 종류급행 철도
노선 시스템런던 지하철
노선색갈색
최근 연장1917년
노선 특징심층
차량 기지스톤브리지 파크
런던 로드
퀸스 파크
사용 차량1972형 전동차
노선 길이 (킬로미터)23.2
지도 이름Transport for London
지도 상태collapsed
운행 정보
역 수25
총 승객 수125.662 million (2019)
기타 정보
승객 수 (2002년)104백만 명
퀸스 파크 역에 정차 중인 1972형 베이컬루 선 열차
퀸스 파크에 정차 중인 1972형 베이컬루 선 열차

2. 역사

브루넬템스강 아래를 지나는 터널 설계도를 만들어 빅토리아 여왕에게 보여주자, 빅토리아 여왕이 그 터널에 철도를 설치해 달라고 요청하면서 베이컬루 선이 만들어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 노선은 원래 하수도로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철도가 설치되면서 하수도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베이컬루선은 1865년 실패한 공압식 워털루 & 화이트홀 철도와 1882년 처링 크로스 & 워털루 전기 철도 프로젝트에서 비롯되었다.[3]

개통 초기부터 1917년까지 베이컬루선은 급전용 레일의 극성이 특이하게 반대로 작동했다. 바깥쪽 레일이 음극, 중앙 레일이 양극이었는데, 이는 베이컬루선이 디스트릭트 선과 전력을 공유했기 때문이다. 베이컬루선에서는 바깥쪽 전도 레일에서 터널 벽으로 누전되는 경향이 있었고, 디스트릭트 선에서는 중앙 레일에서 비슷한 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베이컬루선의 극성을 반대로 하여 두 노선 모두 음극 레일이 누전되도록 조치했다.[48] 1917년, 런던 노스웨스턴 철도(LNWR)가 유스턴역 - 왓퍼드 정션역 간의 '뉴 라인'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두 노선이 분리되었고, 베이컬루선은 퀸즈 파크역 북쪽 구간을 공유하게 되면서 정상적인 극성으로 복원되었다.

2006년 3월 10일에는 베이컬루 선 개통 100주년을 맞아 다양한 기념 행사가 열렸다.[49]

2017년, 옥스퍼드 서커스역 열차에서 발생한 화재로 베이컬루선 운행에 지장이 생겼으며, 연기를 마신 여러 명이 치료를 받았다.

2. 1. 초기 역사 (1906년 ~ 1913년)

이 노선은 원래 베이커 스트리트와 워털루 철도(Baker Street & Waterloo Railway)라고 불렸으며 1906년 3월 10일에 개통되었다.[4] Baker Street & Waterloo Railway|베이커 스트리트 앤드 워털루 철도영어라고도 불린 이 노선은 런던 지하 전기 철도 회사(UERL)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램버스 노스(당시 '케닝턴 로드'로 명명)와 베이커 스트리트 사이에 개통되었다. 5개월 후인 8월 5일 동쪽으로 엘리펀트 & 캐슬까지 연장되었다. "베이컬루"라는 이름이 빠르게 자리를 잡았고, 1906년 7월 공식 명칭도 이에 맞춰 변경되었다.[4]

1898년 6월 노선 공사가 시작되었을 때, 이 노선은 광산 사업가이자 회사 홍보 담당자였던 Whitaker Wright|휘태커 라이트영어의 자금 지원을 받았는데, 그는 관련된 금융 절차로 인해 법에 저촉되어 1904년 유죄 판결을 받은 후 로열 법원에서 극적으로 자살했다. 그 결과 노선 공사는 몇 달 동안 중단되었고, 찰스 예키스와 UERL이 개입하여 프로젝트를 인수한 후에야 재개되었다.[4]

1913년까지 이 노선은 베이커 스트리트의 원래 북쪽 종착역에서 서쪽으로 연장되어 메릴본에서 그레이트 센트럴 철도와, 패딩턴에서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와 환승역이 생겼으며, 엣지웨어 로드에 새로운 역이 생겼다.

2. 2. 왓포드 지선 (1915년 ~ 1982년)

1915년, 베이컬루 선은 퀸스 파크 역까지 연장되었고, 런던 & 노스웨스턴 철도(LNWR)의 본선(현재의 웨스트 코스트 본선과 병주하는 직류 전철화 노선, 현재의 와트퍼드 DC선)과 선로를 연결하여 와트퍼드 정션 역까지의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 1960년대에는 와트퍼드까지의 베이컬루 선 직통 운전 횟수가 삭감되었고, 1982년에 스톤브리지 파크 역보다 북쪽으로의 직통 운전이 폐지되었다.[1]

1984년부터 스톤브리지 파크 역 - 해로우 & 위어드스톤 역 간의 직통 운전이 점차 재개되었고, 1989년에는 종일 운행이 시작되었다. 베이컬루 선 열차는 유스턴 역에서 출발하는 런던 오버그라운드와 퀸스 파크 역 - 해로우 & 위어드스톤 역 구간에서 선로를 공유하고 있다.[1]

2. 3. 스탠모어 지선 (1939년 ~ 1979년)

1930년대 중반까지 메트로폴리탄 선은 베이커 스트리트와 핀칠리 로드 역 사이의 선로 용량 부족으로 인해 혼잡에 시달렸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이커 스트리트의 베이컬루 선 승강장과 핀칠리 로드 사이의 새로운 터널 구간을 건설하고, 메트로폴리탄 선의 3개 역(로드, 말보로 로드, 스위스 코티지)을 2개의 새로운 베이컬루 선 역(세인트 존스 우드, 스위스 코티지)으로 교체하는 것을 포함하는 '뉴 워크스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5]

1939년 11월 20일, 베이컬루 선은 스탠모어까지의 메트로폴리탄 선 운행을 인수했다. 이 지선은 베이커 스트리트에서 두 개의 지선이 합쳐져 베이컬루 선에 유사한 혼잡 문제가 발생하면서, 1979년 5월 1일 주빌리 선으로 분리되기 전까지 베이컬루 선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 주빌리 선은 처음에는 스탠모어 지선과 베이커 스트리트와 채링 크로스 사이에 뚫린 새로운 터널을 연결하여 형성되었다.[5]

