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알라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알라보속(Voalavo)은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쥐를 닮은 작은 설치류 속으로, 네소미아과에 속한다. 1998년 처음 명명되었으며, 민털꼬리보알라보(북부 보알라보)와 동부보알라보 두 종이 있다. 이들은 형태학적으로 유사하지만, DNA 염기 서열에서 차이를 보인다. 보알라보속은 다른 네소미아과 속인 엘리우루스(Eliurus)와 유사성을 보이며, 계통 발생 연구를 통해 분류학적 위치가 연구되고 있다. 북부 보알라보는 마다가스카르 북부 고지대에, 동부 보알라보는 중앙 고지대 안조조로베 지역에 분포하며, 산림에 서식한다. 동부보알라보는 서식지 감소로 인해 위기종으로, 북부보알라보는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보알라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학명Voalavo
명명자Carleton & Goodman, 1998
모식종민꼬리보알라보
모식종 명명자Carleton & Goodman, 1998
보알라보속의 분포도
'민꼬리보알라보(적색)와 동부보알라보(녹색)의 알려진 서식지'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쥐목
아목쥐아목
상과쥐상과
붉은숲쥐과
아과붉은숲쥐아과
하위 종Voalavo antsahabensis
Voalavo gymnocaudus

2. 분류

보알라보속(라틴어: ''Voalavo'')의 표본은 1994년 마다가스카르 북부 안자나하리베-쉬드에서 처음 수집되었다. 이 속은 1998년 마이클 칼튼과 스티븐 굿맨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단일 종인 민털꼬리보알라보(북부 보알라보)는 마다가스카르의 북부 고지대에 국한되어 있다. 속명 ''Voalavo''는 "설치류"를 뜻하는 말라가시어 단어이다. 2005년, 굿맨과 동료들은 중앙 고지대의 안조조로베 지역에서 두 번째 종인 동부보알라보(eastern voalavo)를 명명했다. 두 종의 ''보알라보''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상당히 유사하지만, 다양한 미묘한 형태학적 특성(주로 측정)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사이토크롬 'b'의 서열에서 10% 차이를 보인다.

''Voalavo''는 네소미아과에 속하며, 이 아과에는 모두 마다가스카르에 국한된 9개의 속이 포함된다. ''몽티콜로미스''(1996년 발표)와 ''Voalavo''(1998)의 발견 전에는 네소미아과 내의 알려진 모든 속이 서로 매우 뚜렷하게 구별되어, 이들 간의 계통 발생 관계가 오랫동안 불분명하게 남아 있었다. 그러나 ''Monticolomys''(''마크로타르소미스''와 밀접한 관련)와 마찬가지로 ''Voalavo''는 또 다른 네소미아과 속인 ''엘리우루스''와 명확한 유사성을 보인다. 칼튼과 굿맨은 ''Voalavo''에 대한 설명에서 비록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Eliurus''와 ''Voalavo''는 별도의 단계통군을 형성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999년 샤론 얀사와 동료들이 네소미아과와 다른 설치류 간의 사이토크롬 ''b'' 서열을 비교한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민털꼬리보알라보(북부 보알라보)는 다른 ''Eliurus'' 종보다 그란디디에 털꼬리쥐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발견은 ''Voalavo''의 별도 속 지위에 의문을 제기했다. 하지만 페터 털꼬리쥐의 조직 표본은 구할 수 없었으며, 이 종은 그란디디에 털꼬리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연구에 포함될 수 없었다. 핵 유전자 데이터 역시 민털꼬리보알라보(북부 보알라보)와 그란디디에 털꼬리쥐 사이의 관계를 뒷받침하지만, 페터 털꼬리쥐는 유전적으로 연구되지 않았으며, 분류학적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핵 DNA의 분자 계통 발생 분석은 ''Eliurus'', ''Voalavo''와 다른 두 네소미아과 속인 ''짐누로미스'' 및 ''브라키타르소미스'' 간의 밀접한 관계를 뒷받침한다. 이 속들은 다른 네소미아과 속과는 더 멀리 관련되어 있으며, 네소미과에 속하는 다른 아과와는 훨씬 더 멀리 관련되어 있으며, 이 아과들은 아프리카 본토에 존재한다.