2. 4. 캠버웰 연장 제안 (1931년, 1947년)

캠버웰과 덴마크 힐로 가는 노선의 남쪽 끝 연장 구간은 ''1931년 런던 전기 메트로폴리탄 디스트릭트 및 센트럴 런던 철도 회사(작업)법''의 일부로 1931년에 제안되어 승인되었다.[57][58] 1937년 4월 제안된 연장 구간의 비용은 500만파운드(오늘날 기준 약 3.2억파운드)였고, 런던 여객 운송 위원회는 재료 가격 상승으로 이사회 재정이 개선될 때까지 연장이 연기되었다고 발표했다.[59] 엘리펀트 & 캐슬 남쪽 방향 연장과 별개로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연장 작업이 없었지만, ''1940년 특별법 (연장법)''에 따라 1947년에 정부에 의해 권한이 갱신되었다.[60] 캠버웰까지의 예상 연장은 1949년 지하지도에 보였으나 더 이상의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61] 워릭 애비뉴의 기관사는 1990년대까지 목적지로 ''캠버웰''을 간주했다.[62]

2. 5. 전기 공급

베이컬루 선은 개통 초기부터 1917년까지 전도 레일의 극성이 특이하게 반대로 작동하여, 바깥쪽 레일이 음극, 중앙 레일이 양극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베이컬루 선이 디스트릭트 선과 전력을 공유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베이컬루 선에서는 바깥쪽 전도 레일에서 터널 벽으로 누전되는 경향이 있었고, 디스트릭트 선에서는 중앙 레일에서 비슷한 문제가 발생했다. 해결책은 베이컬루 선의 극성을 반대로 하여 음극 레일이 두 시스템 모두에서 누전되도록 하는 것이었다.[14]

1917년, 런던 노스웨스턴 철도(LNWR)가 유스턴역 - 왓퍼드 정션역 간의 '뉴 라인'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두 노선이 분리되었고, 베이컬루 선은 퀸즈 파크역 북쪽 구간을 공유하게 되었다. 그 결과, 정상적인 운영이 복원되었다.

2. 6. 100주년 기념 행사 (2006년)

2006년 3월 10일, 베이컬루 선은 개통 100주년을 맞이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에드워드 시대 의상을 입은 배우와 직원들이 여행객들을 즐겁게 하는 등 다양한 행사가 열렸다.[64][15][49]

2. 7. 2017년 화재

2017년, 옥스퍼드 서커스역 열차에서 발생한 화재로 베이컬루선 운행에 지장이 생겼다. 연기를 마신 여러 명이 치료를 받았다.[16]

3. 노선

베이컬루 선은 1915년에 국철과의 연계를 위해 왓포드 정션까지 운행을 시작했으나, 1960년부터 점차 축소되어 1982년에 해당 구간의 운행을 중단했다. 이후 1984년부터 1989년 사이에 현재 베이컬루 선의 북쪽 종점인 해로 & 윌드스톤까지 다시 운행을 시작했다.[1]

1939년 11월 20일에는 메트로폴리탄 선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베이커 스트리트 - 핀츨리 로드 구간에 새로운 터널을 건설하고 스탠모어 지선을 개통했다. 그러나 베이커 스트리트 역에서 비슷한 혼잡 문제가 발생하여, 1979년 5월 1일 주빌리 선 개통과 함께 스탠모어 지선은 베이컬루 선에서 분리되었다.[1]

3. 1. 이전 노선

1915년에 국철과의 연계를 위해 왓포드 정션까지 영업을 시작했으나 1960년부터 축소되기 시작해 1982년에 문을 닫았다. 이후 1984년부터 1989년 사이에 현재 베이컬루 선의 북쪽 종점인 해로 & 윌드스톤까지 재영업을 시작했다.[1] 런던 교통공사는 2026년까지 베이컬루 선을 다시 왓포드 정션까지 연장시키려는 계획이 있다.[2]

1939년 11월 20일에는 메트로폴리탄 선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베이커 스트리트 - 핀츨리 로드 구간에 새로운 터널을 건설하고 스탠모어 지선을 개통했다. 그러나 베이커 스트리트 역에서 비슷한 혼잡 문제가 발생하여, 1979년 5월 1일 주빌리 선 개통과 함께 스탠모어 지선은 베이컬루 선에서 제외되었다.[1]

구간역명개업일자서비스 철회비고
왓포드 지선[2]왓퍼드 정션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16일
왓퍼드 하이 스트리트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24일
부쉬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24일1974년 5월 6일까지 부쉬 & 옥시(Bushey & Oxhey)
카펜더스 파크1919년 4월 5일1982년 9월 24일1952년 11월 16일 일시 폐쇄 후 1952년 11월 17일에 재개장.
해치 엔드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24일개통 당시 해치 엔드 & 피너(Hatch End & Pinner), 1920년 2월 1일에 해치 엔드(Hatch End for Pinner), 1956년에 해치 엔드
헤드스톤 레인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24일
스탠모어 지선[1]스탠모어1979년 5월 1일
캐논스 파크1979년 5월 1일
퀸즈베리1979년 5월 1일
킹즈베리1979년 5월 1일
웸블리 파크1979년 5월 1일
니즈던1979년 5월 1일
돌리스 힐1979년 5월 1일
윌스던 그린1979년 5월 1일
킬번1979년 5월 1일
웨스트 햄스테드1979년 5월 1일
핀츨리 로드1979년 5월 1일
스위스 코티지1979년 5월 1일
세인트 존스 우드1979년 5월 1일
베이커 스트리트1979년 5월 1일


3. 1. 1. 왓포드 지선

1915년에 국철과의 연계를 위해 영업을 시작했으나 1960년부터 축소되기 시작해 1982년에 문을 닫았고, 이후 1984년부터 1989년 사이에 현재 베이컬루 선의 북쪽 종점인 해로 & 윌드스톤까지 재영업을 시작했다. 현재 퀸즈 파크와 해로 앤 윌드스톤 사이의 구간은 런던 지상철과 선로를 공유한다. 한편, 왓포드 지선의 종착역이었던 왓포드 정션역은 유스턴에서 출발하는 지상철의 종착역이다. 현재 런던 교통공사는 2026년까지 베이컬루 선을 다시 왓포드 정션까지 연장시키려는 계획이 있다. 그렇게 되면 이 구간은 베이컬루 선만이 운영한다.

폐선 전에는 크로슬리 그린이 차량기지였으나 폐선 이후 '스톤브리지 파크'에 새로운 차량기지를 세웠다.[1]

1917년1982년 사이에 베이컬루 선 열차는 해로 & 윌드스톤을 지나 왓포드 정션까지 DC 선을 따라 운행했다. 이 역들은 런던 오버그라운드에서 계속 운행되고 있다. 베이컬루 노선을 왓포드 정션으로 재확장하고 다음 역에 서비스를 제공하자는 제안이 나왔다.[2]

역명개업일자서비스 철회특이 사항
왓퍼드 정션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16일
왓퍼드 하이 스트리트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24일
부쉬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24일1974년 5월 6일까지 (Bushey & Oxhey)란 이름.
카펜더스 파크1919년 4월 5일1982년 9월 24일1952년 11월 16일 일시 폐쇄. 1952년 11월 17일에 재개장.
해치 엔드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24일개통 당시 Hatch End & Pinner, 1920년 2월 1일에 Hatch End (for Pinner), 1956년에 Hatch End로 개명.
헤드스톤 레인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24일



에지웨어 로드에서 베이컬루 선 북행 승강장
[3]

3. 1. 2. 스탠모어 지선

스탠모어 지선은 과거 베이컬루 선에서 운영되던 지선으로, 현재는 주빌리 선의 북쪽 구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1930년대 메트로폴리탄 선의 베이커 스트리트 - 핀츨리 로드 구간이 매우 혼잡해지자, 1930-40년대 '뉴 워크스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베이컬루 선의 베이커 스트리트 역부터 핀츨리 로드까지 새로운 터널을 건설하고, 메트로폴리탄 선의 로드 역, 말보로 로드 역, 스위스 코티지 역을 대체하기로 하였다.

1939년 11월 20일부터 운영을 시작했으나, 베이커 스트리트 역에서 과거와 비슷한 혼잡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주빌리 선이 개통되면서 1979년 5월 1일 서비스를 중단했다.

스탠모어 지선은 원래 메트로폴리탄 철도에서 건설되었으며 1939년 베이컬루 선의 '''스탠모어 지선'''으로 지정되었다. 1979년 5월 1일 주빌리 선으로 이관되었으며, 베이커 스트리트의 베이컬루 본선과 연결되었다.

스탠모어 지선을 구성하는 역은 다음과 같다.

역명영어 역명
스탠모어Stanmore
캐논스 파크Canons Park
퀸즈베리Queensbury
킹즈베리Kingsbury
웸블리 파크Wembley Park
니즈던Neasden
돌리스 힐Dollis Hill
윌스던 그린Willesden Green
킬번Kilburn
웨스트 햄스테드West Hampstead
핀츨리 로드Finchley Road
스위스 코티지Swiss Cottage
세인트 존스 우드St. John's Wood
베이커 스트리트Baker Street


4. 역 목록

'''참고:''' 이전 베이컬루 선의 스탠모어 지선은 주빌리 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역명사진개업일자특이 사항 및 위치
해로 & 웰드스톤
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24일 운행 중지, 1984년 6월 4일 운행 재개[72]
켄턴
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24일 운행 중지, 1984년 6월 4일 운행 재개[72]
사우스 켄튼
1933년 7월 3일1982년 9월 24일 운행 중지, 1984년 6월 4일 운행 재개[72]
노스 웸블리
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24일 운행 중지, 1984년 6월 4일 운행 재개[72]
웸블리 센트럴
1917년 4월 16일웸블리 센트럴 포 서드버리로 개통, 1948년 7월 5일 현재 이름으로 변경. 1982년 9월 24일 운행 중지, 1984년 6월 4일 운행 재개[72]
스톤브리지 파크
1917년 8월 1일[72]
할레스덴
1917년 4월 16일[72]
윌스덴 정션
1915년 5월 10일[72]
켄잘 그린
1916년 10월 1일[72]
퀸스 파크
1915년 2월 11일[72]
킬번 파크
1915년 1월 31일[72]
메이다 베일
1915년 6월 6일[72]
워릭 애비뉴
1915년 1월 31일[72]
패딩턴
1913년 12월 1일[72]
에지웨어 로드
1907년 6월 15일[72]
메릴본
1907년 3월 27일그레이트 센트럴로 개통, 1917년 4월 15일 현재 이름으로 변경[72]
베이커 스트리트
1906년 3월 10일[72]
리젠트 파크
1906년 3월 10일[72]
옥스퍼드 서커스
1906년 3월 10일[72]
피카딜리 서커스
1906년 3월 10일[72]
채링크로스
1906년 3월 10일트라팔가 광장으로 개통, 1979년 5월 1일 현재 이름으로 변경.[73]
엠뱅크먼트
1906년 3월 10일채링크로스로 개통, 1976년 9월 12일에 현재 이름으로 변경.[73]
워털루
1906년 3월 10일[72]
램버스 노스
1906년 3월 10일케닝턴 로드로 개통, 1906년 8월 5일 웨스트민스터 브리지 로드로, 1917년 4월 15일에 현재 이름으로 변경.[72]
엘리펀트 & 캐슬
1906년 8월 15일[72]