2. 1. 하위 종


보알라보속의 표본은 1994년 마다가스카르 북부 안자나하리베-쉬드에서 처음 수집되었다. 이 속은 1998년 마이클 칼튼과 스티븐 굿맨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단일 종인 북부 보알라보(northern voalavo)는 마다가스카르의 북부 고지대에 국한되어 있다. 속명 ''Voalavo''는 "설치류"를 뜻하는 말라가시어 단어이다. 2005년, 굿맨과 동료들은 중앙 고지대의 안조조로베 지역에서 두 번째 종인 동부 보알라보(eastern voalavo)를 명명했다. 두 종의 ''보알라보''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상당히 유사하지만, 다양한 미묘한 형태학적 특성(주로 측정)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사이토크롬 'b'의 서열에서 10% 차이를 보인다.

''Voalavo''는 아과 네소미아과에 속하며, 이 아과에는 모두 마다가스카르에 국한된 9개의 속이 포함된다. ''몽티콜로미스''(1996년 발표)와 ''Voalavo''(1998)의 발견 전에는 네소미아과 내의 알려진 모든 속이 서로 매우 뚜렷하게 구별되어, 이들 간의 계통 발생 관계가 오랫동안 불분명하게 남아 있었다. 그러나 ''Monticolomys''(''마크로타르소미스''와 밀접한 관련)와 마찬가지로 ''Voalavo''는 또 다른 네소미아과 속인 ''엘리우루스''와 명확한 유사성을 보인다. 칼튼과 굿맨은 ''Voalavo''에 대한 설명에서 비록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Eliurus''와 ''Voalavo''는 별도의 단계통군을 형성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999년 샤론 얀사와 동료들이 네소미아과와 다른 설치류 간의 사이토크롬 ''b'' 서열을 비교한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북부 보알라보는 다른 ''Eliurus'' 종보다 그란디디에 털꼬리쥐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발견은 ''Voalavo''의 별도 속 지위에 의문을 제기했다. 하지만 페터 털꼬리쥐의 조직 표본은 구할 수 없었으며, 이 종은 그란디디에 털꼬리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연구에 포함될 수 없었다. 핵 유전자 데이터 역시 북부 보알라보와 그란디디에 털꼬리쥐 사이의 관계를 뒷받침하지만, 페터 털꼬리쥐는 유전적으로 연구되지 않았으며, 분류학적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핵 DNA의 분자 계통 발생 분석은 ''Eliurus'', ''Voalavo''와 다른 두 네소미아과 속인 ''짐누로미스'' 및 ''브라키타르소미스'' 간의 밀접한 관계를 뒷받침한다. 이 속들은 다른 네소미아과 속과는 더 멀리 관련되어 있으며, 네소미과에 속하는 다른 아과와는 훨씬 더 멀리 관련되어 있으며, 이 아과들은 아프리카 본토에 존재한다.

3. 계통 발생

보알라보속의 표본은 1994년 마다가스카르 북부 안자나하리베-쉬드에서 처음 수집되었다. 이 속은 1998년 마이클 칼튼과 스티븐 굿맨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단일 종인 북부 보알라보는 마다가스카르의 북부 고지대에 국한되어 있다. 속명 ''Voalavo''는 "설치류"를 뜻하는 말라가시어 단어이다.