4. 1. 현재 운행역

역명사진개업일자[72]특이 사항 및 위치
해로 & 웰드스톤
Harrow & Wealdstone영어
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24일 운행 중지, 1984년 6월 4일 운행 재개[72]
켄턴
Kenton영어
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24일 운행 중지, 1984년 6월 4일 운행 재개[72]
사우스 켄튼
South Kenton영어
1933년 7월 3일1982년 9월 24일 운행 중지, 1984년 6월 4일 운행 재개[72]
노스 웸블리
North Wembley영어
1917년 4월 16일1982년 9월 24일 운행 중지, 1984년 6월 4일 운행 재개[72]
웸블리 센트럴
Wembley Central영어
1917년 4월 16일처음에는 웸블리 센트럴 포 서드버리(Wembley Central for Sudbury)로 개통, 1948년 7월 5일 현재 이름으로 변경. 1982년 9월 24일 운행 중지, 1984년 6월 4일 운행 재개[72]
스톤브리지 파크
Stonebridge Park영어
1917년 8월 1일[72]
할레스덴
Harlesden영어
1917년 4월 16일[72]
윌스덴 정션
Willesden Junction영어
1915년 5월 10일[72]
켄잘 그린
Kensal Green영어
1916년 10월 1일[72]
퀸스 파크
Queen's Park영어
1915년 2월 11일[72]
킬번 파크
Kilburn Park영어
1915년 1월 31일[72]
메이다 베일
Maida Vale영어
1915년 6월 6일[72]
워릭 애비뉴
Warwick Avenue영어
1915년 1월 31일[72]
패딩턴
Paddington영어 ( 히스로 행 열차)
1913년 12월 1일[72]
에지웨어 로드
Edgware Road영어
1907년 6월 15일[72]
메릴본
Marylebone영어
1907년 3월 27일처음에는 그레이트 센트럴(Great Central)로 개통, 1917년 4월 15일 현재 이름으로 변경[72]
베이커 스트리트
Baker Street영어
1906년 3월 10일[72]
리젠트 파크
Regent's Park영어
1906년 3월 10일[72]
옥스퍼드 서커스
Oxford Circus영어
1906년 3월 10일[72]
피카딜리 서커스
Piccadilly Circus영어
1906년 3월 10일[72]
채링크로스
Charing Cross영어
1906년 3월 10일처음에는 트라팔가 광장(Trafalgar Square)으로 개통, 1979년 5월 1일 현재 이름으로 변경.[73]
엠뱅크먼트
Embankment영어
1906년 3월 10일처음에는 채링크로스(Charing Cross)로 개통, 1976년 9월 12일에 현재 이름으로 변경.[73]
워털루
Waterloo영어
1906년 3월 10일[72]
램버스 노스
Lambeth North영어
1906년 3월 10일처음에는 케닝턴 로드(Kennington Road)로 개통, 1906년 8월 5일 웨스트민스터 브리지 로드(Westminster Bridge Road)로, 1917년 4월 15일에 현재 이름으로 변경.[72]
엘리펀트 & 캐슬
Elephant & Castle영어
1906년 8월 15일[72]


4. 2. 과거 운행역

Harrow & Wealdstone영어--1917년 4월 16일운행 중지: 1982년 9월 24일
운행 재개: 1984년 6월 4일켄턴
Kenton영어--1917년 4월 16일운행 중지: 1982년 9월 24일
운행 재개: 1984년 6월 4일사우스 켄턴
South Kenton영어--1933년 7월 3일운행 중지: 1982년 9월 24일
운행 재개: 1984년 6월 4일노스 웸블리
North Wembley영어--1917년 4월 16일운행 중지: 1982년 9월 24일
운행 재개: 1984년 6월 4일웸블리 센트럴
Wembley Central영어50px1917년 4월 16일웸블리 센트럴(서드버리 방면)로 개업,
1948년 7월 5일 개명.
운행 중지: 1982년 9월 24일
운행 재개: 1984년 6월 4일스톤브리지 파크
Stonebridge Park영어50px1917년 8월 1일할스덴
Harlesden영어50px1917년 4월 16일윌스덴 정션
Willesden Junction영어50px1915년 5월 10일켄살 그린
Kensal Green영어50px1916년 10월 1일퀸스 파크
Queen's Park영어50px1915년 2월 11일킬번 파크
Kilburn Park영어50px1915년 1월 31일메이다 베일
Maida Vale영어50px1915년 6월 6일워릭 애비뉴
Warwick Avenue영어50px1915년 1월 31일패딩턴
Paddington영어50px1913년 12월 1일에지웨어 로드
Edgware Road영어50px1907년 6월 15일2013년 12월까지 엘리베이터 교체로 인해 휴업.[55]메릴본
Marylebone영어50px1907년 3월 27일Great Central 역으로 개업, 1917년 4월 15일 개칭베이커 스트리트
Baker Street영어50px1906년 3월 10일리젠츠 파크
Regent's Park영어50px1906년 3월 10일옥스퍼드 서커스
Oxford Circus영어50px1906년 3월 10일피카딜리 서커스
Piccadilly Circus영어50px1906년 3월 10일채링 크로스
Charing Cross영어50px1906년 3월 10일엠뱅크먼트
Embankment영어50px1906년 3월 10일워털루
Waterloo영어50px1906년 3월 10일램버스 노스
Lambeth North영어50px1906년 3월 10일케닝턴 로드로 개업, 1906년 8월 5일 웨스트민스터 브리지 로드로, 1917년 4월 15일 램버스 노스로 개칭엘리펀트 & 캐슬
Elephant & Castle영어50px1906년 8월 5일


5. 차량

현재 베이컬루 선은 1972년형 차량으로만 운행되고 있으며, 이 차량들은 주빌리 선에서 1983년형 차량을 대체하였다.[65] 스톤브리지 파크 차량기지에서 정비되며, 런던 지하철의 빨간색, 흰색, 파란색 도색을 하고 있다. 노선이 작은 직경의 터널 속 깊은 지하를 운행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열차 크기 중 더 작은 크기를 사용한다.[26]