''Voalavo''는 네소미아과에 속하며, 이 아과에는 모두 마다가스카르에 국한된 9개의 속이 포함된다. ''몽티콜로미스''(1996년 발표)와 ''Voalavo''(1998)의 발견 전에는 네소미아과 내의 알려진 모든 속이 서로 매우 뚜렷하게 구별되어, 이들 간의 계통 발생 관계가 오랫동안 불분명하게 남아 있었다. 그러나 ''Monticolomys''(''마크로타르소미스''와 밀접한 관련)와 마찬가지로 ''Voalavo''는 또 다른 네소미아과 속인 ''엘리우루스''와 명확한 유사성을 보인다. 칼튼과 굿맨은 ''Voalavo''에 대한 설명에서 비록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Eliurus''와 ''Voalavo''는 별도의 단계통군을 형성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999년 샤론 얀사와 동료들이 네소미아과와 다른 설치류 간의 사이토크롬 ''b'' 서열을 비교한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북부 보알라보는 다른 ''Eliurus'' 종보다 그란디디에 털꼬리쥐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발견은 ''Voalavo''의 별도 속 지위에 의문을 제기했다. 하지만 페터 털꼬리쥐의 조직 표본은 구할 수 없었으며, 이 종은 그란디디에 털꼬리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연구에 포함될 수 없었다. 핵 유전자 데이터 역시 북부 보알라보와 그란디디에 털꼬리쥐 사이의 관계를 뒷받침하지만, 페터 털꼬리쥐는 유전적으로 연구되지 않았으며, 분류학적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핵 DNA의 분자 계통 발생 분석은 ''Eliurus'', ''Voalavo''와 다른 두 네소미아과 속인 ''짐누로미스'' 및 ''브라키타르소미스'' 간의 밀접한 관계를 뒷받침한다. 이 속들은 다른 네소미아과 속과는 더 멀리 관련되어 있으며, 네소미과에 속하는 다른 아과와는 훨씬 더 멀리 관련되어 있으며, 이 아과들은 아프리카 본토에 존재한다.

4. 형태

''보알라보''는 쥐를 닮은 작은 설치류로 회색 털을 가지고 있다. 알려진 네소미스아과 중 가장 작은 종에 속하며, 크기가 ''Monticolomys koopmani''와 비슷하다. 외부 형태 측면에서, ''보알라보''는 ''엘리우루스''와 거의 다르지 않다. 털 색깔 패턴, 발의 일반적인 형태, 그리고 유선의 수(6개)는 두 속 모두 같다. 그러나 모든 ''엘리우루스'' 종은 꼬리 끝에 길쭉한 털의 뚜렷한 뭉치가 있는데, 이는 ''보알라보''에서는 없는 특징이다. 다만, ''보알라보''는 꼬리 끝 근처에 약간 더 긴 털을 가지고 있다. 꼬리는 머리와 몸통보다 길다. 북부 보알라보의 상대적 꼬리 길이(머리와 몸통 길이의 136%)는 ''엘리우루스''의 가장 긴 꼬리 종인 그랑디디에 털꼬리쥐와 페터 털꼬리쥐와 비슷하지만, ''V. antsahabensis''는 약간 더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발의 패드는 ''엘리우루스''에서 더 크고, 특히 thenar pad(발목 중간에 위치)는 ''보알라보''에서는 둥글고 비교적 작지만, ''엘리우루스''에서는 더 길고 크다. 가슴에는 ''보알라보'' 종은 번식기 수컷에서 달콤한 냄새의 사향을 생성하는 샘이 있는데, 이 샘은 ''엘리우루스''에는 없다. 다른 모든 네소미스아과와 달리, 하지만 ''Brachyuromys''를 제외하고, ''보알라보''는 상지 뼈에 있는 구멍인 entepicondylar foramen이 없다.

''보알라보''의 두개골 또한 ''엘리우루스''의 두개골과 유사하며, 긴 얼굴 골격, 모래시계 모양의 interorbital region(눈 사이), 그리고 능선이나 선반이 없는 매끄러운 interorbital region과 뇌두를 가지고 있다. 다른 공유된 특징으로는 본질적으로 특징 없는 뼈로 된 구개, 많은 구멍과 능선이 없고, 넓은 mesopterygoid fossa(구개 뒤의 구멍)가 있다. 다른 특징에서 ''보알라보''는 일부 ''엘리우루스'' 종과 유사하지만, 모두 그렇지는 않다. 예를 들어, incisive foramen의 길이는 ''엘리우루스'' 종에서 볼 수 있는 최대치와 일치한다(이 경우, 메이저 털꼬리쥐와 흰 팁 털꼬리쥐에서). 절치공의 뒷부분은 동부 보알라보에서는 둥글지만, 북부 보알라보에서는 각진 형태이다. 두 종은 또한 봉합선(maxillary와 palatine bone 사이의 경계선)의 모양이 다르며, 이는 동부 보알라보에서는 직선이지만, 북부 보알라보에서는 더 굽어 있다. capsular process, 즉 아래 incisor의 뿌리를 수용하는 아래턱 뒤쪽의 돌출부는 ''보알라보''에서 뚜렷하지 않으며, 이는 그랑디디에 털꼬리쥐, 메이저 털꼬리쥐, 페터 털꼬리쥐와 공유하는 특징이지만, 다른 ''엘리우루스'' 종과는 다르다.