2000년대 초, 열차 내부는 대대적인 청소를 거쳐 파란색 모켓으로 덮개가 교체되었다. 좌석은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부 객차는 세로 좌석만 있다.[24] 2015년 3월 11일 TfL 재정 및 정책 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1972년형 차량의 수리 프로그램 비용이 예상보다 더 많이 들 것이라고 밝혔다.[24]

2016년 초, 4년간의 개조 프로그램이 시작되어 3월에 새로운 모습의 첫 번째 객차가 노선에서 운행되었다.[25] 각 객차의 내부는 청소되었고, 좌석 모켓은 다른 노선에서 볼 수 있는 바맨형으로 교체되었으며, 손잡이와 조명이 교체되었다. 각 객차는 평가를 거쳐 열차가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수리 작업이 수행되었다.[25]

베이컬루선 열차 내부


2021년 11월 TfL 재정 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자금 부족으로 인해 현재 열차의 교체는 2030년대 후반 또는 2040년대 초까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열차는 교체 시점에 60~70년이 되며, 설계 수명의 약 두 배가 된다.[26] 아일오브와이트에서 마지막 483형 열차가 퇴역한 이후, 1972년형 차량은 영국에서 운행되는 가장 오래된 비유산 열차가 되었다.[27]

5. 1. 과거 차량

할스던 역에서 북쪽으로 향하는 1938년식 열차


1906년 개통 당시 베이컬루 선은 맨체스터의 트래퍼드 파크에서 제작된 게이트 스톡 열차로 운영되었다. 퀸스 파크 연장에 대비하여 런던 지하철 1914년식 전동차 12대가 추가로 주문되었는데, 러프버러의 브러시에서 10대, 리즈 포지 컴퍼니(Leeds Forge Company)에서 2대가 제작되었다.

퀸즈 파크 북쪽으로의 운행을 위해 버밍엄의 메트로폴리탄 객차, 화차 & 금융회사에서 72대의 차량을 제작했다. 왓포드 조인트 스톡으로 알려진 이 열차는 런던 지하철과 런던 앤 노스 웨스턴 철도(LNWR, 이후 런던, 미들랜드 & 스코티시 철도(LMS))가 공동 소유했다. 초기에는 LNWR 상징색으로 도색되었으나, 공기구동식 문이 없어 느리고 신뢰성이 낮아 1930년에 표준 차량으로 교체되었다(LMS에서 일부 유지). 1930년대 왓퍼드 열차는 창문 높이에 독특한 파란색 줄무늬가 있었다.

1932년, 1919년 노팅엄의 캠멜 레어드에서 피카딜리 선용으로 제작된 일부 객차가 베이컬루 선으로 옮겨졌다. 이 객차는 제작 당시 공기 구동식 문을 갖춘 최초의 튜브 열차였다. 이들은 나중에 더 많은 표준 차량으로 교체되었고, 다시 1938년식 전동차 및 1949년식 전동차로 교체되었다.

1979년 주빌리 선 개통 전까지 베이컬루 선은 1938년식 전동차와 1972년식 전동차로 운행되었다. 1972년식 전동차는 주빌리 선을 위한 것이었으므로, 1979년부터 베이컬루 선(현재는 스탠모어 지선 제외)은 1938년식 전동차로 다시 완전히 전환하였다. 1983년부터 1938년식 전동차는 1959년식 전동차로 대체되기 시작했으나, 이는 1972년식 전동차가 확보될 때까지의 일시적인 조치였다. 마지막 1938년식 전동차는 1985년 11월 20일 운행을 중단했다. 1986년부터 1959년식 전동차는 노던 선으로 이전되었다.[65]

5. 2. 현재 차량

베이컬루 선은 1972년형 차량으로만 운행되며, 1983년형 차량에 의해 주빌리 선에서 대체되었다. 이 열차는 스톤브리지 파크 차량기지에서 정비된다. 모든 베이컬루 선 열차는 런던 지하철의 빨간색, 흰색, 파란색 도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노선이 작은 직경의 터널 속 깊은 지하를 운행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열차 크기 중 더 작은 크기이다.

2000년대 초, 열차 내부를 '대대적으로 청소'하고 덮개를 파란색 모켓으로 교체했다. 좌석 배치는 세로 및 가로 방향이며, 일부 객차는 세로 좌석만 있다. 2015년 3월 11일자 TfL 재정 및 정책 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예상보다 열차 상태가 좋지 않아 1972년형 차량의 수리 프로그램이 예상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들 것이라고 밝혔다.[24]

2016년 초, 4년 간의 개조 프로그램이 시작되어 3월에 새로운 모습의 첫 번째 객차가 노선에서 운행되었다.[25] 각 객차의 내부는 청소되었고, 좌석 모켓은 다른 노선에서 볼 수 있는 바맨형 변형으로 교체되었으며, 손잡이와 조명이 교체되었다. 각 객차는 평가를 거쳐 열차가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수리 작업이 수행되었다.

2021년 11월 TfL 재정 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자금 부족으로 인해 현재 열차의 교체는 2030년대 후반 또는 2040년대 초까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열차는 교체 시점에 60~70년이 되며, 설계 수명의 약 두 배가 된다.[26] 아일 오브 와이트에서 마지막 483형 열차가 퇴역한 이후, 1972년형 차량은 영국에서 운행되는 가장 오래된 비유산 열차가 되었다.[27]

런던 교통국은 노선을 최종적으로 업그레이드 할 것을 제안했지만, 다른 고심도 노선들이 처리될 때까지는 시행하지 않기로 했다. 여기에는 새로운 신호 및 새로운 열차가 포함되어 시간당 최대 27대의 열차가 운행된다. TfL은 현재 이들이 2033년까지 자리를 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68]

LUL은 알스톰(Alstom), 봄바디어(Bombardier), 지멘스(Siemens)를 초청하여 "Evo"('evolution(진화)'에서 따온)라고 불리는 고심도 노선을 위한 새로운 개념의 경량, 저에너지, 반관절형 열차를 개발했다. 지금까지는 지멘스만이 에어컨 기능을 갖춘 외형 디자인을 선보였으며, 제3,4 궤조에서 전력 공급이 끊어지면 열차가 다음역까지 주행할 수 있도록 배터리 전력도 공급한다. 이 차량은 현재의 튜브 차량보다 낮은층 대응과 11% 더 높은 승객 수송 능력을 가질것이다.[69] 30톤의 무게를 절약할 수 있으며, 열차는 에어컨이 포함된 경우 에너지 효율이 17% 향상되고, 포함되지 않은 경우 에너지 효율이 30%이상 높아진다.[70] 이러한 새로운 열차는 베이컬루 선, 센트럴 선, 피카딜리 선, 워털루&시티 선에 운행될 예정이다.[71]

5. 3. 향후 차량



베이컬루 선은 Mark 2 1972년식 전동차와, 주빌리 선에서 옮겨진 1983년식 전동차로 운영하며, 스톤브리지 파크 차량사업소에서 유지 보수된다.

모든 베이컬루 선 열차는 적색, 회색 및 청색의 런던 지하철 도색으로 칠해지며, 작은 터널에서 지하로 깊숙이 들어가는 고심도 노선이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크기 중 작은 크기를 사용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에 열차의 내부는 '딥 클리닝(deep-cleaned)'되었고 실내 장식은 모켓으로 대체되었다. 좌석 배치는 세로 및 가로 모두 있다. 일부 차량에는 종방향 좌석만 있다.

2015년 3월 11일자 TfL 재무 및 정책위원회지는 1972년식 전동차에 대한 수리 프로그램이 예상보다 나쁜 조건으로 인해, 계획된 것보다 많은 비용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66]

2016년 초, 3년 만에 처음으로 작동하는 신형 전동차의 첫번째 제품으로 4년 재개발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67] 각 전동차의 내부는 청소 중이며, 좌석 모켓은 다른 노선에서 본 Barman 유형의 변형으로 교체되며, 손잡이 및 조명이 새롭게 바뀐다. 이 작업은 2030년대 초 런던 지하철 신형 전동차(뉴 튜브 포 런던)으로 교체될 때까지 각 차량에 대한 평가 및 수리 작업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런던 교통국은 노선을 최종적으로 업그레이드 할 것을 제안하지만, 다른 고심도 노선들이 처리될 때까지는 시행하지 않기로 했다. 여기에는 새로운 신호 및 새로운 열차가 포함되어 시간당 최대 27대의 열차가 운행된다. TfL은 현재 이들이 2033년까지 자리를 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68]

LUL은 알스톰(Alstom), 봄바디어(Bombardier), 지멘스(Siemens)를 초청하여 "Evo"('evolution(진화)'에서 따온)라고 불리는 고심도 노선을 위한 새로운 개념의 경량, 저에너지, 반관절형 열차를 개발했다. 지금까지는 지멘스만이 에어컨 기능을 갖춘 외형 디자인을 선보였으며, 제3,4 궤조에서 전력 공급이 끊어지면 열차가 다음역까지 주행할 수 있도록 배터리 전력도 공급한다. 이 차량은 현재의 튜브 차량보다 낮은층 대응과 11% 더 높은 승객 수송 능력을 가질것이다.[69] 30톤의 무게를 절약할 수 있으며, 열차는 에어컨이 포함된 경우 에너지 효율이 17% 향상되고, 포함되지 않은 경우 에너지 효율이 30%이상 높아진다.[70] 이러한 새로운 열차는 베이컬루 선, 센트럴 선, 피카딜리 선, 워털루&시티 선에 운행될 예정이다.[71]

1990년대 후반, 영국 노동당 정부는 런던 지하철에 대한 수년간의 투자 부족을 만회하기 위해 공공-민간 파트너십(PPP)을 시작했다.[28] PPP 계약에 따라 베이컬루 선을 담당하는 민간 컨소시엄인 메트로넷이 노선에 새로운 차량을 주문할 예정이었다.[29][30] 이는 2009년형 차량과 S형 차량의 인도가 완료된 후, 베이컬루 선에 24개의 새로운 열차를 주문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었다. 이 열차들은 2019년까지 운행을 시작했어야 했다.[29] 그러나 메트로넷은 비용 초과로 인해 2007년에 붕괴되었고, PPP는 2010년에 종료되었다.[31]

2010년대 중반, TfL은 피카딜리 선, 센트럴 선, 베이컬루 선 및 워털루 & 시티 선의 열차를 교체하기 위해 새로운 차량을 주문하는 절차를 시작했다.[32] 새로운 열차에 대한 타당성 연구 결과, 차세대 열차와 신호 시스템 재설치를 통해 베이컬루 선의 수송 능력을 시간당 27개 열차로 25%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2]

2018년 6월, 지멘스 모빌리티의 인스피로 디자인이 선정되었다.[33] 이 열차는 개방형 통로 디자인, 더 넓은 출입문, 에어컨을 갖추고 새로운 신호 시스템으로 자동 운행이 가능할 것이다.[34] TfL은 15억파운드의 비용으로 피카딜리 선 열차만 주문할 수 있었다.[35] 그러나 지멘스와의 계약에는 향후 베이컬루 선을 위한 40개의 열차에 대한 옵션이 포함되어 있다.[36] 이는 2020년대 후반에 피카딜리 선 열차 인도가 완료된 후에 진행될 것이다.[34]

6. 차량기지

런던 로드의 베이컬루 선 차량기지


베이컬루 선은 현재 3개의 차량기지를 사용하고 있다. 주요 차량기지는 스톤브리지 파크에 있으며, 1979년 4월 9일에 개장하여 이전 British Rail 발전소 부지에 건설되었으며, 차량 정비 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한, 런던 로드에 원래 있던 차량기지 (엘리펀트 앤 캐슬과 램버스 노스 사이, 램버스 노스와 워털루 사이의 노선과 연결됨)와, 1915년에 건설된 퀸스 파크 바로 북쪽에 있는 작은 차량기지가 있다. 퀸스 파크 차량기지는 런던 지하철 네트워크에서 여객 열차가 통과하는 유일한 곳이다.