두개골의 다른 특징은 두 속을 구별한다. 고실개벽 (tympanic cavity)의 지붕은 ''엘리우루스''에 비해 ''보알라보''에서 상당히 감소했다. subsquamosal fenestrae, 즉 두개골 뒤쪽의 squamosal bone에 있는 구멍은 ''엘리우루스''보다 ''보알라보''에서 더 크다. zygomatic plate, 즉 zygomatic arch(광대뼈)의 앞부분을 지지하는 두개골 측면의 판은 ''보알라보''에서 더 좁고, ''엘리우루스''에 있는 분명한 zygomatic notch (zygomatic plate의 앞쪽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노치)가 없다. 네소미스아과 중에서는, ''Brachytarsomys''만이 더 감소된 zygomatic notch를 가지고 있다.

''엘리우루스''와 마찬가지로, ''보알라보''는 중간 정도의 높은 크라운(hypsodont) 어금니를 가지고 있으며, 크라운은 개별적인 첨두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세로 연결이 없는 가로 라미나(판)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엘리우루스'' 어금니는 ''보알라보''보다 약간 더 높은 크라운을 가지고 있다. 세 번째 위 어금니와 아래 어금니는 ''보알라보''에서 두 번째 어금니에 비해 ''엘리우루스''보다 작다. 아마도 그 결과로, 세 번째 위 어금니는 ''보알라보''에서 개별 라미나가 없고, 세 번째 아래 어금니는 2개의 라미나만 있다(''엘리우루스''에서는 3개). 각 위 어금니 아래에는 3개의 뿌리가 있고, 아래 어금니 아래에는 2개의 뿌리가 있다.

''보알라보''의 측정
지역n머리-몸통꼬리뒷발질량
안자나하리베-수드 (V. gymnocaudus)486–90119–12020–2120.5–23.5
마로제지 (V. gymnocaudus)580–90113–12617–2015–1517.0–25.5
안조조로베 (V. antsahabensis)486–91106–11919–2115–1620.7–22.6
n: 측정된 표본의 수.
모든 측정은 밀리미터 단위이며, 몸무게는 그램 단위입니다.


5. 분포 및 생태



두 종의 ''보알라보''는 모두 산림에 서식한다. 북부 보알라보는 북부 고지대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마로제지와 안자나하리베-수드에서 1250~1950m 고도에서 발견된다. 동부 보알라보의 알려진 분포 지역은 1250~1425m 고도에 있는 안조조로베 부근으로 제한되어 있다. 두 종의 분포 지역 사이의 450km에 달하는 대부분의 지역이 보알라보의 서식지인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 지역은 두 종 사이의 장벽 역할을 할 수 있는 저지대인 만드리차라 윈도우에 의해 양분된다. ''보알라보''의 아화석 유해가 이전 마하장가 주 (마다가스카르 북서부)에서 발견되었다.

동부 보알라보의 생태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북부 보알라보는 일부 수목성 (나무 타기) 능력을 가진 주로 육상 동물로 생각된다. 야간에 활동하며, 한 배에 최대 세 마리의 새끼를 낳고, 아마도 과일과 씨앗을 먹는 것으로 보인다. 진드기와 ''Eimeria''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생충이 북부 보알라보에서 기록되었다.

6. 보전 상태

동부보알라보는 소규모 경작(마다가스카르에서는 '타비(tavy)'라고 알려짐) 관행으로 위협받는 작은 서식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IUCN 적색 목록에 "위기"로 등재되어 있다. 비록 ''V. gymnocaudus'' 또한 작은 서식지를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이 보호 구역 안에 있으며, 따라서 이 종은 "관심 필요"로 등재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