베이컬루 선이 왓퍼드로 운행했을 때, 크록슬리 그린(Croxley Green)에 크록슬리 그린 경정비 차량기지라는 추가 차량기지가 있었다. 이 차량기지는 1985년 11월 노선 운행이 중단되면서 폐쇄되었다.

베이컬루 선이 북쪽 종착역에서 현재의 퀸스 파크와 스탠모어(현재 주빌리 선이 인수) 두 갈래로 운행했을 때, 스탠모어 지선의 니즈던에 있는 차량기지가 노선의 주요 차량기지였다. 1979년부터 주빌리 선이 이 지선을 인수하면서 새로운 스톤브리지 파크 차량기지를 건설하게 되었다.

런던 로드 차량기지는 차량기지가 지상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선이 짧고 가파르게 경사진 지선 터널을 통해 연결된 지하 터널로 지나간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7. 미래 개발

2006년 2월, 교통부에서 런던 교통공사(TfL)로 유스턴-왓퍼드 통근 열차 서비스(왓퍼드 DC 라인)에 대한 책임을 이전하기로 결정하면서, 런던 오버그라운드 아래 여러 북런던 철도를 재편하는 것과 관련하여 노선 북부 구간의 운영이 변경될 수 있다는 제안이 나왔다.[50] [51]

1982년에 폐지된 왓퍼드 정션까지의 구간을 2026년까지 재연장하는 것이 계획되었으나, 크록슬리 레일 링크 프로젝트의 최종 입찰 문서에 따르면, "자금 조달 및 사업 타당성 제약으로 인해 TfL의 베이컬루선을 왓퍼드 정션으로 연장하려는 계획이 무기한 보류"되었기 때문에 이 베이컬루선 연장은 현재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한다.

1949년에 계획되었던 베이컬루선의 캠버웰 연장 계획은 2006년 런던 시장 켄 리빙스턴이 20년 이내의 연장을 시사하면서 부활했다.[52][53] 그러나 이 계획은 구체적인 공약을 동반한 것이 아니라 제안 단계에 불과했다. 런던 교통국의 2025년까지의 장기 계획에는 노던선을 두 개의 독립된 노선으로 하는 구상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 계획에서는 현재의 채링크로스 지선을 케닝턴 종착으로 하고, 이 노선을 캠버웰을 포함한 남동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상이 되어 있어, 이것이 실현되면 베이컬루선 캠버웰 연장은 불필요하게 된다.

7. 1. 왓포드 정션 역 재연장

2006년 2월, 유스턴-왓퍼드 통근 열차 서비스(왓퍼드 DC 라인)에 대한 책임을 교통부에서 런던 교통공사(TfL)로 이전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노선 북부 구간의 운영이 변경될 수 있다는 제안이 나왔다. 이는 런던 오버그라운드 아래에서 여러 북런던 철도를 재편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17][18]

과거 런던 계획에서는 2026년까지 베이컬루선을 해로우 & 위얼드스톤에서 왓퍼드 정션까지 재연장하여 1982년 이전의 서비스를 복원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런던 오버그라운드와 공유하는 퀸스 파크에서 왓퍼드 정션까지의 철도 노선은 베이컬루선과 공유될 것이었다.[17] 그러나 크록슬리 레일 링크 프로젝트의 최종 입찰 문서에 따르면, "자금 조달 및 사업 타당성 제약으로 인해 베이컬루선을 왓퍼드 정션으로 연장하려는 TfL의 계획이 무기한 보류"되었기 때문에 이 베이컬루선 연장은 현재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한다.[19]

7. 2. 루이셤 및 헤이즈 연장

2021년 TfL(런던 교통공사)에 의해 보호된 베이컬루선 연장 계획 노선(Lewisham까지)


2000년대 후반부터 런던 교통공사(TfL)는 노선 연장을 계획해 왔으며, 2021년 올드 켄트 로드를 경유하여 루이셤까지의 노선이 보호되었다.[20] 버지스 파크, 올드 켄트 로드, 뉴 크로스 게이트 및 루이셤에 4개의 역이 건설될 예정이며,[23] 미드-켄트 선을 따라 헤이즈와 베켄엄 정션까지의 추가 연장도 고려하고 있다. 이는 루이셤까지의 연장이 완료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21] 47억파운드에서 79억파운드(2017년 가격) 사이로 추정되는 이 연장은 건설에 약 7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22]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TfL의 재정 악화로 인해 현재 연장 공사는 보류된 상태이다.[23]

8. 노선도



노선도는 런던 교통국의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ondon Assembly Questions to the Mayor https://www.london.g[...] London Assembly 2024-02-29
[2] 웹사이트 The Bakerloo line https://www.ltmuseum[...] 2022-03-27
[3] 웹사이트 An extended history of the Bakerloo line http://www.tfl.gov.u[...]
[4] 서적 The Story of London's Underground Capital Transport Publishing
[5] 웹사이트 Disused Stations: Harrow & Wealdstone Station http://www.disused-s[...] 2018-02-12
[6] 간행물 1931-03-17
[7] 간행물 1931-10-09
[8] 뉴스 Rising Cost of Steel - London Transport Economics - Extensions Delayed 1937-04-10
[9] 간행물 1947-12-12
[10] 웹사이트 London Tube Map http://homepage.ntlw[...] London Transport 2008-01-13
[11] 서적 Mr Beck's Underground Map Capital Transport
[12] 간행물 Extending the Bakerloo - Tube line could reach Hayes 2011-12
[13] 웹사이트 Reports of Society Meetings - Beyond the Elephant https://www.lurs.org[...] 2021-03-28
[14] 웹사이트 Bakerloo Line, Dates http://www.davros.or[...] 2008-01-13
[15] 뉴스 Tube line's 100 year celebration http://news.bbc.co.u[...] 2006-03-10
[16] 뉴스 Two taken to hospital after fire on rush-hour tube train in London https://www.theguard[...] 2017-08-11
[17] 웹사이트 Scenario Testing for the Further Alterations to the London Plan http://www.london.go[...] "[[Greater London Authority]]" 2007-06-19
[18] 웹사이트 Information on Bakerloo line re-extension to Watford Junction http://www.tfl.gov.u[...]
[19] 웹사이트 Croxley Rail Link BAFB Value For Money Annex http://www.croxleyra[...] Steer Davis Gleave 2011-11-29
[20] 뉴스 Bakerloo Line Lewisham extension route secured for development https://www.newsshop[...] 2021-03-15
[21] 뉴스 Proposal to extend Bakerloo line to Beckenham and Hayes gathers steam https://www.cityam.c[...] 2021-03-15
[22] 웹사이트 Bakerloo line extension Background to Consultation Summary Report October 2019 https://consultation[...] 2021-03-15
[23] 웹사이트 Planning for the Future - Bakerloo line extension https://www.tfl.gov.[...] 2021-03-15
[24] 웹사이트 Bakerloo Line Fleet Life Extension http://cdn.londonrec[...] Transport for London 2016-04-23
[25] 뉴스 First look at newly-refurbished Bakerloo Line train https://www.standard[...] 2016-04-23
[26] 웹사이트 Impacts of Reduced Funding for TfL https://board.tfl.go[...] 2022-06-17
[27] 뉴스 All change on the Bakerloo Line for the UK's oldest trains? Bauer Consumer Media 2023-12-13
[28] 뉴스 New blow to Tube sell-off plan http://news.bbc.co.u[...] 2021-03-07
[29] 웹사이트 Metronet Brochure 2005 http://www.metronetr[...] "[[Metronet (British infrastructure company)]]" 2021-03-07
[30] 간행물 Details of Tube modernisation plans unveiled http://www.tubelines[...] Tube Lines 2021-03-08
[31] 뉴스 Metronet calls in administrators http://news.bbc.co.u[...] 2021-03-07
[32] 웹사이트 New Tube for London - Feasibility Report http://content.tfl.g[...] "[[Transport for London]]" 2022-06-26
[33] 간행물 Siemens to supply London Underground deep tube fleet http://www.metro-rep[...] 2018-06-15
[34] 뉴스 Piccadilly Line: Plans for new 'walk-through' trains unveiled https://www.bbc.com/[...] 2021-03-05
[35] 뉴스 Plan to sell part of Tube fleet branded 'quite mad' https://www.itv.com/[...] 2021-03-06
[36] 간행물 Siemens Mobility Limited to be awarded TfL contract to design and manufacture a new generation of Tube trains https://tfl.gov.uk/i[...] Transport for London 2018-06-16
[37] 서적 The Bakerloo Line Capital Transport
[38] 웹사이트 Bakerloo Line Working Timetable 47 https://content.tfl.[...] Transport for London 2021-11-09
[39] 간행물 As Govt restrictions ease further, TfL is ready to welcome back those returning to London https://tfl.gov.uk/i[...] Transport for London 2021-11-09
[40] 서적 The London Underground, A Diagrammatic History Douglas Rose/Capital Transport
[41] 서적 Forgotten Stations of Greater London
[42] 문서 "The Story of London's Underground" Capital Transport Publishing 2005
[43] LondonGazette 2008-01-13
[44] LondonGazette 2008-01-13
[45] LondonGazette 2008-01-11
[4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London Tube Map, 1949 tube map http://homepage.ntlw[...] 2008-01-13
[47] 서적 Mr Beck's Underground Map Capital Transport 1994
[48] 웹사이트 Bakerloo Line, Dates http://www.davros.or[...] 2008-01-13
[49] 뉴스 Tube line's 100 year celebrati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7-11-13
[50] 웹사이트 Scenario Testing for the Further Alterations to the London Plan http://www.london.go[...] Greater London Authority 2007-06-19
[51] 문서 TfL information on Bakerloo line re-extension to Watford Junction http://www.tfl.gov.u[...]
[52] 뉴스 Tube line 'may extend south within 20 years' http://icsouthlondon[...] South London Press 2007-11-02
[53] 웹사이트 Bakerloo Line extension to Camberwell http://www.alwaystou[...] 2007-11-02
[54] 서적 The Bakerloo Line Capital Transport 2001
[55] URL http://www.tfl.gov.u[...]
[56] 웹인용 LU Performance Data Almanac 2011/12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08-01
[57] LondonGazette 2008-01-13
[58] LondonGazette 2008-01-13
[59] 뉴스 Rising Cost of Steel - London Transport Economics - Extensions Delayed 1937-04-10
[60] LondonGazette 2008-01-11
[61] 웹인용 London Tube Map http://homepage.ntlw[...] London Transport 1949-06-01
[62] 서적 Mr Beck's Underground Map https://archive.org/[...] Capital Transport
[63] 웹인용 Bakerloo Line, Dates http://www.davros.or[...] 2008-01-13
[64] 뉴스 Tube line's 100 year celebration http://news.bbc.co.u[...] 2006-03-10
[65] 서적 The Bakerloo Line Capital Transport
[66] 웹인용 Bakerloo Line Fleet Life Extension http://cdn.londonrec[...] Transport for London 2016-04-23
[67] 뉴스 First look at newly-refurbished Bakerloo Line train http://www.standard.[...] 2016-04-23
[68] 웹인용 New Tube for London Programme – Delivery Stage: Design and Specification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20-11-15
[69] 뉴스 Transforming the tube 2010-12-00
[70] 뉴스 Siemens unveils London Underground concept train http://www.railwayga[...] 2020-11-15
[71] 뉴스 Siemens reveals innovative air-con for deep Tube trains 2011-06-29
[72] 서적 The London Underground, A Diagrammatic History https://archive.org/[...] Douglas Rose/Capital Transport
[73] 서적 Forgotten Stations of Greater Lond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